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두아르 로제바슬랭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에두아르 로제바슬랭은 프랑스의 테니스 선수로, 그의 아버지 크리스토프 로제바슬랭 역시 테니스 선수였다. 로제바슬랭은 4대 메이저 대회 단식 최고 성적은 3회전 진출이며, 복식에서는 2014년 프랑스 오픈에서 우승을 차지했다. 또한, 2012년 오픈 쉬드 드 프랑스 복식에서 우승을 시작으로, 2013년 윔블던 선수권 대회 복식 4강, 2013년 라쿠텐 재팬 오픈 테니스 선수권 대회 우승, 2015년 신시내티 마스터스 우승, 2023년 파리 마스터스 우승, 2023년 마이애미 오픈 우승 등 복식에서 뛰어난 성적을 거두었다. 2024년 프랑스 오픈 혼합 복식에서 우승을 차지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젠빌리에 출신 - 로슈디 젬
프랑스의 배우, 영화 감독, 각본가인 로슈디 젬은 1987년 영화 데뷔 후 다양한 영화에 출연하며 연기력을 인정받았고, 2006년부터는 영화 감독 및 각본가로도 활동하고 있다. - 젠빌리에 출신 - 다비드 은고그
카메룬 출신 프랑스 축구 선수 다비드 은고그는 파리 생제르맹 FC에서 프로 생활을 시작하여 여러 유럽 클럽에서 활약, 리그컵과 LFF 슈퍼컵 우승 후 은퇴했다가 파니오니오스 FC로 복귀했다. - 프랑스의 남자 테니스 선수 - 아르노 디 파스쿠알
아르노 디 파스쿠알은 프랑스의 전 프로 테니스 선수로, 1997년 US 오픈 주니어 남자 단식 우승, 2000년 시드니 올림픽 남자 단식 동메달(로저 페더러 꺾음)을 획득했으며, ATP 투어 단식 1승 1패, 그랜드 슬램 프랑스 오픈 4회전, ATP 마스터스 1000 시리즈 함부르크 유러피언 오픈 8강이 최고 성적이다. - 프랑스의 남자 테니스 선수 - 리샤르 가스케
프랑스 프로 테니스 선수인 리샤르 가스케는 뛰어난 원핸드 백핸드를 주무기로 하며 "테니스의 모차르트"라는 찬사를 받았고, 윔블던과 US 오픈 4강 진출, 런던 올림픽 복식 동메달, ATP 투어 단식 16회 우승, 데이비스 컵 우승 등의 업적을 달성했다. - 2024년 하계 올림픽 테니스 참가 선수 - 바르보라 크레이치코바
바르보라 크레이치코바는 체코의 프로 테니스 선수로, 그랜드 슬램 단식 2회 우승과 복식 8회 우승, 올림픽 금메달, 복식 세계 랭킹 1위 등 단식과 복식 모두에서 뛰어난 성적을 거두었으며, 강력한 서브와 그라운드 스트로크를 기반으로 공격적인 플레이를 펼치는 것이 특징이다. - 2024년 하계 올림픽 테니스 참가 선수 - 도나 베키치
도나 베키치는 사회과학의 한 분야로, 인간 사회와 관련된 현상을 탐구하며, 사회의 다양한 측면을 이해하기 위해 여러 학문 분야를 포괄한다.
