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트루리아 문자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에트루리아 문자는 기원전 8세기경 서방 그리스 문자를 기반으로 이탈리아 에트루리아 지역에서 사용된 문자 체계이다. 이 문자는 26자로 시작했으나, 에트루리아어의 음운 체계에 맞게 변형되어 19자까지 사용되었다. 에트루리아 문자는 라틴 문자를 비롯한 여러 고대 이탈리아 문자에 영향을 미쳤으며, 유니코드에도 포함되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에트루리아 - 에트루리아어
에트루리아어는 기원전 1세기경 이탈리아에서 사용된 고대 언어로, 그리스 알파벳에서 유래한 티레니아어족에 속하지만, 많은 비문에도 불구하고 완전한 해독이 이루어지지 않아 문법과 어휘가 미스터리로 남아있으며, 라틴어에 영향을 주었다. - 에트루리아 - 에트루리아 미술
에트루리아 미술은 기원전 9세기경 빌라노반 문화에서 시작하여 다양한 문명의 영향을 받아 발전한 고대 이탈리아의 미술로, 장례 미술, 건축, 조각, 회화, 공예 등에서 독자적인 양식을 구축했으며 로마 미술에 큰 영향을 미쳤고 시대에 따라 여러 시대로 구분된다. - 음소 문자 - 룬 문자
룬 문자는 고대 게르만어를 표기하기 위해 사용되었던 문자 체계로, 그리스 문자와 라틴 문자의 영향을 받았으며, 주로 나무나 돌에 새겨졌고, 여러 변형이 존재하며, 유니코드에도 포함되어 있다. - 음소 문자 - 아베스타 문자
아베스타 문자는 4세기경 팔레비 문자에서 발전하여 아베스타어의 음운 체계를 정확히 반영하기 위해 모음을 명확히 구별하는 완전한 알파벳 형태로 개발되었으며, 37개의 자음과 16개의 모음으로 구성되어 유니코드에 등록되어 있다.
에트루리아 문자 | |
---|---|
기본 정보 | |
이름 | 에트루리아 문자 |
유형 | 알파벳 |
사용 언어 | 에트루리아어 |
사용 시기 | 기원전 8세기 - 기원전 1세기 |
계통 | |
계통 1 | 원시 시나이 문자 |
계통 2 | 페니키아 문자 |
계통 3 | 그리스 문자 (쿠마에 문자) |
파생 문자 | |
파생 문자 | 라틴 문자 룬 문자 |
기타 | |
ISO 15924 | Ital |
![]() | |
![]() |
2. 역사
에트루리아 문자는 에우보이아섬(Εὔβοια)에서 사용되던 서방 그리스 문자에서 기원했다.[8] 이 문자는 동방계 이오니아식 알파벳과 달리 Ϝ(와우), Ϻ(산), Ϙ(코파)를 가지고 있었으며, Η는 /h/를, Χ는 /ks/를, Ψ는 /kh/를, Ζ는 /ts/를 나타냈다.[8][10]
피테쿠사이(이스키아섬)와 쿠마이에 식민지를 건설한 에우보이아 그리스인들을 통해 서방 그리스 문자가 에트루리아로 전해졌다.[8] 기원전 700년경 마르실리아나에서 출토된 알파벳 표에는 26자의 서방 그리스 문자가 모두 나타나 있다.
