육군사관학교 (대한민국)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육군사관학교 (대한민국)는 1945년 군사영어학교로 시작하여 1948년 육군사관학교로 개칭되었으며, 대한민국 육군 장교를 양성하는 교육기관이다. 1951년 4년제 정규 과정으로 재개교하여 학사 학위를 수여하기 시작했으며, 1998년부터 여성 생도의 입학을 허용했다. 육사 생도들은 군사학, 인문사회학, 이공학 등 다양한 분야를 학습하며, 체력 훈련과 군사 훈련을 통해 리더십과 군사적 역량을 함양한다. 육군사관학교는 '지(智)·인(仁)·용(勇)'을 교훈으로, 예복, 정복, 근무복 등 다양한 복장을 착용하며, 문화 체육 활동과 중대 활동을 통해 단결력과 소속감을 높인다. 주요 시설로는 교정과 관창체육관 등이 있으며, 전두환, 노태우 등 저명한 동문을 배출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서울 노원구의 학교 - 서울동천학교
서울동천학교는 1980년 충현복지학교로 개교하여 서울충현학교를 거쳐 1999년 현재의 명칭으로 변경된 대한민국의 학교이다. - 서울 노원구의 학교 - 삼육대학교
삼육대학교는 1906년 의명학교로 시작하여 제칠일안식일예수재림교회 재단에서 운영하는 서울 노원구 소재 사립 종합대학교로, 신사참배 강요로 폐교 후 재건되었으며 삼육신학원과 삼육대학을 거쳐 1992년 현재의 교명으로 변경, 교육 및 연구 역량을 강화하고 있다. - 대한민국 육군사관학교 - 육군사관학교 육군박물관
육군사관학교 육군박물관은 육군사관학교 내에 위치한 군사 박물관으로, 선사시대부터 현대까지의 군사 유물을 전시하며, 제1, 2 전시실, 육사기념관, 옥외 및 야외 전시장을 갖추고 있다. - 대한민국 육군사관학교 - 군사영어학교
군사영어학교는 백선엽, 이형근 등 저명한 군인들을 배출하여 대한민국 육군참모총장, 합동참모의장 등을 역임하며 국군 발전에 기여한 학교이다. - 대한민국 육군 학교 - 육군보병학교 (대한민국)
육군보병학교는 대한민국 육군의 보병 병과 장교와 부사관을 양성하고 교육하는 기관으로, 1949년 창설되어 현재 전라남도 장성군에 위치하며, 초급 보병 장교 양성을 주 임무로 한다. - 대한민국 육군 학교 - 육군학생군사학교
육군학생군사학교는 대한민국 육군의 장교를 양성하는 교육기관으로, 학군사관후보생을 포함한 여러 과정의 장교 및 준사관 후보생 양성 교육을 담당하며, 초급 장교 육성과 전군 예비군 관련 교육을 실시하는 육군 장교 양성의 중추적인 역할을 수행한다.
육군사관학교 (대한민국) - [대학]에 관한 문서 | |
---|---|
지도 정보 | |
기본 정보 | |
이름 | 육군사관학교 |
로마자 표기 | Yukgun sagwan hakgyo |
한자 표기 | 陸軍士官學校 |
영어 이름 | Korea Military Academy |
별칭 | 화랑대 (花郞臺) |
모토 | 지, 인, 용 |
모토 (영어) | Wisdom, Integrity, and Courage |
설립일 | 1946년 5월 1일 |
종류 | 국립, 사관 학교 |
국가 | 대한민국 |
위치 | 서울특별시 노원구 공릉2동 화랑로 574 |
캠퍼스 | 도시 |
상징 동물 | 화랑이 |
웹사이트 | www.kma.ac.kr |
학교 관계자 | |
학교장 | 소형기 소장 (육사 50기) |
총장 | 양종수 중장 |
교수진 | 160명 |
학교 역사 | |
이전 이름 | 국방사관학교 (1946), 조선국방사관학교 (1946–1948) |
기타 정보 | |
교색 | 녹색, 노랑, 빨강 |
좌표 | 37.624361, 127.099028 |
2. 역사
1945년 군사영어학교로 시작하여 1946년 남조선국방경비사관학교, 조선경비사관학교를 거쳐, 1948년 육군사관학교로 바뀌었다.[35] 한국 전쟁 이후 1951년 경상남도 진해에서 4년제 정규 사관학교로 재개편되어 1955년 11기생부터 학사 학위를 수여하기 시작했다.
1973년부터 문학사와 공학사 학위도 수여하기 시작했으며, 1998년부터 여성 생도의 입학을 허용하였다. 2002년에는 육사 출신 첫 여군 장교가 임관하였다.
2. 1. 창설 배경 및 초기 역사 (1945년 ~ 1950년)
1945년 12월 5일, 미 군정 하에 군사영어학교로 시작하여 1946년 5월 1일 남조선국방경비사관학교를 거쳐, 1948년 9월 5일 육군사관학교로 개칭되었다.[35]남조선국방경비대 창설과 함께 경비사관 양성을 목적으로 서울 태릉에 설치되었으며, 초대 교장은 이형근 참령이 맡았다. 초기에는 일본식 군사교육이 혼재했으나, 점차 주한 미군 군사고문단의 교육 프로그램에 따라 미국식으로 바뀌었다. 1기부터 9기까지는 군 경력자들이 입교하여 단기 교육을 받고 임관했다. 1949년 10기(생도 1기)부터 2년제 정규 교육과정을 도입했으나, 장교 수급 문제로 1년으로 단축되었고, 한국 전쟁 발발로 1950년 7월 10일 대전에서 소위로 임관했다.[35]
1945년 12월 5일, 대한민국 국방경비대 창설 요원 양성을 위해 서울 서대문구 냉천동에 Military Language School영어가 개교하였다. 이는 미군을 고문으로 군사 조직을 창설하면서 미군과의 연락 및 조정을 담당할 간부들은 영어에 능통해야 했기 때문이다. 입학생 대부분은 일본군 및 만주국군 출신이었으며,[6] 교육 기간은 40일이었고 110명이 졸업하였다. 하지만 후기에는 입대 자격을 부여하기 위한 명목상의 기관이 되어 시험에 합격하거나 추천만 받아도 졸업으로 인정되는 경우도 있었다.
1946년 5월 1일, 서울 동북쪽 10km 지점에 있는 태릉에서 남조선경비사관학교로 개편되었고, 6월 15일에는 조선경비사관학교(Korean Constabulary's Center)로 재편되었다. 1948년 9월 5일 육군사관학교로 개칭되었다. 초기 수업 기간은 한 달 반이었으나, 점차 3개월, 6개월, 1년으로 연장되었다.
1950년 6월 한국 전쟁 발발로 임시 휴교하였으나, 1951년 10월 31일 경상남도 진해에서 4년제 정규 사관학교로 재개교하였고, 1954년 6월 23일 태릉으로 복귀하였다. 1957년에는 그 일대가 화랑대로 개명되었다.
