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에비앙 협정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에비앙 협정은 1962년 프랑스와 알제리 간에 체결된 협정으로, 알제리의 완전한 주권과 자결권을 인정하고 정전, 포로 석방, 모든 알제리 시민에 대한 보호, 차별 금지, 재산권 보장을 주요 내용으로 한다. 협정은 프랑스군 철수, 메르스엘케비르 해군 기지 및 사하라 사막 지하 핵실험 시설 유지, 알제리의 기술 및 재정 지원 등을 포함했다. 프랑스 국민투표와 알제리 국민투표를 거쳐 알제리는 독립을 쟁취했으며, 역사학자들은 협정의 많은 조항이 실제 사건으로 인해 무력화되었다고 평가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62년 체결된 조약 - 조중 변계 조약
    조중 변계 조약은 1962년 북한과 중국이 6.25 전쟁 이후 국경선을 명확히 하기 위해 체결한 조약으로, 백두산 천지의 경계를 획정하고 압록강과 두만강의 귀속을 결정했다.
  • 프랑스의 현대사 - 영광의 30년
  • 프랑스의 현대사 - 귀르스 수용소
    귀르스 수용소는 제2차 세계 대전 중 프랑스 남서부에 설립되어 스페인 난민, 유대인, 공산주의자 등 '부적격자'들을 수용했으며, 비시 정권 시기에는 유대인 이송 거점, 전쟁 후에는 독일 협력 혐의자 수용소로 사용되다 폐쇄 후 기념 공간으로 조성되었다.
에비앙 협정
개요
조약 정보
이름에비앙 협정
서명일1962년 3월 18일
서명 장소프랑스, 에비앙레뱅
서명 당사자프랑스
알제리
언어프랑스어
배경
관련 사건알제리 전쟁 종결
협정 당사자
프랑스 대표루이 조크스
알제리 대표크림 벨카셈

2. 에비앙 협정의 주요 내용

에비앙 협정은 93페이지에 달하는 상세한 합의 및 조항으로 구성되었다. 이 협정은 알제리의 완전한 주권과 자결권 인정을 포함했으며, 모든 알제리 시민에 대한 보호, 차별 금지, 재산권 보장을 명시했다.

프랑스의 샤를 드골 대통령은 산업 및 상업적 우위와 사하라 석유 매장량에 대한 통제를 포함하여 이 지역에서 프랑스의 이익을 유지하고자 했다. OAS 극우 운동은 일련의 폭탄 테러와 1962년 8월 파리 클라마르에서 드골 대통령에 대한 암살 시도를 통해 협상에 반대했다.[1]

2. 1. 휴전 및 군사 관련 조항

에비앙 협정은 휴전, 포로 석방, 알제리의 완전한 주권 및 자결권 인정과 더불어 모든 알제리 시민에 대한 보호, 차별 금지, 재산권 보장을 포함했다. 군사 관련 조항에서는 메르스엘케비르 프랑스 군사 기지에 주둔하는 군대를 제외하고 2년에 걸쳐 프랑스군이 철수하도록 규정했다.[1] 협정은 또한 휴전 이전에 저질러진 행위에 대해서는 어떠한 제재도 없을 것이라고 약속했다.[1]

협정에는 "알제리는 프랑스에 필요한 특정 공군 기지, 토지, 부지 및 군사 시설의 사용을 허용한다"는 조항이 포함되어 있었다.[5] 이 협정은 특히 프랑스가 15년 동안 메르스엘케비르 해군 기지를 유지하고 사하라 사막 지하 핵실험 시설을 유지할 수 있도록 허용했다. 프랑스는 협정 후 5년 만인 1967년에 기지를 철수했다.[1]