에트루리아어에서 Γ(⟨𐌂⟩ 자형)는 무성음 /k/를, Ϝ는 유성 자음 /v/를 나타내는 데 사용되었다. 유성 파열음과 모음 /o/가 없었기 때문에 Β, Δ, Ο는 사용되지 않았고,[8] Ξ도 사용되지 않았다. 기원전 250년경에는 Κ, Ϙ, Χ도 사용되지 않아, 실제로는 19자만 사용되었다.[11]
그리스어에는 없지만 에트루리아어에 있는 음소 /f/는 초기에는 ϜΗ(혹은 ΗϜ)로 쓰이다가, 기원전 600년경 에트루리아 북부에서 전용 문자(
/k/ 음을 나타내는 문자는 남부에서 모음에 따라 /a/ 앞에서는 Κ, /u/ 앞에서는 Ϙ, /e i/ 앞에서는 Γ로 구분하여 사용했으나, 기원전 6세기에는 Κ와 Ϙ가 사용되지 않게 되었다. 북부에서는 주로 Κ가 사용되었지만, 기원전 4세기에는 모든 경우에 Γ가 사용되었다.[11]
마찰음 /s/와 /ʃ/는 남부에서 전자는 Σ(지역에 따라 Χ), 후자는 Ϻ로, 북부에서는 반대로 전자는 Ϻ, 후자는 Σ로 표기했다.[11]
2. 1. 기원
에트루리아 문자는 이탈리아의 최초 식민지였던 피테쿠사이 섬과 캄파니아의 쿠마이에 거주했던 에우보이아 그리스인들이 사용한 에우보이아 문자를 각색한 것이다.[1]가장 오래된 에트루리아 문자표는 마르실리아나( 그로세토 근처, 토스카나)에서 발견된, 8.8× 크기의 상아로 만든 납판 테두리에 새겨져 있다. 기원전 700년경의 것으로 추정되며, 디감마, 산 및 코파를 포함한 당대 그리스 문자와 일치하는 26개의 문자를 나열하고 있지만, 당시 아직 추가되지 않은 오메가는 포함되어 있지 않다.
에트루리아 문자의 기원은 에우보이아섬(Εὔβοια)에서 사용되던 서방 그리스 문자이다.[8] 이 문자는 현재 잘 알려진 동방계 이오니아식 알파벳과 달리 Ϝ(와우), Ϻ(산), Ϙ(코파)를 가지고 있었다. Η는 /h/를, Χ는 /ks/를, Ψ는 /kh/를, Ζ는 /ts/를 나타냈다.[8][10]
2. 2. 발전
에트루리아 알파벳의 초기 형태는 기원전 8세기 후반부터 기원전 600년경까지 거의 변하지 않았고, 쓰는 방향도 자유로웠다. 그러나 기원전 6세기부터 에트루리아어의 음운론에 맞춰 알파벳이 발전했고, 에트루리아어에 없는 소리를 나타내는 문자는 사라졌다. 기원전 400년경에는 에트루리아 전역에서 주로 오른쪽에서 왼쪽으로 쓰는 20개 문자로 이루어진 고전 에트루리아 알파벳을 사용한 것으로 보인다.아 | 베 | 체 | 데 | 에 | 베 | 제 | 하 | 테 | 이 | 엘 | 엠 | 엔 | 페 | Ś | 레 | 세 | 테 | 우 | 프시 | 키 | 에프 |
---|
/ / 안은 국제음성기호이다. [1] 서양 문자에서 X는 의 음가를, Ψ는 의 음가를 가졌으나 에트루리아 문자에서는 X는 , Ψ는 또는 의 음가를 가졌다.
에트루리아에서는 「I」로 1을, 「Χ」로 10을,
유니코드에서 에트루리아 문자는 다른 고이탈리아 문자와 통합되어 있다.
에트루리아 문자는 라틴 문자의 직계 조상으로 여겨지며,[6] 로마가 부상하기 전 이탈리아에서 사용된 여러 이탈리아 고대 문자들과 관련이 있다. 예를 들어 오스칸, 움브리아, 레폰티, 레티, 베네토, 메사피아, 북 및 남 피케네, 그리고 카무니카 비문에 사용된 문자 등이 있다.[7]
[1]
서적
Etruscology
Walter de Gruyter
2017
숫자 8과 비슷한 모양의 추가 기호는 F로 표기되며, 리디아어 등 이탈리아 알파벳에 존재한다.[5] 이 기호는 기원전 600-550년경 에트루리아어에 도입되었으며, 초기 에트루리아 알파벳 사례인 마르실리아나 판에는 없다.[5] 이 기호의 음가는 였으며, 이전에 해당 음을 표현하는 데 사용되었던 에트루리아어 이중자음 FH를 대체했다.