에두아르 로제바슬랭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국가 | 프랑스 |
거주지 | 불로뉴-비앙쿠르, 프랑스 |
출생일 | 1983년 11월 28일 |
출생지 | 젠빌리에, 프랑스 |
신장 | 1.88m |
프로 전향 | 2002년 |
플레이 스타일 | 오른손 (양손 백핸드) |
코치 | 데이브 마셜 |
통산 상금 | $8,092,538 |
단식 | |
통산 전적 | 84승 125패 (ATP 월드 투어, 그랜드 슬램, 데이비스 컵) |
통산 우승 | 0회 |
최고 랭킹 | 35위 (2014년 2월 10일) |
호주 오픈 최고 성적 | 3라운드 (2014) |
프랑스 오픈 최고 성적 | 3라운드 (2007) |
윔블던 최고 성적 | 3라운드 (2007) |
US 오픈 최고 성적 | 2라운드 (2013) |
복식 | |
통산 전적 | 414승 279패 (ATP 월드 투어, 그랜드 슬램, 데이비스 컵) |
통산 우승 | 28회 |
최고 랭킹 | 6위 (2014년 11월 3일) |
현재 랭킹 | 11위 (2024년 7월 22일) |
호주 오픈 최고 성적 | 8강 (2015) |
프랑스 오픈 최고 성적 | 우승 (2014) |
윔블던 최고 성적 | 준우승 (2016, 2019) |
US 오픈 최고 성적 | 8강 (2017, 2018) |
기타 토너먼트 | 예 |
ATP 파이널스 최고 성적 | 준우승 (2020) |
올림픽 최고 성적 | 2라운드 (2024) |
혼합 복식 | |
통산 우승 | 1회 |
호주 오픈 최고 성적 | 8강 (2018) |
프랑스 오픈 최고 성적 | 우승 (2024) |
윔블던 최고 성적 | 8강 (2021, 2022) |
US 오픈 최고 성적 | 준우승 (2022) |
기타 토너먼트 | 예 |
올림픽 최고 성적 | 1라운드 (2024) |
기타 정보 | |
별칭 | Doudou |
최종 업데이트 | 2024년 7월 29일 |
2. 경력
에두아르 로제바슬랭의 아버지 크리스토프 로제바슬랭은 1983년 프랑스 오픈 남자 단식에서 지미 코너스를 꺾고 준결승에 진출한 경력이 있는 유명 테니스 선수이다.
4대 메이저 대회 단식 최고 성적은 3회전 진출이다. 2009년 라쿠텐 재팬 오픈에서는 예선부터 통과하여 1회전에서 당시 5위였던 후안 마르틴 델 포트로를 꺾는 파란을 일으키며 처음으로 톱 10 선수에게 승리했다.[10]
2012년에는 니콜라 마위와 짝을 이루어 오픈 쉬드 드 프랑스 복식에서 첫 우승을 포함, 총 3번 우승했다. 2013년 윔블던 선수권 대회 남자 복식에서는 로한 보판나와 짝을 이루어 4강에 진출했고, 2013년 라쿠텐 재팬 오픈 테니스 선수권 대회에서도 우승했다. 2014년 프랑스 오픈 남자 복식에서는 줄리앙 베네토와 짝을 이루어 마르셀 그라노예르스/마르크 로페스 조를 꺾고 첫 메이저 대회 타이틀을 획득했다. 이는 1984년 야니크 노아와 앙리 르콩트 이후 30년 만에 프랑스 선수 조가 프랑스 오픈에서 우승한 것이었다.[11]
2. 1. 초기 경력
프랑스 오픈에서 와일드카드로 3라운드에 진출했다. 2라운드에서 라덱 스테파넥을 3-6, 6-1, 0-6, 6-4, 6-4로 5세트 접전 끝에 승리했다. 윔블던에서도 3라운드에 진출하여 24번 시드 후안 이그나시오 체라를 스트레이트 세트로 꺾었고, 그 결과 처음으로 100위 안에 들었다. 2007년 7월 16일, 최고 랭킹 82위를 기록했다.4대 메이저 대회에서는 2007년 프랑스 오픈에서 와일드카드를 받아 처음 출전했다. 2회전에서 라데크 스테파넥을 3-6, 6-1, 0-6, 6-4, 6-4로 꺾었고, 3회전에서 후안 모나코에게 4-6, 2-6, 4-6으로 패했다. 이어진 2007년 윔블던 선수권 대회에서도 3회전까지 진출했다. 메이저 대회 단식 최고 성적은 3회전 진출이다.[10]
2. 2. 2009년 재팬 오픈
