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일어는 서게르만어파에 속하는 인도유럽어족의 언어로, 독일, 오스트리아, 스위스, 리히텐슈타인 등에서 국어 또는 공용어로 사용되며, 유럽 연합의 공용어 중 하나이다. 독일어는 고지 독일어 자음 변이와 같은 언어적 변화를 거쳐 발전해 왔으며, 북게르만어파, 동게르만어파, 서게르만어파로 나뉘는 게르만어족에 속한다. 표준 독일어는 중부 독일어 방언을 기반으로 하며, 다양한 방언이 존재한다. 전 세계적으로 약 1억 7500만에서 2억 2000만 명이 독일어를 사용하며, 한국에서는 제2외국어 교육 및 다양한 분야에서 차용어로 사용되고 있다. 독일어 능력 인증 시험으로 괴테-체어티피카트가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리히텐슈타인의 언어 - 알레만어 알레만어는 약 천만 명이 사용하는 언어로, 스위스, 독일 남부, 오스트리아, 리히텐슈타인, 프랑스 알자스 일부, 이탈리아 일부 지역, 미국, 베네수엘라 특정 공동체에서 사용되며 최고지, 고지, 저지 알레만어 등으로 나뉘는 방언 연속체를 이루고 표준 독일어와 차이를 보이며 다양한 형태로 기록되어 왔다.
룩셈부르크의 언어 - 룩셈부르크어 룩셈부르크어는 고지 독일어의 서중부 독일어군에 속하며 룩셈부르크의 국어이자 행정 언어 중 하나이고, 독일어의 방언에서 독자적인 언어로 인정받았으나 현재 유네스코에 의해 멸종 위기 언어로 지정되었으며, 로마자를 사용하고 프랑스어 어휘를 차용하는 특징을 가진 약 285,000명이 사용하는 언어이다.
룩셈부르크의 언어 - 프랑스어 프랑스어는 프랑스를 포함한 전 세계 29개국에서 공용어로 사용되는 로망스어군 언어로, 속라틴어가 갈리아어 및 프랑크어의 영향을 받아 형성되었으며 국제기구 공용어로서 외교 무대에서 중요한 역할을 했고 현재 문화, 경제, 교육, 특히 아프리카에서 영향력을 발휘하고 있다.
덴마크의 언어 - 페로어 페로어는 페로 제도의 공용어이자 덴마크의 지역어이며 고대 노르드어에서 유래한 북게르만어군에 속하는 굴절어의 특징을 보이는 언어로, 구전 전통을 통해 유지되다가 19세기 중반 현대 표준 페로어가 제정되면서 부활하여 현재 페로 제도의 민족 정체성을 지키는 중요한 수단으로 사용된다.
덴마크의 언어 - 덴마크어 덴마크어는 인도유럽어족 북게르만어군에 속하며 라틴 문자를 사용하고, 스웨덴어, 노르웨이어와 상호 이해 가능성이 있으며, 섬 덴마크어, 유틀란드어, 동부 덴마크어의 세 방언 지역으로 나뉘고, 굴절이 적고 어순이 고정된 분석적인 언어이다.
"독일어"라는 단어는 786년에 라틴어 형태인 theodiscusla(테오디스쿠스)로 문헌에 처음 등장하는데, 이는 "대중의"를 의미하는 고대 고지 독일어 형용사 diutiscde(디우티스크)에서 유래한다.[72]
3. 사용 현황
frameless
독일, 오스트리아, 스위스 등 독일어가 대표적으로 사용되는 국가
독일어는 중서부 유럽에서 모국어로 가장 많이 사용되는 언어로, 유럽 연합의 공용어이자 공식 실무 언어 중 하나이다. 독일, 오스트리아, 리히텐슈타인의 국어이며, 스위스, 벨기에, 룩셈부르크에서 공용어로 사용되고 아프리카 서부 나미비아에서도 공인 지역어로 지정되어 있다.[16]이탈리아 남티롤 (트렌티노알토아디제 주), 프랑스의 알자스와 로렌, 헝가리, 체코, 슬로바키아 등 동유럽 국가들, 특히 중장년층은 제2외국어로 독일어를 자유롭게 구사할 수 있다. 미국에는 독일 이주민 후손이 약 500만 명 정도로, 영어와 혼합된 특수한 독일어를 구사한다.
프랑스어, 네덜란드어와 함께 공용어로 사용. 벨기에에서 독일어 사용자는 인구의 1% 미만으로, 일반적인 언어는 아님. 그러나 벨기에 독일어 사용자는 1919년 베르사유 조약에 따라 독일로부터 할양된 벨기에 동부 지역에 집중되어 있어, 독일어 공동체라는 독자적인 언어 공동체를 이루고 있음.
독일어는 로마 문자를 사용한다. 영어에서 쓰는 26개의 표준 문자에 3개의 움라우트(''ä'', ''ö'', ''ü'')와 "ss"를 나타내는 특수한 문자인 ß(에스체트)가 추가된다.[18]
과거에는 프락투어와 슈바바허(de) 등의 흑자체로 인쇄하고 쥐테를린이라는 독특한 글씨체로 썼지만, 현재는 세리프체와 산세리프체가 주로 사용된다.
1996년 독일어 정서법 개정 당시 에스체트 표기 문제가 논란이 되었다. 그러나 독일 이외의 오스트리아, 스위스, 리히텐슈타인 등에서는 에스체트를 공문서나 웹사이트에서 "ss"로 표기하여 불편을 없앴다. 이들 나라에서 독일어 출판물이 나올 때는 독일어권 전체를 대상으로 하기 때문에 에스체트를 사용하는 경우도 있다.
