윔블던 선수권 대회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윔블던 선수권 대회는 매년 6월 말 또는 7월 초에 영국 윔블던에서 열리는 권위 있는 테니스 대회이다. 1877년 시작된 이 대회는 남자 단식, 여자 단식, 남자 복식, 여자 복식, 혼합 복식 등 여러 종목으로 구성되며, 잔디 코트에서 진행되는 유일한 그랜드 슬램 대회이다. 윔블던은 전통적인 복장 규정, 딸기와 크림, 라인 심판의 존재 등 독특한 문화와 관습으로 유명하며, BBC를 통해 전 세계에 중계된다. 역대 챔피언으로는 마르티나 나브라틸로바, 로저 페더러 등이 있으며, 2023년에는 카를로스 알카라스와 마르케타 본드로우소바가 각각 남자 단식과 여자 단식에서 우승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877년 설립 - 스탬퍼드 브리지
스탬퍼드 브리지는 1877년 육상 경기장으로 개장하여 첼시 FC의 홈구장으로 사용되며, 여러 차례 재건축과 확장을 거쳐 현재 4개의 스탠드와 부대 시설을 갖춘 곳이다. - 잉글랜드의 테니스 대회 - 2012년 하계 올림픽 테니스
윔블던 선수권 대회 | |
---|---|
기본 정보 | |
![]() | |
명칭 | 윔블던 선수권 대회 |
공식 명칭 | The Championships, Wimbledon |
마지막 대회 | 2024 윔블던 선수권 대회 |
마지막 대회 별칭 | 2024 윔블던 |
창설 | 1877년 |
대회 횟수 | 137회 (2024) |
개최 도시 | 런던 |
개최 국가 | 잉글랜드, 영국 |
경기장 | 올잉글랜드 론 테니스 앤드 크로케 클럽 워플 로드 처치 로드 |
코트 표면 | 잔디 (실외) |
총 상금 | £50,000,000 (2024년) |
웹사이트 | 윔블던 공식 웹사이트 |
남자 단식 | |
남자 단식 드로 | (128) / 64 (16) |
남자 단식 현재 챔피언 | 카를로스 알카라스 (단식) |
남자 복식 현재 챔피언 | 하리 헬리오바라 헨리 패튼 (복식) |
남자 단식 최다 우승 | 로저 페더러 (8회) |
남자 복식 최다 우승 | 토드 우드브리지 (9회) |
여자 단식 | |
여자 단식 드로 | (128) / 64 (16) |
여자 단식 현재 챔피언 | 바르보라 크레이치코바 (단식) |
여자 복식 현재 챔피언 | 카테리나 시니아코바 테일러 타운젠드 (복식) |
여자 단식 최다 우승 | 마르티나 나브라틸로바 (9회) |
여자 복식 최다 우승 | 엘리자베스 라이언 (12회) |
혼합 복식 | |
혼합 복식 드로 | 32 |
혼합 복식 현재 챔피언 | 얀 지엘린스키 셰쑤웨이 |
남자 혼합 복식 최다 우승 | 린더 파에스 (4회) 빅 세이샤스 (4회) 오웬 데이비슨 (4회) 켄 플레처 (4회) |
여자 혼합 복식 최다 우승 | 엘리자베스 라이언 (7회) |
기타 정보 | |
특징 | 윔블던은 세계에서 가장 권위 있는 테니스 대회 중 하나로 여겨짐 |
전통 | 딸기와 크림이 제공되는 전통이 있음 |
스폰서십 | 115년 이상 지속된 스폰서십이 있음 |
기타 | |
비고 | 윔블던 선수권 대회는 공식적으로 'The Championships, Wimbledon'으로 알려져 있음 |
과거 취소 사례 | 코로나19 팬데믹을 포함하여 여러 차례 취소된 적이 있음 |
2. 역사
== 역사 ==
1877년 7월 9일, 센터코트 잔디 관리용 롤러 교체 자금 마련을 위해 제1회 윔블던 선수권 대회가 열렸다. 당시에는 남자 단식만 진행되었고, 21명의 아마추어 선수가 참가하여 스펜서 고어가 초대 챔피언이 되었다.[144] 1884년에는 여자 단식과 전영 남자 복식이 추가되었고, 1913년에는 여자 복식과 혼합 복식이 추가되었다. 1968년에는 프로 선수의 참가가 허용되면서 대회의 규모와 위상이 크게 확대되었다.[144] 1913년에는 여성 참정권 운동가들이 윔블던 구장을 파괴하려는 시도를 했지만, 당시 한 관리인에게 적발되어 미수에 그쳤다.[62]
2009년에는 센터코트에 개폐식 지붕이 설치되어 악천후에도 경기 진행이 가능해졌다. 같은 해 6월 29일, 디나라 사피나와 아멜리 모레스모의 경기에서 처음으로 사용되었다.[146] 2015년부터는 프랑스 오픈과의 기간이 3주로 늘어났다. 2020년에는 코로나19 팬데믹으로 인해 제2차 세계대전 이후 처음으로 대회가 중단되었다.[148][149][150][151] 같은 해, 올잉글랜드 로우테니스 클럽(AELTC)은 2021년부터 남자 단식 시드 배정에 세계 랭킹만을 기준으로 한다고 발표했다.[152][153]
2022년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으로 인해 러시아와 벨라루스 선수들의 참가가 금지되었다.[154][155][156] 이 결정은 ATP와 WTA로부터 국적에 근거한 차별이라는 비판을 받았고, 노박 조코비치, 마르티나 나브라틸로바, 빌리 진 킹 등도 반대 의사를 표명했다.[157][158][159] 결과적으로 ATP와 WTA는 윔블던에 세계 랭킹 포인트를 부여하지 않기로 결정했고,[163][164] 이로 인해 큰 논란이 발생했다. 2023년 이후 러시아와 벨라루스 선수들의 참가가 재개되었고 랭킹 포인트 부여도 부활했다.[167]
2. 1. 초기
올잉글랜드 론 테니스 앤드 크로케 클럽은 1868년 7월 23일 설립되었으며, 초기 명칭은 ‘올잉글랜드 크로케 클럽’이었다. 스펜서 고어가 우승한 1877년, 최초의 론 테니스 선수권 대회가 윔블던 워플로드에 위치한 경기장에서 개최되었다. 이 대회는 남자 단식 경기만 진행되었고, 약 200명의 유료 관람객이 참석했다. 스펜서 고어는 구식 해로비안 라켓을 사용하여 우승을 차지했으며, 당시 제정된 규정은 현대 테니스 규정과 거의 동일했다. 메인 코트는 '센터 코트'로 명명되었는데, 이는 당시 메인 코트가 다른 코트들의 중앙에 위치했기 때문이다. 1882년에는 클럽 활동이 론 테니스로 거의 한정되면서 클럽 명칭에서 '크로케'가 제외되었지만, 1889년 다시 복원되었다. 1884년에는 여자 단식과 남자 복식이 추가되었고, 1913년에는 여자 복식과 혼합 복식이 추가되었다. 1922년 이전까지는 현직 챔피언이 다음 해 대회 결승에 자동 진출하는 방식이었다. 1968년 오픈 시대가 시작될 때까지 윔블던에는 톱 랭킹 아마추어 선수들이 주로 참가했다. 1937년에는 대회가 최초로 텔레비전으로 중계되었다. [11] [12] [13] [14] [144]2. 2. 1990년대 및 그 이후
윔블던은 21세기에도 최고 권위의 테니스 대회로서의 위상을 유지하기 위해 1993년부터 장기적인 개선 계획을 추진했다. 1단계는 1997년 새로운 1번 코트, 방송 센터, 추가 잔디 코트, 그리고 터널 건설로 이루어졌다. 2단계는 옛 1번 코트 자리에 선수와 관계자를 위한 밀레니엄 빌딩을 건설하고 센터 코트 좌석을 확장하는 것이었다. 3단계는 입구 빌딩, 직원 숙소, 박물관, 은행, 티켓 오피스 건설로 마무리되었다.[184]2009년에는 센터 코트에 개폐식 지붕이 설치되어 우천에도 경기 진행이 가능해졌다. 같은 해 5월 17일에는 개폐식 지붕 설치 기념 행사가 열렸으며, 안드레 애거시, 슈테피 그라프, 킴 클리스터스, 팀 헨먼 등이 참가했다. 처음으로 개폐식 지붕을 사용한 경기는 디나라 사피나와 아멜리 모레스모의 여자 단식 4회전 경기였으며, 지붕을 닫고 경기가 완전히 진행된 첫 번째 경기는 앤디 머레이와 스타니슬라스 바브링카의 남자 단식 경기였다.[185] 2009년에는 2번 코트를 위한 새로운 좌석이 설치되었고, 2010년에는 3번 코트를 위한 좌석 설치가 진행되었다.[186]
2015년부터 프랑스 오픈과의 기간이 3주로 늘어났다. 2020년에는 코로나19 팬데믹으로 인해 대회가 중단되었는데, 이는 제2차 세계대전 이후 처음 있는 일이었다.[148][149][150][151] 2021년부터는 남자 단식 시드 배정에 세계 랭킹만을 기준으로 하게 되었다.[152][153]
2022년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으로 인해 러시아와 벨라루스 선수들의 참가가 금지되었다. 이 결정은 ATP, WTA 등으로부터 국적에 근거한 차별이라는 비판을 받았고, 노박 조코비치, 마르티나 나브라틸로바, 빌리 진 킹 등도 반대 의사를 표명했다.[154][155][156][157][158][159] 엘리나 스비톨리나를 비롯한 우크라이나 선수들과 러시아 선수들 또한 이에 대한 다양한 의견을 표명했다.[160][161][162] 결과적으로 ATP와 WTA는 윔블던에 세계 랭킹 포인트를 부여하지 않기로 결정했고,[163][164] 이로 인해 논란이 더욱 커졌다. 특히 노박 조코비치의 랭킹 하락과 다닐 메드베데프에게 유리하게 작용하는 역설적인 상황이 발생했다. [165][166] 다음 해부터는 러시아와 벨라루스 선수들의 참가가 허용되고 랭킹 포인트도 부여되었다.[167]
2. 3. 21세기
21세기에 접어들면서 윔블던은 세계 최고의 테니스 대회로서의 위상을 유지하기 위해 다각적인 노력을 기울였다. 1993년 발표된 장기 계획은 관중, 선수, 관계자, 그리고 지역 주민들을 위한 대회 환경 개선을 목표로 삼았다.[16] 1단계(1994~1997년)는 새로운 1번 코트, 방송 센터, 추가 잔디 코트 건설과 교통 편의를 위한 터널 건설을 포함했다. 2단계(1997~2009년)는 밀레니엄 빌딩 건설과 센터 코트 확장을 통해 선수와 관계자들을 위한 시설을 대폭 개선했다. 3단계(2000~2011년)는 입구 건물, 직원 주택, 박물관 등 부대시설 확충에 집중했다.[17]2009년에는 센터 코트에 개폐식 지붕이 설치되어 악천후에도 경기 진행이 가능해졌다. 같은 해 안드레 애거시, 슈테피 그라프 등 전설적인 선수들이 참여한 시범 경기로 새로운 지붕을 선보였고, 디나라 사피나와 아멜리 모레스모의 경기가 지붕 아래에서 처음으로 진행된 챔피언십 경기가 되었다. 앤디 머레이는 2012년 마르코스 바그다티스와의 경기에서 윔블던 역사상 가장 늦은 시간에 경기를 마치기도 했다. 2012년 페더러와 머레이의 남자 단식 결승전은 지붕이 작동된 최초의 단식 결승전이었다.
2009년에는 4,000석 규모의 새로운 2번 코트와 2,000석 규모의 새로운 3번 코트가 건설되었다.[18] [19] 2011년에는 챔피언십 관련 모든 자산을 자회사로 이전하여 운영의 효율성을 높였다.[20] 2012년에는 런던 올림픽 테니스 경기를 개최하여 대회의 위상을 더욱 높였다.[21]
2013년 발표된 '마스터 플랜'은 향후 10~15년간 선수 및 미디어 시설 확충, 1번 코트 확장 및 개폐식 지붕 설치, 새로운 음식 및 접대 공간 마련, 박물관 확장, 주차장 건설, 실내 코트 건설 등을 포함한 대대적인 시설 개선 계획을 담고 있다. [22][23] [24] 이 계획에는 예선 경기 개최를 위해 인근 골프 클럽 부지를 매입하는 내용도 포함되어 있다.[25]
2018년에는 모든 경기의 마지막 세트에 12-12 동점 시 타이브레이크를 도입했고, 2019년부터는 쿼드 휠체어 경기를 정규 종목으로 추가했다.[26][27][28] 코로나19 팬데믹으로 인해 2020년 대회는 2차 세계대전 이후 처음으로 취소되었으며,[29] 무관중 경기 개최 가능성도 검토되었으나 현실적인 어려움으로 인해 취소 결정이 내려졌다.[30] 클럽은 사전에 체결한 보험 계약을 통해 상당한 손실 보상을 받았다.[31]
2022년 2022년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으로 인해 러시아와 벨라루스 선수들의 출전이 금지되었고,[32] 이에 ATP, WTA, ITF는 랭킹 포인트를 부여하지 않기로 결정했다.[33] 2023년에는 출전 금지 조치가 해제되었고,[34] 2024년에는 2025년 대회부터 모든 코트에서 전자 라인콜 시스템을 도입할 예정임을 발표했다.[35][36]
2. 4. 최근 변화
2020년에는 COVID-19 팬데믹으로 인해 2차 세계대전 이후 처음으로 대회가 취소되었다. 팀 헨먼을 포함한 올잉글랜드 클럽 관계자들은 무관중 경기를 고려했으나, 최소 5,000명 이상의 인원이 필요하여 실행 불가능하다고 판단했다. 클럽은 사스 발생 이후 보험에 가입하여 약 1억 1,400만 파운드(약 1억 7천만 달러)의 보험금을 받았다. 하지만 예상 손실은 약 2억 5천만 파운드(약 3억 8천만 달러)에 달했다. [29] [30] [31]2022년에는 2022년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으로 인해 러시아와 벨라루스 선수들의 출전이 금지되었다. 이는 ATP, WTA, ITF와 같은 국제 테니스 기구들의 반발을 불러왔고, 이들은 이 결정을 국적을 기반으로 한 차별이라고 비난하며 윔블던에 랭킹 포인트를 부여하지 않기로 결정했다. 노박 조코비치를 비롯한 많은 선수들 또한 이 결정에 대한 우려를 표명했다. [32] [33] 하지만 2023년 3월 31일, 올잉글랜드 클럽은 러시아와 벨라루스 선수에 대한 출전 금지 조치를 해제했다. [34]
2025년부터는 모든 코트에서 라인 심판을 전자 라인콜 기술로 대체할 예정이다. [35] [36]
3. 경기 구성
== 경기 구성 ==
윔블던 선수권 대회는 여러 경기 부문으로 구성되어 있다. 원래는 5개의 메인 경기 부문과 4개의 주니어 경기, 그리고 7개의 초청 경기 부문으로 구성되었다고 알려져 있지만,[187][37] 세부 내용은 시대에 따라 변동이 있었다. 주요 종목 외에도 주니어와 초청 경기가 있으며, 각 경기의 형식 또한 중요한 특징이다. 주니어 경기는 '침블던'(Chimbledon)이라고도 불리며, 혼합 복식 종목은 없고 남자 단식과 여자 단식 각 64명, 남자 복식과 여자 복식 각 32팀이 참가한다. 단식은 64드로, 복식은 32드로 방식으로 진행된다.
