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조 기로연·수작연도 병풍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본문
영조 기로연·수작연도 병풍은 서울특별시 종로구 서울역사박물관에 있는 조선시대의 병풍이다. 2007년 10월 24일 대한민국의 보물 제1531호 "영조을유기로연·경현당수작 연도병"으로 지정되었다.
이 병풍에는 크게 두 개의 행사장면이 실려 있는데, 첫 번째 장면은 영조 41년(1765) 8월 18일 영조가 왕세손과 함께 기로소를 방문하여 영수각에서 전배례를 행하고 기영관에서 기로신들에게 선온을 베푼 장면이다. 두 번째 장면은 그 해 10월 11일 경희궁 경현당에서 영조의 망팔(望八)을 기념하여 수작례를 행한 장면이다.
이처럼 하나의 병풍에 두 개의 장면을 그린 사례는 매우 드문데, 기로소에서 영조를 접견한 기로신들이 임금과 함께 자리했던 기로연을 기념하고 그 뒤에 열린 수작연도 함께 경하하는 의미에서 두 장면을 하나의 병풍에 그린 것으로 추정된다. 병풍의 첫 번째 폭에는 영수각에서의 전배례와 기영관에서 선온한 일 등에 대해 이정보가 기록한 서문이 있고, 여덟 번째 폭에는 좌목이 적혀 있다.
이 병풍은 1765년 8월의 영수각 전배와 기영관 선온을 내용으로 하는 궁중기록화로, 장서각 소장의 《친림선온도》와 《영수각송》이 있으나 둘 다 화첩이며 기영관 선온 장면만이 그려진 데 반하여, 이 작품은 폭이 크고 1765년 8월의 영수각 전배례와 기영관 선온, 그리고 1765년 10월의 수작례가 모두 그려져 있어 주목된다. 아울러 그림 수준과 화법 등에서 18세기 궁중회화의 특징을 잘 보여주는 중요한 자료이다.
영조 기로연·수작연도 병풍 - [유적/문화재]에 관한 문서 | |
---|---|
문화재 정보 | |
이름 | 영조 기로연·수작연도 병풍 |
원어 | 英祖 耆老宴·受爵宴圖 屛風 |
국가 | 대한민국 |
유형 | 보물 |
지정 번호 | 1531 |
지정일 | 2007년 10월 24일 |
소재지 | 서울특별시 종로구 새문안로 55, 서울역사박물관 (신문로2가) |
시대 | 조선시대 |
소유자 | 공유 |
수량 | 1점(8疊) |
![]() | |
좌표 | 37° 34' 12" N, 126° 58' 8" E |
문화재청 ID | 12,15310000,11 |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