과거에는 블랙 레터의 일종인 프락투어(독일 문자, 거북이 등껍질 문자라고도 함)가 인쇄에 사용되었고, 이를 기반으로 한 쥐테를린체가 필기에 사용되었지만, 현재는 장식용 등으로 사용되는 정도이다.
영어와 같은 라틴 문자에 움라우트(변모음, Ä, ä; Ö, ö; Ü, ü)와 에스체트(ß, 그리스 문자 β(베타)와는 다름)를 추가한 30자의 독일어 알파벳을 사용한다. ß는 어두에 올 수 없으므로 원래 대문자는 존재하지 않았다. 움라우트나 에스체트를 표시할 수 없는 경우에는 다음과 같이 대용 표기하는 것이 관례이다.
Ä = AE / Ae
ä = ae
Ö = OE / Oe
ö = oe
Ü = UE / Ue
ü = ue
ß = SS / ss (구 정서법에서는 SZ / sz도 인정되었지만, 신정서법에서는 제외되었다)
표제나 만화의 대사 등에서 단어를 모두 대문자로 할 경우, ß는 “SS” 또는 에스체트 대문자 “ẞ”로 표기한다.
5. 알파벳과 발음
독일어는 로마 문자를 사용한다. 영어에서 쓰는 26개의 표준 문자에 3개의 움라우트(''ä'', ''ö'', ''ü'')와 "ss"를 나타내는 특수한 문자인 ß(에스체트)가 추가된다.
어미는 지역에 따라 다를 수 있으며, 일부 어미는 한 성에만 국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erde (-er)의 경우, Feierde는 여성 명사로 의례, 파티를 뜻하며, Arbeiterde는 남성 명사로 노동자를 뜻한다. Gewitterde는 중성 명사로 천둥을 의미한다.
독일어의 굴절은 고대 고지대 독일어(Old High German), 라틴어(Latin), 고대 그리스어(Ancient Greek), 산스크리트어(Sanskrit)와 같은 고대 인도-유럽제어(old Indo-European languages)나 고대 영어(Old English), 현대 아이슬란드어(Icelandic), 러시아어(Russian)보다는 덜 복잡하다. 복수형에서는 3개의 성 구분이 사라진다. 명사의 격 굴절은 강변화 남성 명사의 단수형이나 중성 명사의 속격과 여격에서 주로 나타나지만, 비공식적인 대화에서는 다른 형태로 대체되기도 한다.[1] 여성 명사는 단수형에서 격변화를 하지 않으며, 복수형은 여격에서 굴절한다. 독일어에는 -s, -es, -n, -ns, -en, -ens, -ede 7개의 굴절어미(inflectional ending)가 있다(복수형은 불포함).
6. 1. 1. 굴절과 관사
독일어 명사(German noun)는 격(case), 성(gender), 수(number)에 따라 굴절한다. 독일어에는 4개의 격(case), 3개의 성(gender), 2개의 수(number)가 있다.
4개의 격:주격(nominative case), 대격(accusative case), 속격(genitive case), 여격(dative case)
3개의 성: 남성(masculine), 여성(feminine), 중성(neuter)
2개의 수: 단수(singular), 복수(plural)
독일어의 굴절은 고대 고지대 독일어(Old High German), 라틴어(Latin), 고대 그리스어(Ancient Greek), 산스크리트어(Sanskrit)와 같은 고대 인도-유럽어족(old Indo-European languages)의 언어들보다는 덜 복잡하다. 고대 영어(Old English), 현대 아이슬란드어(Icelandic), 러시아어(Russian)보다도 덜 복잡하다. 복수형에서는 3개의 성 구분이 사라진다. 4개의 격, 3개의 성, 그리고 복수형이 결합되어 총 16가지의 관사 형태가 나타날 수 있지만, 실제 정관사(definite article)는 6개뿐이다. 명사의 격 굴절은 주로 강변화 남성 명사의 단수형에서 나타난다. 중성 명사는 속격과 여격에서만 굴절되는데, 이마저도 관용구나 고어에서만 나타난다. 비공식적인 대화에서는 다른 형태로 대체되기도 한다.[1] 약변화 남성 명사는 단수형에서 속격, 여격, 대격이 모두 같은 어미를 갖는다. 여성 명사는 단수형에서 격변화를 하지 않는다. 복수형은 여격에서 굴절한다.
독일어 정관사
남성
여성
중성
복수
주격
der
die
das
die
대격
den
die
das
die
여격
dem
der
dem
den
속격
des
der
des
der
독일어 부정관사
남성
여성
중성
복수
주격
ein
eine
ein
-
대격
einen
eine
ein
-
여격
einem
einer
einem
-
속격
eines
einer
eines
-
독일어는 다른 게르만어(Germanic language) 계통 언어처럼 명사 합성어(noun compound)가 발달했다. 예를 들어, '개집'은 '개'와 '오두막'을 결합한 Hundehüttede로 표현한다. 영어에서는 긴 명사를 결합할 때 띄어쓰기를 하지만, 독일어는 대부분 띄어쓰기 없이 붙여 쓴다. (예: Baumhausde (tree house)). 독일어는 이론적으로 매우 긴 합성어를 만들 수 있다. 실제로 사용되는 가장 긴 단어 중 하나는 Rindfleischetikettierungsüberwachungsaufgabenübertragungsgesetzde (소고기 라벨링 감독 임무 양도 법)이다. 하지만 이런 단어는 지나치게 관료적이고 어색하게 느껴져서 비꼬는 듯한 느낌을 주기도 한다.
