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프스 소녀 안네트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알프스 소녀 안네트는 1983년에 방영된 일본의 TV 애니메이션으로, 스위스 로시니에르 마을을 배경으로 안네트와 뤼시앵의 우정과 갈등, 화해를 다룬 작품이다. 주인공 안네트 바르니에는 씩씩하고 활발한 소녀이며, 소꿉친구 뤼시앵과의 갈등을 겪지만 결국 화해하고 우정을 회복한다. 애니메이션은 용서, 화해, 우정, 가족애 등 보편적인 가치를 전달하며, 특히 1997년 외환 위기 이후 어려움을 겪던 한국 사회에 희망과 위로를 전하는 메시지로 큰 영향을 미쳤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83년 시작한 일본 텔레비전 애니메이션 - 파만
파만은 후지코 F. 후지오가 제작한 만화 시리즈로, 주인공 스와 미쓰오가 파만으로 선택되어 악당들과 싸우는 이야기를 다루며, 1966년부터 1968년, 1983년부터 1986년까지 연재되었고 애니메이션으로도 제작되었다. - 1983년 시작한 일본 텔레비전 애니메이션 - 스톱!! 히바리군!
에구치 히사시의 만화 《스톱!! 히바리군!》은 야쿠자 보스와 살게 된 고등학생 사카모토 코사쿠와 트랜스여성인 보스의 자녀 오조라 히바리를 중심으로 벌어지는 이야기를 그린 작품으로, 히바리의 적극적인 애정 표현이 특징이며 토에이 애니메이션에서 TV 애니메이션으로 제작되었다. - 세계명작극장 - 빨강머리 앤 (애니메이션)
《빨강머리 앤 (애니메이션)》은 루시 모드 몽고메리의 소설을 원작으로, 다카하타 이사오 감독, 니혼 애니메이션 제작으로 1979년 후지 TV에서 방영된 TV 애니메이션 시리즈이며, 고아 소녀 앤 셜리가 커스버트 남매와 함께 성장하는 이야기를 그리고 있다. - 세계명작극장 - 로미오의 푸른 하늘
로미오의 푸른 하늘은 리자 테츠너의 소설 《검은 형제》를 원작으로 19세기 후반 스위스 소년 로미오가 밀라노에서 굴뚝 청소부 생활을 하며 친구 알프레도와 '검은 형제'를 결성하여 불량배 집단에 맞서는 이야기를 그린 애니메이션으로, 아동 노동 문제와 사회적 불평등을 다루며 뮤지컬로도 각색되었다. - 1983년 애니메이션 - 파만
파만은 후지코 F. 후지오가 제작한 만화 시리즈로, 주인공 스와 미쓰오가 파만으로 선택되어 악당들과 싸우는 이야기를 다루며, 1966년부터 1968년, 1983년부터 1986년까지 연재되었고 애니메이션으로도 제작되었다. - 1983년 애니메이션 - 사자에상
하세가와 마치코가 1946년부터 1974년까지 연재한 만화 사자에상은 전후 일본 사회를 배경으로 이소노 가족의 일상을 그린 작품이자, 장기 애니메이션 시리즈이며, "최장수 애니메이션 TV 시리즈"로 기네스 세계 기록에 등재될 정도로 일본 대중문화에 큰 영향을 미치고 있다.
알프스 소녀 안네트 - [영화]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원제 | 알프스 이야기: 나의 안네트 |
일본어 표기 | アルプス物語 わたしのアンネット |
로마자 표기 | Arupusu Monogatari Watashi no Annetto |
장르 | 드라마 |
![]() | |
애니메이션 정보 | |
종류 | TV 시리즈 |
감독 | 쿠스바 코조 |
프로듀서 | 마츠도 타카지 |
원작 | 패트리시아 세인트 존 |
각본 | 요시다 켄지 오츠카 히로시 (30화) |
음악 | 히로세 료헤이 |
제작사 | 닛폰 애니메이션 |
방송사 | 후지 TV MBC |
최초 방송일 | 1983년 1월 9일 (일본) |
최종 방송일 | 1983년 12월 25일 (일본) 1984년 12월 21일 (대한민국) |
방영 화수 | 48화 |
관련 문서 | 알프스 이야기: 나의 안네트 에피소드 목록 |
2. 등장인물
이 애니메이션은 오프닝 곡 "안네트의 푸른 하늘"과 엔딩 곡 "에델바이스의 하얀 꽃"을 사용했으며, 두 곡 모두 한 게이코가 불렀다.
