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알골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알골은 지구에서 92.8광년 떨어진 페르세우스자리에 있는 삼중성계이다. 이 별은 A, B, C 세 개의 별로 구성되어 있으며, A와 B는 서로 매우 가까이 공전하고 C는 멀리 떨어져 있다. 알골은 식 현상으로 인해 밝기가 주기적으로 변하는 변광성으로, A별을 B별이 가리는 현상으로 인해 밝기가 감소한다. 알골 항성계는 엑스선 및 전파 플레어를 방출하며, 질량 이동 현상으로 인해 항성 진화 이론과 모순되는 '알골 역설'을 보인다. 알골은 고대부터 불길한 별로 여겨졌으며, 여러 문화권에서 악마나 불행과 연관되어 왔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알골형 변광성 - 민타카
    민타카는 오리온자리의 삼태성 중 하나로, 다중성계이며, 분광쌍성임이 밝혀졌고, 성간매질 존재 증거를 제공한 중요한 천체이다.
  • 알골형 변광성 - 황소자리 람다
    황소자리 람다는 3개의 별로 이루어진 항성계로, 식쌍성인 황소자리 람다 AB와 내부 쌍을 공전하는 황소자리 람다 C로 구성되며, 식쌍성 현상과 탄소 결핍 등의 특징을 보인다.
  • K형 준거성 - 세페우스자리 감마
    세페우스자리 감마는 66.8년 주기로 공전하는 쌍성계로, 오렌지색 준거성 감마 A(Errai)와 적색 왜성 감마 B로 구성되어 있으며, 주성 감마 A는 미래의 북극성 후보이자 외계 행성 타드모르(감마 Cephei Ab)를 거느리고 있고, 이 행성은 외계 행성 최초 발견 사례 중 하나로 '타드모르'라는 고유 명칭을 얻었다.
  • K형 준거성 - 1SWASP J140747.93-394542.6
    센타우루스자리에 있는 젊은 별 1SWASP J140747.93-394542.6(켄타우루스자리 V1400)은 J1407b라는 준성을 둘러싼 거대한 고리 시스템에 의한 식 현상으로 주목받았으며, 이 고리 구조는 토성보다 훨씬 크고 복잡하여 "슈퍼 토성"이라고 불린다.
  • 준거성 - 세페우스자리 감마
    세페우스자리 감마는 66.8년 주기로 공전하는 쌍성계로, 오렌지색 준거성 감마 A(Errai)와 적색 왜성 감마 B로 구성되어 있으며, 주성 감마 A는 미래의 북극성 후보이자 외계 행성 타드모르(감마 Cephei Ab)를 거느리고 있고, 이 행성은 외계 행성 최초 발견 사례 중 하나로 '타드모르'라는 고유 명칭을 얻었다.
  • 준거성 - 사드르
    백조자리에서 세 번째로 밝은 별인 사드르는 겉보기 등급 2.23의 황색 초거성으로, 백조자리의 중심에 위치하며 다양한 성운과 성단으로 둘러싸여 밤하늘에서 두드러지게 관측된다.
알골
기본 정보
알골 A(중앙) 주위를 공전하는 알골 B
알골 A(중앙) 주위를 공전하는 알골 B
별자리페르세우스자리
다른 뜻알골 (프로그래밍 언어)
혼동알코르(큰곰자리 ζ별에 인접하는 항성)
관측 정보
겉보기 등급+2.12 (-3.39 (변광))
변광성 유형알골 변광성(EA/SD)
분광형Aa1: B8V, Aa2: K0IV, Ab: F1V (kA4hA9.5mF0:)
B-V 색지수-0.05
U-B 색지수-0.37
위치 정보
시선 속도3.7 km/s
고유 운동 (적경)2.99 밀리초각/년
고유 운동 (적위)-1.66 밀리초각/년
연주 시차34.7 밀리초각
거리93 ± 2 광년 (28.5 ± 0.7 파섹)
물리적 특징 (Aa1)
질량3.17 ± 0.21 태양질량
반지름2.73 ± 0.20 태양반경
광도182 태양광도
표면 온도13,000 켈빈
표면 중력4.0 (log g)
자전 속도49 km/s
나이5.7억 년
절대 등급-0.07
물리적 특징 (Aa2)
질량0.70 ± 0.08 태양질량
반지름3.48 ± 0.28 태양반경
광도6.92 태양광도
표면 온도4,500 켈빈
표면 중력3.5 (log g)
절대 등급2.9
물리적 특징 (Ab)
질량1.76 ± 0.15 태양질량
반지름1.73 ± 0.33 태양반경
광도10.0 태양광도
표면 온도7,500 켈빈
표면 중력4.5 (log g)
절대 등급2.3
궤도 요소 (Aa1-Aa2)
공전 주기2.867328 일
궤도 긴반지름0.00215 각초
궤도 이심률0
궤도 경사98.70 도
승교점 경도43.43 도
궤도 요소 (A-B)
공전 주기680.168 일
궤도 긴반지름0.09343 각초
궤도 이심률0.227
궤도 경사83.66 도
승교점 경도132.66 도
근점 통과 시기2446927.22
근점 인수310.02 도
식별 정보
명칭알골, 고르고나, 고르고네아 프리마, 악마별, 엘 굴, 페르세우스자리 베타, 페르세우스자리 26, BD+40°673, FK5 111, GC 3733, HD 19356, HIP 14576, HR 936, PPM 45864, SAO 38592
SIMBADAlgol