6. 1. 2. 합성어
다른 게르만어 계통 언어처럼 독일어도 명사 합성어(noun compound)가 발달했다. 이 경우 앞의 명사는 뒤의 명사가 정하는 범주를 한정한다. 예를 들면 다음과 같다.
Hundehütte|훈데휘테|개집de (문자적으로는 "개 오두막(dog hut)"이지만 한정되어 "개집(dog kennel)"이 됨)
영어에서는 긴 명사의 새로운 합성이나 결합은 명사 사이에 칸을 띄우고서 '열린' 채로 쓰지만, 독일어 혹은 다른 게르만어들은 거의 대부분 띄어쓰기 없이 '닫힌' 형태로 사용한다. 예를 들면 다음과 같다.
Baumhaus|바움하우스|나무집de ("tree house")
영어처럼 독일어는 이론적으로 긴 합성어를 갖는다. 실제 사용되고 있는 가장 긴 합성어는 Rindfleischetikettierungsüberwachungsaufgabenübertragungsgesetz|린트플레이셰티케티룽스위버바훙스아우프가벤위버트라궁스게제츠|소고기 라벨링 감독 임무 양도 법de이다. 축자적으로 해석하면 "소고기 라벨링 감독 임무 양도 법(beef labelling supervision duties assignment law)"이며, Rind|린트|소de, Fleisch|플레이슈|고기de, Etikettierung(s)|에티케티룽(스)|라벨링de, Überwachung(s)|위버바훙(스)|감독de, Aufgaben|아우프가벤|임무de, Übertragung(s)|위버트라궁(스)|양도de, Gesetz|게제츠|법de으로 구성된다. 그러나 이런 사례는 실제 독일어 사용자들에게 있어 지나치게 관료적인 느낌이고 양식상으로도 이상하며 심지어는 비꼬는 듯한 느낌을 주기도 한다.
6. 1. 3. 관사의 변화
독일어 명사는 남성, 여성, 중성의 3가지 성별과 주격(Werfall; Nominativ), 소유격(Wes[sen]fall; Genitiv), 여격(Wemfall; Dativ), 목적격(Wenfall; Akkusativ)에 따라 다른 관사가 사용된다. (각각을 편의상 1격, 2격, 3격, 4격 이라고도 부른다)[21] 특히 Dativ와 Akkusativ의 경우 문장 내에서 목적어에 해당하며 각각이 우리말로 (~에게), (~을/를)로 해석되는 경우가 많으나 항상 그런 것이 아니므로 주의해야 한다. 또한 특정한 동사 혹은 전치사는 특정한 격을 반드시 필요로 하므로 이 관계는 반드시 숙지하여야 한다.[21]
예시[21]
haben: Ich habe ein Auto. (나는 자동차 한 대를 가지고 있다) haben 동사는 목적어로 4격(Akkusativ)을 요구하여 중성 4격 ein Auto를 써야한다.
helfen: Ich helfe dir. (나는 너를 돕는다) helfen 동사의 경우 우리말로는 (~를 돕다) 라고 해석이 되기 때문에 4격을 필요로 할 것처럼 보이나 3격을 써야 한다.
fragen: Er fragt mich. (그가 나에게 물었다) fragen 동사의 경우 우리말로는 (~에게 묻다) 라고 해석 되기 때문에 3격을 필요로 할 것처럼 보이나 4격을 써야 한다.
독일어의 정관사
남성형
여성형
중성
복수형
주격
der
die
das
die
소유격(속격)
des
der
des
der
여격
dem
der
dem
den
목적격(대격)
den
die
das
die
독일어의 부정관사
남성형
여성형
중성
복수형
주격
ein
eine
ein
-
소유격(속격)
eines
einer
eines
-
여격
einem
einer
einem
-
목적격(대격)
einen
eine
ein
-
6. 2. 동사의 변화
독일어 동사는 약동사, 강동사, 혼합동사로 나뉘며, 인칭, 수, 서법, 태, 시제에 따라 변화한다.
동사 활용 부류: 약동사(과거형 및 과거분사형이 동사원형에 접미사 '-(e)d'가 붙음), 강동사(과거형 및 과거분사형이 원형과 다르게 불규칙 변화), 혼합동사(강동사와 약동사의 특징을 모두 가짐)
상(aspect): 접속형이나 단순과거형 표지를 이용하여 여러 상 사이의 구분을 나타냄. 평서 지시태는 이 두 가지를 모두 사용하지 않음. 접속형은 간접화법을 나타내고, 접속형과 단순과거형은 조선 상태를 보여줌. 단순과거형은 (과거의) 평서 지시법에 쓰이거나, 간접화법이나 동사의 조건적 상태의 (직설법) 대체물로 기능함.
현재완료와 진행형 사이의 구분은 이전 언어와 현재, 그리고 거의 모든 방언에서 생산적 범주임. 그러나 문어체에서는 현재 통일된 철자법 형태로는 엄격히 배제됨.
완료형과 미연형 간의 엄격한 구분이 있으며, 규칙적으로 공통된 접두사를 통해 만들어짐 (예: blicken(영어 look) -> erblicken(영어 see), 무관형(unrelated form): sehen).
"오다"라는 뜻의 동사 "kommen"(영어의 come)은 주어에 따라 다음과 같이 변화한다.