초청 경기는 남자 초청 복식, 시니어 남자 초청 복식, 여자 초청 복식, 그리고 남녀 휠체어 단식 및 복식 등으로 구성된다.[188][189][190][38][39] 남자 초청 복식과 여자 초청 복식, 시니어 남자 초청 복식은 8개 팀이 조별 리그를 진행한다. 남자 초청 복식 참가 선수는 35세 이상, 시니어 남자 초청 복식 참가 선수는 45세 이상이다.[188][189] 남녀 휠체어 복식에는 각각 4개 팀이 참가한다.[190][39] 휠체어 단식 경기도 남녀 각각 진행된다.[38][39]
경기 형식은 대부분 3세트 2선승제이지만, 남자 단식과 (2023년 이전) 남자 복식 경기는 5세트 3선승제였다. 2023년에는 선수들의 불만으로 인해 남자 복식 경기 방식이 3세트 2선승제로 변경되었다.[40] 게임 스코어가 6-6 동률이 되면 타이브레이크를 적용하지만, 마지막 세트에서는 한 선수가 2게임 차이로 이길 때까지 타이브레이크 없이 진행된다. 2018년까지는 마지막 세트를 제외한 모든 세트에서 6-6 동점 시 타이브레이크를 적용했고, 2게임 차이로 승리해야 했지만, 2019년부터는 마지막 세트에서 12-12 동점 시 타이브레이크가 적용되었다.[26] 2022년부터는 모든 경기에서 6-6 동점 시 10점을 먼저 얻고 2점 차이로 승리해야 하는 타이브레이크가 적용된다.[41][42] 9-9 동점인 경우에는 2점 차이로 승리할 때까지 경기가 계속된다. 모든 경기는 단식 토너먼트 방식으로 진행되며, 패배하면 탈락한다. 다만, 일부 초청 경기는 리그전 방식으로 진행된다.
1921년까지는 전년도 우승자(여자 복식 및 혼합 복식 제외)가 결승전에 자동 진출하는 특혜를 받았지만, 1922년부터는 모든 선수가 동일하게 모든 라운드를 경기해야 한다.
3. 1. 메인 경기
윔블던 선수권 대회의 메인 경기는 남자 단식, 여자 단식, 남자 복식, 여자 복식, 혼합 복식으로 구성된다. 남자 단식과 여자 단식에는 각각 128명의 선수가 참가하며, 128드로 방식으로 경기가 진행된다. 남자 복식과 여자 복식에는 각각 64팀이 참가하며, 64드로 방식으로 경기가 진행된다. 혼합 복식에는 48드로 방식으로 경기가 진행되며, 참가팀은 48팀이다. 각 경기는 토너먼트 방식으로 진행되어 최종 우승자를 가린다.3. 2. 주니어 경기
주니어 경기는 '칠드런스 윔블던'(Children's Wimbledon)이라는 명칭을 줄여 '침블던'(Chimbledon)이라고도 부른다. 주니어 경기는 혼합 복식 종목이 없으며, 남자 단식과 여자 단식 각 64명, 남자 복식과 여자 복식 각 32팀이 참가한다. 남자/여자 단식은 64명의 선수가 참가하는 64드로 방식으로 진행되고, 남자/여자 복식은 32팀이 참가하는 32드로 방식으로 진행된다.3. 3. 초청 경기
윔블던 선수권 대회의 초청 경기는 남자 초청 복식, 시니어 남자 초청 복식, 여자 초청 복식, 남자 휠체어 단식, 여자 휠체어 단식, 남자 휠체어 복식, 여자 휠체어 복식 등으로 구성된다.[188] [189] [190] [38] [39] 남자 초청 복식과 여자 초청 복식, 시니어 남자 초청 복식은 각각 8개 팀이 참가하여 조별리그를 진행한다. 남자 초청 복식 참가 선수는 35세 이상이며,[188] 시니어 남자 초청 복식 참가 선수는 45세 이상이다.[189] 남자 휠체어 복식과 여자 휠체어 복식은 각각 4개 팀이 참가한다.[190] [39] 휠체어 단식 경기 또한 남녀 각각 진행된다. [38] [39]3. 4. 경기 형식
남자 단식 및 남자 복식 경기는 5세트 3선승제로 진행되지만, 2023년에는 참가 선수들의 불만으로 인해 남자 복식 경기 방식이 3세트 2선승제로 변경되었습니다.[40] 그 외 경기는 모두 3세트 2선승제입니다. 게임 스코어가 6-6으로 동률이 되면 타이브레이크를 적용하지만, 마지막 세트(5세트 경기의 경우 5세트, 3세트 경기의 경우 3세트)에서는 한 선수가 2게임을 먼저 따낼 때까지 타이브레이크 없이 게임이 계속됩니다. 2018년 대회까지는 마지막 세트를 제외한 모든 세트에서 6대 6 동점이 되면 타이브레이크 게임을 진행했고, 2게임 차이로 승리해야 했습니다. 2019년부터는 마지막 세트에서 12대 12 동점이 되면 타이브레이크 게임을 진행하며,[26] 2022년부터는 모든 경기에서 6대 6 동점 시 마지막 세트 타이브레이크가 적용되어 10점을 먼저 얻고 2점 차이로 승리해야 합니다.[41][42] 9대 9 동점인 경우에는 한 선수가 2점 차이로 승리할 때까지 경기가 계속됩니다.모든 경기는 단식 토너먼트 방식으로 진행되며, 패배하면 탈락합니다. 다만, 남자 시니어 초청 복식, 시니어 남자 초청 복식, 여자 초청 복식 경기는 리그전 방식으로 진행됩니다.
1921년까지는 전년도 우승자(여자 복식 및 혼합 복식 제외)는 결승전(당시 챌린지 라운드)에 자동 진출하는 특혜를 받았습니다. 이로 인해 여러 해 연속 우승하는 선수가 많았지만, 1922년부터는 전년도 우승자도 다른 선수들과 똑같이 모든 라운드를 경기해야 합니다.
4. 일정
윔블던 대회는 매년 6월 마지막 주 월요일 또는 7월 첫째 주 월요일에 시작됩니다. 퀸즈 클럽 선수권 대회가 끝난 2주 후, 그리고 할레, 독일의 게리 웨버 오픈과 같은 주에 개최됩니다. 다른 잔디 코트 대회로는 영국의 이스트본 인터내셔널, 네덜란드 로스말렌 잔디 코트 선수권 대회(두 대회 모두 혼성 이벤트 포함), 그리고 영국의 버밍햄 클래식(테니스)(여자 예선 대회)가 있습니다. 유럽 외부에서는 터키 안탈리아 오픈이 열립니다. 대회 이후에는 미국 뉴포트(로드아일랜드)의 명예의 전당 테니스 선수권 대회가 윔블던 다음 주에 열립니다.
2015년부터 대회 시작 시기가 1주일 늦춰져 프랑스 오픈과의 기간이 2주에서 3주로 늘어났고,[43] 슈투트가르트 오픈의 6월 개최로 잔디 코트 시즌이 연장되었습니다. 대회는 월요일에 시작하여 일요일에 끝나는 14일간의 일정으로 진행됩니다. 1982년 이전에는 여자 단식 결승전이 금요일, 남자 단식 결승전이 토요일에 열렸습니다.[44] 주요 5개 이벤트는 양쪽 주에 걸쳐 진행되지만, 주니어 및 초청 이벤트는 주로 둘째 주에 집중됩니다.
전통적으로 "중간 일요일"에는 경기가 없었으나, 1991년, 1997년, 2004년, 2016년에는 비로 인해 경기가 진행되었습니다. 1991년에는 경제적으로 어려운 사람들을 위해 저렴한 티켓을 제공하는 "피플스 선데이"를 개최하기도 했습니다.
2022년, 대회 개최 100주년을 맞아 잔디 관리 기술 향상으로 "중간 일요일"에도 정규 경기가 시작되었습니다.[45] 2022년 이전에는 남자와 여자 단식 16강 경기가 있는 두 번째 월요일을 "매니아 월요일"(Manic Monday)이라고 불렀는데, 이는 하루에 32명의 선수 경기를 관람할 수 있는 특별한 날이었기 때문입니다.[46]
4. 1. 중간 일요일
전통적으로 윔블던 선수권 대회는 다른 그랜드 슬램 대회와 달리, 대회 중간의 일요일인 "중간 일요일"(Middle Sunday)에는 경기를 진행하지 않았다. 이는 잔디 코트의 관리를 위한 휴식일로 간주되었기 때문이다. 그러나 1991년, 1997년, 2004년, 2016년에는 악천후로 인해 일정이 지연되어 중간 일요일에 경기가 진행된 적이 있었다. 특히 1991년에는 예약되지 않은 좌석을 제공하는 "피플스 선데이"(People's Sunday)를 개최하여 경제적으로 어려운 사람들도 경기를 관람할 수 있도록 하였다.하지만 2022년, 윔블던이 현재 장소에서 100주년을 맞이하면서 중간 일요일 휴식일 전통은 폐지되었다. 이는 잔디 관리 기술의 발전으로 인해 더 이상 휴식일이 필요 없게 되었기 때문이다. 올잉글랜드 클럽 회장 휴잇(Hewitt)은 잔디 코트 보존 기술 향상으로 센터코트 등을 휴식 없이 관리할 수 있게 되었다고 밝혔다.[143] 중간 일요일 경기 개최로 인해, 이전에 남자와 여자 단식 16강 경기가 집중되어 "매니악 먼데이"(Manic Monday)로 불렸던 두 번째 월요일 일정은 이제 일요일과 월요일에 분산되어 진행되므로 선수들의 체력 부담을 줄일 수 있게 되었다.[142] 이러한 변화는 윔블던 대회 기간을 14일로 고정시켰다.
5. 선수 및 시드 배정
== 선수 및 시드 배정 ==
윔블던 선수권 대회에는 남자 단식과 여자 단식에 각각 128명의 선수가 참가한다.[49] 본선 진출은 국제 순위를 기준으로 하며, 남자는 104명, 여자는 108명이 직접 출전한다. 와일드 카드는 8명에게 주어지고, 나머지는 예선을 통과한 선수들로 채워진다. 2001년부터 남자·여자 단식에는 32명, 복식에는 16팀에게 시드가 배정된다. 시드 제도는 1924년에 도입되었지만, 초기에는 단순한 추첨 방식이었다가 1927년부터 실력에 따라 시드가 배정되기 시작했다. 1번 시드를 받은 최초의 선수는 르네 라코스트와 헬렌 윌스다.[50]
와일드 카드는 운영위원회가 이전 대회 성적이나 대회 홍보 효과를 고려하여 결정한다. 남자 단식에서 와일드 카드로 우승한 유일한 선수는 2001년 고란 이바니셰비치다. 시드를 받지 못한 선수들은 윔블던 1주일 전 로햄프턴에서 열리는 예선 토너먼트에 참가한다. 2019년부터 단식 예선 참가 선수는 128명으로 늘어났고, 복식 예선은 폐지되었다.[28] 예선 통과 선수의 최고 성적은 준결승 진출(1977년 존 맥켄로, 2000년 블라디미르 볼치코프, 1999년 알렉산드라 스티븐슨)이다.
선수들은 국제 테니스 협회 세계 랭킹, 예선 경기, 각국 테니스 협회 추천 등을 통해 참가 자격을 얻는다. 운영위원회는 4개의 초청 경기에 참가할 선수를 결정한다. 운영위원회는 랭킹을 기준으로 시드를 배정하지만, 선수의 잔디 코트 성적도 고려한다. 2021년 대회부터는 시드 배정이 ATP 랭킹과 동일한 절차를 따른다.[51] 2002년부터 2019년까지는 상위 32명의 선수에게 ATP 랭킹과 잔디 코트 성적을 반영한 공식에 따라 시드가 배정되었다.[52][53]
시드 없이 남자 단식에서 우승한 선수는 보리스 베커(1985년)와 고란 이바니셰비치(2001년)뿐이다. 베커는 당시 랭킹 20위였고, 이바니셰비치는 와일드 카드로 우승했을 당시 랭킹 125위였지만, 이전에 세 번 결승에 진출했고 세계 랭킹 2위까지 올랐던 경력이 있었다. 그의 낮은 랭킹은 3년간의 어깨 부상 때문이었다. 1996년 리처드 크라이체크는 원래 시드가 없었으나, 토마스 무스터의 기권으로 17번 시드를 받아 우승했다. 2023년에는 세계 42위인 마르케타 본드루소바가 시드 없이 여자 단식에서 우승했다.[54] 이전까지 여자 단식에서 가장 낮은 시드로 우승한 선수는 2007년 23번 시드였던 비너스 윌리엄스였다. 시드 없는 조가 복식에서 우승한 경우도 여러 차례 있었고, 2005년 남자 복식 우승자들은 사상 처음으로 예선을 통과한 선수들이었다.
6. 경기장
경기장
올잉글랜드 론 테니스 앤드 크로켓 클럽을 중심으로 하는 윔블던 경기장은 100% 다년생 라이그래스(다년생 라이그래스)로 조성된 천연 잔디 코트를 자랑한다. 2001년 이전에는 70% 라이그래스와 30% 잔디밭 빨강 쥐꼬리풀을 혼합해서 사용했지만, 현대 테니스의 강도를 고려해 내구성을 높이기 위해 변경되었다.[55]
주요 경기장인 센터 코트와 1번 코트는 대회 기간인 2주 동안, 필요에 따라 최대 3주까지 사용된다. 나머지 17개 코트는 클럽의 다른 행사에도 활용된다. 2012년 런던 올림픽 테니스 경기 개최로 인해 이 경기장들은 3개월 만에 다시 사용되었고, 그레이트브리튼 팀의 데이비스컵 홈 경기에도 일부 코트가 사용된다.
윔블던은 현재 유일하게 천연 잔디 코트에서 열리는 그랜드 슬램 대회이다. 과거에는 프랑스 오픈을 제외한 모든 메이저 대회가 잔디 코트에서 개최되었지만, US 오픈은 1975년 잔디 코트를 녹색 클레이로, 호주 오픈은 1988년 하드 코트로 변경했고, US 오픈도 결국 하드 코트를 채택했다.
1877년부터 1921년까지 윔블던 중심부의 워플 로드와 철도 사이 4에이커 부지에 위치했던 경기장은 1908년 1908년 하계 올림픽 테니스 경기를 개최하기도 했다. 하지만 대회 참가자 증가로 수용 인원 부족 문제가 심각해지자 1922년 윔블던 시내 북쪽 처치 로드 인근으로 이전했다. 당시 약 14만 파운드의 큰 비용이 들었던 이 이전으로 훨씬 규모가 큰 새로운 경기장이 만들어졌다. 이전된 워플 로드 경기장은 현재 윔블던 고등학교 운동장으로 사용되고 있다.
