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티엔 모리스 팔코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에티엔 모리스 팔코네는 18세기 프랑스의 조각가로, 가난한 가정에서 태어나 대리석 조각가의 견습공으로 시작하여 장-바티스트 르무아네의 제자가 되었다. 그는 1754년 왕립 회화 조각 아카데미 회원으로 입회했으며, 살롱에서 큐피드, 목욕하는 님프 등의 대리석 조각상으로 명성을 얻었다. 퐁파두르 부인의 후원으로 세브르 도자기 제조소의 조각 아틀리에 감독으로 임명되어 소프트페이스트 도자기 조각상 제작에 기여했다. 1766년 러시아로 초청받아 표트르 대제의 청동 기마상을 제작했으며, 프랑스로 돌아와 왕립 아카데미 부학장을 지냈다. 그는 또한 예술 이론가로서 '백과전서'에 조각 관련 글을 기고하고, 저서를 출판하는 등 다양한 활동을 펼쳤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FrenchSculptureCensus template with no id set - 콘스탄틴 브랑쿠시
콘스탄틴 브랑쿠시는 루마니아 출신의 조각가이자 20세기 초 추상 조각의 선구자 중 한 명으로, 대상을 단순화하고 본질을 추구하는 독창적인 작품 세계를 구축하여 현대 미술에 큰 영향을 미쳤다. - FrenchSculptureCensus template with no id set - 앙투안 쿠아즈보
프랑스 조각가 앙투안 쿠아즈보는 루이 14세 시대 베르사유 및 마를리 궁전 장식에 참여했고, 왕립 아카데미 교수와 회장을 역임하며 후진을 양성했으며, 기념 조각상과 더불어 루이 14세, 장바티스트 콜베르, 쥘 마자랭 추기경 등 당대 유명인들의 흉상으로도 명성을 떨쳤다. - 미술 아카데미 (프랑스) 회원 - 모리스 드니
모리스 드니는 평면적인 색채와 장식적인 구성을 강조하는 화풍을 발전시킨 프랑스의 화가, 삽화가, 미술 이론가로, 그의 예술 이론은 모더니즘 미술 발전에 영향을 미쳤으며 말년에는 종교 미술에 헌신했다. - 미술 아카데미 (프랑스) 회원 - 쥘 쿠탕
쥘 쿠탕은 프랑스의 조각가로, 에콜 데 보자르에서 피에르쥘 카벨리에에게 지도를 받았고 로마 대상을 수상했으며, 파리 만국 박람회를 위한 작품과 뉴욕 그랜드 센트럴 터미널 입구 조각상 등 대표작을 남겼고 에콜 데 보자르에서 학생들을 가르쳤다. - 백과전서 - 프랑수아 케네
프랑수아 케네는 프랑스의 의사이자 경제학자로, 중농학파의 창시자이며, 농업을 부의 유일한 원천으로 보는 경제 순환 모델을 제시하고 자유방임주의 경제 정책을 주창하여 경제학과 프랑스 경제 정책에 큰 영향을 미쳤다. - 백과전서 - 장 르 롱 달랑베르
장 르 롱 달랑베르는 프랑스의 수학자, 물리학자, 철학자이자 음악 이론가로서, 달랑베르의 원리를 제시하여 역학 발전에 기여하고 드니 디드로와 함께 《백과전서》를 편찬하며 계몽주의 사상을 전파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다.
에티엔 모리스 팔코네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출생일 | 1716년 12월 1일 |
출생지 | 프랑스, 파리 |
사망일 | 1791년 1월 24일 |
사망지 | 프랑스, 파리 |
국적 | 프랑스 |
활동 시기 | 바로크, 로코코, 신고전주의 |
자녀 | 피에르 |
주요 작품 | 청동 기마상 |
2. 생애와 경력
팔코네는 르무아네의 제자로 조각을 시작하여, 1754년 왕립 회화 조각 아카데미 회원이 되었다.[3][4] 1755년과 1757년 살롱에서 ''L'Amour''(큐피드)와 ''Nymphe descendant au bain''(또는 ''The Bather''로도 알려짐) 등의 대리석 조각으로 주목받았다.[5]
1788년 파리로 돌아와 왕립 회화 조각 아카데미 부학장이 되었다.[10] 프랑스 혁명으로 인해 교회를 위해 제작했던 많은 종교 작품들이 파괴되었지만, 개인 의뢰 작품들은 잘 보존되었다.[4]
2. 1. 초기 생애와 교육
팔코네는 파리의 가난한 가정에서 태어났다. 처음에는 대리석 조각가의 견습공이었지만, 여가 시간에 만들었던 점토와 나무 인형들이 조각가 르무아네의 눈길을 끌었고, 그는 르무아네의 제자가 되었다.[3] 그의 초기 작품 중 가장 성공적인 작품 중 하나는 밀로상으로, 1754년 왕립 회화 조각 아카데미 회원으로 입회할 수 있게 해주었다.[4]
2. 2. 왕립 아카데미 회원 및 초기 작품
팔코네는 파리의 가난한 가정에서 태어났다. 처음에는 대리석 조각가의 견습공이었지만, 여가 시간에 만들었던 점토와 나무 인형들이 조각가 르무아네의 눈길을 끌었고, 그는 르무아네의 제자가 되었다.[3] 그의 초기 작품 중 가장 성공적인 작품 중 하나는 밀로상으로, 1754년 왕립 회화 조각 아카데미 회원으로 입회할 수 있게 해주었다.[4]1755년과 1757년 살롱에서 ''L'Amour''(큐피드)와 ''Nymphe descendant au bain''(또는 ''The Bather''로도 알려짐)이라는 대리석 조각으로 대중의 주목을 받았는데, 이 작품은 현재 루브르 박물관에 있다.[5] 1757년 팔코네는 퐁파두르 후작 부인에 의해 세브르의 새로운 ''왕립 도자기 제조소(Manufacture royale de porcelaine)''의 조각 아틀리에 감독으로 임명되었다.[6] 그는 유약을 바르지 않은 소프트페이스트 도자기 작은 조각상 제작에 새로운 활력을 불어넣었는데, 이는 세브르 제조소의 전신인 뱅센의 특징이었다.