주어
동사 (변화)
ich
komme
du
kommst
er/sie/es
kommt
wir
kommen
ihr
kommt
Sie
kommen
영어의 can에 해당하는 조동사 "können"처럼 불규칙적으로 변화하는 동사도 있다.
주어
동사 (변화)
ich
kann
du
kannst
er/sie/es
kann
wir
können
ihr
könnt
Sie
können
단순 과거는 주로 문학 작품이나 신문 등 문어체로 쓰인다. "kommen" 동사의 단순 과거형은 다음과 같다.
주어
동사 (변화)
ich
kam
du
kamst
er/sie/es
kam
wir
kamen
ihr
kamt
Sie
kamen
예시: Peter kam endlich zum Bahnhof. (피터는 마침내 기차역에 왔다.)[16]
6. 2. 1. 현재완료
독일어에서 현재완료형과 단순과거형의 의미 차이는 크지 않으며, 구어체에서는 현재완료형을 주로 사용한다. 현재완료 시제는 'haben + 과거분사' 혹은 'sein + 과거분사' 형태를 취한다. "오다"라는 뜻의 동사 'kommen'을 예로 들면 다음과 같이 활용된다.
주어
동사(변화)
ich
bin gekommen
du
bist gekommen
er/sie/es
ist gekommen
wir
sind gekommen
ihr
seid gekommen
Sie
sind gekommen
단순과거형과 달리, sein 동사에 간단한 변형을 더하면 되기 때문에 편리하다. 예를 들면 다음과 같다.
Anna ist wütend, weil Peter nicht zu ihrer Geburtstagsfeier gekommen ist. (안나는 피터가 그녀의 생일 파티에 오지 않아 화가 났다.)
6. 2. 2. 동사 접두사
기본 동사의 의미는 여러 접두사를 사용하여 확장되거나 크게 바뀔 수 있다. 일부 접두사는 특정한 의미를 갖는다. 예를 들어 '''zer-de'''는 파괴를 의미한다.
zerreißende 해체하다(tear apart)
zerbrechende 분리하다(break apart)
zerschneidende 절개하다(cut apart)
다른 접미사는 그 자체로 가장 모호한 의미만을 가진다. '''ver-de'''는 많은 동사에서 발견되며 다양한 의미를 갖는다.
stehen (서다 stand) < '''ver'''stehen (이해하다 understand)
다른 사례는 다음과 같다.
haftende (to stick), verhaftende (to detain)
kaufende (to buy), verkaufende (to sell)
hörende (to hear), aufhörende (to cease)
fahrende (to drive), erfahrende (to experience)
많은 독일어 동사들은 분리 가능한 접두사를 가지며, 이는 부사적 기능을 하기도 한다. 정동사(finite verb)에서 동사는 분리되고 접두사는 절(clause)의 끝으로 이동하기 때문에, 일부는 이를 '귀결 분사(resultative particle)'로 간주하기도 한다. 예를 들어 '계속하다(go along)'라는 뜻의 'mitgehen'은 'mit'와 'gehen'으로 분리되어 'Gehen Sie mit?'와 같이 사용된다. 이는 영어로 직역하면 "Go you with?"이지만, 관용적으로는 'Are you going along?('계속하고 있니?')'라는 뜻이 된다.
실제로 일부 삽입절(parenthetical clause)은 정동사의 접두사와 보어(complement) 사이에 들어간다.
예) ankommen = 도착하다(arrive), er kam an = 그는 도착했다(he arrived), er ist angekommen = 그는 도착했었다(he has arrived)
Er '''kam''' am Freitagabend nach einem harten Arbeitstag und dem üblichen Ärger, der ihn schon seit Jahren immer wieder an seinem Arbeitsplatz plagt, mit fraglicher Freude auf ein Mahl, das seine Frau ihm, wie er hoffte, bereits aufgetischt hatte, endlich zu Hause '''an'''.
위 예시를 영어로 직역하면 다음과 같다.
He '''came''' on Friday evening, after a hard day at work and the usual annoyances that had time and again been troubling him for years now at his workplace, with questionable joy, to a meal which, as he hoped, his wife had already put on the table, finally home '''to'''.
6. 3. 어순
독일어 어순은 V2 어순(V2 word order) 제약이며 또한 주절(main clause)에는 SOV 어순(SOV word order) 제약이 있다. 시비의문문(yes-no questions), 감탄, 희망에서는 정동사가 첫 번째 자리에 온다. 종속절(subordinate clause)에서는 동사가 가장 마지막에 온다.
독일어는 문장 내 두 번째를 나타내기 위하여 언어적 요소(verbal element, 주동사 혹은 조동사)가 필요하다. 동사는 문장의 주제(topic) 뒤에 나온다. 초점을 두는 요소는 문장 가장 마지막에 나타난다. 조동사 없는 문장에서는 다음의 것들이 가능하다.
Der alte Mann gab mir gestern das Buch. (그 노인은 나에게 어제 그 책을 주었다.)(정상적인 어순)
Das Buch gab mir gestern der alte Mann. (그 책을 나에게 어제 그 노인이 주었다.)
Das Buch gab der alte Mann mir gestern. (그 책을 그 노인이 나에게 어제 주었다.)
Das Buch gab mir der alte Mann gestern. (그 책을 나에게 그 노인이 어제 주었다.)