기수 | 기간 | 입교자 | 교육 내용 | 비고 |
---|---|---|---|---|
제1기 | 1946년 5월 1일 - 1946년 6월 15일 | 상사 이상의 군 경력을 가진 자 | 제식 훈련, 구구식·삼팔식 소총 훈련, 분대·소대 전술 | 40명 임관.[10] 한국 전쟁에서 소령급 장교로 활약.[11] 7명 전사.[11] |
제2기 | 1946년 9월 25일 - 1946년 12월 14일 | 상사 이상의 군 경력을 가진 자 | 제식 훈련, 구구식·삼팔식 소총 훈련, 분대·소대 전술, 독도법 | 196명 임관.[12] 한국 전쟁에서 소령이나 중령으로 대대장이나 연대 및 사단 참모 등으로 활약, 전쟁 후반에는 대령으로 진급하여 연대장으로 활약.[13] 34명 전사, 6명 실종.[13] |
제3기 | 1947년 1월 13일 - 1947년 4월 19일 | 추천받은 하사관 | 제식 훈련, 구구식·삼팔식 소총 훈련, 분대·소대 전술, 독도법, 졸업 직전에 M1 소총과 중기관총 소개 | 296명 임관.[14] 한국 전쟁 발발 당시, 대부분 대위나 소령으로 대대장을 역임하고, 휴전 무렵에는 대령으로 연대장급.[15] |
제4기 | 1947년 5월 6일 - 1947년 9월 10일 | 추천받은 하사관 | 제식 훈련, 구구식·삼팔식 소총 훈련, 분대·소대 전술, 독도법 | 한국 전쟁 발발 당시 중대장이었으며, 초기 후퇴 과정에서 38명 전사.[16] |
제5기 | 1947년 10월 23일 - 1948년 4월 6일 | 민간에서 모집 | 제식 훈련, 소대 공방 훈련, 독도법, M1 소총·중기관총 훈련 | 380명 임관.[17] 한국 전쟁 발발 당시, 대부분 대위나 소령으로 대대장, 부대대장, 연대 참모.[18] 97명 전사 또는 실종.[18] |
제6기 | 1948년 5월 5일 - 1948년 7월 28일 | 추천받은 하사관 | 제식 훈련, 소대 공방 훈련, 독도법, M1 소총·중기관총 훈련 | 235명 임관.[19] |
제7기 | 1948년 8월 9일 - 1948년 11월 10일 | 민간에서 모집 | 제식 훈련, 소대 공방 훈련, 독도법, M1 소총·중기관총 훈련 | 한국 전쟁 발발 당시 중대장이나 연대 참모였고, 휴전 당시에는 대대장이나 사단 참모.[20] |
제7기 특별 | 1948년 8월 18일 - 1948년 10월 12일 | 군사 경력자 | 89명 임관.[21] 한국 전쟁 전사·실종자 40명.[21] | |
제7기 후반 | 1948년 11월 22일 - 1948년 12월 21일 | 군사 경력자 | 345명 임관.[22] | |
제8기 | 1948년 12월 7일 - 1949년 5월 23일 | 민간에서 모집 | 일반 학, 화기학, 전술학, 중대·대대 전술 | 한국 전쟁 발발 당시, 최전선 부대 근무는 소대장, 중대 부관, 대대 참모였으며, 전사·실종 382명.[23] |
제8기 특별 제1반 | 1948년 12월 7일 - 1949년 1월 1일[24] | 11명이 입교하여 7명이 대령, 1명이 중령, 1명이 소령, 2명이 대위로 임관.[24] | ||
제8기 특별 제2반 | 1948년 12월 7일 - 1949년 1월 14일[24] | 145명 임관.[24] 첩보대, 특무대, 군사정보과 등 정보 분야에서 활약한 사람이 많다.[24] 한국 전쟁에서 대대장급 활약이 컸지만 희생도 많아 전사 31명, 부상 51명.[24] | ||
제8기 특별 제3반 | 1948년 12월 7일 - 1949년 3월 2일[25] | 181명 임관.[25] 한국 전쟁에서 중대장, 대대 참모였으며, 전사 41명, 실종 4명.[25] | ||
제8기 특별 제4반 | 제1차 임관: 1949년 2월 21일 - 1949년 3월 29일[25] 제2차 임관: 1949년 2월 21일 - 1949년 4월 26일[25] | 148명이 제1차 임관, 99명이 제2차 임관.[25] | ||
제9기 | 1949년 7월 12일 - 1950년 1월 14일 | 민간에서 모집(대학 졸업자) | 일반 학, 화기학, 전술학, 중대·대대 전술 | 674명 임관.[26] 한국 전쟁 발발 당시 소대장이었고, 중대장을 거쳐 일부가 대대장이 된 시점에 휴전.[27] |
제10기 | 1949년 7월 15일 - 1950년 7월 10일 | 일반 학, 화기학, 전술학, 중대·대대 전술 | ||
2. 2. 한국 전쟁과 재개편 (1950년 ~ 1955년)
1950년 6월, 한국 전쟁이 발발하자, 임관 전이었던 생도 1기생들은 북한군에 맞서 포천 방면 전투에 투입되었으나 많은 사상자를 냈다.[35] 이후 육군사관학교는 일시 폐교되었고, 생도들은 육군종합학교에서 단기 훈련을 받은 후 소위로 임관하였다.[35]대통령 이승만은 한국 전쟁 초기부터 미군 장군 월턴 워커와 매슈 리지웨이에게 육군사관학교 재건을 요청했으나, 두 장군은 현실적인 어려움을 들어 난색을 표했다.[1] 1951년, 리지웨이 장군의 후임인 제임스 밴 플리트 장군은 이승만의 요청을 받아들여 육군사관학교 재건을 지원했다.[1][2] 밴 플리트 장군은 웨스트포인트 출신으로, 그리스 내전 당시 그리스 군대를 재편성한 경험을 바탕으로 한국 육군사관학교를 웨스트포인트 모델로 재건하고자 했다.[1]
1951년 10월, 대한민국 육군참모총장은 웨스트포인트를 모델로 한 4년제 육군사관학교 설립을 제안했고, 진해에 임시 부지를 마련했다.[1] 웨스트포인트 출신 3명이 프로그램 감독으로 임명되었고, 1952년 1월 20일 개교식을 가졌다.[1] 1951년 10월에 경상남도 진해에서 4년제 정규 사관학교로 재개교하여 11기 생도들을 선발했고,[35] 1955년 10월 11기생 임관 시부터 학사 학위를 수여했다.[35] 다만 육사 11기는 200명을 입교시켰으나 한국전쟁에 투입될 것을 우려한 일부 생도들의 자퇴 등으로 인해 실제로는 156명이 임관했다.[35]