2. 2. 알제리의 주권 및 자결권

에비앙 협정은 93페이지에 달하는 상세한 합의 및 조항으로 구성되었다. 이 협정은 정전 협정, 포로 석방, 알제리의 완전한 주권과 자결권 인정을 포함했다. 또한 모든 알제리 시민에 대한 보호, 차별 금지 및 재산권 보장을 포함했다.[1] 군사 문제와 관련해서는 메르스엘케비르 프랑스 군사 기지에 주둔하는 군대를 제외하고 2년에 걸쳐 프랑스군을 철수하는 내용을 담고 있었다. 다른 조항에서는 휴전 이전에 저질러진 행위에 대해서는 어떠한 제재도 없을 것이라고 약속했다.[1]

프랑스의 샤를 드골 대통령은 산업 및 상업적 우위와 사하라 석유 매장량에 대한 통제를 포함하여 이 지역에서 프랑스의 이익을 유지하고자 했다. 또한 알제리의 유럽계 프랑스 공동체(식민지 주민), 피에드누아르 및 알제리 토착 세파르디 유대인에게는 종교의 자유와 재산권뿐만 아니라 프랑스 시민권이 보장되었으며, 3년 후 프랑스 시민권과 알제리 시민권 중 하나를 선택할 수 있는 기회가 주어졌다. 그 대가로 알제리는 프랑스 정부로부터 기술 지원과 재정 지원을 받았다. 알제리인들은 비록 프랑스 시민과 동등한 정치적 권리는 없었지만, 일을 하기 위해 자국과 프랑스를 자유롭게 왕래할 수 있었다.[1]

2. 3. 알제리 내 프랑스인 및 소수 집단의 권리 보장

에비앙 협정은 모든 알제리 시민에 대한 보호, 차별 금지, 재산권 보장을 포함했다. 알제리의 유럽계 프랑스 공동체(식민지 주민), 피에드누아르 및 알제리 토착 세파르디 유대인에게는 종교의 자유와 재산권이 보장되었으며, 프랑스 시민권이 주어졌다. 이들은 3년 후 프랑스 시민권과 알제리 시민권 중 하나를 선택할 수 있었다.[1]

알제리인들은 프랑스 시민과 동등한 정치적 권리는 없었지만, 일을 위해 자국과 프랑스를 자유롭게 왕래할 수 있었다. 그 대가로 알제리는 프랑스 정부로부터 기술 지원과 재정 지원을 받았다.[1]

2. 4. 경제 및 기술 지원

알제리는 그 대가로 프랑스 정부로부터 기술 지원과 재정 지원을 받았다. 알제리인들은 프랑스 시민과 동등한 정치적 권리는 없었지만, 일을 위해 자국과 프랑스를 자유롭게 왕래할 수 있었다.[1]

2. 5. 기타

에비앙 협정은 93페이지에 달하는 상세한 합의 및 조항으로 구성되었다. 이는 정전 협정, 포로 석방, 알제리의 완전한 주권과 자결권 인정 외에도 모든 알제리 시민에 대한 보호, 차별 금지 및 재산권 보장을 포함했다. 군사 문제 부분에서는 메르스엘케비르 프랑스 군사 기지에 주둔하는 군대를 제외하고 2년에 걸쳐 프랑스군이 철수하도록 규정했다. 다른 조항들은 휴전 전에 저질러진 행위에 대해서는 어떠한 제재도 없을 것이라고 약속했다.[1]

프랑스의 샤를 드골 대통령은 산업 및 상업적 우위와 사하라 석유 매장량에 대한 통제를 포함하여 이 지역에서 프랑스의 이익을 유지하고자 했다. 또한 알제리의 유럽계 프랑스 공동체(식민지 주민), 피에드누아르 및 알제리 토착 세파르디 유대인에게는 종교의 자유와 재산권뿐만 아니라 프랑스 시민권이 보장되었으며, 3년 후 프랑스 시민권과 알제리 시민권 중 선택할 수 있는 옵션이 주어졌다. 그 대가로 알제리는 프랑스 정부로부터 기술 지원과 재정 지원을 받았다. 알제리인들은 프랑스 시민과 동등한 정치적 권리는 없었지만, 일을 위해 자국과 프랑스를 자유롭게 왕래할 수 있었다. OAS 극우 운동은 일련의 폭탄 테러와 1962년 8월 파리 클라마르에서 드골 대통령에 대한 암살 시도를 통해 협상에 반대했다.[1]