2. 1. 주요 등장인물
등장인물 | 설명 | 성우 |
---|---|---|
안네트 바르니에 | 이야기의 주인공. 7~14세. 씩씩하고 활발하지만 고집스러운 면도 있다. 소꿉친구인 뤼시앵과 갈등을 겪지만, 결국 화해한다. | 한 게이코/반 메구미 |
뤼시앵 모렐 | 나무 조각에 재능이 있는 소년. 안네트의 소꿉친구이지만, 실수로 안네트의 동생 다니에게 부상을 입혀 갈등을 겪는다. 숲 속의 페긴 할아버지에게서 나무 조각을 배우며 성장한다. | 야마다 에이코 |
다니엘 바르니엘 | 안네트의 남동생. 통칭 다니. 7살 차이가 나며, 족제비 클라우스를 기른다. 절벽에서 떨어지는 사고로 다리를 다치지만, 뤼시앵의 도움으로 로잔의 기베 의사에게 수술을 받는다. | 미유키 사나에/무로이 미유키 |
피에르 바르니엘 | 안네트의 아버지. 농업과 목축으로 생계를 유지하는 상냥한 아버지이다. 원작에서는 뤼시앵을 꺼렸다. | 코바야시 오사무 |
프랑신 바르니엘 | 안네트의 어머니. 다니를 낳은 직후 사망한다. | 마스야마 에이코 |
클로드 마르타 | 피에르의 고모이자 안네트의 증조모. 안네트와 다니는 할머니라고 부른다. 경건한 크리스찬이다. | 누마나미 테루에 |
엘리자베트 모렐 | 뤼시앙의 어머니. 남편이 남긴 빚 때문에 어려움을 겪지만, 뤼시앙을 걱정하는 다정한 어머니이다. | 가타오카 토미에 |
마리 모렐 | 뤼시앙의 누나. 몽트뢰의 호텔에서 일하며 가족을 돕는다. 레만 호수의 유람선 선원 세자르와 결혼한다. | 요시다 리호코 |
장 | 문제아 기질이 있는 대장. 성장하면서 동료를 생각하는 마음을 갖게 된다. | 아오키 카즈요 |
안톤 | 장의 하수인 기질이 있지만, 나름대로 생각이 있는 소년. | 스즈키 미에 |
프란츠 | 독일어권에서 전학 온 학생. 프랑스어를 배우며 반 친구들과 친해진다. 로잔으로 전학을 가게 되면서 안네트와 뤼시앙의 화해를 바란다. | 카와시마 치요코 |
마리안 | 안네트의 반 친구이자 절친. 프란츠를 좋아한다. | 나카노 세이코 |
크리스티네 | 안네트의 반 친구. 뜨개질을 잘한다. | 이이즈카 하루미 |
니콜라스 | 안네트와 뤼시앙이 다니는 초등학교 선생님. 온화하고 성실하며 교육열이 높다. | 토쿠마루 칸 |
페긴 | 숲에 혼자 사는 노인. 뤼시앵에게 나무 조각을 가르치고, 다니의 수술비를 지원한다. 사실 기베 의사의 아버지이다. | 이와오 카네시로 |
페르난데르 | 바르니엘가 근처에 사는 아저씨. 피에르와 오랜 친구이다. | 키타무라 코이치 |
기베 | 로잔의 유명한 외과 의사. 다니의 다리를 수술한다. 뤼시앵의 용기에 감동하여 무료로 치료를 제안한다. | 야마우치 마사토 |
엘레나 | 기베 의사의 아내. 안네트의 어머니 프랑신과 닮았다. | 리바 유키코 |
엘리자베스 | 기베 가의 장녀. 처음에는 안네트에게 차가웠지만, 점차 다정하게 지낸다. | 아사카미 요코 |
마크 | 기베 가의 장남. 다니와 비슷한 나이로 금방 친해진다. | 미타 유코 |
클레느 | 기베 가의 차남. 1살 아기. | |
베르너 | 기베 가의 집사. 얼굴은 무섭지만, 사실은 친절하고 상냥하다. | 사와키 이쿠야 |
파우엘 | 기베 의사가 근무하는 병원의 간호부장. 다니의 마음의 버팀목이 되어준다. | 미네 아츠코 |
호텔 몽트뢰 지배인 | 마리가 일하는 호텔의 지배인. 마리의 빚을 대신 갚아준다. | 마스오카 히로시 |