육군참모총장 이종찬은 "육군사관학교는 우리 국민의 희망"이라며 미국 육군사관학교와 같은 명예로운 전통을 확립하겠다는 의지를 밝혔다.[1] 밴 플리트 장군의 공헌을 기리기 위해 1960년 3월 31일 육군사관학교 교정에 그의 동상이 세워졌으며,[3] 2015년 한국 국방부는 밴 플리트 장군을 "한국군의 아버지"라고 칭했다.[4]
2. 3. 발전과 변화 (1955년 ~ 현재)
1973년부터 문학사와 공학사 학위를 수여하기 시작했다.[35] 1994년 11월에는 공군사관학교, 해군사관학교와 함께 군사과학대학원을 설치하여 운영하였으나, 2001년 대학원 5기 졸업생을 배출한 이후로 신입생 선발을 하지 않아 잠정적으로 운영이 중단된 상태이다. 1998년부터는 여성 생도의 입학이 허용되어 25명의 여성이 입학했다.[35]2000년 6월에는 육사병원을 개축했고, 2002년 3월에는 육사 출신 여군 장교가 최초로 임관했다. 2003년 1월에는 제1회 심일상 시상식이 열렸고, 2006년 5월에는 개교 60주년 행사가 개최되었다. 2007년 11월에는 ISoDoMA를 최초로 개최했으며, 2012년 9월에는 대통령 부대표창을 수상했다. 2015년 4월에는 제1회 육군사관학교장 배 전국 대학생 국궁대회가 열렸다.[35]
군사 정권 시대에는 졸업생들이 정계 요직을 독점하면서 "학사보다 박사, 박사보다 육사"라는 말이 나올 정도였다. 전두환, 노태우 (이후 모두 대한민국 대통령) 등 군 내부 비밀 조직 "하나회"(이를 중심으로 한 이른바 신군부)의 수뇌부는 육사가 4년제가 된 1951년 입교생들이었고, 그 이전에 입교하여 군 경력을 쌓은 구군부와는 세대 간 갈등이 있었다.[7]
3. 교훈 및 교가
=== 교훈 ===
육군사관학교의 교훈은 지인용(智仁勇)으로, 제9대 교장인 안춘생 중장이 제정하였다.[36] 지(智)는 확고한 가치관을 바탕으로 핵심을 꿰뚫는 통찰력과 판단력을, 인(仁)은 참된 인성과 자기절제를 바탕으로 타인을 존중하고 조직의 단결력을 강화하는 품성을, 용(勇)은 투철한 사명감과 명예심, 강인한 의지와 체력으로 군인다운 가치를 실현하는 역량을 나타낸다.[36]
=== 교가 ===
육군사관학교한국어 교가는 육군사관학교가 4년제 사관학교로 다시 개교하기 직전인 1951년 여름에 현상 공모를 통해 선정되었다. 한국 전쟁 중 종군작가단에서 활약하던 시인 공중인이 가사를 짓고, 작곡가 김순애가 부산의 피난민 수용소에서 작곡한 작품이 당선되어 교가로 채택되었다.[37]
'''육군사관학교한국어 교가'''
'''1절'''
동해수 구비 감아 금수 내 조국
유구 푸른 그 슬기 빛발을 돋혀
풍진노도 헤쳐 나갈 배움의 전당
무쇠같이 뭉치어진 육사 불꽃은
모진 역사 역력히 은보래 치리
'''2절'''
아사달 기리 누려 여기 반만년
변함없는 그 기상 하늘을 내쳐
천추만리 바람결에 이야기하리
백사 고쳐 쓰러져도 육사혼이야
가고 오지 않으리 오질 않으리
'''후렴'''
아아 영용 영용
이제도 앞에도 한결 같아라
온누리 소리 모아 부르네
그 이름 그 이름 우리 육사
3. 1. 교훈
육군사관학교의 교훈은 지인용(智仁勇)으로, 제9대 교장인 안춘생 중장이 제정하였다.[36] 지(智)는 확고한 가치관을 바탕으로 핵심을 꿰뚫는 통찰력과 판단력을, 인(仁)은 참된 인성과 자기절제를 바탕으로 타인을 존중하고 조직의 단결력을 강화하는 품성을, 용(勇)은 투철한 사명감과 명예심, 강인한 의지와 체력으로 군인다운 가치를 실현하는 역량을 나타낸다.[36]3. 2. 교가
육군사관학교한국어 교가는 육군사관학교가 4년제 사관학교로 다시 개교하기 직전인 1951년 여름에 현상 공모를 통해 선정되었다. 응모작 중에서 한국 전쟁 중 종군작가단에서 활약하던 시인 공중인이 가사를 짓고, 여류 작곡가인 김순애가 부산의 피난민 수용소에서 작곡한 작품이 당선되어 교가로 채택되었다.[37]'''육군사관학교한국어 교가'''
'''1절'''
동해수 구비 감아 금수 내 조국
유구 푸른 그 슬기 빛발을 돋혀
풍진노도 헤쳐 나갈 배움의 전당
무쇠같이 뭉치어진 육사 불꽃은
모진 역사 역력히 은보래 치리
'''2절'''
아사달 기리 누려 여기 반만년
변함없는 그 기상 하늘을 내쳐
천추만리 바람결에 이야기하리
백사 고쳐 쓰러져도 육사혼이야
가고 오지 않으리 오질 않으리
'''후렴'''
아아 영용 영용
이제도 앞에도 한결 같아라
온누리 소리 모아 부르네
그 이름 그 이름 우리 육사
4. 교육
육군사관학교 생도들은 기본적으로 군사학 수업을 받으며 대대장으로서의 임무 수행이 가능한 수준까지 배운다. 군사학 외에도 2학년 진급 후 인문사회학이나 이공학 등 일반 대학에서 가르치는 학문을 전공으로 삼을 수 있다. 그 외에도 체육학 수업을 받게 된다.[8]
태권도는 전원 공인 1단 이상 승단해야 한다. 만약 4학년 때까지 승단하지 못하면 성실의무 위반으로 퇴교 조치될 수 있다. 태권도 1단 취득 후에는 검도, 유도, 합기도 등 다양한 무술을 익힐 수 있다. 생도들은 무술 외에도 승마, 양궁 등의 교양 과목을 이수해야 한다.[8] 경마 기수들은 병역의 의무를 육군사관학교에 입대해서 승마 조교병으로 이행한다.
생도들은 가입교 시 받는 기초군사훈련을 시작으로 매 학년 1학기 이후 하기 군사훈련을 받는다. 1학년 훈련에서는 3학년 생도가 파견되어 부교관 임무를 수행하는데, 이를 기파생도라 한다. 일반 학기에도 정기적으로 군사훈련의 날을 지정하여 중대별 사격 및 각개 훈련을 한다.[8]
학년별 훈련 내용은 다음과 같다.