협정에는 "알제리는 프랑스에 필요한 특정 공군 기지, 토지, 부지 및 군사 시설의 사용을 허용한다"는 조항이 포함되어 있었다. 이 협정은 특히 프랑스가 15년 동안 메르스엘케비르 해군 기지를 유지하고 사하라 사막 지하 핵실험 시설을 유지할 수 있도록 허용했다. 프랑스는 협정 후 5년 만인 1967년에 기지를 철수했다.[1]

3. 협상 과정

알제리 민족해방전선(FLN)과 프랑스 정부 대표단은 1962년 에비앙 협정 체결을 위한 협상을 진행했다. 알제리 대표단은 크림 벨카셈(Krim Belkacem)을 비롯한 알제리 민족해방전선(FLN) 대표들이, 프랑스 대표단은 루이 족스(Louis Joxe) 등이 참여했다.

3. 1. 알제리 대표단

알제리 대표단
크림 벨카셈(Krim Belkacem)알제리 민족해방전선(FLN) 대표
하무드 아무르(Hamoud Ameur)
사드 달랍(Saad Dahlab)알제리 민족해방전선(FLN) 대표
벤모스테파 베나우다(Benmostefa Benaouda)
라크다르 벤토발(Lakhdar Bentobal)알제리 민족해방전선(FLN) 대표
타이브 불라흐루프(Taïeb Boulahrouf)알제리 민족해방전선(FLN) 대표
모하메드 세딕 베냐히아(Mohamed Seddik Benyahia)알제리 민족해방전선(FLN) 대표
세기르 모스테파이(Seghir Mostefaï)알제리 민족해방전선(FLN) 대표
레다 말렉(Redha Malek)알제리 민족해방전선(FLN) 대표
알리 미무니(Ali Mimouni)
엠하메드 야지드(M'Hamed Yazid)알제리 민족해방전선(FLN) 대표
아메드 부멘젤(Ahmed Boumendjel)
아메드 프랜시스(Ahmed Francis)알제리 민족해방전선(FLN) 대표
카이드 아흐메드(Kaïd Ahmed) (슬리만 사령관)알제리 민족해방전선(FLN) 대표
맹질리 사령관(Commandant Mendjli)알제리 민족해방전선(FLN) 대표


3. 2. 프랑스 대표단

루이 족스(Louis Joxe)

베르나르 트리코(Bernard Tricot)

롤랑 카데(Roland Cadet)

이브 롤랑-빌카르(Yves Roland-Billecart)

클로드 샤예(Claude Chayet)

브루노 드 뢰스(Bruno de Leusse)

뱅상 라부레(Vincent Labouret)

장 시몽

위베르 드 세갱 파지스(Hubert de Seguins Pazzis)

로베르 부롱(Robert Buron)

장 드 브로이(Jean de Broglie)

4. 에비앙 협정의 결과 및 영향

1962년 4월 8일 프랑스에서 실시된 국민투표에서 프랑스 유권자들은 에비앙 협정을 91%의 압도적인 지지로 승인했다. 투표 결과는 알제리 독립 찬성 17,866,423표, 반대 1,809,074표였다.[2] 7월 1일 알제리에서 실시된 두 번째 국민투표에서는 독립 찬성 5,975,581표, 반대 16,534표가 나왔다.[3] 샤를 드골은 7월 3일 알제리의 독립을 선포했다.

역사가 앨리스터 혼(Alistair Horne)은 협정의 대부분 조항이 사건들에 의해 무력화될 것이라고 평가했다.[4] 독립 직전 100만 명에 달하는 프랑스계 알제리인(Pied-Noir) 유럽 공동체의 대규모 탈출로 인해 3년간의 과도기 조항은 사문화된 법률(Unenforced law)이 되었고, 프랑스군과 함께 보조병으로 복무했던 무슬림들(하르키(harkis))에 대한 광범위한 살해는 조약의 사면 조항에 정면으로 위배되었다.