센터 코트는 1922년에 개장하여 현재까지 주요 경기의 결승전과 준결승전, 그리고 유명 선수들의 경기를 개최하고 있으며, 수용 인원은 14,979명이다. 남쪽 끝에는 왕족과 귀빈석인 로열 박스가 있다. 2009년 대회 이전에는 개폐식 지붕이 설치되어 악천후나 폭염으로부터 경기를 보호한다. 지붕 개폐에는 20분이 소요되며, 2009년 6월 29일 아멜리 모레스모와 디나라 사피나의 경기 중 처음으로 사용되었다.
두 번째로 중요한 코트인 1번 코트는 1997년 기존 1번 코트를 대체하여 건설되었다. 기존 1번 코트는 관중 수용 능력이 부족했기 때문이다. 2017년부터 개폐식 지붕 공사를 거쳐 2019년 완료되었으며 수용 인원이 12,345명으로 늘었다.[57] 2009년부터는 4,000명을 수용하는 2번 코트가 새롭게 운영되고 있다. 지역 경관 보호를 위해 지하 3.5m에 위치해 지상 높이를 3.5m로 제한했다.[58] 원래 13번 코트 부지에 건설될 예정이었으나 2012년 올림픽 경기의 수요로 인해 계획이 변경되었다.
기존 2번 코트는 여러 유명 선수들이 조기에 탈락하는 바람에 "챔피언의 무덤"으로 불리기도 했는데, 일리에 너스타세, 존 매켄로, 보리스 베커, 안드레 애거시, 피트 샘프라스, 마르티나 힝기스, 비너스 윌리엄스, 세레나 윌리엄스, 마리아 샤라포바 등이 여기에 포함된다.[59] 현재 3번 코트는 2,192명(좌석) + 770명(입석)을 수용한다.[60] 2011년에는 기존 2번과 3번 코트 자리에 새로운 3번과 4번 코트가 만들어졌다.[60]
영국의 여름 날씨를 고려하여 코트 관리인들이 코트 상태를 유지하고, 특히 비가 올 경우 신속하게 코트를 덮어 경기 재개를 준비한다. 센터 코트는 상근 직원이 관리하며, 외곽 코트는 대부분 대학생들이 여름 아르바이트 형태로 관리한다. 경기장 북쪽 끝에는 대형 TV 화면이 설치되어 있어 티켓이 없는 팬들도 경기를 관람할 수 있으며, 이곳은 "아오랑이 테라스"로 알려져 있다. 특히 영국 선수가 좋은 성적을 거둘 경우 팬들이 모여들고, 선수의 이름을 따서 부르기도 한다. 예를 들어, "헨먼 힐"이라고 불리는 곳이 그렇다. 본선에 앞선 예선 경기는 윔블던 경기장에서 떨어진 로햄프턴의 잉글랜드은행 스포츠 그라운드(Bank of England Sports Ground)에서 열린다.[63]
6. 1. 센터 코트
1922년에 개장한 센터 코트는 윔블던 대회의 주요 경기장이다. 1877년부터 1921년까지 윔블던 중심부의 워플 로드에 있던 기존 경기장이 참가자 증가로 수용 인원 부족 문제를 겪자, 윔블던 시내 북쪽 처치 로드 인근에 새 경기장을 건설했고, 센터 코트는 이곳에 자리 잡았다. 당시 이전은 약 14만 파운드의 비용이 드는 큰 투자였다. 기존 워플 로드 경기장은 현재 윔블던 고등학교 운동장으로 사용되고 있다. 센터 코트는 14,979명을 수용하며, 남쪽 끝에는 왕족과 귀빈을 위한 로열 박스가 있다. 주요 종목의 결승전과 준결승전은 물론, 상위 시드 선수나 인기 선수들의 초기 라운드 경기도 센터 코트에서 열린다.
2009년 대회를 앞두고 비에 대비하여 개폐식 지붕이 설치되었다. 이 지붕은 20분 안에 개폐되며, 악천후나 극심한 더위로부터 경기를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지붕 개폐 시 경기는 잠시 중단된다. 2009년 6월 29일, 아멜리 모레스모와 디나라 사피나의 경기에서 처음으로 지붕이 닫혔고, 같은 날 앤디 머레이와 스탠 와우린카의 경기가 지붕 아래에서 처음으로 시작되어 완료되었다.[56]
2012년 윔블던에서는 2012년 런던 올림픽 테니스 경기가 개최되어 센터 코트를 포함한 주요 경기장들이 3개월 만에 두 번째로 사용되었다. 또한, 그레이트브리튼 팀의 데이비스컵 홈 경기에도 사용된다.[55] 센터 코트는 윔블던의 천연 잔디 코트를 유지 관리하는 상근 그라운드 직원들에 의해 관리되고 있다. 경기장 북쪽 끝에는 대형 TV 화면이 있어 관련 코트 티켓이 없는 팬들이 경기를 시청할 수 있으며, 팬들은 아오랑이 테라스라고 불리는 잔디밭에서 경기를 관람한다. 과거 영국 선수들의 활약에 따라 헨먼 힐 등의 별칭이 생겨났으나, 현재는 앤디 머레이의 인기에 따라 "머레이 마운드" 또는 "머리필드"라고 불리기도 하지만, 널리 사용되지는 않는다.
6. 2. 1번 코트
1번 코트는 센터 코트 다음으로 중요한 코트이며, 기존 1번 코트를 대체하기 위해 1997년에 건설되었다. 기존 1번 코트는 관중 수용 능력이 부족하여 철거되었다. 새로운 1번 코트는 독특하고 친밀한 분위기로 많은 선수들에게 인기가 있었다고 한다. 2017년 대회 이후 개폐식 지붕 공사가 시작되어 2019년 대회에 맞춰 완료되었으며, 수용 인원은 900명 증가하여 12,345명이 되었다.[57]6. 3. 2번 코트
2009년부터 4,000명을 수용하는 새로운 2번 코트가 사용되고 있다. 건축 허가를 받기 위해 경기장 표면은 지하 약 3.5m에 위치하며, 단층 구조물의 지상 높이가 약 3.5m에 불과하도록 하여 지역 경관에 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했다.[58] 13번 코트의 현재 부지에 건설하려는 계획은 2012년 올림픽 경기에서 열린 경기의 높은 수용 인원 때문에 기각되었다. 이전 2번 코트는 3번 코트로 이름이 바뀌었다. 이전 2번 코트는 여러 해 동안 많은 시드 선수들이 초기 라운드에서 탈락했기 때문에 "챔피언의 무덤"으로 알려졌는데, 여기에는 일리에 너스타세, 존 매켄로, 보리스 베커, 안드레 애거시, 피트 샘프라스, 마르티나 힝기스, 비너스 윌리엄스, 세레나 윌리엄스, 마리아 샤라포바 등이 포함된다.[59] 이 코트의 수용 인원은 2,192명 + 770명(입석)이다. 2011년에는 이전 2번과 3번 코트 부지에 새로운 3번 코트와 새로운 4번 코트가 공개되었다.[60]6. 4. 3번 코트
2011년에 새롭게 건설된 3번 코트는 이전 2번 코트의 자리에 위치한다. 이전 2번 코트는 여러 해 동안 많은 시드 선수들이 초기 라운드에서 탈락하는 바람에 "챔피언의 무덤"으로 불렸다. 일리에 너스타세, 존 매켄로, 보리스 베커, 안드레 애거시, 피트 샘프라스, 마르티나 힝기스, 비너스 윌리엄스, 세레나 윌리엄스, 마리아 샤라포바 등 유명 선수들이 이 코트에서 조기에 탈락하는 경험을 했다.[59] 현재 3번 코트의 수용 인원은 2,192명(좌석) + 770명(입석)이다.[60] 이전 2번 코트가 3번 코트로 이름이 바뀌면서, 새로운 2번 코트가 2009년부터 4,000명을 수용할 수 있는 규모로 새롭게 운영되고 있다.[58] 건축 허가 과정에서 지하 3.5m에 위치하도록 설계되어 지역 경관에 미치는 영향을 최소화했다. [58] 13번 코트 부지에 건설하려던 계획은 2012년 하계 올림픽 테니스 경기의 높은 수요로 인해 취소되었다.[58]7. 전통
== 전통 ==
윔블던은 독특한 문화와 관습을 지닌 대회로 유명하다. 사회 논평가 엘리스 캐시모어는 윔블던이 1950년대의 전형적인 행동 기준을 따르는 "데이비드 니븐 스타일의 예의범절"을 가지고 있다고 평가한다. 작가 피터 요크는 이 대회가 특정 백인 상류 중산층 부유층의 영국스러움을 대표하며, 윔블던 지역을 "특별한 사회적 특징을 가진 남부의 부유한 빅토리아 후기 교외 지역"이라고 묘사한다. 캐시모어는 윔블던이 현대 영국의 다문화적인 특성과 "격리되어 고립되어 있다"고 비판하며, "영국다움의 모든 것을 대표하는 것은 아니다"라고 지적했다.[64] 하지만 딸기와 크림처럼 대회의 상징적인 음식과 오랜 역사를 가진 전통들은 여전히 윔블던의 정체성을 유지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대회의 오랜 역사와 전통은 스폰서십에서도 드러나는데, 윔블던은 다른 대회와 달리 IBM, 롤렉스, 슬래징거 등의 공급업체 광고를 최소화하고 눈에 띄지 않게 노출한다.[95][96] 슬래징거와는 1902년부터 대회용 테니스 공을 독점 공급하는 장기적인 파트너십을 유지하며, 스포츠 역사상 가장 오래된 후원 관계 중 하나를 자랑한다.[97] 1935년부터 2021년까지 로빈슨 과일 음료와의 후원 계약 또한 스포츠계에서 가장 긴 후원 관계 중 하나였다.[98] 티켓 배정 방식 또한 전통을 유지하는 요소 중 하나이다. 1924년 이후 센터 코트와 쇼 코트 티켓 대부분은 올잉글랜드 론 테니스 앤 크로켓 클럽의 연초 공개 추첨을 통해 배정된다. [88] 높은 경쟁률을 보이는 이 추첨은 컴퓨터를 통해 무작위로 당첨자를 선정한다.[89] 2011년 통계에 따르면 한 장의 티켓에 네 명의 지원자가 있었다고 한다. 쇼 코트 입장을 위해서는 일반적으로 밤새 줄을 서야 하며,[92] 이는 윔블던 경험의 일부로 여겨진다. AELTC는 야간 대기열을 허용하고 화장실과 물을 제공한다. 이러한 대기열 문화는 윔블던의 독특한 전통 중 하나이다.
7. 1. 볼보이와 볼걸
윔블던 선수권 대회의 볼보이와 볼걸(BBG)들은 "보이지 않아야 한다. 배경에 녹아들어 조용히 자신의 일을 해야 한다"는 간략한 지침을 받습니다.[65] 1947년부터는 골딩스[66] (볼보이를 제공한 유일한 바나도스 학교 바나도스)에서, 그 이전인 1920년대에는 샤프츠베리 아동 보호소에서 볼보이들을 모집했습니다.1969년부터는 지역 학교에서 BBG를 선발했습니다. 전통적으로는 서덜랜드 그로브, 사우스필드의 완즈워스 소년학교와 웨스트 힐의 메이필드 여자학교(사우스필드만 현재 존재)가 주요 선발 학교였습니다. 이는 클럽과의 근접성 때문일 것으로 추정됩니다. 2008년부터는 머튼, 서튼, 킹스턴, 완즈워스 자치구의 학교들과 서리에서 BBG를 선발하고 있습니다.[67] BBG의 평균 연령은 15세이며, 9학년과 10학년 학생들로 구성됩니다.[68] 최대 13학년까지 1회 또는 재선발될 경우 최대 5회의 토너먼트에 참가할 수 있습니다.[69]
2005년부터는 6명 1팀으로 근무하며, 2명은 네트에, 4명은 코너에 배치됩니다. 팀은 하루 경기 동안 코트에서 1시간 근무하고 1시간 휴식을 취하며(코트에 따라 2시간) 교대 근무합니다.[68] 모든 코트에서 동일한 기준을 유지하기 위해 팀은 어떤 코트에서 근무할지 미리 알 수 없습니다. 코트 수 증가와 경기 시간 연장으로 2008년에는 약 250명의 BBG가 필요했지만, 둘째 주 수요일부터는 하루 경기 수 감소로 인해 BBG 수가 줄어들어 마지막 일요일에는 약 80명이 남습니다. 각 BBG는 퇴장 시 증명서, 사용한 공 1통, 단체 사진 및 프로그램을 받습니다. BBG 근무는 유급이며, 13일 동안 근무일 수에 따라 160파운드~250파운드가 지급됩니다(하루 약 17파운드). 모든 BBG는 자신의 유니폼을 보관합니다. BBG 자리는 남녀 50:50으로 나뉘며, 여자는 1977년부터 포함되었고 1985년부터 센터 코트에 등장했습니다.[70]
잠재적인 BBG는 학교 교장의 추천을 받아 선발 과정에 참여합니다. 선발되려면 테니스 규칙에 대한 필기 시험과 체력, 이동성 및 기타 적합성 테스트를 통과해야 하며, 예비 교육 자료를 바탕으로 평가됩니다. 합격자는 2월부터 시작되는 훈련 단계에 들어가고, 지속적인 평가를 통해 최종 BBG가 선발됩니다. 2008년 기준으로 이 훈련 수용 인원은 600명이었습니다. 훈련에는 신체적, 절차적, 이론적 지도를 포함한 주간 세션이 포함되어 BBG가 빠르고, 기민하며, 자신감 있고, 상황에 적응할 수 있도록 합니다. 2011년 기준으로 초기 훈련은 윔블던 올잉글랜드 로우 텐니스 클럽 실내 코트에서 진행되고, 챔피언십 1주일 전에는 야외 코트(8, 9, 10)로 이동하여 잔디 코트에 대한 감각을 익히도록 합니다.