Gestern gab mir der alte Mann das Buch. (어제 그 노인이 나에게 그 책을 주었다.)(정상적인 어순)
Mir gab der alte Mann das Buch gestern. (나에게 그 노인이 그 책을 어제 주었다.) (다른 누군가에 대하여 다른 날짜이다.)
영어에서는 각 서법(mood)에 따라 명사가 서술어(predicate)의 앞에 오냐 뒤에 오냐에 따라 주어가 되거나 목적어 혹은 보어가 된다. 이와 달리, 독일어에서는 명사의 위치에 따라 주어나 목적어 등이 되지는 않는다.
그러나 독일어의 유연한 어순은 특정 단어를 강조하게 한다.
정상적인 어순
* Der Direktor betrat gestern um 10 Uhr mit einem Schirm in der Hand sein Büro.de
* 그 관리자는 어제 10시에 우산을 손에 들고 그의 사무실에 들어갔다.
정상적인 어순의 두 번째 변형
* Der Direktor betrat sein Büro gestern um 10 Uhr mit einem Schirm in der Hand.de
* 그 관리자는 어제 10시에 우산을 손에 들고 그의 사무실에 들어갔다.
> 이는 시간을 자세히 설명한 것을 강조하고, 그가 우산을 가져갔다는 것을 강조한다.
목적어를 앞으로
* Sein Büro betrat der Direktor gestern um 10 Uhr mit einem Schirm in der Hand.de
* 그의 사무실에 그 관리자는 어제 10시에 우산을 손에 들고 들어갔다.
> 목적어 'Sein Büro'(그의 사무실)은 강조되면서, 또한 다음 문장의 주제가 될 수 있다.
시간부사를 앞으로
* Gestern betrat der Direktor um 10 Uhr mit einem Schirm in der Hand sein Büro. (aber heute ohne Schirm)de
* 어제 그 관리자는 10시에 우산을 손에 들고 그의 사무실에 들어갔다. (그러나 오늘은 우산 없이)
> 오늘은 우산이 없다는 어감
두 가지 시간 표현을 앞으로
* Gestern um 10 Uhr betrat der Direktor mit einem Schirm in der Hand sein Bürode.
* 어제 10시에 그 관리자는 우산을 손에 들고 그의 사무실에 들어갔다.
> 풀타임 정보인 10시라는 시각이 강조된다.
기타
* Gestern um 10 Uhr betrat der Direktor sein Büro mit einem Schirm in der Handde.
* 어제 10시에 그 관리자는 그의 사무실에 우산을 손에 들고 들어갔다.
> 시간 정보와 그가 우산을 가져왔다는 사실이 강조된다.
교체된 부사
* Der Direktor betrat mit einem Schirm in der Hand gestern um 10 Uhr sein Büro.de
* 그 관리자는 우산을 손에 들고 어제 10시에 그의 사무실에 들어갔다.
* 부사구 'mit einem Schirm in der Hand'(우산을 손에 들고)가 강조된다.
교체된 목적어
* Der Direktor betrat gestern um 10 Uhr sein Büro mit einem Schirm in der Hand.de
* 그 관리자는 어제 10시에 그의 사무실에 우산을 손에 들고 들어갔다.
> 시간 정보와 목적어 'sein Büro'(그의 사무실)가 가볍게 강조된다.
유연한 어순은 시의 운율이나 비유적 표현 등에 따라 보다 자유롭게 언어 도구를 사용하게 한다.
조동사(auxiliary verb)는 두 번째 자리에 오고, 주동사는 문장 끝에 온다. 특히 완료 시제(perfect tense)를 만들 때 두드러진다. 여러 어순이 가능하다.
Der alte Mann hat mir heute das Buch gegeben. (그 노인은 나에게 오늘 그 책을 주었다.)
Das Buch hat der alte Mann mir heute gegeben. ('''''그 책을''''' 그 노인이 나에게 오늘 주었다.)
Heute hat der alte Mann mir das Buch gegeben. ('''''오늘''''' 그 노인이 나에게 그 책을 주었다.)
주동사는 첫 번째 자리에 나타나 동작 자체를 강조한다. 조동사는 두 번째 자리에 온다.
Gegeben hat mir der alte Mann das Buch heute. ('''''주었다''''' 그 노인이 나에게 그 책을 '''오늘'''.)
> 책이 주어졌다는 사실이 강조되며 또한 오늘(heute)이 강조된다.
법조동사(modal verb)를 사용한 문장은 부정사(infinitive)를 문장 끝에 둔다. 예를 들어 영어 문장 "Should he go home?"은 독일어로는 "Should he (to) home go?" (Soll er nach Hause gehen?)라고 쓴다. 따라서 종속절이나 관계절이 있는 문장에서 부정사는 마지막에 모인다. 다음의 영어 문장은 독일어 식으로 나열한 것으로, 여기에는 유사한 전치사 모임이 있다. “What did you bring that book that I do not like to be read to out of up for?”
독일어 종속절은 끝에 모든 동사들이 모인다. 조동사가 미래, 수동, 서법(modality), 완료형을 부호화한다면, 문장 끝에 놓인 매우 긴 동사 집단이 올 수 있다. 이런 구조에서 ‘ge-’와 함께 쓰인 과거분사는 부정사로 대체되기도 한다.
Man nimmt an, dass der Deserteur wohl erschossenV wordenpsv seinperf sollmod
One suspects that the deserter probably shot become be should.
> ‘아마도 탈영병은 총에 맞은 듯 하다’는 뜻
Er wusste nicht, dass der Agent einen Nachschlüssel hatte machen lassen.