4. 1. 알제리의 독립

에비앙 협정은 알제리의 완전한 주권과 자결권 인정을 포함하여, 모든 알제리 시민에 대한 보호, 차별 금지 및 재산권 보장을 주요 내용으로 담고 있다. 협정은 2년에 걸쳐 프랑스군을 철수하는 것을 규정했지만, 메르스엘케비르 프랑스 군사 기지에 주둔하는 군대는 예외였다. 또한 휴전 이전에 저질러진 행위에 대해서는 어떠한 제재도 없을 것이라고 약속했다.[1]

샤를 드골 대통령은 사하라 석유 매장량에 대한 통제 등 이 지역에서 프랑스의 이익을 유지하고자 했다. 알제리에 거주하는 유럽계 프랑스인(식민지 주민), 피에드누아르 및 알제리 토착 세파르디 유대인에게는 종교의 자유와 재산권뿐만 아니라 프랑스 시민권이 보장되었으며, 3년 후 프랑스 시민권과 알제리 시민권 중 하나를 선택할 수 있는 기회가 주어졌다. 그 대가로 알제리는 프랑스 정부로부터 기술 지원과 재정 지원을 받았다. 알제리인들은 프랑스 시민과 동등한 정치적 권리는 없었지만, 취업을 위해 프랑스와 알제리를 자유롭게 왕래할 수 있었다. OAS 극우 운동은 일련의 폭탄 테러와 1962년 8월 파리 클라마르에서 드골 대통령 암살 미수 사건을 일으키며 협상에 반대했다.

협정에는 "알제리는 프랑스에 필요한 특정 공군 기지, 토지, 부지 및 군사 시설의 사용을 허용한다"는 조항이 포함되었다. 특히 프랑스는 15년 동안 메르스엘케비르 해군 기지를 유지하고 사하라 사막 지하 핵실험 시설을 계속 사용할 수 있었다. 그러나 프랑스는 협정 후 5년 만인 1967년에 기지에서 철수했다.[1]

1962년 4월 8일에 실시된 국민투표에서 프랑스 유권자들은 91%의 압도적인 찬성으로 에비앙 협정을 승인했다. 최종 결과는 알제리 독립 찬성 17,866,423표, 반대 1,809,074표였다.[2]

7월 1일에는 알제리에서 두 번째 국민투표가 실시되어 독립 찬성 5,975,581표, 반대 16,534표를 기록했다.[3] 드골은 7월 3일 알제리가 독립국임을 선포했다.

역사학자 알리스테어 혼(Alistair Horne)은 합의 사항 대부분이 이미 일어난 일을 추인한 것에 불과하다고 평가했다.[8]

4. 2. 역사적 평가

역사학자 알리스테어 혼(Alistair Horne)은 에비앙 협정의 대부분 조항이 이미 일어난 일을 추인한 것에 불과하다고 평가한다.[8] 독립 이전에 100만 명이 넘는 거의 모든 유럽인이 알제리를 탈출했고, 프랑스군과 외인부대알제리에서 활동하는 무슬림의 광범위한 학살은 조약의 면제 조항에 위배되었음에도 불구하고, 3년간의 이행 기간은 무의미해졌다.

참조

[1] 서적 A Savage War of Peace: Algeria 1954-1962
[2] 웹사이트 france-politique.fr http://www.france-po[...]
[3] 웹사이트 Proclamation des résultats du référendum d'autodétermination du 1er juillet 1962 http://www.joradp.dz[...] 1962-07-06
[4] 서적 A Savage War of Peace: Algeria 1954-1962
[5] 서적 A Savage War of Peace: Algeria 1954-1962
[6] 웹사이트 france-politique.fr http://www.france-po[...]
[7] 웹사이트 Proclamation des résultats du référendum d'autodétermination du 1er juillet 1962 http://www.joradp.dz[...] 1962-07-06
[8] 서적 A Savage War of Peace: Algeria 1954-196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