반면에 일부 문자는 사용되지 않게 되었다. 에트루리아어에는 B, C, D가 원래 의도했던(각각 , , ) 유성 파열음이 없었다. 따라서 B와 D는 사용되지 않게 되었고, C는 를 쓰는 데 채택되었다. 마찬가지로, 에트루리아어에는 모음이 없었기 때문에 O는 사라지고 U로 대체되었다. 단순화 과정에서 중복된 문자인 C, K, Q는 주로 CE, KA, QU 문맥에서 사용되는 경향을 보였다.
이 고전 알파벳은 기원전 2세기까지 사용되었으며, 그 후 라틴 알파벳의 영향을 받기 시작했다. 로마인들은 와 에 대해 B와 D를 부활시켰고, 와 모두에 C를 사용했다. 곧 에트루리아어 자체가 사멸하여 1세기 이상의 집중적인 연구에도 불구하고 어휘와 문법이 아직 부분적으로만 알려져 있다.
에트루리아 문자의 기원은 에우보이아섬(Εὔβοια)에서 사용되던 서방 그리스 문자이다.[8] 이 문자는 Ϝ(와우), Ϻ(산), Ϙ(코파)를 가지고 있었다. Η는 /h/를, Χ는 /ks/를, Ψ는 /kh/를, Ζ는 /ts/를 나타냈다.[8][10] 총 26자였다.
에우보이아의 그리스인들은 피테쿠사이(이스키아섬(Ischia))와 쿠마이(Cumae)에 식민지를 건설했고, 이곳에서 서방 그리스 문자가 그대로 에트루리아로 전해졌다.[8] 마르실리아나(Marsiliana) 출토 기원전 700년경의 알파벳 표에는 서방 그리스 문자에 보이는 26자가 모두 나타나 있다.
하지만 에트루리아어에서는 Γ(⟨𐌂⟩의 자형을 사용)는 무성음 /k/를 나타내는 데 사용되었고, Ϝ는 유성 자음 /v/를 나타냈다. 또한 에트루리아어에는 유성 파열음이 없었기 때문에, 알파벳 표에서 Β와 Δ는 사용되지 않았고, 모음 /o/가 없었기 때문에 Ο도 사용되지 않았다.[8] Ξ도 사용되지 않았다. 기원전 250년경에는 Κ, Ϙ, Χ도 사용되지 않게 되어, 26자 중 19자만 실제로 사용되었다.[11]
반대로 그리스어에는 없고 에트루리아어에 있는 음소로 /f/가 있으며, 초기에는 ϜΗ(혹은 ΗϜ)로 쓰였다. 그 후, 에트루리아 북부에서 기원전 600년경에 전용 문자()가 만들어졌고, 기원전 500년경에는 에트루리아 남부에서도 사용되게 되었다. 이것은 서방 그리스 문자에 새롭게 추가된 유일한 문자였다.[11]
/k/의 음을 나타내는 문자에 대해서는, 남부에서는 뒤따르는 모음에 따라, /a/ 앞에서는 Κ, /u/ 앞에서는 Ϙ, /e i/ 앞에서는 Γ의 3가지를 구분하여 사용했다. 하지만 기원전 6세기에는 Κ와 Ϙ는 사용되지 않게 되었다. 북부에서는 주로 Κ가 사용되었지만, 기원전 4세기에는 모든 경우에 Γ가 사용되게 되었다.[11]
마찰음에는 /s/와 /ʃ/가 있었지만, 남부에서는 전자에 Σ(지역에 따라서는 Χ), 후자에 Ϻ을 사용했다. 이에 대해 북부에서는 반대로 전자에 Ϻ, 후자에 Σ를 사용했다.[11]
3. 글자
자형 현대 문자 전사 발음 a /ɑ/ c /k/ e /e/ h /h/ i /i/ , /j/ k /k/ χ /kʰ/ l /l̪/ m /m/ n /n̪/ o /u/ p /p/ p2 /ɸ/ φ /pʰ/ q /k/ r /r̪/ s /s̪/ ś /ʃ/ t /t̪/ θ /t̪ʰ/ v /w/ z /t̪͡s̪/
가장 오래된 에트루리아 문자표는 마르실리아나( 그로세토 근처, 토스카나)에서 발견된, 8.8× 크기의 상아로 만든 납판 테두리에 새겨져 있다. 기원전 700년경의 것으로 추정되며, 디감마, 산 및 코파를 포함한 당대 그리스 문자와 일치하는 26개의 문자를 나열하고 있지만, 당시 아직 추가되지 않은 오메가는 포함되어 있지 않다.