He knew not that the agent a picklock had make let
Er wusste nicht, dass der Agent einen Nachschlüssel machen lassen hatte.
He knew not that the agent a picklock make let had
중부·남부 방언에서는 “제2차 자음 변이” 또는 “고지 독일어 자음 변이”라고 불리는 자음 변화가 일어났지만, 북부 방언에서는 일어나지 않았기 때문에 자음에 규칙적인 차이가 보인다.[71] 중부·남부 방언은 다시 중부 독일어 (Mitteldeutsch|미텔도이치de)와 상부(남부) 독일어 (Oberdeutsch|오버도이치de)로 나뉜다.
1990년대까지 독일어는 프랑스어와 함께 고등교육 정규 과정의 제2외국어 과목 중 가장 많이 선택하는 언어 중 하나였으나, 2000년대에 들어와 중국어와 일본어의 급증하는 수요에 밀려 감소하였다. 2000년부터 대학수학능력시험에 독일어 과목을 선택할 수 있게 되었다. 현재 한국에서 가르치는 독일어는 중부 독일어를 기초로 한 표준 독일어이다.[37]
아르바이트(Arbeit, 노동. 노동자는 Arbeiter.[84]), 테마(Thema), 이데올로기(Ideologie), 마하(Mach), 아우토반(Autobahn), 알레르기(Allergie), 킨더가르텐(Kindergarten, 유치원. 어린이를 뜻하는 킨더와 정원을 뜻하는 가르텐을 더하여 만듦.), 맥주(Bier), 벤츠(Benz), 아스피린(Aspirin), 분데스리가(Bundesliga), 에델바이스(Edelweiß), 카테고리(Kategorie), 마이스터(Meister), 호프(Hof), 로렐라이(Loreley), 비타민(Vitamin), 파밀리에(Familie), 프레첼(Brezel), 도플갱어(Doppelgänger) 등 많은 독일어 차용어가 한국어에서 사용되고 있다.
정치나 사회운동 관련 용어 중에도 독일어 유래 용어가 많다(당, 동맹, 쾰른, 폭력, 내부 폭력, 지도자 등). 이는 과거 한국의 좌/우익 사상에 영향을 준 마르크스주의의 마르크스나 엥겔스의 원저, 그리고 마르크스 등에 영향을 준 헤겔을 비롯한 독일 관념론이나 헤겔 좌파 등의 독일계 철학 원저, 우익 사상에 영향을 준 아돌프 히틀러의 『나의 투쟁』 등 나치즘 원저가 독일어로 기록되었기 때문이다.
8. 1. 대한민국의 독일어 교육
1990년대까지 독일어는 프랑스어와 함께 고등교육 정규 과정의 제2외국어 과목 중 가장 많이 선택하는 언어 중 하나였으나, 2000년대에 들어와 중국어와 일본어의 급증하는 수요에 밀려 감소하였다. 2000년부터 대학수학능력시험에 독일어 과목을 선택할 수 있게 되었다. 현재 한국에서 가르치는 독일어는 중부 독일어를 기초로 한 표준 독일어이다.[37]
8. 2. 대한민국의 언어 생활 속의 독일어
아르바이트(Arbeit, 노동. 노동자는 Arbeiter.[84]), 테마(Thema), 이데올로기(Ideologie), 마하(Mach), 아우토반(Autobahn), 알레르기(Allergie), 킨더가르텐(Kindergarten, 유치원. 어린이를 뜻하는 킨더와 정원을 뜻하는 가르텐을 더하여 만듦.), 비어(Bier), 벤츠(Benz), 아스피린(Aspirin), 분데스리가(Bundesliga), 에델바이스(Edelweiß), 카테고리(Kategorie), 마이스터(Meister), 호프(Hof), 로렐라이(Loreley), 비타민(Vitamin), 파밀리에(Familie), 프레첼(Brezel), 도플갱어(Doppelgänger) 등 많은 독일어 차용어가 한국어에서 사용되고 있다.
정치나 사회운동 관련 용어 중에도 독일어 유래 용어가 많다(당, 동맹, 쾰른, 폭력, 내부 폭력, 지도자 등). 이는 과거 한국의 좌/우익 사상에 영향을 준 마르크스주의의 마르크스나 엥겔스의 원저, 그리고 마르크스 등에 영향을 준 헤겔을 비롯한 독일 관념론이나 헤겔 좌파 등의 독일계 철학 원저, 우익 사상에 영향을 준 아돌프 히틀러의 『나의 투쟁』 등 나치즘 원저가 독일어로 기록되었기 때문이다.
9. 시험
독일어 능력 인증 시험으로 Goethe-Institut(괴테-인스티투트)의 Goethe-Zertifikat(괴테-체어티피카트)가 있다. 시험 등급은 유럽 표준에 따라 A1부터 C2까지 나뉜다. 이 시험은 듣기, 읽기, 쓰기, 말하기 능력을 모두 평가한다.[49] 2019년 B2 시험이 개정되며 B2의 경우 읽기, 듣기, 쓰기를 노트북으로 시험볼 수 있게 되었다. 한국에서는 Goethe-Institut Seoul(괴테-인스티투트 서울), 즉 주한독일문화원에서 시험을 볼 수 있다.
10. 기타
Links to online resources for learners of German영어[14]
German 101영어[15] 무료 독일어 학습 자료.