세자르 바로 | 레만 호수를 운행하는 유람선 선원. 마리의 약혼자이며, 마지막 화에서 마리와 결혼한다. | 무라야마 아키라 |
2. 2. 바르니엘 가
등장인물 | 성우 | 설명 |
---|---|---|
피에르 바르니엘 | 코바야시 오사무 | 안네트의 아버지. 농업과 목축으로 생계를 유지하며, 상냥한 성격이다. 플로네의 아빠 역을 연기한 코바야시 오사무는 속세를 떠난 듯한 인물을 주로 연기했다. 원작에서는 루시앵을 꺼렸다. |
프랑신 바르니엘 | 마스야마 에이코 | 안네트의 어머니. 상냥한 어머니였지만, 대니를 낳은 직후 사망한다. |
다니엘 바르니엘 | 무로이 미유키 | 안네트의 남동생. 7살 차이가 난다. 통칭 대니. 크리스마스에 샌들에 들어 있던 클라우스라는 족제비 아기를 기르고 있다. 14화에서 절벽에서 떨어지는 사고를 당해 기적적으로 구조되지만, 다리에 큰 부상을 입는다. |
클로드 마르타 | 누마나미 테루에 | 피에르의 고모이자, 안네트의 증조할머니이다. 안네트와 대니는 할머니라고 부른다. 피에르의 부탁으로 함께 살게 되는데, 이는 남동생 뒷바라지와 학업을 병행하기 어려운 안네트의 수고를 덜어주기 위함이었다. 경건한 크리스찬이다. |
2. 3. 모렐 가
- '''엘리자베트 모렐'''
엘리자베트 모렐일본어의 남편은 50CHF의 빚을 남기고 세상을 떠났고, 이 때문에 빚을 갚느라 고생하고 있다. 엘리자베트는 아들 루시엔 모렐에게 집안일을 돕게 하면서도 그의 마음을 헤아리는 다정한 모습을 보인다. 하지만, 자신의 감정을 우선시하는 경향도 있어, 안네트 버니에의 냉대와 마을 사람들의 차가운 시선에 견디다 못한 루시엔 모렐이 가출했을 때, 아들이 돌아오면 혼내주려고 했다. 그러나 교사 니콜라스의 설득으로 마음을 바꾸었다.
- '''마리 모렐'''
루시엔 모렐일본어의 누나로, 9살 차이가 난다. 상냥한 성격으로, 루시엔 모렐이 안네트 버니에와의 갈등으로 괴로워하는 것을 알고 뒤에서 걱정한다. 몽트뢰의 호텔에서 숙식하며 일하고, 월급을 집으로 보낸다. 몽트뢰에서 선원 일을 하는 남자와 사귀어, 결국 결혼한다.[11]
2. 4. 로시니에르 초등학교
École de Rossinière|로시니에르 초등학교프랑스어는 스위스 로시니에르에 있는 초등학교로, 알프스 소녀 안네트의 등장인물인 안네트와 뤼시앙 등이 다니는 학교이다. 온화하고 성실하며 교육열이 높은 니콜라스 선생님(Nicolas|니콜라스프랑스어)이 있으며, 유머를 잃지 않아 그를 보고 교직을 목표로 하는 학생도 있을 정도이다.[1]이름 | 역할 | 성우 |
---|---|---|
니콜라스 (Nicolas|니콜라스프랑스어) | 안네트와 뤼시앙이 다니는 초등학교 선생님. 온화하고 성실하며 교육열이 높고 유머를 잃지 않음. | 토쿠마루 칸[1] |
장 (Jean|장프랑스어) | 문제아 기질이 있는 대장. 어릴 적에는 전형적인 괴롭힘을 당했지만, 성장하면서 상식을 갖추고 거칠지만 동료를 생각하게 됨. | 아오키 카즈요[1] |
안톤 (Anton|안톤프랑스어) | 장의 하수인 기질이 있지만 나름대로의 생각도 갖고 있으며, 반발하는 경우도 있음. | 스즈키 미에[1] |
프란츠 (Franz|프란츠프랑스어) | 독일어권의 크로이츠린겐에서 전학 온 학생. 프랑스어를 배우면서 새로운 반 친구들과 친해짐. 로시니에르에 온 지 5년째 되는 겨울에 로잔으로 전학을 가게 되어, 안네트와 뤼시앙의 화해를 바라며 떠나감. | 카와시마 치요코[1] |