학년 | 훈련 | 훈련 내용 |
---|---|---|
가입교 기간(5주) | 화랑기초훈련 | 군인화 교육, 병기본 습득 |
1학년(6주) | 하기군사훈련 | 병기본 완성(육군훈련소, 육군부사관학교) |
2학년(6주) | 하기군사훈련 | 분대 전술, 유격훈련 |
2학년(1주) | 동기군사훈련 | 혹한기 훈련, 병체험 |
3학년(6주) | 하기군사훈련 | 공수훈련, 소대 전술(육군보병학교) |
4학년(6주) | 하기군사훈련 | KCTC 훈련 |
4학년(4주) | 임관전교육대 | 교관화훈련, OBC(초등군사반) 과정 훈련 |
2019년 기준으로 생도는 한 학기에 한 종목의 체육 교과목을 수강하며, 한 번 수강한 체육학 교과목은 다음 학기에 다시 수강할 수 없다. 생도는 2학년 2학기까지 태권도 1단을 획득해야 하며, 태권도 1단을 획득해야 다른 무술을 배울 수 있다. 3학년 1학기부터 4학년 2학기까지 체력 검정에서 특급을 받아야 하며, 평영으로 200m를 완주할 수 있어야 한다. 기본 졸업 요건 충족을 위해 수영과 태권도 과목에서 원하는 생도에게 보강 지원이 이루어지기도 한다.[8]
생도들은 각 학년마다 학기당 1회씩, 연 2회씩 체력 검정을 한다. 2학기 연속 체력 검정을 통과하지 못하면 퇴교 사유가 된다. 체력 검정은 규정상 중간고사 2주 전에 실시하는 것이 원칙이나 학교장 판단으로 실시 일정을 바꿀 수 있다.[8]
학년별 체력 검정 기준은 다음과 같다(괄호 안은 여생도 기준).
학년 | 기준 | 팔굽혀펴기 | 윗몸 일으키기 | 3km 뜀걸음 |
---|---|---|---|---|
1학년(1학기) | 육군 3급 | 48개(23개) | 62개(43개) | 15분 36초(18분 43초) |
1학년(2학기) | 육군 2급 | 56개(27개) | 70개(51개) | 14분 34초(17분 29초) |
2학년 | 육군 1급 | 64개(31개) | 78개(59개) | 13분 32초(16분 14초) |
3학년 | 육군 특급 | 72개(35개) | 86개(67개) | 12분 30초(15분 00초) |
4학년 | 육군 특급 | 72개(35개) | 86개(67개) | 12분 30초(15분 00초) |
4. 1. 입학
육군사관학교에 입학하려면 복수국적이 아닌 대한민국 국적을 가져야 하며, 만 18세 3월 3일생부터 만 21세 3월 2일생까지 지원할 수 있다. 고등학교 졸업 및 졸업 예정자 또는 대한민국의 교육부 장관이 이와 동등 이상의 학력이 있다고 인정한 자, 기타 군인사법 제10조 제2항의 결격사유에 해당하지 않는 자여야 하며 비혼자이어야 한다.1차 시험은 대학수학능력시험과 비슷한 형식의 국어, 영어, 수학 과목 시험이다. 1차 시험 합격자를 대상으로 육군사관학교 교정에서 2차 시험으로 신체검사, 체력검정, 면접시험을 본다. 면접시험은 집단토론, 구술면접, 학교생활, 자기소개, 외적 자세, 심리검사, 종합판정의 7개 분야로 구성되며, 2020학년도(80기) 선발시험부터 인공지능을 이용한 새로운 면접 방식이 도입되었다.[38] 체력검정은 윗몸 일으키기, 팔굽혀펴기, 1.5km(여 1.2km) 오래달리기가 있으며, 오래달리기에는 불합격 기준과 과락(우선선발에서 제외) 기준이 적용된다. 2024년(제84기) 입학전형부터는 체력검정 종목이 기존 3종목(달리기, 윗몸 일으키기, 팔굽혀펴기)에서 국민체력100 종목으로 변경된다.
2차 시험 합격자 가운데 약 60%를 대학수학능력시험 이전에 우선선발로 최종 합격시키며, 우선선발 및 특별전형 미선발 인원은 대학수학능력시험 점수를 반영해 약 40%를 선발한다. 우선선발, 특별전형 대상자에게는 한국사능력검정시험 급수에 따라 가산점이 주어지며, 총점에 최대 3점까지 더해진다.
4. 2. 교육 훈련
육군사관학교 생도들은 기본적으로 군사학 수업을 받으며 대대장으로서의 임무 수행이 가능한 정도까지 배운다. 군사학 이외에도 2학년 진급 후, 인문사회학이나 이공학 등 일반 대학에서 가르치는 학문을 전공으로 삼을 수 있다. 그 외에도 체육학 수업을 받게 된다.[8]태권도는 전원 공인 1단 이상 승단해야 한다. 만약 4학년 때까지 승단하지 못할 경우에는 성실의무 위반으로 퇴교 조치를 받을 수 있다. 태권도 1단 취득 이후에는 검도, 유도, 합기도 등 다양한 무술을 익힐 수 있다. 생도들은 무술 외에도 승마, 양궁 등의 교양과목을 이수해야 한다.[8] 경마 기수들은 병역의 의무를 육군사관학교에서 입대해서 승마조교병으로 이행하게 되어 있다.
생도들은 가입교 시에 받는 기초군사훈련을 시작으로 매 학년 1학기가 끝난 이후에 하기 군사훈련을 받게 된다. 1학년 훈련에서는 3학년 생도가 파견되어 부교관 임무를 수행하는데 이를 기파생도라 한다. 일반 학기 때에도 정기적으로 군사훈련의 날을 지정, 중대별 사격 및 각개 훈련을 한다.[8]
학년별 훈련 내용은 다음과 같다.
학년 | 훈련 | 훈련 내용 |
---|---|---|
가입교 기간(5주) | 화랑기초훈련 | 군인화 교육, 병기본 습득 |
1학년(6주) | 하기군사훈련 | 병기본 완성(육군훈련소, 육군부사관학교) |
2학년(6주) | 하기군사훈련 | 분대 전술, 유격훈련 |
2학년(1주) | 동기군사훈련 | 혹한기 훈련, 병체험 |
3학년(6주) | 하기군사훈련 | 공수훈련, 소대 전술(육군보병학교) |
4학년(6주) | 하기군사훈련 | KCTC 훈련 |
4학년(4주) | 임관전교육대 | 교관화훈련, OBC(초등군사반) 과정 훈련 |
2019년 기준으로 생도는 한 학기에 한 종목의 교과목을 수강하며, 한 번 수강한 체육학 교과목은 다음 학기에 다시 수강할 수 없다. 생도는 2학년 2학기까지 태권도 1단을 획득해야 하며, 태권도 1단을 획득해야 다른 무술을 배울 수 있다. 3학년 1학기부터 4학년 2학기까지 체력 검정에서 특급을 받아야 하며, 평영으로 200m를 완주할 수 있어야 한다. 기본 졸업 요건 충족을 지원하기 위해서 수영과 태권도 과목에서는 원하는 생도에게 보강 지원이 이루어지기도 한다.[8]
생도들은 각 학년마다 학기당 1회씩, 연 2회씩 체력 검정을 한다. 2학기 연속으로 체력 검정을 통과하지 못하면 퇴교 사유가 된다. 체력 검정은 규정상 중간고사 2주 전에 실시하는 것이 원칙이나 학교장 판단 아래 체력 검정 실시 일정을 바꿀 수가 있다.[8]
학년별 체력 검정 기준은 다음과 같다(괄호 안의 수치는 여생도 기준).
