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음박쥐아목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음박쥐아목은 박쥐의 아목으로, 과거에는 큰박쥐과, 관박쥐상과 등을 포함했다. 2024년 현재, 분자생물학적 연구 결과에 따라 관박쥐상과는 양박쥐아목으로 분류된다. 관박쥐상과에는 키티돼지코박쥐과, 잎코박쥐과, 위흡혈박쥐과, 관박쥐과, 생쥐꼬리박쥐과 등이 속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박쥐 - 양박쥐아목
    양박쥐아목은 전 세계에 분포하며 다양한 크기, 형태, 생태적 지위를 가진 여러 박쥐과를 포함하는 박쥐목의 한 아목으로, 곤충을 주로 먹지만 과일, 꽃꿀, 다른 동물을 먹는 종도 있으며, 다양한 과들의 분류 및 생태 연구가 진행 중이고 일부 종은 멸종 위기에 처해 보존 노력이 필요하다.
  • 박쥐 - 키티돼지코박쥐
    키티돼지코박쥐는 태국과 미얀마의 석회암 동굴에 서식하며 돼지코 모양의 주둥이를 가진 세계에서 가장 작은 박쥐 중 하나로, 작은 곤충을 먹고살며 준위협종으로 분류되어 보전 노력이 필요한 종이다.
음박쥐아목 - [생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금관날여우박쥐
금관날여우박쥐
학명Yinpterochiroptera
명명자Springer, Teeling, Madsen, Stanhope and Jong, 2001
분류
동물계
척삭동물문
포유강
하강진수하강
상목로라시아상목
박쥐목
아목음박쥐아목
아목 명명Van den Bussche & Hoofer, 2004
하위 분류군
과 목록
Craseonycteridae (돼지코박쥐과)
Hipposideridae (둥근잎박쥐과)
Pteropodidae (날여우박쥐과)
Rhinopomatidae (장님쥐박쥐과)
Rhinolophidae (관박쥐과)
Megadermatidae (큰귀박쥐과)

2. 분류

음박쥐아목에는 과일박쥐과(큰박쥐류), 키티돼지코박쥐과, 잎코박쥐과(구세계잎코박쥐류), 위흡혈박쥐과, 관박쥐과, 생쥐꼬리박쥐과가 속한다.

2024년 현재, 분자생물학적 연구 결과에 따라 관박쥐상과는 양박쥐아목으로 분류되지만[1], 과거 분류 체계에서는 음박쥐아목에 속했다.

2. 1. 큰박쥐과 (Pteropodidae)

큰박쥐류 또는 과일박쥐류는 주로 과일을 먹고 산다.[1]

2. 2. 관박쥐상과 (Rhinolophoidea)

2024년 현재, 분자생물학적 연구 결과에 따라 관박쥐상과는 더 이상 음박쥐아목에 포함되지 않고 양박쥐아목으로 분류된다.[1] 하지만, 과거 분류 체계에서는 음박쥐아목에 속했으며, 키티돼지코박쥐과, 잎코박쥐과, 위흡혈박쥐과, 관박쥐과, 생쥐꼬리박쥐과 등을 포함했다.[1]

2. 2. 1. 키티돼지코박쥐과 (Craseonycteridae)

키티돼지코박쥐과는 음박쥐아목에 속하는 박쥐과의 하나이다. 키티돼지코박쥐 등을 포함하며, 매우 작은 크기가 특징이다.

2. 2. 2. 잎코박쥐과 (Hipposideridae)

잎코박쥐과(Hipposideridae)는 구세계잎코박쥐류로 불리며, 독특한 코 구조를 가지고 있다.

2. 2. 3. 위흡혈박쥐과 (Megadermatidae)

위흡혈박쥐과(Megadermatidae)는 가짜흡혈박쥐 또는 위흡혈박쥐 등으로 불린다.

2. 2. 4. 관박쥐과 (Rhinolophidae)

관박쥐과에는 관박쥐 등이 속하며, 한국에서도 서식하는 종이 있다.

2. 2. 5. 생쥐꼬리박쥐과 (Rhinopomatidae)

생쥐꼬리박쥐과는 생쥐꼬리박쥐 등을 포함한다.

참조

[1] 웹사이트 Order Chiroptera bats http://animaldiversi[...] animaldiversity.ummz.umich.edu 2007-12-30
[2] 논문 A moveable face: deconstructing the Microchiroptera and a new classification of extant bats http://www.bio.georg[...] 2008-07-19
[3] 논문 Phylogenomic Analyses Elucidate the Evolutionary Relationships of Bats
[4] 논문 Phylogenomic analyses of bat subordinal relationships based on transcriptome data
[5] 논문 Integrated fossil and molecular data reconstruct bat echolocation
[6] 논문 A Nuclear DNA Phylogenetic Perspective on the Evolution of Echolocation and Historical Biogeography of Extant Bats (Chiroptera)
[7] 웹인용 Order Chiroptera bats http://animaldiversi[...] animaldiversity.ummz.umich.edu 2007-12-30
[8] 간행물 2016-08-0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