온라인 독일어 문법사이트de[16]
한-독-한 사전한국어[17]
영-독 사전영어[18]
독-영 사전영어[19]
The LEO Online Dictionaryde 독-영-독 사전[21]
German dictionary영어 독-영-독 사전[22]
Ethnologue report for German영어[23]
Verein Deutsche Sprachede[24]
Sprachatlas des Deutschen Reichsde - 19세기 ''독일 제국 언어 지도''를 출판하는 프로젝트.[25]
참조
[1]
서적
Länderkunde Deutschland, Österreich und Schweiz (mit Liechtenstein) im Querschnitt
Inform-Verlag
2005
[2]
웹사이트
Moses Mendelssohn's Be'ur: Translating the Torah in the Age of Enlightenment – TheTorah.com
https://www.thetorah[...]
2023-08-10
[3]
웹사이트
Sefer Netivot ha-shalom: ṿe-hu ḥibur kolel ḥamishat ḥumshe ha-torah ʻim tiḳun sofrim ṿe-targum ashkenazi u-veʾur. - 1783. Translated from the Hebrew into German by Moses Mendelssohn. Berlin : Gedruckt bey George Friedrich Starcke
https://digipres.cjh[...]
2023-08-10
[4]
웹사이트
''המאסף ha-Me'asef''. 6644-5571 [1783-1811] [Newspaper in German printed in Hebrew characters]. Königsberg, Prussia.
https://digipres.cjh[...]
2023-08-10
[5]
웹사이트
YIVO | Dostrzegacz Nadwiślański - / Der Beobakhter an der Vayksel. 1823–1824. Warsaw.
https://yivoencyclop[...]
2023-08-10
[6]
웹사이트
Birgit Klein. 1998. ''Levi von Bonn alias Löb Kraus und die Juden im Alten Reich. Auf den Spuren eines Verrats mit weitreichenden Folgen'', p. 200.
https://duepublico2.[...]
2023-08-10
[7]
웹사이트
Lista de línguas cooficiais em municípios brasileiros
http://ipol.org.br/l[...]
IPOL
2023-10-28
[8]
웹사이트
Deutsch
https://www.dwds.de/[...]
2022-10-31
[9]
웹사이트
German is world's fourth most popular language
https://www.thelocal[...]
2015-04-15
[10]
간행물
Foreign Language Enrollments in K–12 Public Schools
http://www.actfl.org[...]
American Council on the Teaching of Foreign Languages (ACTFL)
2011-02
[11]
학술지
GERMAN AS THE LANGUAGE OF SCIENCE: PROBLEMS AND PERSPECTIVES
https://scholarexpre[...]
2022-02-13
[12]
웹사이트
Usage statistics of content languages for websites
https://w3techs.com/[...]
2024-09-03
[13]
학술지
Top languages in global information production
2008-12-17
[14]
웹사이트
Preserving endangered German dialects
https://www.dw.com/e[...]
2016-09-25
[15]
웹사이트
Beim Deutschen Bund in Eupen
https://www.land.lu/[...]
2016-09-02
[16]
서적
(Reference needed)
1992
[17]
웹사이트
A Brief History of the German Language
http://linguistics.b[...] [18]
서적
(Reference needed)
1977, 1982, 2004, 2008, 2019
[19]
백과사전
Oxford Research Encyclopedia of Religion
2017
[20]
학술지
Luther's Translation of the Bible
2014
[21]
웹사이트
Foreign language learning statistics – Statistics Explained
http://ec.europa.eu/[...]
2016-03-17
[22]
보고서
Special Eurobarometer 386: Europeans and their languages
https://web.archive.[...]
European Commission
2012-06
[23]
웹사이트
The most spoken languages worldwide (speakers and native speaker in millions)
http://www.statista.[...]
Statista, The Statistics Portal
[24]
웹사이트
We speak German
https://www.deutschl[...]
2018-02-20
[25]
웹사이트
Recherches sur les traités
https://web.archive.[...] [26]
웹사이트
Map on page of Polish Commission on Standardization of Geographical Names
https://web.archive.[...] [27]
웹사이트
Charter of the Azov District Council of 05.21.2002 N 5-09 Charter of the municipal
https://web.archive.[...] [28]
웹사이트
European Charter for Regional Languages: Hollande fuels the war against French
http://www.lefigaro.[...]
2015-06-05
[29]
뉴스
German in Namibia
https://web.archive.[...]
Namibia Media Holdings
2007-08-18
[30]
웹사이트
Natal Germans
http://www.safrika.o[...] [31]
웹사이트
Constitution of the Republic of South Africa, 1996 – Chapter 1: Founding Provisions
http://www.gov.za/do[...] [32]
웹사이트
Goethe Insitut - "Deutsch als Fremdsprache weltweit. Datenerhebung 2020"
https://www.goethe.d[...] [33]
웹사이트
When German means future
https://www.dw.com/d[...]
2010-11-29
[34]
웹사이트
Detailed List of Languages Spoken at Home for the Population 5 Years and Over by State: 2000
https://web.archive.[...]
United States Census Bureau
[35]
웹사이트
Tagalog in California, Cherokee in Arkansas: What language does your state speak?
http://www.slate.com[...]
2014-05-13
[36]
웹사이트
Strasburg Centennial Book: 1902 - 2002
https://library.ndsu[...]
NDSU Libraries
2016-07-18
[37]
웹사이트
IPOL realizará formação de recenseadores para o censo linguístico do município de Antônio Carlos-SC
http://e-ipol.org/ip[...]
2016-07-18
[38]
웹사이트
Pommern in Brasilien
https://lerncafe.de/[...]