학년 | 기준 | 팔굽혀펴기 | 윗몸 일으키기 | 3km 뜀걸음 |
---|---|---|---|---|
1학년(1학기) | 육군 3급 | 48개(23개) | 62개(43개) | 15분 36초(18분 43초) |
1학년(2학기) | 육군 2급 | 56개(27개) | 70개(51개) | 14분 34초(17분 29초) |
2학년 | 육군 1급 | 64개(31개) | 78개(59개) | 13분 32초(16분 14초) |
3학년 | 육군 특급 | 72개(35개) | 86개(67개) | 12분 30초(15분 00초) |
4학년 | 육군 특급 | 72개(35개) | 86개(67개) | 12분 30초(15분 00초) |
4. 3. 전공
육군사관학교의 일반학 전공 과정은 단일 전공, 연계 전공, 융합 전공으로 나뉜다. 전공에 따라 임관 후 받게 될 병과가 결정된다. 2019년에 시행된 새로운 교육 과정 기준으로, 단일 전공과 연계 전공은 문과 15개, 이과 9개로 구성되어 있으며, 융합 전공은 2개로 총 26개의 전공이 있다. 생도들은 1학년 말에 전공을 신청하고, 2학년 때 전공 기초 과목, 3, 4학년 때 전공 심화 과목을 수강하여 전문적인 학술 연구 역량을 갖추게 된다.[6]과거에는 전투 체육 전공이 있었으나, 김영삼 정부 출범 이후 폐지되었다.[6]
일반학 전공 목록과 각 전공별 교육 목표는 다음 표와 같다.[6]
구분 | 전공 과정명 | 교육 목표 | 임관 후 병과 |
---|---|---|---|
문학사 | 국제관계(법학) | 국가 간 전쟁과 갈등, 다양한 국제 문제 및 법학에 대한 전문 지식을 습득하여 군 발전에 기여할 차세대 군사 안보 전문가 육성 | |
문학사 | 국제관계(안보) | 국가 간 전쟁과 갈등, 다양한 국제 문제 및 법학에 대한 전문 지식을 습득하여 군 발전에 기여할 차세대 군사 안보 전문가 육성 | |
문학사 | 군사사 | 전쟁사 연구를 통해 전쟁에 대한 포괄적 통찰력을 제공하고 군사 전략 및 작전술 개발에 기여할 수 있는 인재 양성 | |
문학사 | 군사영어 | 연합 작전 등 광범위한 전문 군사 영역의 임무 수행에 요구되는 영어 운용 능력 배양 | |
문학사 | 군사 인문 | 인문학에 대한 군사학 심화 및 응용 능력 제고를 통해 군대 문화 선진화를 주도하는 가치관‧정신 전력 분야의 인재 양성 | |
문학사 | 응용 경제 | 정량적인 국방 분석 평가, 정책 기획을 위한 소양 및 경제적 분석을 통한 문제 해결 능력 배양 | 재정 |
문학사 | 리더십(심리) | 인간의 행동과 심리 과정 이해, 효율적 의사 결정 능력과 조직 관리 능력 배양 | 보병 |
문학사 | 리더십(경영) | 인간의 행동과 심리 과정 이해, 효율적 의사 결정 능력과 조직 관리 능력 배양 | 보병 |
문학사 | 지역학(프랑스) | 외국 지역 군사 전문가 양성에 필요한 소양 및 전문 분야 지식 함양 | |
문학사 | 지역학(독일) | 외국 지역 군사 전문가 양성에 필요한 소양 및 전문 분야 지식 함양 | |
문학사 | 지역학(스페인) | 외국 지역 군사 전문가 양성에 필요한 소양 및 전문 분야 지식 함양 | |
문학사 | 지역학(중국) | 외국 지역 군사 전문가 양성에 필요한 소양 및 전문 분야 지식 함양 | |
문학사 | 지역학(일본) | 외국 지역 군사 전문가 양성에 필요한 소양 및 전문 분야 지식 함양 | |
문학사 | 지역학(러시아) | 외국 지역 군사 전문가 양성에 필요한 소양 및 전문 분야 지식 함양 | |
문학사 | 지역학(아랍) | 외국 지역 군사 전문가 양성에 필요한 소양 및 전문 분야 지식 함양 | |
문학사 | 군대 사회 문화 연구 | 관련 학문 분야들의 융합을 통해 군대 사회와 문화에 대한 깊이 있는 이해를 바탕으로 실제적인 응용과 활용에 이를 수 있는 능력 배양, 포스트휴먼 시대의 군과 군인 연구(융합 전공) | |
이학사 | 운영 분석(수학) | 정보와 암호, 최적화 방법, 합리적 의사 결정, 과학화 전투 모형에 대한 기초 지식을 습득하여 국방 전력 운영과 분석/평가 분야의 인재 양성 | 포병 |
이학사 | 응용 물리 | 자연 현상에 대한 이해와 사고력, 탐구력 향상을 통해 과학 기술의 혁신과 군의 과학화에 이바지 할 수 있는 인재 양성 | 포병 |
이학사 | 응용 화학 | 화학 및 폭발물, 화생방 등 군 관련 및 환경 분야에 대한 응용력 배양을 통해 군 과학화와 전문화에 기여하는 정규 장교 육성 | 화생방 |
이학사 | 컴퓨터 과학 | 정보화 기획 능력을 배양하고, 컴퓨터의 군사적 이용 및 사이버 전장에서 주도적으로 인력과 자원을 운용할 수 있는 리더 양성 | 정보, 정보 통신 |
이학사 | 사이버전 | 컴퓨터 과학·전자 공학·수학·법학·전사학을 아우르는 학문적 융합을 통해 사이버전 수행을 위해 군이 요구하는 특화된 맞춤화된 교육을 실시하여 장차 사이버전 수행의 중추적인 역할을 수행하는 리더 양성(융합 전공) | 정보 |
이학사 | 인공지능 | 미래 무인화되는 전장 환경에 대비하여 인공지능에 대한 기본 소양을 함양하고, 인공지능 분야 관련 응용 능력을 배양 | 정보 |
공학사 | 기계 공학 | 무기 및 장비를 효율적으로 관리하고, 응용 능력을 함양함으로써 군 과학화, 기술군 정책, 전력화 및 정예화 임무 수행 능력 배양 | 포병, 기갑 |
공학사 | 시스템 공학 | 무기 시스템에 적용되는 공학적 원리를 이해하고 활용 능력을 배양하여 지휘관 및 국방 전력 분야 업무 담당자로서의 소양 구비 | 기갑 |