화가 부셰와 당대 연극[7] 및 발레의 영향은 팔코네의 주제와 그의 달콤하고 우아하며 에로틱하고 다소 수줍은 방식에서도 분명히 나타난다. 1750년대 초, 팔코네는 세브르를 위해 탁상용 풋티(팔코네의 ''"Enfants"''')를 묘사한 흰색 비스킷 도자기 가르니튀르 세트를 제작했는데, 이는 제조소의 대형 만찬 서비스("''Service du Roy''")를 보완하기 위한 것이었다.[8] 유사한 소형 탁상 조각상에 대한 유행은 유럽의 대부분의 도자기 제조소로 퍼져나갔다.
2. 3. 세브르 도자기 제조소에서의 활동 (1757-1766)
팔코네는 1757년 퐁파두르 후작 부인에 의해 세브르의 새로운 ''왕립 도자기 제조소(Manufacture royale de porcelaine)''의 조각 아틀리에 감독으로 임명되었다.[6] 그는 세브르 제조소의 전신인 뱅센의 특징이었던 유약을 바르지 않은 소프트페이스트 도자기 작은 조각상 제작에 새로운 활력을 불어넣었다.화가 부셰와 당대 연극[7] 및 발레의 영향은 팔코네의 주제와 그의 달콤하고 우아하며 에로틱하고 다소 수줍은 방식에서도 분명히 나타난다. 1750년대 초, 팔코네는 세브르를 위해 탁상용 풋티 (팔코네의 ''"Enfants"'')를 묘사한 흰색 비스킷 도자기 가르니튀르 세트를 제작했는데, 이는 제조소의 대형 만찬 서비스 ("''Service du Roy''")를 보완하기 위한 것이었다.[8] 유사한 소형 탁상 조각상에 대한 유행은 유럽의 대부분의 도자기 제조소로 퍼져나갔다.
1766년 9월, 팔코네는 예카테리나 2세의 초청으로 러시아로 갔다.[9]
2. 4. 러시아에서의 활동 (1766-1778)
1766년 9월, 팔코네는 예카테리나 2세의 초청으로 러시아로 갔다.[9] 상트페테르부르크에서 그는 제자이자 며느리인 마리-안 콜로와 함께 표트르 대제의 거대한 청동 동상인 ''청동 기마상''을 제작했다.[9] 1788년 파리로 돌아온 그는 왕립 회화 조각 아카데미의 부학장이 되었다.[10]2. 5. 파리 귀환 및 말년
1788년 파리로 돌아온 팔코네는 왕립 회화 조각 아카데미의 부학장이 되었다.[10] 그는 교회를 위해 많은 종교 작품을 제작했으나, 이 작품들은 프랑스 혁명 당시 파괴되었다.[4] 다만, 개인 의뢰 작품들은 잘 보존되었다.thumb(암스테르담) 소장]]
팔코네는 그리스어와 라틴어를 공부했으며, 예술에 관한 여러 에세이를 집필했다. 디드로는 그에게 ''백과전서''의 "조각" 항목 집필을 맡겼고,[11][12] 팔코네는 1768년 이를 ''Réflexions sur la sculpture''라는 제목으로 따로 출판했다. 3년 후에는 ''Observations sur la statue de Marc-Aurèle''을 출판했는데, 이는 그의 표트르 대제 동상에 대한 예술적 프로그램으로 해석될 수 있다. 팔코네의 예술 관련 저서 ''Oeuvres littéraires''는 1781-1782년 로잔에서 6권으로 처음 출판되었다.[4] 디드로[13]와 러시아의 예카테리나 2세[14]와의 광범위한 서신은 그의 작품과 예술에 대한 신념을 잘 보여준다.