고대 에트루리아 문자와 후기 에트루리아 문자의 형태는 지역이나 시대에 따라 약간씩 변형이 있었다. 특히 와 를 나타내는 문자는 지역에 따라 서로 반대로 사용되었다. 위에 표시된 것은 유니코드 이탈리아 고대 문자 블록의 글리프이며, 브라우저에서 사용하는 글꼴에 따라 모양이 달라진다. 이 글리프들은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쓰는 줄에 표시된 것과 같이 배향되어 있다. 또한, 실제 비문의 대부분처럼 오른쪽에서 왼쪽으로 쓸 때의 모양을 보여주는 변형체의 SVG 이미지도 표시되어 있다.[3][4]
에트루리아 알파벳의 초기 형태는 기원전 8세기 기원 이후 기원전 600년경까지 거의 변하지 않았으며, 쓰는 방향도 자유로웠다. 그러나 기원전 6세기부터는 에트루리아어의 음운론에 맞춰 알파벳이 발전했고, 에트루리아어에 없는 음소를 나타내는 문자는 사라졌다. 기원전 400년경에는 에트루리아 전역에서 주로 오른쪽에서 왼쪽으로 쓰는 20개 문자로 이루어진 고전 에트루리아 알파벳을 사용한 것으로 보인다.A G D E V Z H Θ I L M N P Ś R S T Υ Φ Ψ F
숫자 8과 비슷한 모양의 추가 기호 는 F로 표기되며, 리디아어, 후기 에트루리아어, 오스코-움브리아어족(오스칸어, 움브리아어, 고대 사비니어, 남 피케네어(고대 볼스키어))와 같은 이탈리아 알파벳에 존재한다.[5] 이 기호는 기원전 600-550년경 에트루리아어에 도입되었으며, 가장 초기의 에트루리아 알파벳 사례인 마르실리아나 판에는 없다. 이전에는 기호가 변형된 B 또는 H, 또는 새로운 창작물, 심지어 에트루리아인의 발명일 수 있다고 생각했지만, 초기 사벨리아어 비문은 이것이 대신 사벨리아어족(오스코-움브리아어족) 화자의 발명임을 시사한다.[5] 이 기호의 음가는 였으며, 이전에 해당 음을 표현하는 데 사용되었던 에트루리아어 이중자음 FH를 대체했다. 반면에 일부 문자는 사용되지 않게 되었다. 에트루리아어에는 B, C, D가 원래 의도했던(각각 , , ) 유성 파열음이 없었다. 따라서 B와 D는 사용되지 않게 되었고, K보다 쓰기가 간단하고 쉬운 C는 를 쓰는 데 채택되어 대부분 K 자체를 대체했다. 마찬가지로, 에트루리아어에는 모음이 없었기 때문에 O는 사라지고 U로 대체되었다. 단순화 과정에서 중복된 문자는 반음절 문자: C, K, Q는 주로 CE, KA, QU 문맥에서 사용되는 경향을 보였다.
이 고전 알파벳은 기원전 2세기까지 사용되었으며, 그 후 라틴 알파벳의 부상의 영향을 받기 시작했다. 라틴어에는 유성 파열음이 있었던 로마인들은 와 에 대해 B와 D를 부활시켰고, 두 소리를 구분하기 위해 별도의 문자 G를 만들 때까지 와 모두에 C를 사용했다. 곧 에트루리아어 자체가 사멸하여 1세기 이상의 집중적인 연구에도 불구하고 어휘와 문법이 아직 부분적으로만 알려져 있다.