7. 2. 심판
윔블던 선수권 대회에서는 매일 42명의 주심이 배정되며, 보통 하루에 두 경기를 담당한다.[71] 주심들은 태블릿 컴퓨터를 사용하여 각 경기의 점수를 기록하고, 이 점수는 스코어보드와 wimbledon.com에 표시된다.[71] 과거에는 9명 또는 7명으로 구성된 라인심판 팀이 센터 코트와 각 코트를 담당하여 60분 근무 후 60분 휴식하는 방식으로 순환 근무했다. 9명 팀은 센터 코트와 1, 2, 3, 12, 18번 코트를, 7명 팀은 다른 코트를 담당했다.2007년에는 공의 위치를 정확하게 판단하는 '호크아이(Hawk-Eye)' 기술이 도입되었다.[72] 윔블던은 이 기술을 도입했지만 라인심판도 계속 사용했으며, 선수들은 한 세트 동안 호크아이 확인을 세 번까지만 요청할 수 있었다.[73]
하지만 2025년 선수권 대회부터는 프로 테니스 투어의 모든 토너먼트에 호크아이 라이브(Hawk-Eye Live) 기술이 도입됨에 따라 라인심판이 폐지되었다.[35][36] 147년 동안 이어져 온 라인심판의 전통적인 모습은 사라지고, 코트에는 주심만 남게 되었다.[35][36] 다만, 선수들의 화장실 동행이나 라켓 수리 의뢰 등을 지원하는 경기 보조원이라는 새로운 직책이 생겼다.[35][36]
7. 3. 색상 및 유니폼
진한 녹색과 보라색은 전통적인 윔블던 색상이지만, 선수들은 오랜 전통에 따라 흰색 또는 거의 흰색에 가까운 의류를 착용해야 합니다.[74] 눈에 띄는 색상은 없어야 하며, 색깔 있는 테두리는 1cm를 초과할 수 없습니다. 셔츠 또는 드레스 뒷면은 완전히 흰색이어야 하고, 반바지, 셔츠, 모자, 헤어밴드, 양말, 신발 갑피 등 기타 모든 의류는 주로 흰색이어야 합니다. 2023년 규정에서는 여자 선수 전원(여자 단식 주니어 이벤트 포함)이 흰색이 아닌 속옷 착용을 처음으로 허용했는데, "반바지 또는 스커트보다 길지 않은 중간/진한색의 단색 속바지"를 허용합니다.[75][76] 이 규정은 1963년 최초의 복장 규정이 시행되면서 도입되었습니다.[77] 흰색 의류에 어떤 색상의 악센트는 허용되지만, 식별 가능한 상업 브랜드 로고는 안 됩니다(의류 제조업체 브랜드 로고는 예외). 1982년 마르티나 나브라틸로바의 "킴(Kim)" 담배 브랜드 논란이 있었습니다. 2005년까지 주심, 라인 맨, 볼보이, 볼걸은 녹색 유니폼을 착용했지만, 2006년부터는 랄프 로렌이 디자인한 감청색과 크림색 유니폼을 착용합니다.7. 4. 선수 호칭
전통적으로 윔블던에서는 남자부 경기를 "신사부(Gentlemen's)", 여자부 경기를 "숙녀부(Ladies')"라고 불렀습니다. 주니어 경기는 "소년부(Boys')"와 "소녀부(Girls')"라고 부릅니다. 2009년 이전에는 여자 선수들은 스코어보드에 "미스(Miss)" 또는 "미시즈(Mrs)"로 표기되었고, 윔블던 챔피언 게시판에서는 2019년까지 기혼 여성 선수들은 남편의 성으로 표기되었습니다. 2009년 대회부터는 선수들이 스코어보드에 이름과 성으로 표기되기 시작했습니다.[78]남자 프로 선수들은 스코어보드에 "미스터(Mr)"로 표기되지 않지만, 아마추어 선수들은 여전히 "미스터(Mr)"로 표기됩니다. 심판은 비디오 판독 요청 시에는 "미스터(Mr)"라고 선수를 부릅니다. 예를 들어 "...<성> 씨가 판정을 비디오 판독 요청합니다..." 또는 "...<성> 씨가 남은 비디오 판독 요청 횟수는 X회입니다." 와 같이 말합니다. 2018년까지 심판은 여자부 경기 점수 발표 시 "<성> 양/부인"이라고 말했지만, 2019년부터는 더 이상 이러한 호칭을 사용하지 않습니다.[79] 2022년 대회부터는 "미스터(Mr)", "미스(Miss)", "미시즈(Mrs)"의 사용이 전면 폐지되었고, 선수들은 경기 중 모든 시점에서 심판이 스코어보드에 적은 이름으로 불립니다.
같은 성을 가진 두 명의 선수가 경기를 치를 경우(예: 비너스와 세레나 윌리엄스, 밥과 마이크 브라이언), 심판은 선수의 이름과 성을 모두 말하여 혼동을 방지합니다(예: "게임, 비너스 윌리엄스", "어드밴티지, 마이크 브라이언").
7. 5. 로열 패밀리
윔블던과 영국 왕실의 관계는 오랜 역사를 가지고 있으며, 특히 센터코트의 로열 박스는 그 상징적인 공간이다. 과거에는 선수들이 경기장 입장 및 퇴장 시 로열 박스에 있는 영국 왕실 구성원들에게 예를 표하는 관례가 있었다. 남성 선수는 허리를 굽히고, 여성 선수는 짧게 절을 하는 것이 일반적이었다. 그러나 2003년, 당시 올잉글랜드 클럽 회장이었던 켄트 공작 에드워드 왕자는 이러한 관례를 폐지하기로 결정했다.[80]현재는 웨일스 공 또는 국왕이 참석할 경우에만 선수들이 로열 박스에 인사하는 것이 의무화되어 있다. 2010년 대회 당시 엘리자베스 2세 여왕이 윔블던을 방문했을 때가 대표적인 예시이다.[81] 2012년에는 찰스 3세와 카밀라 왕비가 참석했고, 로저 페더러는 경기 후 인터뷰에서 이로 인해 자신과 상대 선수가 로열 박스에 인사하라는 요청을 받았다고 언급하며, 이에 대해 아무런 문제가 없었다고 밝혔다.[82]
7. 6. 서비스 스튜어드
윔블던 선수권 대회의 서비스 스튜어드는 대회 운영에 중요한 역할을 담당한다. 제2차 세계 대전 이전에는 근위여단과 영국 왕립 야포병 예비역들이 이 역할을 수행했다. 1946년, 올잉글랜드 론 테니스 앤 크로켓 클럽(AELTC)은 전쟁 중 복무한 군인들의 민간 생활 복귀를 돕기 위해 제대 휴가 중 스튜어드 일자리를 제공하기 시작했다. 처음에는 영국 해군에만 적용되었으나, 1947년 영국 육군, 1949년 영국 공군으로 확대되었다. 1965년에는 런던 소방대 대원들도 스튜어드로 참여하게 되었다.[83]제복을 착용한 군 스튜어드들은 센터 코트와 1, 2, 3, 12, 18번 코트 등 주요 경기장에 배치된다.[84] 2015년에는 595명의 군 및 런던 소방대 스튜어드가 근무했다.[85] 이들은 현역 군인 중에서 지원하며, 휴가를 내야 한다. 매년 신규 채용자의 절반은 이전에 윔블던에서 스튜어드 경험이 있는 인원으로 충원된다. AELTC는 군 스튜어드들에게 숙소 비용 등을 포함한 생활비를 지원한다. 군 스튜어드는 명예 스튜어드와는 구분된다.
7. 7. 티켓
1924년 이후, 센터 코트와 쇼 코트 티켓 대부분은 올잉글랜드 론 테니스 앤 크로켓 클럽(AELTC)의 연초 공개 추첨을 통해 배정됩니다. [88] 매우 높은 경쟁률을 보이는 이 추첨은 컴퓨터를 통해 무작위로 당첨자를 선정합니다. [89] 2011년 통계에 따르면, 한 장의 티켓에 네 명의 지원자가 있었다고 합니다. 신청서는 대회 전년도 12월 말까지 우편으로 제출해야 하며, 좌석과 경기일은 무작위로 배정되고 양도할 수 없습니다.AELTC의 자회사인 올잉글랜드 론 테니스 그라운드 plc는 5년마다 자본 지출을 위해 채권을 발행합니다. [90] 투자자는 5년 동안 매일 두 장의 티켓을 받습니다. [90] 채권 소지자만 티켓을 제3자에게 판매할 수 있으며, 최근 몇 년 동안 수요가 급증하여 런던 증권 거래소에서 거래될 정도입니다.
윔블던과 프랑스 오픈은 경기 당일 쇼 코트 좌석을 얻기 위해 대기열을 허용하는 유일한 그랜드 슬램 대회입니다. [91] 2003년 도입된 번호가 매겨진 대기 카드 시스템은 2008년부터 단일 대기열로 운영되며, 각 코트에 약 500석이 배정됩니다. [91] 대기 카드 소지자라도 줄을 잠시 떠날 경우, 다른 사람이나 스튜어드와 위치를 합의해야 합니다.
쇼 코트 입장을 위해서는 일반적으로 밤새 줄을 서야 합니다. [92] 전 세계 팬들이 참여하는 이 대기열 문화는 비록 부랑 행위로 간주되지만, 윔블던 경험의 일부로 여겨지며, AELTC는 야간 대기열을 허용하고 화장실과 물을 제공합니다. 아침에 스튜어드가 코트별로 색상이 구분된 손목 밴드를 나눠주고, 경기장 개장 후 티켓으로 교환합니다. 외곽 코트 입장권은 밤샘 대기 없이 구매 가능하며, 일찍 떠나는 사람이 반환한 티켓은 오후 2시 30분에 판매되고 수익금은 자선 단체에 기부됩니다. 쇼 코트 대기열은 8강전 종료 후 마감됩니다.
2010년 대회 7일차(6월 28일) 오후 2시 40분, 100만 번째 대기 카드가 남아프리카공화국의 로즈 스탠리에게 배포되었습니다. [93][94]
7. 8. 스폰서십
윔블던은 다른 대회와 달리 IBM, 롤렉스(Rolex), 슬래징거(Slazenger) 등의 공급업체 광고를 최소화하고 눈에 띄지 않게 노출한다.[95][96] 특히 슬래징거(Slazenger)와는 1902년부터 대회용 테니스 공을 독점 공급하는 장기적인 파트너십을 유지하며 스포츠 역사상 가장 오래된 후원 관계 중 하나를 자랑한다.[97] 또한 1935년부터 2021년까지 로빈슨 과일 음료와의 후원 계약은 스포츠계에서 가장 긴 후원 관계 중 하나로 기록되었다.[98] 이처럼 윔블던은 스폰서십에 있어서도 전통과 품격을 중시하는 모습을 보여준다.7. 9. 딸기와 크림
윔블던 선수권 대회의 상징적인 음식인 딸기와 크림은 대회와 깊은 문화적 연관성을 가지고 있다. 전통의 기원에 대해서는 헨리 8세가 햄튼 코트를 방문했을 때, 추기경의 요리사가 야생 딸기와 크림을 디저트로 제공한 데서 유래했다는 이야기가 전해진다. [99] 국왕이 즐긴 이후 인기를 얻게 된 이 디저트는 오늘날까지 윔블던의 필수적인 풍경이 되었다. 2017년에는 관중들이 무려 34,000kg의 영국산 딸기와 10,000리터의 크림을 소비했으며,[99] 2019년에는 191,930인분의 딸기와 크림이 제공되었다. [100] 이는 윔블던의 인기와 전통을 보여주는 단적인 예시이다.8. 미디어 보도 및 관람객
BBC는 1937년부터 윔블던 중계를 맡아 2005년에는 약 900시간의 방송을 했다. 현재는 BBC 원, BBC 투, 그리고 레드 버튼 서비스를 통해 경기를 중계하며, 2027년까지 중계권을 보유하고 있다. 과거 ITV 네트워크도 중계했지만, 1969년 이후 BBC가 독점 중계권을 가지게 되었다. 해설진에는 앤드루 캐슬, 존 로이드, 팀 헨먼, 그렉 루세드스키, 사만다 스미스, 마크 페트치 등 전 선수들과 존 매켄로, 트레이시 오스틴, 보리스 베커, 린제이 데이븐포트 등 테니스 전설, 그리고 데이비드 머서, 배리 데이비스, 앤드루 코터, 닉 멀린스 등 일반 스포츠 해설위원들이 포함된다. 진행은 수 바커(생중계)와 클레어 발딩(하이라이트)이 맡는다. 결승전은 지상파 TV로 생중계되며, 나머지 경기는 하이라이트 방송 또는 위성/케이블 TV 생중계로 시청 가능하다. 1967년에는 최초의 공식 컬러 TV 방송으로 1967년 대회 4시간 생중계가 BBC Two에서 방영되었다. 2007년부터 고화질 방송을 시작했고, 2018년부터는 센터코트 경기를 4K 초고화질로 방송한다.
아일랜드에서는 RTÉ가 1980년대와 90년대에 RTÉ Two를 통해 중계했지만, 시청률 저하로 1998년 중단되었다. 2005년부터 2014년까지 TG4가 아일랜드어로 생중계를 제공했고, 2015년부터는 Setanta Sports, 후속 채널인 Eir Sport가 중계권을 보유하고 있다. 미국에서는 1960년대 ABC가 하이라이트를 방영하기 시작했고, NBC는 1969년부터 43년간 중계했다. HBO는 1975년부터 1999년까지 주중 경기를, ESPN은 2003년부터 케이블 TV 파트너로 참여했으며, 2012년부터 ESPN과 ESPN2로 중계가 옮겨졌다. 2021년 ESPN과 AELTC는 2024년부터 2035년까지 12년간의 중계 연장에 합의했다. ESPN Deportes는 스페인어로 중계하며, 결승전은 ABC에서도 녹화 방송된다. 캐나다는 TSN과 RDS에서, 멕시코는 텔레비사 계열 네트워크에서 중계한다. 라틴 아메리카 대부분 지역은 ESPN, 브라질은 SporTV에서 방송한다. 유럽 여러 국가는 유로스포츠를 통해 생중계되지만, 일부 국가는 예외가 있다. 독일은 2007년부터 Sky Sport가 독점 중계하고 있다. 호주는 2010년까지 Nine Network, 2011년부터 2020년까지 Seven Network, 2021년부터 다시 Nine Network에서 중계한다. 인도와 남아시아는 Star Sports, 파키스탄은 PTV Sports, 뉴질랜드는 TVNZ One에서 방송한다. 동남아시아는 1992년부터 2021년까지 Fox Sports Asia, 현재는 SPOTV에서 중계한다. 대부분의 경기는 인터넷 베팅 웹사이트와 실시간 스트리밍 서비스를 통해 시청 가능하다. 2024년 현재 일본에서는 WOWOW가 위성 방송권, NHK가 지상파 방송권을 가지고 있다. 과거 일본에서는 텔레비 아사히(1986년까지), NHK(1987년 이후)가 중계했고, 복식은 GAORA가 오랫동안 방송했다. NHK는 지상파 NHK 종합 텔레비전으로 주로 방송하며, 생중계는 일부 경기에 한정되고 2015년부터 인터넷 배포를 시작했고, 2022년부터는 NHK 플러스를 통해 인터넷 동시 배포를 한다.