''브리태니커 백과사전'' 11판은 팔코네의 작품에 대해 다소 미화되고 지나치게 쉬운 매력이 있다고 비판했다. "그의 예술 작품은 그의 저술과 같은 결함을 가지고 있는데, 상당한 재능과 상상력을 보여주고 있지만, 많은 경우에 잘못되고 환상적인 취향을 보여주고 있으며, 이는 아마도 지나친 독창성 추구의 결과일 것이다."[4]
괴링은 파리의 로스차일드 가문 소장품 중 팔코네의 ''마음의 우정(Friendship of the Heart)''을 훔쳐 자신의 카린할 사냥 별장 미술품 소장품에 보관했다.[15]
2001/2002년 세브르의 세라믹 박물관(Musée de Céramique)은 1757년부터 1766년까지 팔코네가 세브르를 위해 제작한 작품 전시회를 개최했으며, 전시 부제는 "l'art de plaire"("기쁨의 예술")였다. [http://www.rmn.fr/fr/03expo/01calendrier/2001/falconet/page.html]
3. 예술 이론 및 저술 활동
팔코네는 그리스어와 라틴어를 공부했으며, 예술에 관한 여러 에세이도 썼다. 디드로는 그에게 ''백과전서''의 "조각" 장을 맡겼고,[11][12] 팔코네는 1768년 이를 ''Réflexions sur la sculpture''로 따로 출판했다. 3년 후, 그는 ''Observations sur la statue de Marc-Aurèle''을 출판했는데, 이는 그의 표트르 대제 동상에 대한 예술적 프로그램으로 해석될 수 있다. 팔코네의 예술에 관한 저서인 ''Oeuvres littéraires''는 1781-1782년에 로잔에서 6권으로 처음 출판되었다.[4] 디드로[13] 및 러시아의 예카테리나 2세[14]와의 광범위한 서신은 그의 작품과 예술에 대한 그의 신념을 보여준다.
4. 작품의 특징과 영향
팔코네는 르무아네의 제자로, 1754년 밀로 상으로 왕립 회화 조각 아카데미 회원이 되었다.[4] 1757년에는 퐁파두르 후작 부인에 의해 세브르의 ''왕립 도자기 제조소(Manufacture royale de porcelaine)'' 조각 아틀리에 감독으로 임명되어, 소프트페이스트 도자기 조각상 제작에 새로운 활력을 불어넣었다.[6] 그의 작품은 화가 부셰와 당대 연극[7] 및 발레의 영향을 받아 달콤하고 우아하며 에로틱한 특징을 보인다.
1750년대 초, 팔코네는 세브르를 위해 탁상용 풋티를 묘사한 흰색 비스킷 도자기 가르니튀르 세트를 제작하여, 제조소의 대형 만찬 서비스("''Service du Roy''")를 보완했다.[8] 이러한 소형 탁상 조각상 유행은 유럽 전역으로 퍼져나갔다.
thumb(암스테르담) 소장]]
1766년 예카테리나 2세의 초청으로 러시아 상트페테르부르크에서 표트르 대제의 청동 기마상을 제작했다.[9] 1788년 파리로 돌아와 왕립 회화 조각 아카데미 부학장이 되었다.[10]
팔코네는 그리스어와 라틴어를 공부하고 예술에 관한 여러 에세이를 썼다. 디드로는 그에게 ''백과전서''의 "조각" 장을 맡겼고,[11][12] 팔코네는 1768년 이를 ''Réflexions sur la sculpture''로 따로 출판했다. 그의 저서 ''Oeuvres littéraires''는 1781-1782년 로잔에서 6권으로 출판되었다.[4] 디드로[13]와 예카테리나 2세[14]와의 서신은 그의 작품과 예술에 대한 신념을 보여준다.
''브리태니커 백과사전'' 11판은 팔코네의 작품이 지나치게 미화되고 쉬운 매력을 가졌다고 비판했다.[4]
5. 가족
화가 피에르-에티엔 팔코네(1741~1791)는 그의 아들이었다.[16] 그는 드로잉과 판화가로서 디드로의 ''백과전서''에 실린 그의 아버지의 "조각" 항목에 삽화를 제공했다.[6]
참조
[1]
백과사전
Encyclopedia Britannica
[2]
백과사전
Encyclopédie Larousse en ligne
[3]
서적
The Sculpture of Falconet
New York Graphic Society
[4]
백과사전
Falconet, Étienne Maurice
[5]
서적
[6]
서적
Dictionary of Art
https://doi-org.liba[...]
Macmillan
[7]
서적
[8]
서적
Falconet à Sèvres, 1757-1766, ou, L'art de plaire
Réunion des musées nationaux
[9]
서적
[10]
서적
[11]
웹사이트
Notices sur les auteurs des dix-sept volumes de " discours " de l'Encyclopédie
http://www.persee.fr[...]
[12]
학술지
Notices sur les auteurs des dix-sept volumes de " discours " de l'Encyclopédie
https://www.persee.f[...]
1989
[13]
서적
Diderot et Falconet: le Pour et le Contre
Les Editeurs Français Réunis
[14]
서적
Correspondance de Falconet avec Catherine II
Champion
[15]
뉴스
Kunst - Sind Sie der Messias?
https://www.freitag.[...]
2020-12-19
[16]
백과사전
Falconet, Peter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