마리안 (Marianne|마리안프랑스어) | 안네트의 반 친구이자 절친. 프란츠를 좋아함. | 나카노 세이코[1] |
크리스티네 (Christine|크리스티네프랑스어) | 안네트의 반 친구. 뜨개질을 잘함. | 이이즈카 하루미[1] |
2. 5. 기타 로시니에르 주민
- '''페르난데르''' : 키타무라 코이치가 연기했다. 바르니엘가 근처에 사는 아저씨로, 피에르와 마찬가지로 농업과 목축을 생업으로 삼고 있다. 바르니엘가와는 오랜 친구이다.[11]
2. 6. 기베 가
성우 | 역할 |
---|---|
야마우치 마사토 | 기베 |
리바 유키코 | 엘레나 |
아사카미 요코 | 엘리자베스 |
미타 유코 | 마크 |
클레느 | |
사와키 이쿠야 | 베르너 |
미네 아츠코 | 파우엘 |
로잔의 유명한 외과 의사인 기베는 다니의 다리를 수술한다.[11] 매우 친절한 의사로, 목숨을 걸고 눈 덮인 산을 넘어 자신을 찾아온 뤼시앙의 용기에 감동하여, 다니의 진찰을 위해 귀가를 늦추고 로시니에르까지 왕진을 갔으며, 무료로 치료해주겠다고 제안한다.[11]
기베의 아내 엘레나는 매우 친절하며, 가족과 헤어져 불안해하는 안네트의 마음의 버팀목이 되어준다.[11] 엘레나의 외모는 죽은 안네트의 어머니 프랑신을 닮았다.
기베 가의 장녀 엘리자베스는 안네트보다 조금 연상이다.[11] 츤데레 성격인 엘리자베스는 처음에는 다니의 수술 때문에 기베 가에 머물던 안네트에게 차갑게 대했지만, 점차 다정하게 지내게 된다.
기베 가의 장남 마크는 다니와 비슷한 나이로, 금방 친해진다.[11] 기베 가의 차남 클레느는 1살 아기이다.
기베 가의 집사 베르너는 얼굴은 무서워 보이지만, 사실은 매우 친절하고 상냥하다.[11] 베르너는 안네트와 다니가 로잔을 떠날 때 눈물을 흘렸다.
파우엘은 기베 선생님이 근무하는 병원의 간호부장이다.[11] 파우엘은 이런저런 잔소리가 많지만 속은 따뜻하며, 다니의 마음의 버팀목이 되어주고, 클라우스를 병실에 들어가는 것을 허락해준다.
2. 7. 몽트뢰
뤼시앵은 다니에게 부상을 입힌 것에 대한 죄책감을 가지고 있었다. 그러던 중, 뤼시앵은 몽트뢰의 호텔에 명의 기베가 묵고 있다는 소식을 듣는다. 뤼시앵은 기베에게 다니의 다리를 치료받기 위해 눈보라를 뚫고 설산을 넘어 기베를 마을로 데려온다. 기베와 페깅 할아버지가 부자 관계이며, 과거의 잘못을 후회하고 있다는 사실을 안네트와 뤼시앵은 알게 된다.[11]- '''호텔 몽트뢰 지배인''' : 마스오카 히로시가 성우를 맡았다. 마리가 일하는 "호텔 몽트뢰"의 지배인으로, 고리대금 빚 변제에 시달리는 마리를 위해 빚을 대신 갚아준다.
3. 줄거리
스위스 로시니에르 마을에 사는 안네트와 뤼시앵은 단짝 친구였지만, 뤼시앵이 안네트의 동생 다니에게 부상을 입히면서 둘 사이는 멀어진다. 뤼시앵은 여러 번 안네트에게 용서를 구했지만, 안네트는 뤼시앵을 용서하지 못한다. 그러던 중 뤼시앵은 숲속에 사는 페깅 할아버지를 만나고, 과거의 죄를 뉘우치며 속죄하는 할아버지의 모습에 감명을 받아 나무 조각을 배우기 시작한다. 뤼시앵은 훌륭한 나무 조각 말을 만들지만,[11] 안네트는 다니를 다치게 한 뤼시앵에 대한 원망 때문에 그 조각마저 부숴버린다.[11] 이 일로 안네트 역시 죄책감에 시달리게 된다.[11]
어느 겨울 날, 안네트는 발을 헛디뎌 다치고, 설산에서 동사 직전에 뤼시앵에게 구조된다.[11] 안네트는 뤼시앵에게 나무 조각을 부순 것을 사과하고, 둘은 다시 우정을 회복한다.