8. 1. 라디오 윔블던
2011년 계약 종료 시점까지 라디오 윔블던(Radio Wimbledon)은 87.7 FM 주파수를 통해 5마일 반경 내에서 청취 가능했고, 온라인 방송도 제공했다.[101] 제한 서비스 라이선스 하에 운영되었으며, 샘 로이드(Sam Lloyd)와 알리 바턴(Ali Barton) 등이 진행자로 활동했다. 일반적으로 그들은 하루 마지막 경기 종료 시까지 4시간씩 교대 근무를 했다. 지지 샐먼(Gigi Salmon), 닉 레스터(Nick Lestor), 루퍼트 벨(Rupert Bell), 나이젤 비드미드(Nigel Bidmead), 가이 스윈델스(Guy Swindells), 루시 알(Lucie Ahl), 나딘 토웰(Nadine Towell), 헬렌 위태커(Helen Whitaker) 등이 기자 및 해설자로 참여했다. 그들은 종종 "크로우스 네스트(Crow's Nest)"라 불리는 3번 코트와 4번 코트 전광판이 있는 높은 건물에서 대부분의 야외 코트 경기를 관찰하며 보도했다. 수 매핀(Sue Mappin) 등 여러 단골 게스트도 함께했다. 후년에는 센터 코트 중계를 위해 96.3 FM(구내 한정), 1번 코트 중계를 위해 97.8 FM의 추가 주파수를 확보했고(2006년부터), 매시간 뉴스 속보와 교통 정보(RDS 사용)도 방송했다. 라디오 윔블던의 테마곡은 "퍼플 앤 그린(Purple and Green)"으로, 1996년 영국 작곡가 토니 콕스(Tony Cox)가 작곡한 곡이다.[172] BBC는 1937년부터 윔블던 선수권 대회 방송을 담당해왔으며,[173] 2005년 실적 기준 모든 채널에서 약 900시간을 방송했다. 결승전은 반드시 경기 종료까지 생중계되어야 한다.[174] 2024년 현재 일본에서는 WOWOW가 위성 방송권을, NHK가 지상파 방송권을 가지고 있다. [175] 과거 일본에서는 단식 경기는 텔레비 아사히(〜1986년)→NHK(1987년 이후〜), 복식 경기는 GAORA에서 오랫동안 방송되었다. 단식 경기는 NHK 디지털 위성 하이비전으로 전 일정 생중계되었고, 2003년까지는 NHK 위성 제1텔레비전(년도에 따라 위성 제2텔레비전)에서도 대부분의 경기를 생중계했으나, NHK의 방송 시간이 줄어들면서 2008년부터는 WOWOW가 위성 방송권을 획득했다.[176] NHK는 지상파 NHK 종합텔레비전으로만 방송하며, 매일 24시대〜4시 15분의 날짜 기점 시간까지의 종야 체제로 녹화 중계를 실시했으나, 2012년부터 남자 단식 결승전과 여자 단식 결승전의 생중계가 부활했다. 대회 종료 후 1주일 후에는 위성 제1에서 단식 결승전을 2시간 정도로 편집한 녹화판을 방송한다(2009년 남자 단식 결승전은 경기 시간이 길어 3시간 정도 방송되었다). 원칙적으로 종합 텔레비전에서 방송하지만, FIFA 월드컵 중계 등과의 중복, 폭우 등의 자연재해, 참의원 의원 통상 선거 정견 방송 등의 사유로 종합 텔레비전에서 중계가 불가능한 경우에는 NHK 교육텔레비전(현 E텔레)에서 방송하는 경우도 있다.[177] 2015년에는 통상의 중계 외에 인터넷 배포를 실시했고,[178] 2022년부터 NHK 플러스를 통한 인터넷 동시 배포도 실시하고 있다. 일본 선수의 주목받는 경기는 서브 채널 「멀티 편성」을 활용하여 방송하는 경우가 있다.8. 2. 텔레비전 중계
1937년부터 BBC는 영국에서 윔블던 대회를 TV로 중계해왔다.[103] 1956년부터 1968년까지는 ITV 네트워크에서도 대회를 중계했지만, 1969년 이후로 BBC가 독점 중계권을 가지게 되었다. 주로 지상파 채널인 BBC 원, BBC 투와 레드 버튼 서비스를 통해 경기가 중계된다. BBC는 2027년까지 윔블던 중계권을 보유하고 있다.[105] 영국 위성 방송 시절에는 스포츠 채널에서 구독자들을 위해 윔블던 추가 중계를 제공했다. BBC 윔블던 중계 해설진에는 앤드루 캐슬, 존 로이드, 팀 헨먼, 그렉 루세드스키, 사만다 스미스, 마크 페트치와 같은 영국 출신 전 선수들과 존 매켄로, 트레이시 오스틴, 보리스 베커, 린제이 데이븐포트와 같은 테니스 전설, 그리고 데이비드 머서, 배리 데이비스, 앤드루 코터, 닉 멀린스 등 일반 스포츠 해설위원들이 포함된다. 중계는 수 바커(생중계)와 클레어 발딩(하이라이트)이 진행한다. 과거 BBC 진행자로는 데스 라이넘, 데이비드 바인, 존 인버데일, 해리 카펜터가 있다. 윔블던 결승전은 지상파 TV에서 생중계로 방송되어야 하며,[106] 나머지 대회의 하이라이트는 지상파 방송국에서 제공하고, 생중계(결승전 제외)는 위성 또는 케이블 TV에서 시청할 수 있다.[106] 2011년 대회 중 해설진의 "과도한 대화"에 대한 시청자 불만이 제기되었고, BBC는 사과했다.[107] 팀 헨먼과 존 매켄로도 해설을 맡았다.[107] 1967년 7월 1일 영국에서 최초의 공식 컬러 텔레비전 방송이 이루어지면서 1967년 대회의 4시간 생중계가 BBC 투에서 방영되었다.[108] 2007년부터 고화질로 방송되기 시작했고,[109] 2018년부터 모든 센터코트 경기는 4K 초고화질로 방송된다.[109] BBC의 윔블던 오프닝 테마 음악은 키스 맨스필드가 작곡한 "Light and Tuneful"이며, "A Sporting Occasion"이 클로징 테마이다.아일랜드에서는 1980년대와 1990년대에 RTÉ가 RTÉ Two를 통해 윔블던을 방송했으나,[110] 시청률 하락으로 1998년 중단되었다.[110] 2005년부터 2014년까지 TG4가 아일랜드어로 생중계를 제공했고,[111] 2015년부터는 Setanta Sports, 후속 채널인 Eir Sport이 중계권을 보유했다.[112] 미국에서는 1960년대에 ABC가 하이라이트를 방영하기 시작했고,[113] NBC는 1969년부터 43년간 중계했으며,[113] 주말에는 "윔블던에서 아침 식사" 특집 방송을 했다.[113] 버드 콜린스(Bud Collins)의 해설이 유명했다. HBO는 1975년부터 1999년까지 주중 경기를 방송했고,[114] ESPN은 2003년 케이블 TV 파트너로 인수했다.[115] 2012년부터 중계는 ESPN과 ESPN2로 옮겨졌고,[117] 2021년 ESPN과 AELTC는 2024년부터 2035년까지 12년 동안 중계를 연장하는 데 합의했다.[118] ESPN 데포르테스(ESPN Deportes)는 스페인어로 중계한다. 결승전은 ABC에서도 녹화 방송된다.[117] 월드 피드를 사용한 녹화 방송은 테니스 채널(Tennis Channel)에서 방영된다.
캐나다에서는 TSN과 RDS에서 독점적으로 방송된다. 멕시코에서는 텔레비사(Televisa) 계열 네트워크가 방송하며, 라틴 아메리카 대부분 지역에서는 ESPN에서, 브라질에서는 스포르TV(SporTV)가 방송한다. 여러 유럽 국가에서는 유로스포츠를 통해 생중계되지만, 일부 국가는 예외가 있다. 독일에서는 2007년부터 Sky Sport가 독점 중계해왔다.[119] 호주에서는 2010년까지 Nine Network가 중계했고,[119] 2011년부터 Seven Network가 중계하다가 2021년 Nine Network에서 다시 중계를 재개했다. 인도와 남아시아 지역에서는 Star Sports에서, 파키스탄에서는 PTV Sports에서 중계된다. 뉴질랜드에서는 TVNZ One을 통해 방송된다. Fox Sports Asia는 1992년부터 2021년까지 동남아시아 지역의 중계권을 보유했고, 현재는 SPOTV가 보유하고 있다. 대부분의 경기는 인터넷 베팅 웹사이트 및 실시간 스트리밍 서비스를 통해 시청할 수 있다. BBC는 1937년부터 윔블던 중계를 담당해왔으며,[172] 2005년에는 약 900시간을 방송했다.[172] 2024년 현재 일본에서는 WOWOW가 위성 방송권을, NHK가 지상파 방송권을 가지고 있다.[173] 과거 일본에서는 텔레비 아사히(〜1986년) →NHK(1987년 이후〜)가 중계했고, 복식은 GAORA가 오랫동안 방송했다. NHK는 지상파 종합 텔레비전으로 주로 방송하며, 생중계는 일부 경기에 한정된다. 2015년부터는 인터넷 배포를 시작했고,[176] 2022년부터는 NHK 플러스를 통해 인터넷 동시 배포를 한다.
9. 트로피, 상금 및 랭킹 포인트
윔블던 우승 트로피는 남자 단식 우승자에게는 높이 47cm, 지름 19cm의 은도금된 우승컵이, 여자 단식 우승자에게는 지름 약 48cm의 순은 쟁반인 '비너스 로즈워터 디시'(비너스 로즈워터 디시)가 수여된다. 남자 단식 우승컵에는 "All England Lawn Tennis Club Single Handed Championship of the World"라는 글귀가 새겨져 있으며 1887년부터 사용되었다. 비너스 로즈워터 디시는 신화와 관련된 무늬로 장식되어 있다. 남자 복식, 여자 복식, 혼합 복식 우승자들에게는 은 우승컵이, 준우승자들에게는 은 쟁반이 수여된다. 모든 트로피는 대부분 올 잉글랜드 클럽 회장에 의해 수여된다. 실제 트로피는 올잉글랜드 클럽 소유로 박물관에 보관되며, 우승자에게는 실제 크기의 3/4 크기의 미니어처 복제품이 수여된다. 남자 단식 우승컵의 미니어처는 높이 13.5인치(약 34cm)이고, 비너스 로즈워터 디시의 미니어처는 2007년 이후로 지름 13.5인치(약 34cm)이다. 남자 복식 우승컵은 원래 옥스퍼드 대학교 로테니스 클럽 소유였던 것을 1884년에 올잉글랜드 클럽에 기증받은 것이고, 여자 복식 우승컵은 1949년 당시 켄트 공작 부인으로부터 올잉글랜드 클럽에 하사받은 "켄트 공작 부인의 컵"이라 불린다. 혼합 복식 우승컵은 시드니 스미스(시드니 스미스) 가족이 기증한 것이다.[177][178] 우승 트로피는 수개월간 올잉글랜드 클럽 박물관에 전시된다.
1968년 프로 선수들에게 문호가 개방되면서 상금 제도가 도입되었다. 2007년 이전까지는 남자 선수들이 여자 선수들보다 더 많은 상금을 받았지만, 2007년부터는 남녀 선수 간 상금 차등이 없어졌다.[192] 2009년 총상금은 1,250,000 파운드였고 단식 우승 상금은 850,000 파운드였다.[196] 2010년에는 총상금이 13,725,000 파운드로 증가했고 단식 우승 상금은 1,000,000 파운드였다.[197] 2023년에는 총상금이 44,700,000 파운드에 달했고, 남녀 단식 우승 상금은 각각 2,350,000 파운드였다.[133] 2012년에는 상금 증가분의 대부분이 예선 탈락 선수들에게 배분되었다.[131] 2020년에는 코로나19 팬데믹으로 대회가 취소되었고,[129] 2021년에는 상금이 감소했지만 2023년에는 팬데믹 이전 수준으로 회복되었다.[130] 상세한 연도별 상금 정보는 아래 표를 참조한다.
윔블던에서 획득 가능한 ATP 및 WTA 랭킹 포인트는 매년 변동될 수 있다. 현재는 아래 표와 같이 배분되지만, 최신 정보는 공식 ATP 및 WTA 웹사이트를 확인해야 한다.
종목 | bgcolor="lime" 우승 | bgcolor="#D8BFD8" 준우승 | bgcolor="#FFFF00" 4강 | bgcolor="#ffebcd" 8강 | style="width:85px; background:#afeeee;" 16강 | style="width:85px; background:#afeeee;" 32강 | style="width:85px; background:#afeeee;" 64강 | style="width:85px; background:#afeeee;" 128강 | |
---|---|---|---|---|---|---|---|---|---|
단식 | 남자 | 2000 | 1300 | 800 | 400 | 200 | 100 | 50 | 10 |
여자 | 1300 | 780 | 430 | 240 | 130 | 70 | 10 | ||
복식 | 남자 | 2000 | 1200 | 720 | 360 | 180 | 90 | 0 | – |
여자 | 1300 | 780 | 430 | 240 | 130 | 10 | – |
복식 상금은 팀당 금액임.
9. 1. 트로피
남자 단식 우승자에게는 높이 47cm, 지름 19cm의 은도금 컵이 수여된다. 1887년부터 수여된 이 트로피는 미니어처 금 파인애플을 포함한 다양한 상징으로 장식되어 있으며, "전영 잔디 테니스 클럽 단식 세계 선수권 대회"라는 비문이 새겨져 있다.[121] [177] 실제 트로피는 올잉글랜드 클럽 박물관에 소장되어 있으며, 우승자는 높이 34cm의 4분의 3 크기 복제품을 받는다.[121] [177]여자 단식 우승자에게는 "비너스 로즈워터 디쉬" 또는 "로즈워터 디쉬"로 알려진 지름 48cm의 순은 쟁반이 수여된다.[121] [177] 신화 속 인물들로 장식된 이 쟁반 역시 실제 트로피는 올잉글랜드 클럽 박물관에 소장되어 있으며, 우승자는 역대 우승자들의 이름이 새겨진 소형 복제품을 받는다. 복제품의 지름은 1949년부터 2006년까지는 8인치였으며, 2007년부터는 13.5인치(실제 크기의 4분의 3)이다.[121] [177]
남자 복식, 여자 복식, 혼합 복식 우승자에게는 각각 은컵이 수여된다.[121] [177] 다른 그랜드 슬램 대회와 달리, 복식 우승팀의 각 선수에게 개별 트로피가 수여된다. 남자 복식 은도금 챌린지컵은 원래 옥스퍼드 대학교 잔디 테니스 클럽 소유였으나 1884년 올잉글랜드 클럽에 기증되었다.[121] [177] 여자 복식 트로피인 "켄트 공작부인 챌린지컵"은 1949년 켄트 공작부인이 기증했다.[121] [177] 혼합 복식 트로피는 시드니 스미스의 가족이 기증한 은도금 챌린지컵이다.[121] [177] [122] [178]
각 종목의 준우승자에게는 비문이 새겨진 은색 접시가 수여되며, 트로피 수여는 일반적으로 웨일스 공주가 담당한다. 200px
9. 2. 상금
1968년 프로 선수들이 처음으로 윔블던에 참가하면서 상금 제도가 도입되었다. 당시 총 상금은 26,150파운드였고, 남자 단식 우승자는 2,000파운드, 여자 단식 우승자는 750파운드를 받았다.[123][124] 남녀 상금 격차는 2007년 윔블던과 프랑스 오픈을 끝으로 사라졌다.[125][126][127] 이후 상금은 꾸준히 증가하여, 2023년에는 총 상금이 44,700,000파운드에 달했다. 2012년에는 상금 증가분의 대부분이 예선 탈락 선수들에게 배분되었는데,[131] 이는 하위 랭킹 선수들의 재정적 어려움을 해소하기 위한 조치였다. 당시 ATP 선수 위원회 회원이었던 세르기 스타호프스키(Sergiy Stakhovsky)는 예선 탈락 선수들의 상금 인상을 강력하게 주장하며, 하위 랭킹 선수들의 재정적 어려움을 공개적으로 지적했다.[132] 2023년 남자 단식 우승 상금은 2,350,000파운드, 여자 단식 우승 상금도 동일하게 2,350,000파운드였다.[133] 2019년 이후 코로나19 팬데믹으로 인해 2020년 대회가 취소되었고,[129] 2021년 상금은 감소했으나, 2023년에는 팬데믹 이전 수준으로 회복되었다.[130] 아래 표는 1968년부터 2023년까지 연도별 남녀 단식 및 복식, 혼합복식 상금과 총 상금을 보여준다.
복식 상금은 팀당 금액임.