공학사 | 전자 공학 | 디지털화된 전장 환경에서 지휘관 및 참모로서 필요한 정보 전자전 및 C4I 체계에 대한 이해와 운용 능력 구비 | 정보 통신 |
공학사 | 토목 공학 | 전장에서 지형과 기상 및 기반 시설을 효율적으로 이용하고 방호 및 생존성 보장, 친환경적인 군사 시설을 관리할 수 있는 능력 배양 | 공병 |
공학사 | 환경 공학 | 군 환경 문제를 중심으로 지구 온난화, 수질·대기·토양 오염, 소음 공해 등 많은 환경 문제들을 해결하는 학문적 지식과 비전을 제시 | 공병 |
4. 4. 위탁 교육
육군의 고급장교 양성 계획에 따라 육군사관학교를 졸업한 장교 중 일부는 국내·외 각 전공의 대학원 과정에서 위탁교육을 받는다.[39] 또한, 군의관과 군 법무관 양성을 위하여 의과대학과 법과대학에 편입하여 수료 후 의사고시 및 사법시험(또는 군 법무관 시험) 합격 후 군의관 및 군 법무관으로 복무한다.미래 안보환경과 전장상황을 주도할 수 있는 군사전문가를 양성하기 위해 외국 사관학교에 생도를 파견하는 위탁교육을 실시한다. 1학년 때 해외 사관학교 위탁교육에 지원할 수 있으며, 종합 성적, 훈육 성적, 체력, 어학능력, 동료평가 등 다방면의 평가를 거친 뒤 학교본부에서의 최종 면접으로 선발된다. 선발된 후에는 6개월에서 1년 간의 전문 어학교육과 특별 교육을 집중 이수하게 된다.
육군사관학교가 외국 위탁 생도들을 파견하는 외국 사관학교는 다음과 같다.[39]
미국 위탁생도는 2학년 2학기부터 미국 육군사관학교에 입학해 기초군사훈련부터 다시 수료한 뒤 4년간 생도생활을 하기 때문에 1년 늦게 임관하며 소위가 아닌 중위로 임관한다. 일본 위탁생도는 2~3학년 과정을 수료하고 4학년 때 돌아온다. 독일, 스페인, 프랑스 위탁생도는 3년을, 터키 위탁생도는 5년을 위탁 교육 받는다.
4. 5. 생도 지휘 근무 제도
4학년 생도는 분대장, 소대장, 중대장, 대대장, 여단장 등 지휘관 역할을 맡는다. 또한 중대본부, 대대본부, 여단본부 등 본부를 구성하는 역할도 수행한다. 3학년 생도는 기수, 부분대장 생도를 역임하며 4학년 때의 지휘 근무를 준비한다. 1, 2학년 생도는 분대에 소속된 분대원을 맡는다.[40]4. 6. 퇴교
육군사관학교를 포함한 각 군 사관학교에서 중간에 퇴교할 경우, 3학년 하기군사훈련 수료 시점 이후에는 하사로 징집 대상이 된다.[39] 이 경우 부사관으로서 임관 구분은 민간부사관이 되며, 이를 거절하면 병사로 복무하게 된다. 이는 병역 의무가 부과된 남성의 경우이며, 여자 생도가 퇴교될 경우 학칙에 의해 퇴교되면 어떠한 과정으로도 군 복무를 할 수 없었다. 다만 2003년부터 학칙이 수정되어 질병 또는 성적 미달로 퇴교되었을 경우 다른 장교 과정에 지원할 수 있으며, 연령 제한에 해당하지 않을 경우 육군사관학교에 다시 입학할 수 있게 되었다.5. 생도 생활
2016년 기준으로 육군사관학교 생도 1명을 양성하는 데 약 2.3584억원이 들었다.[41] 생도들은 의식주 비용과 학비 전액을 국비로 지원받고, 매달 급여와 품위유지비를 받으며, 개인 노트북과 학업 용품도 지급받는다.
생도들은 학년별로 국토순례를 하는데, 1학년 때는 울릉도와 독도를, 2학년 때는 제주도와 마라도를, 3학년 때는 백령도와 연평도를 방문한다.[42] 또한 육군 예산과 육사발전기금으로 외국의 전사적지를 탐방한다.[43]
5. 1. 생도 복장
예복은 1973년에 제정되었다. 화랑의식, 명예의식 등의 의식 행사와 4학년 생도가 주인공이 되는 화랑축제 때 착용한다. 예복 상의는 태극을 상징하는 붉은색과 푸른색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하의는 백의민족을 상징하는 백색이다. 예모에는 육군사관학교 모표가 붙어 있으며 예모 위에 흰색 깃털이 꽂혀있다. 예복에는 흰색 예화와 흰색 양말을 착용한다.[44] 예복 상의는 위에서 아래로 지퍼를 내려 입고 목 부분에 버클을 채워 착용한다. 예복에는 상하의 모두 주머니가 없다. 예복 바지에는 허리띠를 착용하기 위한 고리가 없으며, 이 때문에 예복은 바지를 먼저 입은 뒤 멜빵으로 바지를 고정한 이후에 상의를 착용하는 것이 원칙이다. 화랑의식과 같이 무장을 할 때에는 예모의 턱끈을 내리고 흰색 Y자형 밴드를 착용해야 한다.[44] 매년 초 재교생도가 신입생도에게 명예를 의미하는 예모와 황색 벨트를 수여하는 명예의식을 실시한다. 중간고사 및 기말고사에 응시할 경우 예복 차림으로 응시한다.[44]
정복은 동·하정복으로 구분되어 있다. 동정복은 짙은 회색이며 하정복은 상의는 흰색 반소매이며, 하의는 동정복과 동일한 색상으로 구성되어 있다. 정복은 각종 행사와 출타 시 착용을 원칙으로 한다. 동정복 착용시 반팔 혹은 긴팔 활동 티셔츠를 착용한 후 착용한다. 정복에는 흑색 단화와 검은색 양말을 착용한다. 정복 상의도 위에서 아래로 지퍼를 내려 입고 목 부분에 버클을 채워 착용한다. 오른쪽 가슴에는 명찰을 부착하며, 왼쪽 가슴에는 공수훈련을 수료한 후 공수 윙과 자신의 성과에 따른 약장을 부착할 수 있다. 어깨에 부착하는 견장은 학년이 올라갈 때마다 교체한다.[44] 여생도와 남생도의 정복에 차이가 존재하는데, 동정복 상의의 경우 남생도는 허리 부분에 검은색 선이 들어가있는 반면 여생도의 정복에는 검은색 선이 없다. 정모 또한 다른 모양으로 생겼다.[44]