2. 구성

알골은 실제로 세 개의 별로 이루어진 삼중성계이다. 알골 A, B, C 중 A와 B는 0.062 천문단위로 매우 가까이 붙어 있으며, C는 A와 B로부터 2.69 천문단위 떨어져서 공전하고 있다. 이들의 궤도 평면이 지구 관측자의 시선과 평행하게 놓여 있어, 주기적으로 B가 A를 가리는 것처럼 보여 밝기가 감소한다.

알골 항성계 궤도요소
구성원긴반지름이심률공전 주기궤도경사각
A—B[56]0.00218″0.002.87 일97.69°
(AB)—C[57]0.09461″0.225680.05 일83.98°



알골 항성계의 총 질량은 태양의 5.8배 정도이며, 세 항성의 질량비는 4.5 : 1 : 2이다. 알골은 지구에서 92.8광년 떨어져 있으나, 730만 년 전에는 지구에서 불과 9.8광년 거리에 있었다.[61] 이때 알골은 밤하늘에서 -2.5등급(이는 목성이 가장 밝을 때와 비슷한 값이다)으로 보였을 것이며, 지금 우리가 보는 시리우스보다 훨씬 더 밝았다. 이 거리는 오르트 구름을 미묘하게 뒤흔들어 혜성 궤도를 태양계 쪽으로 바꾸게 만들었을 것으로 보이나, 이들이 행성들을 폭격할 확률에는 큰 변화가 없었던 것으로 생각된다.[62]

Algol Aa2는 Algol Aa1을 공전한다. 이 애니메이션은 근적외선 H-대역에서 CHARA 간섭계의 55개 이미지로부터 조립되었으며, 궤도 위상에 따라 정렬되었다.


interpolation
Aa1에 초점을 맞춘 Aa1 주위 Aa2의 궤도 보간.


태양 (하단 중간), 알골 Aa2 (오른쪽) 및 청색 거성 벨라트릭스 (왼쪽)의 크기 비교.


별자리 중에서는 페르세우스자리가 가진 괴물 메두사의 머리에 해당한다.

2. 1. 알골 역설

천문학자들은 알골 항성계가 항성 진화 이론과 맞지 않음을 발견했으며, 이를 알골 역설이라고 부른다. 쌍성계 구성원들은 거의 같은 시기에 탄생하며, 둘 중 질량이 무거운 쪽은 가벼운 쪽보다 빠르게 진화한다. 그러나 질량이 더 큰 알골 A는 주계열성임에 반해 질량이 작은 알골 B는 준거성이다. 이 역설은 질량 이동으로 설명할 수 있다. 질량이 큰 쪽은 준거성으로 진화하면서 자신의 로슈 한계를 채우며, 주성의 물질은 동반성으로 흘러들어간다. 실제로 알골과 비슷한 쌍성계에서 한쪽 별의 가스가 다른 쪽 별로 흘러들어가는 모습이 관측되기도 했다.[58]