년도 | 우승 상금 (파운드) | |
---|---|---|
남자 | 여자 | |
1989년 | 190,000 | 171,000 |
1990년 | 230,000 | 207,000 |
1991년 | 240,000 | 216,000 |
1992년 | 265,000 | 240,000 |
1993년 | 305,000 | 275,000 |
1994년 | 345,000 | 310,000 |
1995년 | 365,000 | 328,000 |
1996년 | 392,500 | 353,000 |
1997년 | 415,000 | 373,500 |
1998년 | 435,000 | 391,500 |
1999년 | 455,000 | 409,500 |
2000년 | 477,500 | 430,000 |
2001년 | 500,000 | 462,500 |
2002년 | 525,000 | 486,000 |
2003년 | 575,000 | 535,000 |
2004년 | 602,500 | 560,500 |
2005년 | 630,000 | 600,000 |
2006년 | 655,000 | 625,000 |
2007년 | 700,000 | |
2008년 | 750,000 | |
2009년 | 850,000 | |
2010년 | 1,000,000 | |
2011년 | 1,100,000 | |
2012년 | 1,150,000 | |
2013년 | 1,600,000 | |
2014년 | 1,760,000 | |
2015년 | 1,880,000 | |
2016년 | 2,000,000 | |
2017년 | 2,200,000 | |
2018년 | 2,250,000 | |
2019년 | 2,350,000 | |
2020년 | 대회 취소 | |
2021년 | 1,700,000 |
9. 3. 랭킹 포인트
윔블던 선수권 대회에서 획득 가능한 ATP 및 WTA 랭킹 포인트는 매년 변동될 수 있으나, 현재는 다음과 같이 배분됩니다.종목 | bgcolor="lime" 우승 | bgcolor="#D8BFD8" 준우승 | bgcolor="#FFFF00" 4강 | bgcolor="#ffebcd" 8강 | style="width:85px; background:#afeeee;" 16강 | style="width:85px; background:#afeeee;" 32강 | style="width:85px; background:#afeeee;" 64강 | style="width:85px; background:#afeeee;" 128강 | |
---|---|---|---|---|---|---|---|---|---|
단식 | 남자 | 2000 | 1300 | 800 | 400 | 200 | 100 | 50 | 10 |
여자 | 1300 | 780 | 430 | 240 | 130 | 70 | 10 | ||
복식 | 남자 | 2000 | 1200 | 720 | 360 | 180 | 90 | 0 | – |
여자 | 1300 | 780 | 430 | 240 | 130 | 10 | – |
이는 단순히 현재의 포인트 배분 방식을 보여주는 것이며, 향후 변경될 가능성이 있음을 유의해야 합니다. 따라서 최신 정보는 공식 ATP 및 WTA 웹사이트를 통해 확인하는 것이 좋습니다.
10. 역대 챔피언
역대 챔피언
윔블던 선수권 대회의 역대 우승자 목록은 다음과 같다. 각 종목별 상세한 우승자 명단은 아래 링크를 참고하면 된다.
- 윔블던 선수권 대회 남자 단식 우승자 목록
- 윔블던 선수권 대회 여자 단식 우승자 목록
- 윔블던 선수권 대회 남자 복식 우승자 목록
- 윔블던 선수권 대회 여자 복식 우승자 목록
- 윔블던 선수권 대회 혼합 복식 우승자 목록
- 윔블던 오픈 (휠체어 테니스)
최근 몇 년간의 남자 단식과 여자 단식 우승자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2015년에는 노바크 조코비치(세르비아)가 남자 단식, 세리나 윌리엄스(미국)가 여자 단식에서 우승했다. 조코비치의 2연패는 로저 페더러의 5연패 이후 8년 만이었다. 2016년에는 앤디 머리(영국)가 남자 단식, 세리나 윌리엄스가 여자 단식에서 우승했다. 윌리엄스는 2년 연속 7번째 우승을 차지하며 그랜드 슬램 22회 우승을 달성, 슈테피 그라프와 어깨를 나란히 했다. 2017년에는 로저 페더러(스위스)가 남자 단식 8회 우승을 차지했고, 여자 단식에서는 가르비녜 무구루자(스페인)가 우승했다. 2018년과 2019년에는 노바크 조코비치가 남자 단식에서 우승했고, 각각 앙게리크 케르버(독일)와 시모나 할레프(루마니아)가 여자 단식에서 우승했다. 2020년 대회는 코로나19 팬데믹으로 인해 개최되지 않았다. 2021년에는 노바크 조코비치가 남자 단식, 애슐리 바르티(호주)가 여자 단식에서 우승했다. 바르티는 호주 여자 선수로서 41년 만의 우승이었다. 2022년에는 노바크 조코비치가 남자 단식 4연패를 달성했고, 엘레나 리바키나(카자흐스탄)가 여자 단식에서 초우승을 거머쥐었다. 2023년에는 카를로스 알카라스(스페인)가 21년 만에 BIG4 이외의 선수로 남자 단식 우승을 차지했고, 마르케타 본드로우소바(체코)가 시드 없이 여자 단식 그랜드 슬램 첫 우승을 기록했다. 2024년에는 카를로스 알카라스가 남자 단식, 바르보라 크레이치코바(체코)가 여자 단식에서 우승했다. 크레이치코바는 이번 우승으로 윔블던 선수권 대회 첫 우승을 기록했다.
연도 | 남자 단식 | 여자 단식 | 비고 |
---|---|---|---|
2015 | 노바크 조코비치 | 세리나 윌리엄스 | 조코비치의 윔블던 2연패는 로저 페더러(Roger Federer)의 5연패 이후 8년 만이다. |
2016 | 앤디 머리 | 세리나 윌리엄스 | 윌리엄스의 2년 연속 7번째 우승. 그랜드 슬램 22회 우승은 슈테피 그라프(Steffi Graf)와 어깨를 나란히 하는 오픈화 이후 최다 기록이다. |
2017 | 로저 페더러 | 가르비녜 무구루자 | 페더러의 남자 단식 역대 최다 우승(8회). |
2018 | 노바크 조코비치 | 앙게리크 케르버 | |
2019 | 노바크 조코비치 | 시모나 할레프 | |
2020 | 개최 없음 | ||
2021 | 노바크 조코비치 | 애슐리 바르티 | 바르티는 호주 여자 선수로서 41년 만의 우승이다. |
2022 | 노바크 조코비치 | 엘레나 리바키나 | 조코비치의 대회 4연패. 17번 시드의 23세 리바키나는 초우승이다. |
2023 | 카를로스 알카라스 | 마르케타 본드로우소바 | 20세 알카라스는 21년 만에 BIG4(테니스) 이외의 우승이다. 본드로우소바는 시드 없이 그랜드 슬램 첫 우승이다. |
2024 | 카를로스 알카라스 | 바르보라 크라이치코바 | 크라이치코바의 윔블던 선수권 대회 첫 우승. |
10. 1. 남자 단식 우승자 목록
윔블던 남자 단식 우승자 목록을 참고하십시오.10. 2. 여자 단식 우승자 목록
윔블던 선수권 대회 여자 단식 우승자 목록을 참고하십시오.10. 3. 남자 복식 우승자 목록
윔블던 선수권 대회 남자 복식 우승자 목록을 참고하십시오. 자세한 역대 우승자 목록은 해당 페이지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10. 4. 여자 복식 우승자 목록
윔블던 선수권 대회 여자 복식 우승자 목록에는 역대 윔블던 여자 복식 우승자 명단이 나와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해당 페이지를 참조하십시오.10. 5. 혼합 복식 우승자 목록
윔블던 선수권 대회 혼합 복식 우승자 목록을 참조하십시오.10. 6. 최근 결승전
2015년에는 노바크 조코비치가 남자 단식, 세리나 윌리엄스가 여자 단식에서 우승을 차지했습니다. 조코비치의 윔블던 2연패는 로저 페더러의 5연패 이후 8년 만이었습니다. 2016년에는 앤디 머리가 남자 단식, 세리나 윌리엄스가 여자 단식에서 우승했습니다. 윌리엄스는 2년 연속 7번째 우승을 거머쥐며 그랜드 슬램 22회 우승을 달성, 슈테피 그라프와 어깨를 나란히 했습니다. 2017년에는 로저 페더러가 남자 단식 8회 우승을 차지했고, 여자 단식에서는 가르비녜 무구루자가 우승했습니다. 2018년과 2019년에는 노바크 조코비치가 남자 단식에서 우승을 차지했고, 각각 앙게리크 케르버와 시모나 할레프가 여자 단식에서 우승했습니다. 2020년 대회는 코로나19 팬데믹으로 인해 개최되지 않았습니다. 2021년에는 노바크 조코비치가 남자 단식, 애슐리 바르티가 여자 단식에서 우승을 차지했습니다. 바르티는 호주 여자 선수로서 41년 만의 우승이었습니다. 2022년에는 노바크 조코비치가 남자 단식 4연패를 달성했고, 엘레나 리바키나가 여자 단식에서 초우승을 거머쥐었습니다. 2023년에는 카를로스 알카라스가 21년 만에 BIG4 이외의 선수로 남자 단식 우승을 차지했고, 마르케타 본드로우소바가 시드 없이 여자 단식 그랜드 슬램 첫 우승을 기록했습니다. 2024년에는 카를로스 알카라스가 남자 단식, 바르보라 크레이치코바가 여자 단식에서 우승을 차지했습니다. 크레이치코바는 이번 우승으로 윔블던 선수권 대회 첫 우승을 기록했습니다.11. 기록
'''기록'''
윔블던의 주요 기록들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여자 단식에서는 마르티나 나브라틸로바가 9회 우승을 차지하며 최다 우승 기록을 보유하고 있다. 특히 오픈 시대에서는 6회 연속 우승이라는 놀라운 기록을 세웠다. 남자 단식 최다 우승 기록은 로저 페더러가 가지고 있다. 자세한 내용은 아래 하위 항목을 참고하라.
여자 단식 최다 우승 기록은 마르티나 나브라틸로바의 9회 우승이며, 오픈 시대 연속 우승 기록 또한 마르티나 나브라틸로바의 6회(1982년-1987년)이다. 여자 복식에서는 오픈 시대 마르티나 나브라틸로바가 7회 우승으로 최다 우승을 기록했으며, 혼합복식에서는 아마추어 시대 엘리자베스 라이언이 7회, 오픈 시대 마르티나 나브라틸로바가 4회 우승을 기록했다. 전체 시대를 통틀어 단식, 복식, 혼합복식을 합산한 총 우승 횟수는 마르티나 나브라틸로바가 20회로 가장 많지만, 빌리 진 킹 또한 20회 우승을 기록했다.
다음은 몇 가지 주목할 만한 기록들을 정리한 표이다. 이 표에는 시드 없이 우승한 선수, 최연소/최고령 우승자, 랭킹이 가장 낮았던 우승자, 단식 승률 및 승리 횟수, 최다 출전 및 연속 출전 횟수, 그리고 가장 긴 경기 기록 등이 포함되어 있다. 특히 존 이스너와 니콜라 마유의 2010년 경기는 11시간 5분 동안 진행되어 역사상 가장 긴 테니스 경기로 기록되었다.
11. 1. 남자
'''남자''' 단식에서는 아마추어 시대 윌리엄 랜쇼가 7회 우승으로 최다 우승 기록을 가지고 있다. 로저 페더러는 오픈 시대에 8회 우승하며 이 기록을 넘어섰다. 단식 연속 최다 우승은 아마추어 시대 윌리엄 랜쇼의 6회이며, 오픈 시대에는 비외른 보리와 로저 페더러가 각각 5회 연속 우승을 기록했다.남자 복식에서는 아마추어 시대 레지널드 도허티와 로런스 도허티 형제가 8회 우승으로 최다 우승 기록을 가지고 있다. 오픈 시대에는 토드 우드브리지가 9회 우승하며 최다 우승 기록을 경신했다. 복식 연속 최다 우승은 아마추어 시대 레지널드 도허티와 로런스 도허티 형제의 5회이며, 오픈 시대에는 토드 우드브리지와 마크 우드포드가 5회 연속 우승을 기록했다.
혼합복식 최다 우승은 아마추어 시대 켄 플레처가 4회, 오픈 시대 오웬 데이비슨이 4회 기록했다.
전체적으로 단식, 복식, 혼합복식을 통틀어 최다 우승 기록은 아마추어 시대 로런스 도허티의 13회(단식 5회, 복식 8회)이며, 오픈 시대에는 토드 우드브리지의 10회(복식 9회, 혼합복식 1회)이다.
11. 2. 여자
'''여자''' 단식에서 가장 많은 우승을 차지한 선수는 마르티나 나브라틸로바로, 9회 우승을 기록했다. 마르티나 나브라틸로바는 1978년과 1979년, 그리고 1982년부터 1987년까지, 그리고 1990년에 우승을 차지했다. 아마추어 시대에는 헬렌 윌스가 8회 우승을 기록했다. 단식 연속 우승 기록은 오픈 시대에 마르티나 나브라틸로바가 6회(1982년-1987년)로 가장 많다. 아마추어 시대에는 수잔느 랭글랭이 5회(1919년-1923년) 우승을 기록했다.여자 복식 최다 우승 기록은 오픈 시대에 마르티나 나브라틸로바가 7회를 기록했으며, 아마추어 시대에는 엘리자베스 라이언이 12회 우승을 차지했다. 복식 연속 우승 기록은 아마추어 시대에 수잔느 랭글랭과 엘리자베스 라이언이 5회(1919년-1923년)로 같으며, 오픈 시대에는 마르티나 나브라틸로바와 팸 슈라이버가 4회(1981년-1984년), 그리고 나타샤 즈베레바가 4회(1991년, 1992년-1994년) 우승을 기록했다.
혼합 복식에서는 아마추어 시대에 엘리자베스 라이언이 7회 우승을 기록했고, 오픈 시대에는 마르티나 나브라틸로바가 4회 우승을 기록했다.
총 우승 횟수(단식, 복식, 혼합복식 합산)는 오픈 시대에는 마르티나 나브라틸로바가 20회로 가장 많고, 아마추어 시대에는 엘리자베스 라이언이 19회를 기록했다. 하지만, 전체 시대를 통틀어 가장 많은 우승을 차지한 선수는 빌리 진 킹으로 총 20회의 우승을 기록했다.