재팬 오픈에서 로제바슬랭은 예선을 통과하여 2009 US 오픈 챔피언 후안 마르틴 델 포트로와 1라운드 경기를 가졌다. 당시 189위였던 로제바슬랭은 세계 랭킹 5위였던 델 포트로를 6-4, 6-4로 꺾는 이변을 연출했다.[10] 이 경기는 로제바슬랭의 시즌 첫 ATP 투어 레벨 승리였다. 이후 로제바슬랭은 오스트리아의 위르겐 멜처를 꺾고 3라운드에 진출했지만, 전 세계 랭킹 1위인 레이튼 휴이트에게 0-2로 패했다.2. 3. 2012-2013년 복식에서의 성공
델레이 비치 인터내셔널 챔피언십에서 로제바슬랭은 존 이스너를 포함한 4명의 상대를 꺾고 생애 첫 ATP 토너먼트 결승에 진출했지만, 에르네스트스 굴비스에게 패했다.[2] 복식에서는 니콜라 마위와 함께 뉴포트 명예의 전당 클래식에서, 이고르 시즐링과 함께 애틀랜타에서 우승하며 두 개의 타이틀을 획득했다.[2]로한 보파나와 짝을 이뤄 2013년 윔블던 선수권 대회 남자 복식 4강에 진출했으나, 준결승에서 브라이언 형제에게 7-6(4), 4-6, 3-6, 7-5, 3-6으로 패했다.[11] 2013년 라쿠텐 재팬 오픈 테니스 선수권 대회에서도 보파나와 짝을 이루어 우승했다.[11]
2. 4. 2014년 프랑스 오픈 복식 우승
로제바슬랭은 줄리앙 베네토와 함께 2014년 프랑스 오픈 남자 복식에 출전하여 마르셀 그라노예르스/마르크 로페스 조를 결승에서 6-3, 7-6(1)으로 꺾고 우승하며, 그의 선수 경력에 정점을 찍었다.[11] 이는 1984년 프랑스 오픈에서 야니크 노아와 앙리 르콩트 조가 우승한 이후 30년 만에 프랑스 선수 조가 프랑스 오픈에서 우승한 것이었다.[11]2. 5. 2015-2023년: 마스터스 1000 우승 및 Top 10 진입
그는 다니엘 네스터와 짝을 이루어 신시내티에서 생애 첫 마스터스 타이틀을 획득했다.[1]결과 | 연도 | 대회 | 코트 | 파트너 | 상대 | 점수 |
---|---|---|---|---|---|---|
패 | 2015 | 캐나다 오픈 | 하드 | Daniel Nestor|다니엘 네스터영어 | Bob Bryan|밥 브라이언영어 Mike Bryan|마이크 브라이언영어 | 6–7(5–7), 6–3, [6–10] |
우승 | 2015 | 신시내티 마스터스 | 하드 | Daniel Nestor|다니엘 네스터영어 | Marcin Matkowski|마르친 마트코프스키pl Ненад Зимоњић|네나드 지몬지치sr | 6–2, 6–2 |
패 | 2017 | 마드리드 오픈 | 클레이 | Nicolas Mahut|니콜라 마위프랑스어 | Łukasz Kubot|우카시 쿠보트pl Marcelo Melo|마르셀로 멜로pt | 5–7, 3–6 |
패 | 2022 | 인디언 웰스 마스터스 | 하드 | Santiago González|산티아고 곤잘레스es | John Isner|존 이스너영어 Jack Sock|잭 속영어 | 6–7(4–7), 3–6 |
우승 | 2023 | 마이애미 오픈 | 하드 | Santiago González|산티아고 곤잘레스es | Austin Krajicek|오스틴 크라지첵영어 Nicolas Mahut|니콜라 마위프랑스어 | 7–6(7–4), 7–5 |
우승 | 2023 | 파리 | 하드 (i) | Santiago González|산티아고 곤잘레스es | Rohan Bopanna|로한 보파나영어 Matthew Ebden|매튜 에브덴영어 | 6–2, 5–7, [10–7] |
에두아르 로제바슬랭은 복식에서 뛰어난 성적을 거두었다. 2023 마이애미 오픈에서 산티아고 곤잘레스와 함께 잭슨 위드로와 너새니얼 래먼스를 꺾고 우승했으며,[4] 니콜라 마위와 오스틴 크라지첵을 꺾고 두 번째 마스터스 타이틀을 획득했다.[5]
3. ATP 투어 결승 진출 기록
2023 로스 카보스 오픈[6][7], 2023 바젤 오픈[8]에서 우승했고, 산티아고 곤잘레스와 함께 2023 롤렉스 파리 마스터스에서 우승하며 통산 세 번째로 2023 ATP 파이널스 출전을 확정했다.[9]
3. 1. 단식: 2회 (준우승 2회)
에두아르 로제바슬랭은 단식에서 2회 준우승하였다.