ViLE-Netzwerk
2017-07-27
[39]
웹사이트
Lei N.º 14.061, de 23 de julho de 2012
http://www.al.rs.gov[...]
2019-03-30
[40]
웹사이트
El alemañol del sur de Chile {{!}} 10.09.2016
https://www.dw.com/e[...]
2021-12-17
[41]
서적
The Wilds of Patagonia: A Narrative of the Swedish Expedition to Patagonia Tierra del Fuego and the Falkland Island in 1907– 1909
Edward Arnold
[42]
뉴스
Keeping SA's Barossa Deutsch alive over kaffee und kuchen
https://www.abc.net.[...]
2020-02-23
[43]
웹사이트
Top 25 Languages in New Zealand
https://www.ethnicco[...]
2022-09-21
[44]
웹사이트
Deutsch als Fremdsprache weltweit. Datenerhebung 2015 – Worldwide survey of people learning German; conducted by the German Ministry for Foreign Affairs and the Goethe Institute
https://www.goethe.d[...]
2016-07-18
[45]
웹사이트
http://www.levada.ru[...]
Levada Centre
2008-09-16
[46]
웹사이트
Foreign Language Enrollments in K–12 Public Schools
http://www.actfl.org[...]
American Council on the Teaching of Foreign Languages (ACTFL)
2015-10-17
[47]
웹사이트
Exam entries: German continues decline in popularity but computing soars
https://www.standard[...]
2023-08-26
[48]
웹사이트
15.4 million people are learning German as a foreign language
https://www.dw.com/e[...]
2021-01-31
[49]
웹사이트
Why Learn German?
https://www.goethe.d[...]
Goethe Institute
2014-09-28
[50]
웹사이트
Usage of content languages for websites
http://w3techs.com/t[...]
W3Techs: Web Technology Surveys
2019-02-18
[51]
논문
Pluricentric languages and language education: Pedagogical Implications and Innovative Approaches to Language Teaching
Routledge
[52]
서적
Österreichisches Deutsch macht Schule
Böhlau
[53]
서적
The Pluricentricity Debate
Routledge
[54]
official site
Die am häufigsten üblicherweise zu Hause gesprochenen Sprachen der ständigen Wohnbevölkerung ab 15 Jahren – 2012–2014, 2013–2015, 2014–2016
https://www.bfs.admi[...]
Federal Statistical Office FSO
2018-12-01
[55]
서적
Aspekte einer niederrheinischen Sprachgeschichte
Walter de Gruyter
[56]
서적
Das Niederländische im preußischen Gelderland und seine Ablösung durch das Deutsche
Rohrscheid
[57]
서적
Niederdeutsche Sprache – Versuch einer Definition
Karl Wachholtz
[58]
웹사이트
Foreign Words (Fremdwörter)
https://www.dartmout[...]
2020-02-23
[59]
간행물
German Academy for Language and Literature's Jahrbuch
Wallstein Verlag
[60]
웹사이트
Verein Deutsche Sprache e.V. – Der Anglizismen-Index
http://vds-ev.de/ang[...]
Walter Krämer
2010-03-15
[61]
웹사이트
Ein Hinweis in eigener Sache
http://wortschatz.in[...]
2010-03-15
[62]
웹사이트
Germany has ended a century-long debate over a missing letter in its alphabet
https://qz.com/10332[...]
2017-12-05
[63]
웹사이트
Der Bormann-Brief im Original
http://ligaturix.de/[...]
NSDAP
2020-11-20
[64]
서적
[65]
웹사이트
Ethnologue report for language code GER
http://www.ethnologu[...] [66]
웹사이트
Sprachen im Internet - aktuelle Studie
http://www.netz-tipp[...] [67]
문서
유럽 전역에서 러시아어 다음으로 많다.
[68]
웹사이트
Europeans and their Languages
http://ec.europa.eu/[...]
European Commission Public Opinion
2006-02-01
[69]
논문
LEARNING A SECOND FOREIGN LANGUAGE BASED ON ENGLISH
https://journals.ayu[...]
2022-03-31
[70]
서적
言語学大事典セレクション ヨーロッパの言語
三省堂
[71]
서적
The Consonants of German: Synchrony and Diachrony
Cisalpino
[72]
서적
ドイツ語語源漫筆
大学書林
1963-02
[73]
문서
null
[74]
간행물
Top Languages: The World's 10 Most Influential Languages
1997-12
[75]
문서
뒤에 모음이 올 때의 발음
[76]
문서
앞에 모음이 올 때의 발음
[77]
문서
이중자모음 참조
[78]
문서
단어 끝에 올 때의 발음
[79]
문서
단어 앞에 올 때의 발음
[80]
문서
p와 f를 동시에 발음
[81]
문서
Sie sind das essen도 많이 쓰임
[82]
문서
Ich bin Berliner가 문법적으로 맞으며, 보통 ein은 고유명사에 쓰인다
[83]
문서
루마니아어는 슬라브 계통의 단어인 "{{lang|ro|nemţeşte}}"를 썼으나, 현재는 "{{lang|ro|germană}}" 이 광범위하게 사용된다.
[84]
문서
한국에서는 아르바이트가 노동, 노동자임을 인식하지 못하는 분들이 많은데, 아르바이트도 시급이나 일당을 경제적 보상으로 받는 비정규직 노동자를 뜻하며, 근로기준법의 보호를 받는다. 당연히 노동3권이 있으므로 비정규직 노조인 알바노조가 있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