11. 3. 기타
기록 | 남/여 | 선수(들) | 상세 정보 | 연도(들) |
---|---|---|---|---|
시드 없이 우승한 선수 | 남자 | 보리스 베커 () 고란 이바니셰비치 () | 20위 125위 | 1985년 2001년 |
여자 | 마르케타 본드루소바 () | 42위 | 2023년 | |
최연소 단식 우승자 | 남자 | 보리스 베커 () | 17세 7개월 | 1985년 |
여자 | 로티 도드 () | 15세 9개월 | 1887년 | |
최고령 단식 우승자 | 남자 | 아서 고어 () | 41세 6개월 | 1909년 |
여자 | 샬롯 쿠퍼 () | 37세 9개월 | 1908년 | |
랭킹이 가장 낮았던 우승자 | 남자 | 고란 이바니셰비치 () | 125위 | 2001년 |
여자 | 마르케타 본드루소바 () | 42위 | 2023년 | |
단식 승률 | 남자 | 비외른 보리 () | 92.72% (51–4) | 1973년–1981년 (오픈 시대) |
여자 | 슈테피 그라프 () | 90.36% (75–8) | 1984년–1999년 (오픈 시대) | |
단식 경기 승리 횟수 | 남자 | 로저 페더러 () | 105 | 2001년–2021년 (오픈 시대) |
여자 | 마르티나 나브라틸로바 () | 120 | 1973년–2004년 (오픈 시대) | |
최다 출전 경기 횟수 | 남자 | 장 보로트라 () | 223 | 1922년–39년, 1948년–64년 |
여자 | 마르티나 나브라틸로바 () | 326 | 1973년–2006년 | |
최다 연속 출전 대회 횟수 | 남자 | 아서 고어 ()[134] | 30 | 1888년–1922년 |
여자 | 버지니아 웨이드 ()[135] | 26 | 1960년–1985년 | |
시간으로 가장 긴 경기 | 남자 | 존 이스너 () vs 니콜라 마유 () | 11시간 5분 | 2010년 |
여자 | 찬다 루빈 () vs 패트리샤 하이-부레 () | 3시간 45분[136] | 1995년 | |
시간으로 가장 긴 결승전 | 남자 | 노바크 조코비치 () vs 로저 페더러 () | 4시간 57분 | 2019년 |
여자 | 린제이 데이븐포트 () vs 비너스 윌리엄스 () | 2시간 45분 | 2005년 | |
주니어 및 시니어 단식 모두 우승한 선수 | 남자 | 비외른 보리 () 팻 캐시 () 스테판 에드베리 () 로저 페더러 () | 1972년 1982년 1983년 1998년 | 1976년–80년 1987년 1988년, 1990년 2003년–07년, 2009년, 2012년, 2017년 |
여자 | 애슐리 바르티 () 카렌 한체 () 앤 헤이던 () 마르티나 힝기스 () 아멜리 모레스모 () | 2011년 1960년 1956년 1994년 1996년 | 2021년 1962년 1969년 (결혼 후 성인 존스로 기록) 1997년 2006년 |
12. 일본 선수 참가
일본인 선수의 윔블던 대회 참가는 정확한 시점을 알 수 없으나, 1920년 清水善造(Shimizu Zenzo)가 최초로 출전하여 올커머 제도(현 준결승) 결승에 진출하는 쾌거를 이루었다. [171] 이듬해에는 올커머 제도 준결승에 진출하며 세계 4위에 오르기도 했다. [171] 1931년 프랑스오픈 4강 진출자인 佐藤次郎(Sato Jiro)는 윔블던에서 8강, 이듬해 4강에 진출했고, 1933년에는 단식 4강, 布井良助(Nunoi Ryosuke)와 함께 출전한 복식에서는 결승에 진출하여 세계 3위를 기록했다. [171] 1934년에는 三木龍喜(Miki Ryuki)가 영국 선수 Dorothy Round와 함께 혼합복식에서 우승하며 4대 메이저 대회에서 일본인 최초로 우승컵을 들어올렸다. [171]
전후에는 1954년 加茂幸子(Kamo Sachiko)가 일본 여자 선수 최초로 출전하여 단식 3회전까지 진출했다. [170] 1969년 沢松和子(Sawamatsu Kazuko)는 프랑스오픈과 함께 주니어 부문에서 우승을 차지했고, 1975년에는 일본계 미국인 Ann Kiyomura와 함께 복식 우승을 거머쥐었다. [171] 1995년에는 松岡修造(Matsuoka Shuzo)가 일본 남자 선수로 62년 만에 8강에 진출하는 성과를 보였고, 1996년에는 伊達公子(Date Kimiko)가 일본 여자 선수 최초로 4강에 진출했다. [171] 2000년에는 US오픈 우승자인 杉山愛(Sugiyama Ai)가 프랑스의 Julie Allard-Decugis와 함께 준우승을 차지했고, 2002년에는 Kim Clijsters와 함께 준우승을, 2003년에는 같은 조로 프랑스오픈과 윔블던에서 우승을 차지하는 쾌거를 달성했다. [171] 2004년에는 杉山愛(Sugiyama Ai)가 단식에서 일본 여자 선수 사상 두 번째로 8강에 진출했다. [171] 최근에는 錦織圭(Nishikori Kei)가 2008년 첫 출전 이후 2018년과 2019년 8강에 진출하며 활약을 이어갔다. [171]
13. 기타 그랜드 슬램 토너먼트
다른 그랜드 슬램 대회로는 오스트레일리아 오픈, 프랑스 오픈, US 오픈이 있다.
참조
[1]
뉴스
Traditional Final: It's Nadal and Federer
https://www.nytimes.[...]
2008-05-07
[2]
백과사전
Tennis
ABC-CLIO
[3]
뉴스
Djokovic describes Wimbledon as "the most prestigious event"
http://news.bbc.co.u[...]
BBC News
2009-06-26
[4]
뉴스
Wimbledon Tennis 2013: Why Historic Tournament Is Most Prestigious Grand GMR Slam
http://bleacherrepor[...]
2013-06-24
[5]
잡지
What Is The Most Prestigious Grand Slam Tennis Tournament?
https://www.forbes.c[...]
2012-05-30
[6]
웹사이트
All You Need to Know About the Wimbledon Championships Roof
https://www.essentia[...]
2019-06-25
[7]
뉴스
Wimbledon's strawberries and cream has Tudor roots
http://news.bbc.co.u[...]
2015-06-09
[8]
웹사이트
Please Don't Pop a Champagne Cork During a Tennis Match
https://www.foodandw[...]
[9]
뉴스
A 115-year-old tale of sport's surviving sponsorships
https://www.insidesp[...]
2017-10-15
[10]
웹사이트
Taking A Look At Every Time Wimbledon Has Been Canceled, Including The 2020 Tournament
https://www.forbes.c[...]
[11]
뉴스
Anyone for a game of sphairistiké?
https://web.archive.[...]
2009-06-27
[12]
웹사이트
October 16, 1833: The day the man who invented lawn tennis – Walter Clopton Wingfield – was born
https://www.tennisma[...]
2023-10-16
[13]
웹사이트
1877 Wimbledon Championships
http://www.wimbledon[...]
Wimbledon.org
[14]
웹사이트
I'm related to the first black tennis player to play at Wimbledon
https://www.whodoyou[...]
2020-07-01
[15]
웹사이트
History – 1940s
https://www.wimbledo[...]
AELTC
[16]
웹사이트
Long Term Plan
http://www.wimbledon[...]
AELTC
[17]
웹사이트
Championships History
https://web.archive.[...]
[18]
웹사이트
New Court No. 2
https://web.archive.[...]
[19]
웹사이트
The New Court 3
http://blog.wimbledo[...]
Blog.wimbledon.org
[20]
웹사이트
About the AELTC
https://www.wimbledo[...]
The All England Lawn Tennis & Croquet Club
[21]
웹사이트
Olympic Tennis
http://www.olympicte[...]
UK Media Limited
[22]
웹사이트
First glimpse of future-facing Roland-Garros – Roland-Garros – The 2018 French Open official site
https://www.rolandga[...]
[23]
웹사이트
Melbourne Park Redevelopment
https://www.tennis.c[...]
[24]
웹사이트
The Championships, Wimbledon 2018
https://www.wimbledo[...]
[25]
뉴스
Wimbledon to expand after golf club members vote to sell for £65m
https://www.theguard[...]
2018-12-13
[26]
뉴스
Wimbledon: Final set tie-breaks to be introduced in 2019
https://www.bbc.com/[...]
BBC Sport
2018-10-19
[27]
웹사이트
AELTC announces introduction of final set tie-break
http://www.wimbledon[...]
Wimbledon
2018-10-19
[28]
웹사이트
AELTC announces Referee Designate and Championships enhancements AELTC confirms Referee succession and issues Championships updates.
http://www.wimbledon[...]
2018-11-09
[29]
뉴스
Wimbledon cancelled due to coronavirus – where does that leave tennis in 2020?
https://www.bbc.co.u[...]
[30]
뉴스
Behind the curtain: Henman on AELTC's decision to cancel Wimbledon
https://www.tennis.c[...]
Tennis Channel
2020-04-13
[31]
웹사이트
Wimbledon cancelled due to coronavirus – where does that leave tennis in 2020?
https://www.tennis36[...]
2020-04-09
[32]
뉴스
Russian players to be barred from competing at Wimbledon – report
https://www.reuters.[...]
2022-04-20
[33]
뉴스
ATP, WTA pull Wimbledon points over Russia ban
https://www.espn.com[...]
2022-05-20
[34]
뉴스
Wimbledon lifts ban on Russian & Belarusian players
https://www.bbc.com/[...]
[35]
웹사이트
Wimbledon brings in electronic line calling for 2025
https://www.bbc.co.u[...]
BBC Sport
[36]
웹사이트
All England club to replace all 300 line judges after 147 years with electronic system next year
https://www.skysport[...]
Sky Sports
2024-10-09
[37]
웹사이트
Wimbledon Event Guide
http://www.wimbledon[...]
wimbledon.org
2010-11-12
[38]
웹사이트
Wimbledon announces Wheelchair Tennis Singles events from 2016
http://www.wimbledon[...]
AELTC
2016-06-06
[39]
문서
There are no age limits for the Wheelchair Doubles events.
[40]
웹사이트
Wimbledon Cut Men's Doubles Matches To Best-Of-Three Sets From Best-Of-Five Sets Following Nick Kyrgios Criticism
https://www.eurospor[...]
2023-07-03
[41]
웹사이트
Grand Slam tournaments jointly announce 10-point final set tie-break at six games all
https://www.wimbledo[...]
AELTC
2022-03-16
[42]
웹사이트
Ten-point final set tie-breaker to be trialled at all Grand Slams
https://www.bbc.com/[...]
2022-03-16
[43]
웹사이트
Wimbledon Championships moved back a week from 2015
https://www.bbc.co.u[...]
BBC
2012-09-01
[44]
뉴스
Wimbledon Switches To Sunday Men's Final
https://www.nytimes.[...]
1981-10-17
[45]
웹사이트
Middle Sunday makes grand entrance
https://www.wimbledo[...]
2024-07-07
[46]
뉴스
Wimbledon 2017: What is Manic Monday
https://www.independ[...]
2017-07-12
[47]
웹사이트
Wimbledon curfew: Why do players have to leave the court at 11pm?
https://www.express.[...]
2023-07-06
[48]
웹사이트
Wimbledon crowd boo Stefanos Tsitsipas as Andy Murray match reaches curfew
https://www.express.[...]
2023-07-06
[49]
웹사이트
FAQ: Facts and Figures
http://www.wimbledon[...]
Wimbledon
2015-05-27
[50]
서적
2013 Wimbledon Compendium
The All England Lawn Tennis and Croquet Club
2013
[51]
웹사이트
Wimbledon Drops Grass Court Seeding Formula For 2021 – peRFect Tennis
https://www.perfect-[...]
2021-06-25
[52]
뉴스
Explaining Wimbledon's seeding method
https://www.theglobe[...]
2010-06-16
[53]
웹사이트
All you need to know about the seeding methodology used in Wimbledon 2019 – In depth data driven discussion about the method and its effectiveness
https://medium.com/t[...]
2019-06-30
[54]
뉴스
Unseeded Marketa Vondrousova stuns Ons Jabeur to win Wimbledon title
https://www.theguard[...]
2023-07-15
[55]
웹사이트
Wimbledon grass
http://www.wimbledon[...]
Wimbledon Championship
2015-02-07
[56]
웹사이트
Wimbledon – Centre Court roof
http://www.wimbledon[...]
AELTC
2012-09-01
[57]
웹사이트
New No. 1 Court Roof Among Stadium Changes For Wimbledon 2019
https://www.forbes.c[...]
2019-06-11
[58]
웹사이트
Tickets – 2013 Wimbledon Championships Website – Official Site by IBM
https://www.aeltc.co[...]
AELTC.com
2013-07-06
[59]
웹사이트
How the 'Graveyard of champions' got its name
http://wimbledontenn[...]
Blog.wimbledon.org
2009-05-26
[60]
웹사이트
Wimbledon Debentures – About Debentures – The Long Term Plan
http://www.aeltc.com[...]
AELTC.com
2010-07-26
[61]
웹사이트
Suffragettes, violence and militancy
https://www.bl.uk/vo[...]
2021-09-25
[62]
논문
It Wasn't Just Emily Davison! Sport, Suffrage and Society in Edwardian Britain
https://www.tandfonl[...]
2008
[63]
웹사이트
Qualifying – Information on The Championships Qualifying Competition
http://www.wimbledon[...]
Wimbledon
2017-07-01
[64]
웹사이트
Game, set and match: What Wimbledon says about the British
http://edition.cnn.c[...]
2012-06-25
[65]
뉴스
Strawberries, cream and BBGs
https://archive.toda[...]
The Daily Telegraph
2006-06-29
[66]
웹사이트
Goldings Ballboys
http://www.goldonian[...]
Goldonian.org
2004-06-26
[67]
웹사이트
Ball Boys and Ball Girls
http://www.wimbledon[...]
AELTC
2017-01-04
[68]
웹사이트
BBGs at The Championships
https://www.wimbledo[...]
[69]
웹사이트
About the Ball Boys and Girls
http://www.wimbledon[...]
[70]
웹사이트
About Wimbledon – Behind the scenes – Ball boys and ball girls
http://www.wimbledon[...]
AELTC
2012-09-01
[71]
웹사이트
Umpires
https://www.wimbledo[...]
2023-03-02
[72]
뉴스
Hawk-Eye to make Wimbledon debut
http://news.bbc.co.u[...]
2007-05-23
[73]
웹사이트
EXCLUSIVE: Wimbledon Says No To Replacing Line Umpires With Hawk-Eye, But Others Say Yes
https://www.ubitenni[...]
2021-07-09
[74]
웹사이트
Game and All Set for a Match: Wimbledon and our Inner Tennis Player
https://archive.toda[...]
The Green Rooms
[75]
뉴스
Wimbledon are relaxing their all-white dress code to ease the stress of women's periods
https://www.nytimes.[...]
[76]
웹사이트
Clothing and equipment
https://web.archive.[...]
[77]
웹사이트
Wimbledon Fashions & Styles: What To Wear
https://www.batterym[...]
[78]
뉴스
Why has Wimbledon dropped 'Miss'?
http://news.bbc.co.u[...]
2009-06-30
[79]
뉴스
Wimbledon, Wedded to Tradition, Steps into the Present
https://www.nytimes.[...]
2019-07-01
[80]
웹사이트
Wimbledon – The Royal Box
http://www.wimbledon[...]
AELTC
[81]
뉴스
Advantage Andy Murray as the Queen visits Wimbledon
https://web.archive.[...]
2010-05-15
[82]
뉴스
Roger Federer advances to 3rd round
https://www.espn.com[...]
2012-06-27
[83]
웹사이트
Follow my blog as a steward at Wimbledon
https://www.facebook[...]
Army West Midlands
[84]
뉴스
Wimbledon fans show pride in Armed Forces
https://www.gov.uk/g[...]
2010-07-02
[85]
웹사이트
Wimbledon – Facts and Figures
http://www.wimbledon[...]
AELTC
[86]
웹사이트
Ticket Resale Kiosk
http://www.wimbledon[...]