에트루리아 문자의 기원은 에우보이아섬(Εὔβοια)에서 사용되던 서방 그리스 문자이다.[8]
하지만 에트루리아어에서는 Γ(⟨𐌂⟩의 자형을 사용)는 무성음 /k/를 나타내는 데 사용되었고, Ϝ는 유성 자음 /v/를 나타냈다.
또한 에트루리아어에는 유성 파열음이 없었기 때문에, 알파벳 표에서 실제로는 Β와 Δ는 사용되지 않았고, 또한 모음 /o/가 없었기 때문에 Ο도 사용되지 않았다.[8] 그 외 Ξ도 사용되지 않았다. 기원전 250년경이 되면 Κ, Ϙ, Χ도 사용되지 않게 되어, 26자 중 19자만 실제로 사용되었다.[11]
반대로 그리스어에는 없고 에트루리아어에 있는 음소로 /f/가 있으며, 초기에는 ϜΗ(혹은 ΗϜ)로 쓰였다. 그 후, 에트루리아 북부에서 기원전 600년경에 전용 문자()가 만들어졌고, 기원전 500년경에는 에트루리아 남부에서도 사용되게 되었다. 이것은 서방 그리스 문자에 새롭게 추가된 유일한 문자였다.[11]
/k/의 음을 나타내는 문자에 대해서는, 남부에서는 뒤따르는 모음에 따라, /a/ 앞에서는 Κ, /u/ 앞에서는 Ϙ, /e i/ 앞에서는 Γ의 3가지를 구분하여 사용했다(초기 그리스어에서도 비슷한 구분을 하고 있다). 하지만 기원전 6세기에는 Κ와 Ϙ는 사용되지 않게 되었다. 북부에서는 주로 Κ가 사용되었지만, 기원전 4세기에는 모든 경우에 Γ가 사용되게 되었다.[11]
마찰음에는 /s/와 /ʃ/가 있었지만, 남부에서는 전자에 Σ(지역에 따라서는 Χ), 후자에 Ϻ을 사용했다. 이에 대해 북부에서는 반대로 전자에 Ϻ, 후자에 Σ를 사용했다.[11]
괄호 안의 알파벳은 표에는 있지만, 실제 에트루리아어 표기에 사용되지 않은 문자들이다. 에트루리아 문자를 비롯한 고대 이탈리아 문자들은 일반적으로 오른쪽에서 왼쪽으로 쓰였기 때문에, 라틴 문자와 반대로 보이는 형태가 많다.자형 음역[8] 25px a 25px (b) 25px c/g 25px (d) 25px e 25px v 25px z 25px , 25px h 25px , 25px th 25px i 25px k 25px l 25px m 25px n 25px (š) 25px (o) 25px p 25px ś 25px q 25px r 25px s 25px t 25px u 25px 25px , 25px ph 25px , 25px kh 25px f
4. 숫자
5. 유니코드
6. 영향
참조
[2]
서적
Zikh Rasna: A Manual of the Etruscan Language and Inscriptions
Beech Stave Press
[3]
서적
The Etruscan language
https://archive.org/[...]
Manchester University Press
[4]
서적
Die Etrusker und ihre Welt
https://archive.org/[...]
DuMont
[5]
서적
Oscan in Southern Italy and Sicily
Cambridge University Press
[6]
학술지
The Etruscan Origin of the Roman Alphabet and the Names of the Letters
https://www.jstor.or[...]
2022-05-03
[7]
서적
The Peoples of Ancient Italy
https://books.google[...]
De Gruyter
2023-05-14
[8]
서적
[9]
문서
에트루리아어, 고라틴어, 오스크어, 라에트어, 베네토어 등
[10]
문서
동방 그리스 문자의 Ω는 없었다.
[11]
서적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