결과 | 승-패 | 날짜 | 대회 | 등급 | 표면 | 상대 | 점수 |
---|---|---|---|---|---|---|---|
준우승 | 0–1 | 2013년 3월 | 델레이 비치 오픈, 미국 | 250 시리즈 | 하드 | Ernests Gulbis|에르네스츠 굴비스영어 ( 에르네스트 굴비스) | 6–7(3–7), 3–6 |
준우승 | 0–2 | 2014년 1월 | 첸나이 오픈, 인도 | 250 시리즈 | 하드 | Stanislas Wawrinka|스타니슬라스 바브링카영어 ( 스타니슬라스 바브린카) | 5–7, 2–6 |
3. 1. 1. 준우승 (2)
에두아르 로제바슬랭은 2013년 3월 델레이 비치 오픈에서 에르네스트 굴비스(Ernests Gulbis|에르네스츠 굴비스영어)에게 6–7(3–7), 3–6으로 패하며 준우승을 기록했다.[1] 또한, 2014년 1월 첸나이 오픈에서는 스타니슬라스 바브린카(Stanislas Wawrinka|스타니슬라스 바브링카영어)에게 5–7, 2–6으로 패하며 준우승했다.[2]결과 | 승-패 | 날짜 | 대회 | 등급 | 표면 | 상대 | 점수 |
---|---|---|---|---|---|---|---|
패 | 0–1 | 2013년 3월 | 델레이 비치 오픈, 미국 | 250 시리즈 | 하드 | Ernests Gulbis|에르네스츠 굴비스영어 ( 에르네스트 굴비스) | 6–7(3–7), 3–6 |
패 | 0–2 | 2014년 1월 | 첸나이 오픈, 인도 | 250 시리즈 | 하드 | Stanislas Wawrinka|스타니슬라스 바브링카영어 ( 스타니슬라스 바브린카) | 5–7, 2–6 |
3. 2. 복식: 46회 (우승 28회, 준우승 18회)
에두아르 로제바슬랭은 복식 경기에서 총 28회 우승했고, 18회 준우승했다.3. 2. 1. 우승 (28)
프랑스제이미 머레이
프랑스
조-윌프리드 송가
프랑스
프레데릭 닐센
미국
라인 윌리엄스
콜롬비아
디비지 샤란
미국
조나단 머레이
일본
존 피어스
프랑스 (2)
제이미 머레이
프랑스
마르크 로페스
중국
마이크 브라이언
콜롬비아
마이클 비너스
캐나다
마이크 브라이언
미국
네나드 지몬지치
프랑스 (2)
니콜라스 마위
중국
잭 소크
영국
니콜라스 마위
미국
알렉산더 페야
벨기에
니콜라스 마위
스페인
마르셀로 멜로
영국
브루노 소아레스
프랑스 (3)
아르템 시타크
스위스
마르셀 그라노예르스
모로코
알렉산더 페야
미국
브루노 소아레스
프랑스 (4)
닐 스쿠프스키
벨기에 (2)
산티아고 곤잘레스
오스트리아
닐 스쿠프스키
프랑스 (2)
앙투안 오앙
프랑스
닐 스쿠프스키
영국
로버트 파라
프랑스
얀-레나르트 슈트루프
일본
프랑코 슈쿠고르
스웨덴
브루노 소아레스
러시아
마트베 미델코프
불가리아
닐 스쿠프스키
영국
니콜라 메크티치
프랑스 (3)
안드레이 바실레프스키
미국
잭 소크
이탈리아
오스틴 크라지체크
스위스
오스틴 크라지체크
프랑스
파브리스 마탱
미국
오스틴 크라지체크
멕시코
도미니크 쾨프퍼
스위스
얀 지엘린스키
매튜 에브덴
독일
팀 퓌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