알페카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알페카는 북쪽왕관자리에 있는 쌍성으로, 밝은 별과 어두운 별로 이루어져 있다. A형 주계열성인 알페카 A는 태양 질량의 약 2.6배이며, 먼지 원반을 가지고 있어 원시 행성계가 생성 중일 가능성이 있다. G5형 주계열성인 알페카 B는 태양보다 젊고 활동적인 별로, 17.36일 주기로 서로 공전하며 식쌍성으로 관측된다. 알페카는 큰곰자리 운동성군에 속하며, '깨진 별의 반지 중 밝은 별'이라는 뜻의 아랍어에서 유래된 이름을 가지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북쪽왕관자리 - 북쪽왕관자리 카파 b
- 북쪽왕관자리 - XO-1 (항성)
XO-1은 트랜싯법으로 발견되어 XO-1b 외계 행성을 거느린 태양과 유사한 G형 주계열성으로, XO 프로젝트를 통해 발견되었으며, 행성 XO-1b는 '뜨거운 목성'으로 불리고 루마니아 지명에서 이름이 유래되었으며 대기 성분 분석에 대한 논쟁이 있다. - 큰곰자리 운동성단 - 스카트
스카트는 물병자리 델타별의 고유 명칭으로, 다양한 표기로 불리다 2016년 국제천문연맹에 의해 공식 명칭으로 승인되었으며, 동아시아 별자리에서는 '우림군'에 속한다. - 큰곰자리 운동성단 - 에리다누스자리 엡실론
에리다누스자리 엡실론(란)은 태양과 유사한 K형 주계열성으로, 행성 b와 두 개의 소행성대, 먼지 원반을 거느리고 있어 외계 행성 탐색의 주요 대상이다. - 식쌍성 - 민타카
민타카는 오리온자리의 삼태성 중 하나로, 다중성계이며, 분광쌍성임이 밝혀졌고, 성간매질 존재 증거를 제공한 중요한 천체이다. - 식쌍성 - 황소자리 제타
황소자리 제타는 황소자리에 있는 단선 분광 쌍성계로, 주성 황소자리 제타 A는 태양 질량의 11배가 넘는 거성이며 빠른 자전 속도, 특이한 화학적 특징, 방출선을 보이고 예로부터 중국 천문학에서 천관으로 불렸다.
알페카 | |
---|---|
개요 | |
종류 | 쌍성 |
별자리 | 북쪽왕관자리 |
겉보기 등급 | 2.24 |
변광성 유형 | 식변광성 |
명칭 | |
고유 명칭 | 알페카 (Alphecca), 겜마 (Gemma) |
기타 명칭 | 아스타로트 (Ashtaroth), 그노시아 스텔라 코로나에 (Gnosia Stella Coronae), 북쪽왕관자리 5 (5 CrB), BD +27°2512, GCTP 3519.00, FK5 578, HD 139006, HIP 76267, HR 5793, SAO 83893 |
물리적 특징 | |
분광형 | A0V + G5V |
B-V 색 지수 | -0.02 |
U-B 색 지수 | -0.03 |
시선 속도 | +1.7 km/s |
연주 시차 | 43.46 밀리초각 |
절대 등급 | A별: +0.16, B별: +5.05 |
궤도 요소 | |
공전 주기 | 17.3599일 |
긴반지름 | 0.19379 AU |
궤도 이심률 | 0.3794 |
궤도 경사 | 88.2 ± 0.1도 |
근점 인수 | 312.32 |
근성점 통과 시기 (JD) | 56646 |
반진폭 (A별) | 36.22 |
반진폭 (B별) | 98.02 |
구성 요소 (A별) | |
질량 | 2.58 M☉ |
반지름 | 2.89–3.04 R☉ |
표면 중력 | 3.89 |
광도 | 74 L☉ |
표면 온도 | 9,700 K |
자전 속도 | 139 km/s |
나이 | 3.14 × 10^8 년 |
구성 요소 (B별) | |
질량 | 0.92 M☉ |
반지름 | 0.90 R☉ |
표면 중력 | 4.50 |
광도 | 0.81 L☉ |
표면 온도 | 5,800 K |
자전 속도 | < 14 km/s |
2. 특징
알페카는 쌍성계로, 밝은 별인 알페카 A와 어두운 별인 알페카 B로 구성되어 있다. 두 별은 17.36일마다 서로의 질량 중심을 공전하며, 이들의 공전 궤도는 지구에서 볼 때 거의 수직에 가깝다. 이 때문에 알페카는 알골과 같이 밝기가 주기적으로 변하는 식쌍성으로 관측된다.
알페카 A와 B의 주요 특징은 아래 표와 같다.
