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박쥐아목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양박쥐아목(Yangochiroptera)은 박쥐의 아목으로, 대꼬리박쥐과, 틈새얼굴박쥐과, 민발톱박쥐과, 긴가락박쥐과, 큰귀박쥐과, 유령얼굴박쥐과, 짧은꼬리박쥐과, 흡반발박쥐과, 깔때기귀박쥐과, 불독박쥐과, 주걱박쥐과, 원반날개박쥐과, 애기박쥐과, 털박쥐과 등을 포함한다. 대꼬리박쥐상과, 불독박쥐상과, 애기박쥐상과로 분류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박쥐 - 키티돼지코박쥐
키티돼지코박쥐는 태국과 미얀마의 석회암 동굴에 서식하며 돼지코 모양의 주둥이를 가진 세계에서 가장 작은 박쥐 중 하나로, 작은 곤충을 먹고살며 준위협종으로 분류되어 보전 노력이 필요한 종이다. - 박쥐 - 음박쥐아목
음박쥐아목은 박쥐목의 하위 분류군으로, 큰박쥐과, 키티돼지코박쥐과, 잎코박쥐과, 위흡혈박쥐과, 관박쥐과, 생쥐꼬리박쥐과 등 다양한 과를 포함하고 각 과는 고유한 특징과 서식지를 가진다. - 생물 분류에 관한 - 다람쥐
다람쥐는 등 쪽에 줄무늬가 있는 다람쥐속 설치류로, 홀로 생활하며 겨울잠을 자고 씨앗, 견과류, 곤충 등을 먹으며 맹금류 등의 먹이가 되고, 특히 한반도 서식 다람쥐는 새로운 종으로 분류될 가능성이 있으며, 유럽에서는 침입 외래종으로 지정되기도 하고 라임병을 옮길 수 있어 주의가 필요한 동물이다. - 생물 분류에 관한 - 황금랑구르
황금랑구르는 인도 아삼 주와 부탄에 분포하며 크림색에서 황금색 털을 가진 멸종위기종 영장류로, 서식지 파괴로 개체수가 감소하여 보호받고 있다.
양박쥐아목 - [생물]에 관한 문서 | |
---|---|
![]() | |
학명 | Yangochiroptera |
명명자 | 쿠프만, 1984 |
하위 분류군 | 본문 참조 |
계통 분류 | |
계 | 동물계 |
문 | 척삭동물문 |
강 | 포유강 |
하강 | 진수하강 |
상목 | 로라시아상목 |
목 | 박쥐목 |
아목 | 양박쥐아목 |
아목 명명 | 반 덴 부스체와 후퍼, 2004 |
하위 과 | |
과 | 애기박쥐과 주머니날개박쥐과 흡혈박쥐과 큰귀박쥐과 멧박쥐과 붉은박쥐과 자유꼬리박쥐과 깔때기날개박쥐과 세잎날개박쥐과 유령얼굴박쥐과 둥근귀박쥐과 긴가락박쥐과 털발박쥐과 물고기잡이박쥐과 수염박쥐과 |
특징 | |
특징 | 후두 반향정위 진화 |
진화 | |
특징 | 양박쥐아목은 후두에서 울리는 반향정위를 진화시켰다. |
2. 분류
양박쥐아목은 다음과 같이 분류한다.
상과 | 과 |
---|---|
대꼬리박쥐상과 | |
불독박쥐상과 | |
애기박쥐상과 |
2. 1. 대꼬리박쥐상과 (Emballonuroidea)
- 대꼬리박쥐과(보자기날개박쥐과)
- 틈새얼굴박쥐과
2. 2. 불독박쥐상과 (Noctilionoidea)
2. 3. 애기박쥐상과 (Vespertilionoidea)
참조
[1]
논문
Embryonic evidence uncovers convergent origins of laryngeal echolocation in bats
https://www.scienced[...]
2021-04-12
[2]
논문
The evolution of echolocation in bats
https://www.scienced[...]
2006-03-01
[3]
웹사이트
Order Chiroptera bats
http://animaldiversi[...]
animaldiversity.ummz.umich.edu
2007-12-30
[4]
논문
A moveable face: deconstructing the Microchiroptera and a new classification of extant bats
2006
[5]
논문
A Nuclear DNA Phylogenetic Perspective on the Evolution of Echolocation and Historical Biogeography of Extant Bats (Chiroptera)
200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