2. 2. 엑스선 및 전파 플레어

알골 항성계는 엑스선 및 전파 플레어 형태로 활동량이 변화한다. 엑스선 플레어는 알골 A와 B 사이의 질량 이동 과정에서 두 항성의 자기장이 상호 작용하면서 발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59] 전파 플레어는 흑점과 유사한 자기 주기에 의해 발생하지만, 이 별들의 자기장은 태양의 자기장보다 최대 10배 더 강하기 때문에, 이러한 전파 플레어는 더 강력하고 지속적이다.[35][36] 초장기선 간섭계를 사용하여 알골에서 전파 방출원으로 부 구성 요소를 확인한 연구 결과도 있다.[37]

3. 관측 역사

알골은 고대 이집트 시대부터 그 존재가 알려졌다. 약 3,200년 전 고대 이집트인들이 작성한 카이로 달력에는 행운과 불운의 날들이 기록되어 있는데, 이는 알골의 밝기 변화를 관측한 가장 오래된 역사적 기록으로 여겨진다.[12][13][14] 알골이 악마와 같은 존재(고르곤, )와 연관된 것은 17세기 이전부터 변광성을 인지했음을 시사하지만, 논쟁의 여지는 남아있다.[15][16] 964년경 아랍 천문학자 알 수피는 그의 저서 ''항성서''에서 알골의 변광성에 대해 언급하지 않았다.[17]

알골의 변광성은 1667년 이탈리아 천문학자 제미니아노 몬타나리에 의해 처음 기록되었다.[18] 그러나 그 주기적인 밝기 변화는 1세기 이상 지난 후에야 인식되었다. 영국의 아마추어 천문학자 존 굿리케는 1783년 5월 왕립 학회에 알골의 변광성에 대한 메커니즘을 제안하는 연구 결과를 발표했다. 그는 주기적인 변광성이 어두운 천체가 별 앞을 지나가거나, 별 자체가 어두운 영역을 가지고 회전하기 때문이라고 주장했다.[19][20] 이 공로로 그는 코플리 메달을 수상했다.[21]

1881년, 하버드 천문학자 에드워드 찰스 피커링은 알골이 실제로 식쌍성임을 보여주는 증거를 제시했다.[22] 1889년 포츠담 천문학자 헤르만 카를 포겔은 알골의 스펙트럼에서 주기적인 도플러 이동을 발견하여 시선 속도 변화를 추론함으로써 이를 확인했다.[23] 알골은 최초로 알려진 분광 쌍성 중 하나가 되었다. 일리노이 대학교 천문대의 조엘 스테빈스는 초기 셀레늄 셀 광도계를 사용하여 최초의 광전 측광 연구를 수행하여 두 번째 극소점과 두 별 사이의 반사 효과를 밝혀냈다.[24] 관측된 분광학적 특징을 설명하기 어려워 세 번째 별의 존재 가능성이 제기되었고, 40년 후 이 추측이 사실로 밝혀졌다.[25]

2013년, 헬싱키 대학교 연구진은 고대 이집트의 카이로 달력을 분석한 결과, 3천 년 전 알골의 주기가 2.850일이었음을 시사하는 증거를 발견했다고 천체물리학 저널에 발표했다.

4. 문화적 의미

알골은 많은 문화권에서 불행을 가져다준다고 여겨진 대표적인 별이다.

‘알골’이라는 이름은 ‘식시귀(구울)의 머리’라는 뜻의 아랍어 ‘라스 알굴’(رأس الغول|라ʾ스 알굴ar)에서 왔다. 히브리 전승에서는 이 별을 ‘사탄의 머리(Rōsh ha Sāṭān)’라 불렀다. 고대 중국에서는 알골이 관측되면 나라에 재난이 다가와 많은 시체가 쌓이게 된다 하여 ‘적시성(積屍星)’이라 불렀다.

역사적으로 이 별은 다양한 문화권에서 피비린내 나는 폭력과 강하게 연관되어 왔다. 알렉산드리아의 천문학자 프톨레마이오스의 2세기 점성술 텍스트인 ''테트라비블로스''에서 알골은 "페르세우스의 고르곤"으로 언급되며 참수에 의한 죽음과 관련이 있는데, 이는 뱀 머리카락을 가진 고르곤 메두사에 대한 영웅 페르세우스의 승리 신화와 일치하는 주제이다.[52] 항성 점성술에서 알골은 하늘에서 가장 불운한 별 중 하나로 여겨졌다.[43]

5. 명칭

‘알골’이라는 이름은 ‘식시귀(구울)의 머리’라는 뜻의 아랍어 ‘라스 알굴’(رأس الغول|라ʾ스 알-굴ar)에서 왔다. 영어 이름인 데몬 스타(Demon Star)는 이 아랍어 이름에서 유래되었다.[42][43] 히브리 전승에서는 이 별을 ‘사탄의 머리(Rōsh ha Sāṭān)’라 불렀다.[43] 16세기의 알골의 라틴어 이름은 ''Caput Larvae'' 또는 "유령의 머리"였다.[43]

알골은 페르세우스자리 (오른쪽 위)의 밝은 별이다.