AELTC
[87]
웹사이트
Ticket Resale – where does it go?
http://www.wimbledon[...]
AELTC
2015-07-27
[88]
웹사이트
Ballot
https://web.archive.[...]
AELTC
[89]
웹사이트
Tickets
http://www.wimbledon[...]
AELTC
[90]
웹사이트
Wimbledon Debentures – About Debentures – About Wimbledon Debentures
https://web.archive.[...]
AELTC.com
[91]
웹사이트
Evening Visitors | Le site officiel de la billetterie Roland-Garros 2013
http://rolandgarros.[...]
Rolandgarros.fft-tickets.com
[92]
웹사이트
Natee's Blog
https://web.archive.[...]
Blog.nationmultimedia.com
[93]
웹사이트
The Championships – Day Nine Diary
http://www.atpworldt[...]
ATP
2010-06-29
[94]
웹사이트
For Many Wimbledon Fans, the Waiting Is Not the Hardest Part
http://straightsets.[...]
2010-07-03
[95]
웹사이트
Information about Official suppliers to The Championships.
https://www.wimbledo[...]
[96]
뉴스
Wimbledon in Style for Marketers, Bringing a Reverent Hush to Their Ads
https://www.nytimes.[...]
2017-07-09
[97]
웹사이트
At 113 Years and Counting, Slazenger Maintains the Longest Sponsorship in Sports
https://web.archive.[...]
S&E Sponsorship Group
2015-11-04
[98]
웹사이트
Robinsons and Wimbledon end 86-year partnership
https://www.theguard[...]
2022-06-24
[99]
뉴스
Why do fans at Wimbledon eat strawberries and cream and drink Pimm's?
https://www.sporting[...]
2022-07-10
[100]
웹사이트
Facts and Figures
https://www.wimbledo[...]
[101]
뉴스
Radio Wimbledon lose rights to broadcast Wimbledon tennis Championships
http://www.swlondone[...]
2011-09-23
[102]
뉴스
Wimbledon to launch in-house host broadcaster
http://www.sportspro[...]
[103]
웹사이트
Throwback Thursday: The first Wimbledon on television
https://web.archive.[...]
AELTC
2015-02-05
[104]
서적
Wimbledon Compendium 2013
All England Lawn Tennis & Croquet Club
[105]
뉴스
BBC extends Wimbledon broadcast deal
https://www.bbc.co.u[...]
BBC Sport
[106]
웹사이트
Coverage of Sport on Television
https://web.archive.[...]
DCMS
2010-07-26
[107]
뉴스
BBC sorry for 'over-talking' Wimbledon commentators
https://www.bbc.co.u[...]
BBC
2011-07-05
[108]
웹사이트
Wimbledon Facts
https://www.watches2[...]
2019-05-02
[109]
뉴스
Wimbledon in 4K: the best ways to catch the tennis action in Ultra HD
https://www.techrada[...]
2018-07-03
[110]
뉴스
Tennis – set for change?
https://www.irishtim[...]
1998-07-08
[111]
웹사이트
TG4'S SUCCESSFUL TENNIS COVERAGE TO CONTINUE WITH WIMBLEDON 2009
https://web.archive.[...]
TG4
2009-06-20
[112]
웹사이트
Big summer of sport on Setanta
https://web.archive.[...]
[113]
웹사이트
NBC Sports establishes "Breakfast at Wimbledon"
http://www.nbcsports[...]
2017-08-06
[114]
문서
HBO Guides, program schedules, 1975 to 1999
[115]
뉴스
ESPN, Wimbledon come to terms
https://www.upi.com/[...]
2003-04-14
[116]
뉴스
Why Wimbledon Switched to ESPN From NBC
https://www.nytimes.[...]
2011-07-05
[117]
뉴스
ESPN Reaches Deal to Carry Wimbledon
http://straightsets.[...]
2011-07-03
[118]
웹사이트
ESPN, AELTC Sign 12-Year Agreement to Extend Exclusive Relationship for The Championships, Wimbledon through 2035
https://espnpressroo[...]
2021-07-09
[119]
웹사이트
Weiter nur im Pay-TV: Wimbledon läuft exklusiv bei Sky bis 2022
https://satvision.de[...]
2018-12-13
[120]
웹사이트
Sky überträgt Wimbledon bis 2022 live und exklusiv
https://www.skysport[...]
Sky Sport Austria
2018-12-13
[121]
웹사이트
Trophies
http://www.wimbledon[...]
AELTC
2016-08-21
[122]
웹사이트
Wimbledon – Behind the Scenes – Trophies
https://web.archive.[...]
AELTC
[123]
웹사이트
Prize Money and Finance
https://www.wimbledo[...]
AELTC
[124]
서적
BP Year Book of World Tennis
Ward Lock & Co. Ltd.
[125]
웹사이트
The Championships, Wimbledon 2009 – 2009 Prize money
https://web.archive.[...]
AELTC2009.wimbledon.org
[126]
뉴스
Wimbledon pays equal prize money
http://news.bbc.co.u[...]
BBC Sport
2007-02-22
[127]
뉴스
French Open to award equal prize money
https://www.reuters.[...]
2007-03-16
[128]
웹사이트
Wimbledon announces 40 per cent prize money increase for 2013 Championships
http://www.atpworldt[...]
ATP World Tour
[129]
웹사이트
Wimbledon Prize Money 2022
https://www.perfect-[...]
Perfect Tennis
[130]
웹사이트
Wimbledon Prize Money 2023
https://www.wimbledo[...]
All England Lawn Tennis Club
[131]
뉴스
Wimbledon announce increase in prize money for losers
https://www.independ[...]
2012-04-24
[132]
웹사이트
http://sport.lb.ua/t[...]
2012-04-04
[133]
웹사이트
The Championships 2022 Prize Money
https://www.wimbledo[...]
All England Lawn Tennis and Croquet Club
[134]
웹사이트
Hall of Famers – Arthur Gore
https://www.tennisfa[...]
International tennis Hall of Fame
[135]
뉴스
Wimbledon 2014: Britain's Jamie Delgado smashes record with 23rd consecutive All England Club appearance
https://www.telegrap[...]
2014-06-25
[136]
웹사이트
Schiavone-Kuznetsova Epic is Second-Longest Ever Women's Match
http://www.worldtenn[...]
World Tennis Magazine
2011-01-23
[137]
웹사이트
Championships 2021 Prize Money
https://www.wimbledo[...]
[138]
웹사이트
At its roots, Wimbledon is about the grass
http://sports.espn.g[...]
ESPN
2011-11-11
[139]
문서
2017년 7월 첫째 주 월요일부터 대회가 시작되었다.
[140]
웹사이트
Anne White With an unintentional fashion statement, she left her mark on tennis
https://web.archive.[...]
2000-07-31
[141]
뉴스
ウィンブルドンとオリンピック 10の違い◇ロンドンオリンピック
http://t52.tennis365[...]
2017-07-03
[142]
뉴스
ウィンブルドン、22年から伝統の休養日廃止へ
https://www.afpbb.co[...]
2021-06-27
[143]
웹사이트
休養日の伝統に幕 「ミドルサンデー」今年限り―ウィンブルドンテニス
https://web.archive.[...]
時事通信
2021-07-05
[144]
웹사이트
1877 Wimbledon tournament begins
https://www.history.[...]
A&E Television Networks
2017-07-03
[145]
웹사이트
LONG TERM PLAN
https://web.archive.[...]
AELTC
2011-11-11
[146]
뉴스
サフィナが8強入り 開閉式屋根は初稼動、ウィンブルドン選手権
https://www.afpbb.co[...]
2022-05-29
[147]
웹사이트
THE ROOF IS CLOSED
http://www.wimbledon[...]
AELTC
2011-11-11
[148]
웹사이트
Cancellation of The Championships 2020
https://www.wimbledo[...]
AELTC
2020-08-09
[149]
뉴스
Wimbledon cancelled due to coronavirus - where does that leave tennis in 2020?
https://www.bbc.com/[...]
2020-04-01
[150]
뉴스
全米オープン会場が「臨時病院」に テニス界も前途多難
https://www.asahi.co[...]
2020-04-03
[151]
뉴스
ウィンブルドン、75年ぶり中止 戦争以外で初―テニス
https://www.jiji.com[...]
2020-08-09
[152]
웹사이트
AELTC Announces Prize Money in Lieu of Championships 2020 and Initial Decisions for 2021
https://www.wimbledo[...]
AELTC
2020-08-09
[153]
뉴스
中止のウィンブルドン、選手に「賞金」 保険で資金捻出
https://www.nikkei.c[...]
2020-08-09
[154]
뉴스
ロシアとベラルーシの選手除外 ウィンブルドンテニス
https://web.archive.[...]
2022-05-29
[155]
뉴스
ウインブルドン主催者がロシア選手の除外を正式発表「露政権の利益、受け入れられない」
https://www.daily.co[...]
2022-05-29
[156]
뉴스
テニスのウィンブルドン、ロシアとベラルーシ選手の出場を禁止
https://www.bbc.com/[...]
2022-04-22
[157]
뉴스
ロシアなど除外は「不公平」 ATPとWTAがウィンブルドンに反発
https://www.afpbb.co[...]
2022-04-22
[158]
웹사이트
露選手らへ「差別はしない」
https://news.tennis3[...]
2022-04-22
[159]
웹사이트
元女王「追放は支持できない」
https://news.tennis3[...]
2022-04-22
[160]
웹사이트
「沈黙が裏切りとなる時が来た」ロシア選手のウィンブルドン出場拒否めぐり、ウクライナ選手が訴えたこと
https://www.huffingt[...]
2022-05-21
[161]
웹사이트
「完全な差別だ!」ロシアのルブレフが、ウィンブルドンのエントリー拒否を批判
https://tennisclassi[...]
2022-04-22
[162]
웹사이트
「大会よりも人命のほうが断然大事」ウインブルドンから排除されたロシアのカサキナ
https://tennismagazi[...]
2022-04-22
[163]
뉴스
ウィンブルドンに世界ランキングポイント付与せず テニス協会
https://web.archive.[...]
2022-05-21
[164]
뉴스
ウィンブルドンはポイント付与せず ロシアなど除外「公平性に反す」
https://www.asahi.co[...]
2022-05-21
[165]
웹사이트
ウィンブルドン・センターコート100年の歴史を振り返る
https://wowowtennisw[...]
2022-07-16
[166]
웹사이트
【ウィンブルドン問題】最古の歴史と伝統を誇る前代未聞の非公式戦、1カ月半で態度が豹変/上
https://www.nikkansp[...]
2022-07-18
[167]
뉴스
テニスのウィンブルドン大会、今年はロシアとベラルーシの選手出場認める
https://www.bbc.com/[...]
2024-06-23
[168]
문서
1968年にオープン化制度が創設されてプロ選手の出場が解禁されたため、多くの記録はこの年の前後で分けられる。
[169]
문서
レンショーの時代にはディフェンディング・チャンピオンは予選に参加せず、決勝戦のみ出場した。この規定は、1922年に廃止された。
[170]
웹사이트
グランドスラムへの挑戦-1ウィンブルドン 最古で最高のグランドスラム大会
https://www.jta-tenn[...]
[171]
웹사이트
日本テニスの年表
https://www.jta-tenn[...]
日本テニス協会
[172]
웹사이트
Wimbledon first televised - History of the BBC
https://www.bbc.com/[...]
2020-04-01
[173]
웹사이트
TV COVERAGE AND SCHEDULES
https://www.wimbledo[...]
2024-06-13
[174]
문서
年度によっては準キー局の朝日放送(現:朝日放送テレビ)のアナウンサーも実況を担当していた。
[175]
문서
政見放送の開催などによる。
[176]
뉴스
錦織のウィンブルドン、全生中継検討
https://www.daily.co[...]
デイリースポーツ
2015-06-17
[177]
웹사이트
Trophies
http://www.wimbledon[...]
オールイングランド・ローンテニス・アンド・クローケー・クラブ
2017-07-15
[178]
웹사이트
Wimbledon – Behind the Scenes – Trophies
http://www.wimbledon[...]
オールイングランド・ローンテニス・アンド・クローケー・クラブ
2017-07-15
[179]
문서
남자 본선 드로 설명
[180]
뉴스인용
Traditional Final: It's Nadal and Federer
http://www.nytimes.c[...]
2008-07-17
[181]
백과사전인용
Tennis
ABC-CLIO
[182]
웹인용
Wimbledon's reputation and why it is considered the most prestigious
http://www.iloveindi[...]
Iloveindia.com
2010-09-14
[183]
뉴스인용
Djokovic describes Wimbledon as "the most prestigious event"
http://news.bbc.co.u[...]
BBC News
2010-09-14
[184]
웹사이트
Wimbledon home page - Hisotory
http://www.wimbledon[...]
[185]
뉴스인용
Wimbledon 2010: Normal service resumed, just | Sport
http://www.guardian.[...]
2010-07-26
[186]
웹인용
The New Court 3
http://blog.wimbledo[...]
Blog.wimbledon.org
2010-09-14
[187]
웹인용
The Championships, Wimbledon 2008 — The 2008 Championships
http://aeltc.wimbled[...]
Aeltc.wimbledon.org
2010-09-14
[188]
문서
남자 초청 복식 참가 자격 연령
[189]
문서
시니어 남자 초청 복식 참가 자격 연령
[190]
문서
휠체어 복식 경기 연령 제한
[191]
웹인용
The Championships, Wimbledon 2008 — Prize Money history
http://aeltc.wimbled[...]
Aeltc.wimbledon.org
2010-07-26
[192]
웹인용
The Championships, Wimbledon 2009 - 2009 Prize money
http://aeltc2009.wim[...]
Aeltc2009.wimbledon.org
2010-07-26
[193]
웹인용
Some are more equal than others... - Lifestyle, Frontpage
http://www.independe[...]
2010-07-26
[194]
웹인용
Women Don't Deserve Equal Prize Money at Wimbledon
http://bleacherrepor[...]
Bleacher Report
2010-07-26
[195]
뉴스인용
The Big Question: Should women players get paid as much as men at Wimbledon?
http://www.independe[...]
2010-05-25
[196]
웹인용
2009 Championships Prize Money
http://aeltc2009.wim[...]
Aeltc2009.wimbledon.org
2010-09-14
[197]
웹인용
The Championships, Wimbledon 2009 - 2009 Prize money
http://aeltc2010.wim[...]
Aeltc2010.wimbledon.org
2010-07-26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시비옹테크 vs 아니시모바, 윔블던 테니스 여자 단식 결승 격돌
이번엔 잔디 코트다…‘조코비치 대 신네르’
브레이크 없는 알카라스, 윔블던 4강에서 프리츠와 대결
'3연패 도전' 알카라스, 노리 제압…윔블던 4강 진출
조코비치, 윔블던 테니스 통산 100승…남자 단식 16강 진출
사발렌카, 라두카누 꺾고 윔블던 테니스 여자 단식 16강 진출
'러키 루저' 시에라, 윔블던 테니스 여자 단식 16강 선착
신네르·조코비치, 윔블던 3회전 안착
조코비치, 복통 이겨내고 윔블던 1회전 통과…신네르도 승전고
'3년 연속 우승 도전' 알카라스, 윔블던 테니스 1회전 '진땀승'
‘6전7기’ 도전 조코비치, 컨디션 좋고 각오도 좋고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