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구치-핸슨 공간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에구치-핸슨 공간은 위상수학적으로 2차원 구면의 여접다발인 공간이다. 복소수 좌표를 사용하여 계량 텐서를 정의할 수 있으며, 이는 퍼텐셜에 대한 기번스-호킹 가설 풀이로 구성된다. SU(2) 홀로노미를 가지며, 칼라비-야우 다양체이자 초켈러 다양체이다. 호지 수를 가지며, 유일한 2차 호몰로지는 반 자기 쌍대이다. 에구치 도루와 앤드루 핸슨이 1978년에 발견했으며, 에우제니오 칼라비도 거의 동시에 독립적으로 발견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일반 상대성 이론의 엄밀해 - 슈바르츠실트 계량
슈바르츠실트 계량은 전하와 자하가 0인 정적이고 구면 대칭을 가지는 회전하지 않는 구형 별 또는 블랙홀을 나타내는 시공간의 계량으로, 아인슈타인 방정식의 해이며 블랙홀의 질량에 따라 사건 지평선을 가지는 특징을 보인다. - 일반 상대성 이론의 엄밀해 - 정적 우주
정적 우주는 우주가 팽창하거나 수축하지 않는다고 가정하는 우주 모형이었으나, 아인슈타인이 제시하고 우주 상수를 도입했음에도 허블 법칙 발표 이후 폐기되었으며, 현대 우주론에서 암흑 에너지 개념으로 부활하기도 한다. - 끈 이론 - 중력자
중력자는 중력 상호작용을 매개하는 가상의 기본 입자로 여겨지지만, 양자화된 일반 상대성 이론의 문제로 인해 완전한 이론이 확립되지 않았으며, 중력파의 존재가 간접적으로 뒷받침하지만 직접적인 검출은 현재 불가능하고 질량에 대한 상한선이 제시되고 있으며 초대칭 파트너인 그라비티노의 존재가 예측된다. - 끈 이론 - 잡종 끈 이론
잡종 끈 이론은 닫힌 끈의 왼쪽 진동 모드는 보손 끈, 오른쪽 진동 모드는 초끈으로 전개하며, 10차원 시공간에서 E8×E8 또는 SO(32) 게이지 군을 갖는 끈 이론이다.
에구치-핸슨 공간 | |
---|---|
개요 | |
종류 | 칼라비-야우 다양체 |
차원 | 4차원 |
홀로노미 그룹 | Sp(1) = SU(2) |
관련 개념 | 중력 순간 아티야-히친-싱어 정리 게이지 이론 끈 이론 |
수학적 구조 | |
좌표 | 복소수 좌표 (z₁, z₂) |
켈러 퍼텐셜 | r² + a² |
켈러 계량 | ((r² + a²) δij - z̄ᵢ zⱼ) / (r² + a²)² dzᵢ ⊗ dz̄ⱼ |
r 함수 | (∑ᵢ |zᵢ|²)¹/² |
a 파라미터 | 크기 모듈러스 |
특성 | 비콤팩트, 점근적으로 국소적으로 유클리드 공간 (ALE) |
물리학적 의미 | |
응용 분야 | 끈 이론의 배경 초대칭 양자장론 게이지 이론의 순간자 |
해석 | D-브레인의 기하학적 해 중력 순간으로의 해석 아티야-히친-싱어 정리와의 관계 |
관련 인물 | |
이름의 유래 | 에구치 데루마사, 앤드루 핸슨 |
2. 정의
에구치-핸슨 공간은 기번스-호킹 가설 풀이로 구성할 수 있다.
2. 1. 좌표계 및 계량 텐서
에구치-핸슨 공간은 위상수학적으로 (2차원 구면의 여접다발)이다. 복소수 좌표 에 대하여, 계량 텐서는 다음과 같다.:
여기서 이고, 는 순간자의 크기를 나타내는 매개 변수다. 이 좌표에서 로 간주하면, 에서 특이점이 없음을 보일 수 있다.
2. 2. 기번스-호킹 가설 풀이
에구치-핸슨 공간은 다음 퍼텐셜에 대한 기번스-호킹 가설 풀이로 구성될 수 있다.:
3. 성질
에구치-핸슨 공간은 SU(2)=USp(2) 홀로노미를 가지므로, 칼라비-야우 다양체이자 초켈러 다양체이다.
에구치-핸슨 공간의 호지 수는 다음과 같다.
1 | ||||
---|---|---|---|---|
0 | 0 | |||
0 | 1 | 0 | ||
0 | 0 | |||
1 |
여기서 유일한 2차 호몰로지는 반 자기 쌍대(anti-self-dual영어)이다. 즉, 반(反) 자기 쌍대 2차 미분 형식 (양-밀스 순간자)이 존재한다.
3. 1. 홀로노미
에구치-핸슨 공간은 SU(2)=USp(2) 홀로노미를 가진다. 따라서 이는 칼라비-야우 다양체이자 초켈러 다양체이다.에구치-핸슨 공간의 호지 수들은 다음과 같다.
1 | ||||
---|---|---|---|---|
0 | 0 | |||
0 | 1 | 0 | ||
0 | 0 | |||
1 |
여기서 유일한 2차 호몰로지는 반 자기 쌍대(anti-self-dual영어)이다. 즉, 반(反) 자기 쌍대 2차 미분 형식 (양-밀스 순간자)이 존재한다.
3. 2. 호지 수
에구치-핸슨 공간의 호지 수는 다음과 같다.1 | ||||
0 | 0 | |||
0 | 1 | 0 | ||
0 | 0 | |||
1 |
여기서 유일한 2차 호몰로지는 반 자기 쌍대(anti-self-dual영어)이다. 즉, 반(反) 자기 쌍대 2차 미분 형식 (양-밀스 순간자)이 존재한다.
4. 역사
에구치 도루(江口 徹|에구치 도루일본어)와 앤드루 핸슨(Andrew J. Hanson영어)이 1978년에 발견하였다.[4][5][6] 이와 거의 동시에 에우제니오 칼라비도 같은 공간을 독자적으로 발견하였다.[7]
참조
[1]
논문
Selfdual solutions to Euclidean gravity
http://www.slac.stan[...]
[2]
논문
Métriques kählériennes et fibrés holomorphes
http://www.numdam.or[...]
[3]
서적
String Theory Volume II: Superstring Theory and Beyond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98
[4]
저널
Asymptotically flat self-dual solutions to euclidean gravity
http://www.cs.indian[...]
1978-04-10
[5]
저널
Self-dual solutions to Euclidean gravity
http://www.cs.indian[...]
1979-07
[6]
저널
Gravitational instantons
http://www.cs.indian[...]
1979-12
[7]
저널
Métriques kählériennes et fibrés holomorphes
1979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