중국에서는 大陵중국어 (), 즉 ''능묘(Mausoleum)''는 β 페르세이, 9 페르세이, τ 페르세이, ι 페르세이, κ 페르세이, ρ 페르세이, 16 페르세이 및 12 페르세이로 구성된 별자리이다. 결과적으로 β 페르세이 자체의 중국 이름은 大陵五중국어 (, 영어: 능묘의 다섯 번째 별)이다.[48] R.H. 앨런에 따르면 이 별은 ''Tseih She'' 積屍중국어 (), 즉 "시체 더미"(Piled up Corpses)라는 섬뜩한 이름을 가지고 있었지만[43] 이것은 잘못 식별된 것으로 보이며, ''Dié Shī''는 능묘 내에 있는 π 페르세이가 맞다.[49] 고대 중국에서는 알골이 관측되면 나라에 재난이 다가와 많은 시체가 쌓이게 된다하여 ‘적시성(積屍星)’이라 불렀다.

2016년, 국제천문연맹은 별의 고유 이름을 목록화하고 표준화하기 위해 별 이름 워킹 그룹(WGSN)을 조직했다.[44] WGSN의 2016년 7월 첫 번째 회보[45]에는 WGSN에서 승인한 첫 두 개의 이름 배치를 표로 담았으며, 여기에는 이 별의 이름으로 ''알골''(Algol)이 포함되었다. 이는 IAU 별 이름 목록에 등재되어 있다.[46]