근무복은 일반학기에 가장 많이 착용하는 복장으로, 월요일을 제외하고 교수부에서 이루어지는 일반학 수업 때 착용한다. 동·하근무복으로 구분되어 있으며 동근무복은 상하의 모두 짙은 초록색이며 하근무복은 상의는 옅은 회색, 하의는 짙은 초록색이다. 이에 추가로 동근무복 착용 시 스웨터 혹은 근무복 점퍼를 착용할 수 있다. 근무복은 정복과 동일하게 흑색 단화와 검은색 양말을 착용한다. 동·하근무복 모두 목깃 부분에 학년 견장을 달고, 정복과 동일하게 오른쪽 가슴에는 명찰을 부착하며, 왼쪽 가슴에는 자신이 받은 상장이나 직책 또는 약장으로 사용할 수 있는 활동을 했을시에 약장을 만들어 부착할 수 있으며 공수훈련 수료 시 공수 윙을 부착할 수 있다. 분대장생도, 소대장생도, 중대·여단 본부생도 등의 직책을 맡을 경우 양쪽 팔 부분에 표제를 부착하여 자신의 직책을 나타낼 수 있도록 한다.[44]
일반학기에는 월요일에 전 생도가 전투복을 착용하고 생활하며, 하계 군사훈련 및 일반학기 군사훈련을 실시하거나 국토순례 등의 일정 때 착용한다. 평상시에는 학년장이 부착된 전투모를 착용하며, 무장 시와 군사훈련을 실시할 때는 방탄모를 착용한다. 오른쪽 팔 부분에 태극기를 부착하는데 평상시에는 색깔이 들어간 태극기를 부착하되, 군사훈련 기간에는 위장색 태극기를 부착한다. 왼쪽 팔 부분에는 부대 마크를 붙이며 생도의 경우 육사 마크를 부착한다. 오른쪽 가슴에는 명찰이 부착되어 있고 그 위에 생도대 마크를 추가로 부착한다. 근무복과 비슷하게 목깃 부분에 학년장을 부착한다.[44]
체육복은 하체육복, 춘추체육복, 동체육복으로 3종류가 있으며 체육활동 시간이나 문체부 활동 시간 또는 일과 후 복장으로 착용한다. 완전한 체육복 복장은 체육모(기수모), 체육복, 운동화를 기본으로 한다. 체육복은 피복이 보급되는 1학년, 3학년 때 2벌씩 보급된다. 매년 다른 디자인의 체육복이 보급되는데. 이에 따라 1학년과 3학년, 2학년과 4학년 생도는 동일한 종류의 체육복을 가지게 된다.[44]
예복, 정복, 근무복의 경우 여생도에게는 바지 이외에도 치마가 추가로 지급되며 치마를 입을 경우 양말은 검은색 양말이 아닌 살색 팬티스타킹을 착용한다.[44]
5. 2. 문화 체육 활동
육군사관학교의 문화 체육 활동은 생도 주도의 동아리 활동으로, 폭넓은 교양과 예술적 감성, 강인한 체력을 갖춘 인재 육성을 목표로 한다.[45] 일반적인 대학의 동아리 활동과 유사하며, 주도성과 자율성을 증진하고 자기 개발에 도움이 되는 활동을 실시한다. 매주 수요일 15시 30분부터 17시 30분까지 진행된다. 문화체육활동을 통해 쌓은 실력은 화랑제 기간에 열리는 전시회, 발표회, 대학 동아리와의 교류를 통해 발휘된다.[46]육군사관학교는 다양한 대외활동 참가를 통해 도전 정신과 성취감을 높이고 학교 위상을 제고하는 데 기여하고 있다. 특히 체육 분야에서는 여러 대외 경기에 참가하여 우수한 성적을 거두고 있다.
연도 | 대회명 | 종목 | 성적 |
---|---|---|---|
2015년 | 전국 대학 동아리 대회 | 핸드볼, 럭비 | 우승 |
전국 생활체육대회 | 복싱 | 우승 | |
서울컵 대회 | 유도 | 개인전 우승 | |
전국 대학선수권대회 | 수영 | 2위·5위 | |
2016년 | 전국 대학 동아리 대회 | 럭비, 태권도, 수영 | 우승 |
전국 생활체육 대회 | 핸드볼 | 3위 | |
서울 시립대 총장배 | 축구 | 우승 | |
과학기술대학교 총장배 | 농구 | 2위 |
[51]
화랑제는 1년간 문화체육활동을 통해 쌓은 재능을 발표하는 축제의 장이다.
5. 3. 중대가 및 중대구호
중대가 및 중대구호는 생도들이 단체학과출장 및 화랑의식 간에 부르는 노래 및 구호이다. 생도들의 사기를 높이고 중대에 대한 소속감을 불러일으키기 때문에 체육대회 등에서도 응원가로 자주 불린다. 중대마다 중대가 및 중대구호가 다르기 때문에, 생도들은 중대가 바뀌면 새로운 중대의 중대가 및 중대구호를 익힌다.[1]
6중대가도 존재하지만, 2021년 기준으로 노래가 쳐진다는 생도들의 의견이 많아 자주 부르지 않고 있다고 한다.[2] 2016년 육사사랑 군악연주회 영상에 6중대가가 등장한다.[3]
6. 하루 일과
매일 06:00에 기상하여 23:00에 취침한다.
7. 주요 시설
캠퍼스는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노원구 공릉2동에 있다.
7. 1. 교정
1997년 2월부터 교정을 일반인에게 제한적으로 유료 개방했으며,[53] 2008년 10월 1일부터 무료 개방하고 있다.[54] 전체적으로 개방되어 있지만, 생도시설 및 지원시설은 관람이 불가능하다. 육군사관학교를 방문하려면 육군사관학교 웹사이트[55]에서 관광 신청을 하고 방문해야 한다.교내에는 육군사관학교 육군박물관이 있다. 또한 국가등록문화재 제398호인 박정희 대통령 의전용 세단과 유형문화재 제16호 삼군부 청헌당, 제43호 연령군 이훤 신도비 등의 문화재가 있다.
7. 2. 관창체육관

'''관창체육관'''(官昌体育館)은 육군사관학교에 있는 생도 체육시설 중 하나이다. 1967년에 준공되었으며, 1999년에 무도장을 증축하였다.[56] 육군사관학교 제2정문에서 양지관과 서애관 방향의 종합경기장과 인헌관 사이에 위치한다. 명칭은 신라 화랑 관창의 숭고한 애국정신과 투철한 군인정신을 기리는 뜻에서 따왔다. 2893m2 넓이에 태권도장, 유도장, 검도장, 권투 링을 갖추고 있으며, 주로 생도들의 체육학 수업이나 문화체육활동에 이용된다.