뤼시앵은 안네트와 화해했지만, 다니에게 부상을 입힌 죄책감은 여전히 남아있었다. 그러던 중 뤼시앵은 몽트뢰의 한 호텔에 명의 기베가 묵고 있다는 소식을 듣고, 다니의 다리를 치료받기 위해 눈보라를 뚫고 기베를 찾아간다. 뤼시앵의 노력으로 기베는 마을에 오게 되고, 기베와 페깅 할아버지가 사실은 아버지와 아들이며, 기베가 과거 술에 빠져 가족을 버린 것을 후회하고 있다는 사실이 밝혀진다.
4. 주제가
이 애니메이션은 오프닝 테마 1곡과 엔딩 테마 1곡을 사용했다. 오프닝 테마는 "안네트의 푸른 하늘"이며, 엔딩 테마는 "에델바이스의 하얀 꽃"으로, 두 곡 모두 한 케이코가 불렀다.
; 내레이션
: 성우 - 리바 유키코
; 「안네트의 푸른 하늘」
: 작사 - 아키 요코 / 작곡・편곡 - 히로세 료헤이 / 노래 - 반 메구미
;「에델바이스의 하얀 꽃」
: 작사 - 아키 요코 / 작곡·편곡 - 히로세 료헤이 / 노래 - 한 케이코
: 상기 2곡을 수록한 EP 레코드는 캐년 레코드에서 발매되었다.
5. 제작진
- 제작 - 혼바시 코이치
- 제작 관리 - 타카쿠와 미츠루
- 기획 - 사토 쇼지, 쿠보타 에이이치
- 각본 - 요시다 켄지[4]
- 음악 - 히로세 료헤이
- 장면 설정 - 사카이 슌이치
- 캐릭터 디자인 - 타케마츠 잇세이
- 오프닝 작화 - 무라타 코이치
- 엔딩 작화 - 모리 야스지
- 미술 감독 - 이오카 마사히로 (제1화), 아베 타이조 (제2화 - 제48화) ※ 소프트 버전에서는 전 화를 아베 소우자부로로 통일
- 프로듀서 - 마츠도 류지
- 감독 · 연출 - 쿠스바 히로조
- 협력 - KLM 네덜란드 항공, [https://www.myswitzerland.com/ja/home.htm 스위스 정부 관광국]
- 제작 - 일본 애니메이션, 후지 TV
6. 방영 목록
회차 | 제목 | 일본 방영일 |
---|---|---|
1 | 알프스의 아이들 | 1983년 1월 9일 |
2 | 썰매경주 | 1983년 1월 16일 |
3 | 사랑과 슬픔 | 1983년 1월 23일 |
4 | 엄마가 된 안네트 | 1983년 1월 30일 |
5 | 새로운 가족 | 1983년 2월 6일 |
6 | 알프스의 목장 | 1983년 2월 13일 |
7 | 치즈를 만들어요 | 1983년 2월 20일 |
8 | 가을축제 | 1983년 2월 27일 |
9 | 마을의 기관차 | 1983년 3월 6일 |
10 | 뜻밖의 여행 | 1983년 3월 13일 |
11 | 크리스마스의 선물 | 1983년 3월 20일 |
12 | 동물사냥을 막아라 | 1983년 3월 27일 |
13 | 엇갈리는 마음 | 1983년 4월 3일 |
14 | 무서운 일 | 1983년 4월 10일 |
15 | 불행 중 다행 | 1983년 4월 17일 |
16 | 종합병원 | 1983년 4월 24일 |
17 | 검은구름 | 1983년 5월 1일 |
18 | 다니의 목발 | 1983년 5월 8일 |
19 | 뜻밖의 진단 | 1983년 5월 15일 |
20 | 노아의 방주 | 1983년 5월 22일 |
21 | 죄의 무게 | 1983년 5월 29일 |
22 | 숨겨둔 이야기 | 1983년 6월 5일 |
23 | 다니의 보물 | 1983년 6월 12일 |
24 | 슬픈 거짓말 | 1983년 6월 19일 |
25 | 사랑할때도 눈물이 | 1983년 6월 26일 |
26 | 추억의 목장 | 1983년 7월 3일 |
27 | 니콜라스 선생님 | 1983년 7월 17일 |
28 | 가을 미술 전시회 | 1983년 7월 24일 |
29 | 부서진 꿈 | 1983년 8월 7일 |
30 | 후회의 눈물 | 1983년 8월 14일 |
31 | 용기있는 고백 | 1983년 8월 21일 |
32 | 전하고 싶은 진실 | 1983년 8월 28일 |
33 | 안녕 프란츠 | 1983년 9월 4일 |