참조

[1] 논문 Validation of the new Hipparcos reduction
[2] 논문 VizieR Online Data Catalog: Catalogue of Stellar Photometry in Johnson's 11-color system
[3] 논문 VizieR Online Data Catalog: General Catalogue of Variable Stars (Samus+ 2007–2013)
[4] 논문 Spectrophotometry of Algol
[5] 논문 Comparison of Gaia DR2 Parallaxes of Stars with VLBI Astrometry 2019-04-20
[6] 논문 Geometry and dynamics of the Algol system
[7] 논문 Imaging the Algol Triple System in the H Band with the CHARA Interferometer
[8] 논문 The Algol Triple System Spatially Resolved at Optical Wavelengths
[9] 논문 The rotation of the primary of Algol
[10] 서적 Algol OED
[11] 웹사이트 Beta Persei (Algol) http://www.aavso.org[...] AAVSO 2006-07-31
[12] 논문 Evidence of Periodicity in Ancient Egyptian Calendars of Lucky and Unlucky Days https://zenodo.org/r[...] 2008
[13] 논문 Did the Ancient Egyptians Record the Period of the Eclipsing Binary Algol - The Raging One? 2013
[14] 논문 Shifting Milestones of Natural Sciences: The Ancient Egyptian Discovery of Algol's Period Confirmed 2015
[15] 논문 Mythological Evidence for Ancient Observations of Variable Stars 1996
[16] 논문 Why did the Arabs Call Beta Persei "al-Ghul"?
[17] 웹사이트 Ian Ridpath's ''Star Tales'' – Perseus http://www.ianridpat[...]
[18] 간행물 Sopra la sparizione d'alcune stelle et altre novità celesti https://books.google[...] Manolessi, Bologna 1671
[19] 간행물 An Eighteenth Century Discussion of Algol http://adsabs.harvar[...] 1957
[20] 논문 XXVI. A series of observations on, and a discovery of, the period of the variation of the light of the bright star in the head of medusa, called algol. In a letter from John Goodricke, Esq. to the Rev. Anthony Shepherd, D. D. F. R. S. and Plumian Professor at Cambridge 1783-01-01
[21] 웹사이트 John Goodricke, The Discovery of the Occultating Variable Stars http://www.surveyor.[...] 2006-07-31
[22] 논문 Dimensions of the Fixed Stars, with especial reference to Binaries and Variables of the Algol type 1881
[23] 논문 Two Centuries of Study of Algol Systems 1989
[24] 논문 The Measurement of the Light of Stars with a Selenium Photometer with an Application to the Variation of Algol 1910
[25] 논문 Spectroscopic Investigation of Algol http://adsabs.harvar[...] 1957
[26] 논문 Say Hello to Algol's New Companion Candidates
[27] 논문 The 2001 US Naval Observatory Double Star CD-ROM. I. The Washington Double Star Catalog
[28] 논문 Spectral Classification of Algol C
[29] 논문 Catalogue of Ap, HgMn and Am stars 2009-05
[30] 논문 On Accretion Component of the Flare Activity in Algol 1995
[31] 논문 Doppler tomography of the gas stream in short-period Algol binaries 1995-01
[32] 논문 NEW EVIDENCE OF MAGNETIC INTERACTIONS BETWEEN STARS FROM THREE-DIMENSIONAL DOPPLER TOMOGRAPHY OF ALGOL BINARIES: β PER AND RS VUL 2012-11-20
[33] 논문 Radio Stars Beta Persei and Beta Lyrae 1972-02-04
[34] 논문 Magnetic Activity and Evolution of Algol-type Stars - II 1998
[35] 웹사이트 Binary Stars "Flare" With Predictable Cycles, Analysis of Radio Observations Reveals http://www.nrao.edu/[...] National Radio Astronomy Observatory 2006-07-31
[36] 논문 Statistical Analysis of 5 Year Continuous Radio Flare Data from β Persei, V711 Tauri, δ Librae, and UX Arietis 2003-08
[37] 논문 VLBI astrometric identification of the radio emitting region in Algol and determination of the orientation of the close binary 1993-06
[38] 논문 A mechanism for orbital period modulation in close binaries 1992
[39] 학위논문 Determination of Mass Loss and Mass Transfer Rates of Algol (Beta Persei) from the Analysis of Absorption Lines in the UV Spectra Obtained by the IUE Satellite 2006
[40] 컨퍼런스 A Search for Stars Passing Close to the Sun IAU 1997-08-25
[41] 논문 Stellar Encounters with the Oort Cloud Based on Hipparcos Data 1999
[42] 서적 Short Guide to Modern Star Names and Their Derivations Otto Harrassowitz 1986
[43] 서적 Star Names: Their Lore and Meaning https://archive.org/[...] Dover Publications Inc. 1963
[44] 웹사이트 IAU Working Group on Star Names (WGSN) https://www.iau.org/[...] 2016-05-22
[45] 웹사이트 Bulletin of the IAU Working Group on Star Names, No. 1 http://www.pas.roche[...] 2016-07-28
[46] 웹사이트 IAU Catalog of Star Names http://www.pas.roche[...] 2016-07-28
[47] 웹사이트 Marcus Vitruvius Pollio: de Architectura, Book IX https://penelope.uch[...] 2023-10-08
[48] 웹사이트 AEEA (Activities of Exhibition and Education in Astronomy) 天文教育資訊網2006年7月11日 http://aeea.nmns.edu[...]
[49] 웹사이트 Ian Ridpath's Star Tales – Perseus http://www.ianridpat[...]
[50] 간행물 Observer's Handbook 2025 The Royal Astronomical Society of Canada
[51] 웹사이트 The Minima of Algol https://www.skyandte[...] 2006-07-30
[52] 서적 Ptolemy: Tetrabiblos Harvard University Press (Loeb Classical Library) 1940
[53] 서적 Three Books of Occult Philosophy https://archive.org/[...]
[54] 서적 ホラリー占星術 https://books.google[...] Setsuwa-sha Publishing 2009
[55] 웹사이트 Beta Persei, American Association of Variable Star Observers https://web.archive.[...]
[56] 저널 http://adsabs.harvar[...]
[57] 웹인용 http://ad.usno.navy.[...] 2008-11-01
[58] 저널 http://adsabs.harvar[...]
[59] 저널 http://adsabs.harvar[...]
[60] 웹인용 http://www.nrao.edu/[...]
[61] 컨퍼런스 http://adsabs.harvar[...] 1997-08-25
[62] 저널 http://www.iop.org/E[...]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