8. 저명한 동문
군사 정권 시대에는 졸업생들이 정계 요직을 독점하면서 "'''학사보다 박사, 박사보다 육사'''"라는 말이 나올 정도였다.[6] 전두환, 노태우 (이후 모두 대한민국 대통령) 등 군 내부 비밀 조직 "하나회"(이를 중심으로 한 이른바 신군부)의 수뇌부는 육사가 4년제가 된 1951년 입교생들이었고, 그 이전에 입교하여 군 경력을 쌓은 구군부와는 세대 간 갈등이 있었다.
참조
[1]
서적
In from the Cold
ANU Press
[2]
웹사이트
"WILL TO WIN" - HIS GREATEST LEGACY
http://vanfleetfound[...]
2016-04-10
[3]
뉴스
Osan unveils monument dedicated to fallen Airmen
https://www.retirees[...]
2012-06-20
[4]
뉴스
Late U.S. general to receive award for Korean War feats
https://en.yna.co.kr[...]
2015-11-01
[5]
뉴스
Monument erected to honor West Point graduates killed in Korean War
https://www.koreatim[...]
2020-09-18
[6]
웹페이지
한국광복군 출신자로 입학한 유일한 인물 兪海濬
[7]
뉴스
「韓国の敵は米国」に衝撃受け教科書執筆(上)
http://www.chosunonl[...]
朝鮮日報
2008-04-20
[8]
서적
朝鮮戦争・多富洞の戦い
かや書房
[9]
서적
朝鮮戦争/韓国編 上巻
[10]
뉴스
(3587) 제79화 제79화 육사졸업생들(40)
http://news.joins.co[...]
1982-12-13
[11]
뉴스
(3588) 제79화 제79화 육사졸업생들(41)
http://news.joins.co[...]
1982-12-14
[12]
뉴스
(3597) 제79화 제79화 육사졸업생들(50)
http://news.joins.co[...]
1982-12-24
[13]
뉴스
(3598) 제79화 제79화 육사졸업생들(51)
http://news.joins.co[...]
1982-12-25
[14]
뉴스
남기고 싶은 이야기들(3604) 제79화 육사졸업생들(57) 3기생
http://news.joins.co[...]
1983-01-06
[15]
뉴스
(3607)제79화 육사졸업생들(60)-3기생과「6·25」
http://news.joins.co[...]
1983-01-11
[16]
뉴스
(3617) 제79화 육사졸업생들(70) 4기생
http://news.joins.co[...]
1983-01-22
[17]
뉴스
(3621) 제79화 육사졸업생들(74) 5기생
http://news.joins.co[...]
1983-01-27
[18]
뉴스
(3623)-제79화 육사졸업생들-5기생과 『6·25』
http://news.joins.co[...]
1983-01-29
[19]
뉴스
(3631)6기생-제79화 육사졸업생들(84)
http://news.joins.co[...]
1983-02-08
[20]
뉴스
(3650) - 제79회 육사졸업생들(103) 정규7기와 「6·25」
http://news.joins.co[...]
1983-03-02
[21]
뉴스
(3655)제79화 육사졸업생들-7기 특별반(108)
http://news.joins.co[...]
1983-03-08
[22]
뉴스
(3661)<제79화>육사졸업생들(114) 7기 후기반
http://news.joins.co[...]
1983-03-15
[23]
뉴스
(3677)8기생과「6·25」-제79화 육사졸업생들(130)
http://news.joins.co[...]
1983-04-02
[24]
뉴스
(3715)-제79화 육사졸업생들(168) 8기 특별반
http://news.joins.co[...]
1983-05-19
[25]
뉴스
남기고 싶은 이야기들<3716>제79화 육사졸업생들(169) 8기 특별 3, 4반
http://news.joins.co[...]
1983-05-20
[26]
뉴스
(3718) 제79화 육사졸업생들(171) 9기생
http://news.joins.co[...]
1983-05-23
[27]
뉴스
(3721)제79화 육사졸업생들(174)
http://news.joins.co[...]
1983-05-26
[28]
웹페이지
임인조(林寅造)
http://www.shinjongw[...]
[29]
뉴스
김길홍前의원등 4명 자민련 입당
http://news.donga.co[...]
1998-09-28
[30]
뉴스
교육.지원부서 將星 대거승진 - 국방부 人事
http://article.joins[...]
1997-04-16
[31]
웹페이지
재향군인회 사무총장에 박준근(朴準根) 예비역 육군중장 취임
http://korva.or.kr/b[...]
[32]
뉴스
한국국방연구원장에 김충배 예비역중장
http://www.hani.co.k[...]
2005-03-05
[33]
웹인용
로고·시그니처·색상
https://www.kma.ac.k[...]
2020-06-08
[34]
웹페이지
육사 상징 동물인 사자와 예복을 입은 사관생도의 이미지를 조합한 반인반수(半人半獸)의 모습
[35]
웹인용
육군사관학교 학교역사
https://www.kma.ac.k[...]
2021-07-13
[36]
웹인용
교훈
https://web.archive.[...]
2020-06-08
[37]
웹인용
교가
https://web.archive.[...]
2019-11-06
[38]
뉴스
'졸업 후 군 장교 임관'…4개 사관학교 입시 분석
https://news.imaeil.[...]
2020-04-20
[39]
웹인용
International Education Programs
https://web.archive.[...]
2020-06-08
[40]
웹인용
지휘근무
https://web.archive.[...]
2019-11-13
[41]
뉴스
초급장교 육성 사관학교 - ROTC 예산 형평성 논란
https://www.hankyung[...]
2017-11-15
[42]
웹인용
국토순례
https://web.archive.[...]
2020-06-08
[43]
웹인용
해외전사적지탐방
https://web.archive.[...]
2020-06-08
[44]
일반
[45]
일반
[46]
서적
2020 육군사관학교 요람
2020
[47]
일반
[48]
일반
[49]
일반
[50]
웹인용
육군사관학교 문화체육활동 부서편성
https://web.archive.[...]
2021-07-13
[51]
웹인용
육군사관학교 문화체육활동
https://www.kma.ac.k[...]
[52]
서적
육군사관학교 생도생활 길라잡이 문화체육수업
[53]
뉴스
陸士, 관광코스로 인기
https://news.naver.c[...]
1997-04-10
[54]
뉴스
“육군사관학교로 관광오세요”
https://www.munhwa.c[...]
2008-09-30
[55]
웹인용
육군사관학교 관광예약
https://kma.ac.kr:46[...]
2021-07-09
[56]
웹인용
육군사관학교 안내 - 체육 및 종교 시설
https://www.kma.ac.k[...]
육군사관학교
2020-11-0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