구분 | 알페카 A | 알페카 B |
---|---|---|
분광형 | A0V | G5 |
질량 (태양 질량 기준) | 2.6배 | 0.92배 |
반지름 (태양 반지름 기준) | 2.89 ~ 3.04배 | 0.90배 |
thumb
알페카는 우주 공간에서 공통된 움직임을 보이는 별들의 모임인 큰곰자리 운동성군의 일원으로 알려져 있다.[13]
2. 1. 알페카 A
'''알페카 A'''는 A형 주계열성으로 태양 질량의 2.6배이다. 반지름은 태양의 2.89배에서 3.04배이다.[11][12] IRAS 관측 결과, 24 μm와 70 μm에서 초과 적외선 복사가 감지되었다.[9] 이는 A 주위에 먼지로 이루어진 원시 행성계 원반이 존재함을 시사하며, 베가와 유사하게 원시행성계가 생성 중일 가능성이 있다. 먼지 원반은 항성으로부터 약 60 천문단위 거리까지 뻗어 있다.[10]2. 2. 알페카 B
짝별 '''알페카 B'''는 분광형 G5의 주계열성으로 질량은 태양의 92%, 반지름은 태양의 90%이다. 알페카 B의 엑스선 광도는 로 태양의 최고 광도보다 30배 강하다. 이처럼 강력한 엑스선 발산으로부터 B가 젊은 별임을 추정할 수 있다.[11][12] 코로나 온도는 약 500만 켈빈으로 태양 코로나보다 훨씬 더 뜨겁다. 항성 적도에서의 자전 속도 상한선은 14 km/s로 B의 1 자전주기는 3일이 나온다. 다만 보다 신빙성 있는 연구 결과에서는 1 자전주기를 7~9일로 계산하고 있다.[11][12]2. 3. A와 B의 상호작용
A와 B는 서로의 질량 중심을 17.36일에 1회 이심률 큰 궤도를 그리면서 돌고 있다. 두 항성의 공전 궤도는 지구 관측자의 시선에 대해 88.2° 경사각을 보이기 때문에[12] 두 별은 알골과 비슷한 식쌍성으로 지구 관측자에게 보인다. 주기적 식으로 알페카의 광도는 +2.21부터 +2.32까지 변하며 이는 맨눈으로는 인식하기 힘들 정도이다. 알페카 계의 우주 속도는 U = +14.257, V = +0.915, W = +3.147 km/s이다. 알페카는 큰곰자리 운동성군의 일원으로 알려져 있다.[13]3. 명칭
'''북쪽왕관자리 알파'''는 바이어 명명법으로 표기한 이름이다. 알페카는 아랍어 ''نير الفكّة'' (나이르 알-파카)의 줄임말로, '깨진 별의 반지 중 밝은 별'이라는 뜻이다. 겜마(''Gemma'')는 라틴어로 '보석', 그노시아(''Gnosia'')는 ''Gnōsia stella corōnæ'' (크노소스의 왕관별)을 의미한다. 아스테로스(''Asteroth'')는 히브리어로 풍요와 다산의 신이었던 עשתרות (아스테로테)에서 온 명칭이다. 2016년 국제천문연맹 산하 항성명칭심의회(WGSN)는 알페카를 공식 명칭으로 확정했다.[14] '나이르 알-파카' 또는 '니르 알 페카'는 알 악사시 알 무아케트 성표에 수록되어 있다.[16]
3. 1. 중국어 명칭
중화권에서는 천시원에서 관삭(貫索, )에 속하며 '돈꾸러미'라는 의미이다. 관삭의 구성원은 알페카 외에 북쪽왕관자리 파이, 북쪽왕관자리 세타, 북쪽왕관자리 베타, 북쪽왕관자리 감마, 북쪽왕관자리 델타, 북쪽왕관자리 엡실론, 북쪽왕관자리 이오타, 북쪽왕관자리 로가 있다.[17] 알페카 단독으로는 '''관삭사'''(貫索四, 돈꾸러미 중 네 번째 별)로 표기한다.[18]4. 문화
알페카는 중세 시대의 베헤니안 항성 중 하나이다.
알페카는 존슨 UBV 시스템에서 V등급, U등급, B등급의 기준으로 사용되었다. UBV 시스템에서는 북극 표준 성단에 위치하며 A0V 스펙트럼을 갖는 거문고자리 α별 (직녀성), 큰곰자리 γ별, 처녀자리 109별, 뱀주인자리 γ별, 바다뱀자리 C별 (HR 3314), 그리고 북쪽왕관자리 α별의 6개 별의 국제식 사진 실시 등급이 V 등급의 원점으로 정해졌다. 그리고 6개 별의 평균 U - B, B - V를 0으로 하여 (즉 U = B = V로) U등급과 B등급의 원점을 정했다.
참조
[1]
논문
VizieR Online Data Catalog: Catalogue of Stellar Photometry in Johnson's 11-color system.
2002
[2]
논문
UBVRIJKL photometry of the bright stars
1966
[3]
서적
Stars and Planets Guide
Princeton University Press
[4]
저널
UBVRIJKL photometry of the bright stars
1966
[5]
저널
VizieR Online Data Catalog: General Catalogue of Variable Stars (Samus+ 2007–2013)
[6]
저널
UBVRIJKL photometry of the bright stars
1966
[7]
저널
Rotational velocities of A-type stars in the northern hemisphere. II. Measurement of v sin i
2002-10
[8]
웹인용
IAU Catalog of Star Names
http://www.pas.roche[...]
2016-07-28
[9]
저널
Debris Disk Evolution around A Stars
2006-12
[10]
저널
Disk Radii and Grain Sizes in Herschel-resolved Debris Disks
2014
[11]
저널
Rediscussion of eclipsing binaries. XV - Alpha Coronae Borealis, a main-sequence system with components of types A and G
1986-06
[12]
저널
Tomography of a stellar X-ray corona: alpha Coronae Borealis
2003-05
[13]
저널
Stellar Kinematic Groups. II. A Reexamination of the Membership, Activity, and Age of the Ursa Major Group
2003-04
[14]
웹인용
IAU Working Group on Star Names (WGSN)
https://www.iau.org/[...]
2016-05-22
[15]
웹인용
Bulletin of the IAU Working Group on Star Names, No. 1
http://www.pas.roche[...]
2016-07-28
[16]
저널
Al Achsasi Al Mouakket, on a catalogue of stars in the Calendarium of Mohammad Al Achsasi Al Mouakket
1895-06
[17]
서적
中國星座神話
台灣書房出版有限公司
[18]
웹사이트
香港太空館 - 研究資源 - 亮星中英對照表
http://www.lcsd.gov.[...]
2008-10-2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