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연령군 이훤 신도비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본문

연령군 이훤 신도비(延齡君 李昍 神道碑)는 조선 숙종의 아들인 연령군 이훤(李昍, 1699~1719)의 업적을 기리기 위해 세워진 신도비이다.

### 개요


  • 연령군 이훤: 조선 숙종의 여섯째 아들이며, 어머니는 명빈 박씨이다. 자는 문숙(文叔), 시호는 효헌(孝憲)이다. 5세에 연령군에 봉해졌고, 21세의 젊은 나이로 요절하였다.
  • 신도비: 왕이나 고관의 무덤 남동쪽에 세우는 비석으로, 그의 생애와 업적을 기록한다.


### 건립 및 이전

  • 건립: 1720년(숙종 46년)에 숙종의 명으로 건립되었다.
  • 원래 위치: 경기도 금천현 번당리(현재의 서울특별시 동작구 대방동)에 위치한 연령군 묘소 인근이었다. 당시에는 대방초등학교 교정에 있었다.
  • 이전: 1940년 일제강점기 경성지구 구획정리 사업으로 인해 묘는 충청남도 예산군 덕산면으로 이장되었고, 신도비는 1967년 8월 3일 서울 노원구 공릉동 육군사관학교 박물관 바깥으로 옮겨졌다.
  • 문화재 지정: 1980년 서울특별시 유형문화재 제43호로 지정되었다.


### 구조 및 특징

  • 재료: 화강암으로 만든 귀부(거북 모양 받침돌) 위에 오석(검은 돌)으로 비신(비석 몸체)을 세우고, 화강암으로 첨석(지붕돌)을 얹었다.
  • 귀부: 거북 모양의 받침돌은 용과 비슷한 머리 모양에 입에 여의주를 물고 있으며, 매우 크고 둔중하다.
  • 첨석: 지붕돌은 팔작지붕 형태로, 처마와 공포의 조각이 섬세하고, 상부에는 서로 엉켜 있는 쌍룡이 조각되어 있다.
  • 비문: 좌의정 이이명(李頤命)이 비문을 짓고, 예조판서 조태구(趙泰耉)가 글씨를 썼으며, 전액은 민진원(閔鎭遠)이 썼다. 비문은 해서체로 쓰여 있으며, 비석의 앞면에는 '王子延齡君贈諡(왕자연령군증시)'가, 뒷면에는 '孝憲公神道碑銘(효헌공신도비명)'이 전서체로 음각되어 있다.
  • 내용: 비문에는 연령군의 생애, 효성, 품행 등이 기록되어 있으며, 특히 숙종이 연령군을 아끼고 사랑했던 내용이 담겨있다.


### 기타

  • 연령군 신도비가 있던 자리에는 '숙종왕자연령군훤묘비지(肅宗王子延齡君昍墓碑址)'라고 새겨진 비석이 남아있다.
  • 신도비는 왕릉에 세우는 것이 금지되어 있었으나, 숙종의 특별한 명으로 세워졌다.
  • 신도비를 세우기 위해 거대한 바위를 관악산에서 옮겨올 때 고개의 경사가 너무 가팔라 많은 소가 동원되었다고 한다. 이 고개가 거북고개로 불리다가 현재는 모자원고개로 불린다.


### 추가 정보

  • 연령군은 숙종의 막내아들로, 숙종의 총애를 많이 받았다.
  • 어머니 명빈 박씨를 그리워하여 사후에 어머니 묘 곁에 묻어달라는 유언을 남겼다.
  • 후사가 없어 여러 차례 양자를 들였으나, 최종적으로 사도세자의 서자 은신군을 양손자로 삼았다.
  • 연령군은 흥선대원군의 고조부가 된다.


연령군 이훤 신도비 - [유적/문화재]에 관한 문서
지도 정보
기본 정보
이름연령군 이훤 신도비
한자 표기延齡君 李昍 神道碑
유형유형문화재
지정 번호43
지정일1980년 6월 11일
주소서울특별시 노원구 공릉동 산 230-30 육군사관학교
시대조선시대
면적토지 17.4m²
수량신도비 1基
꼬리표육군사관학교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