34 | 마음의 문을 열고 | 1983년 9월 18일 |
35 | 되찾은 우정 | 1983년 9월 25일 |
36 | 두사람의 보물 | 1983년 10월 2일 |
37 | 루센의 맹세 | 1983년 10월 9일 |
38 | 일어서라!루센 | 1983년 10월 16일 |
39 | 다니의 진찰 | 1983년 10월 23일 |
40 | 페긴 영감의 비밀 | 1983년 10월 30일 |
41 | 낮선 사람들 | 1983년 11월 6일 |
42 | 그리운 로시니엘 | 1983년 11월 13일 |
43 | 수술받는 다니 | 1983년 11월 20일 |
44 | 프란츠와의 재회 | 1983년 11월 27일 |
45 | 돌아온 고향 | 1983년 12월 4일 |
46 | 빛나는 빛속에서 | 1983년 12월 11일 |
47 | 우정은 영원히(최종회) | 1983년 12월 18일 |
48 | 영원한 친구 | 1983년 12월 25일 |
7. 한국 사회와의 연관성
《알프스 소녀 안네트》는 1980년대 세계명작극장 시리즈 중 하나로, 한국 사회에 큰 영향을 미쳤다. 이 작품은 어린이들에게 용서, 화해, 우정, 가족애와 같은 보편적인 가치를 전달했으며, 당시 한국 사회의 정서와도 잘 어울렸다. 특히 IMF 외환 위기 이후 어려움을 겪던 한국 사회에 희망과 위로를 전하는 메시지를 담고 있다는 평가를 받는다.[3]
뤼시앵의 죄책감과 안네트의 분노, 그리고 그들의 화해 과정은 어려움 속에서도 희망을 잃지 않고 서로를 용서하며 함께 나아가야 한다는 교훈을 준다. 이는 더불어민주당을 비롯한 진보 진영에서 강조하는 가치인 포용과 화합의 정신을 잘 보여주는 것이기도 하다. 뤼시앵과 안네트, 그리고 페긴과 기베의 관계는 서로 다른 배경과 상처를 가진 사람들이 서로를 이해하고 용서하며 함께 살아가는 모습을 보여준다.
8. 평가
패트리샤 메리 세인트 존Patricia St. John|패트리샤 세인트 존영어의 아동 문학 『눈의 보물Treasures of the Snow|트레저스 오브 더 스노영어』을 원작으로 한다. 원작은 기독교적인 "죄와 용서"를 주제로 삼고 있으며, 이는 애니메이션에서도 중요한 테마로 다루어진다.[3]
감독 쿠스바 히로조는 당시에는 희망을 가진 아이들이 이 작품을 잘 받아들이지 않았지만, 희망이 없는 현대에는 오히려 더 많은 아이들이 공감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음악은 저명한 현대 음악 작곡가 히로세 료헤이가 담당했다. 세계명작극장 시리즈에서 현대 음악 작곡가가 음악을 맡은 것은 빨강머리 앤의 미요시 아키라, 모리 쿠라토에 이어 두 번째이다.
애니메이션 감독 이마가와 야스히로는 인터뷰에서 이 작품의 일상 묘사와 안네트와 뤼시앵의 관계 악화 묘사가 매우 현실적이라 충격을 받았으며, 자신의 작품에도 큰 영향을 주었다고 밝혔다.[11]
참조
[1]
서적
Happy Holidays—Animated! A Worldwide Encyclopedia of Christmas, Hanukkah, Kwanzaa and New Year's Cartoons on Television and Film
McFarland & Co
2019
[2]
웹사이트
Plot of ''Story of the Alps: My Annette'' at users.animanga.com
http://users.animang[...]
[3]
문서
[4]
문서
[5]
간행물
アニメージュ 1983年12月号
徳間書店
1983
[6]
뉴스
[7]
뉴스
[8]
뉴스
[9]
뉴스
[10]
뉴스
[11]
웹사이트
今川泰宏②「落差」と「リアル」を学んだ『アルプス物語 わたしのアンネット』 {{!}} Febri
https://febri.jp/feb[...]
2021-05-19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