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종로구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종로구는 대한민국 서울특별시의 구로, 1394년 조선의 수도가 한양으로 옮겨진 이후 조선과 대한제국의 중심지였다. 현재는 정치, 경제, 문화의 중심지 역할을 하며, "한국 정치의 1번지"로 불린다. 종로구는 17개의 행정동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경복궁, 창덕궁, 인사동, 북촌 한옥마을 등 주요 문화유산과 관광 명소가 위치해 있다. 또한, 다양한 대학교와 정부 기관, 외국 대사관이 자리 잡고 있으며, 수도권 전철 여러 노선이 지나 교통의 요지이기도 하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대한민국의 중심 업무 지구 - 강남 (서울)
    강남은 강남구, 서초구, 송파구를 아울러 지칭하는 용어이며, 1970년대 이후 대한민국 경제 발전과 함께 정치, 경제, 사회, 문화의 중심지로 성장하여 부와 성공의 상징으로 여겨진다.
  • 대한민국의 중심 업무 지구 - 둔산신도시
    둔산신도시는 대전광역시 서구에 위치하며 1980년대 후반 주택 200만호 건설 공약의 일환으로 조성되어 대전의 행정, 사법, 문화, 상업 중심지 역할을 수행하고 주요 행정 기관과 문화·상업 시설이 밀집해 있지만, 원도심 공동화 및 교육 격차 심화 문제도 안고 있다.
  • 1943년 설치 - 서대문구
    서대문구는 서울특별시 중서부에 위치한 자치구로, 산과 하천이 어우러진 지형적 특징을 지니며, 대학교와 역사 유적지가 위치하고 신촌 지역을 중심으로 젊은 세대의 문화가 발달한 14개 행정동으로 구성된 지역이다.
  • 1943년 설치 - 동대문구
    동대문구는 서울특별시 동부에 위치하며 1943년 설치되었고, 교통이 발달했으며, 여러 문화 시설과 교육 기관이 있고, 국내외 여러 도시와 자매 결연을 맺고 있다.
  • 서울 종로구의 행정 구역 - 청운동
    청운동은 청풍계와 백운동에서 유래된 서울특별시 종로구의 행정 구역으로, 조선 초기에는 한성부 북부 지역이었으며, 서울청운초등학교, 청와대, 경복궁 등을 포함하고 최규식 경무관 동상 등의 기념물과 장의문이 위치해 있다.
  • 서울 종로구의 행정 구역 - 삼청동
    삼청동은 서울특별시 종로구에 위치한 법정동이자 행정동으로, 이름의 유래는 삼청전 또는 산, 물, 사람의 맑음에서 비롯되었으며, 조선시대 진장방 지역이었으나 일제강점기를 거쳐 현재는 주요 기관과 유적이 위치하고 안국역이 인근에 있다.
종로구 - [지명]에 관한 문서
지도 정보
기본 정보
경복궁과 북악산 전경
경복궁북악산 전경
종로구 깃발
종로구 깃발
종로구 휘장
종로구 휘장
공식 명칭서울특별시 종로구
한국어 표기종로구 (鐘路區)
로마자 표기Jongno-gu
행정 구역서울특별시 자치구
하위 행정 구역19 행정동
위치 정보
위치대한민국 수도권 서울특별시
면적23.92 km²
지역서울 수도권
정치 및 행정
시장정문헌 (국민의힘)
국회의원곽상언 (더불어민주당, 종로구)
지방 의회종로구의회
정부 여당국민의힘
인구 정보
총 인구138,879명 (2024년 9월)
인구 밀도자동 계산
기타 정보
시간대한국 표준시 (UTC+9)
우편 번호03000~03299
지역 번호02-300, 700
구목은행나무
구화철쭉꽃
구조까치
공식 웹사이트종로구청 공식 웹사이트

2. 역사

동궐도, 종로에 있는 두 개의 궁궐을 묘사한 풍경화


종로는 역사적으로 조선과 그 후의 대한제국의 중심지였으며, 대한민국 수립 이후에도 현대에 이르기까지 그 중요성을 유지했다. 조선의 수도였던 한양에는 종로와 중구가 포함되었다.

1394년 10월, 태조는 수도를 개경에서 한양으로 천도했다.[8] 개경에는 태조에 반대하는 전통 세력의 기반이 강했고, 지리 감정 이론에 따르면 새 왕조는 천도 실패로 불운했다는 이유에서였다. 또한 쌀의 수운과 군사적 지리적 조건을 고려하여 한양으로 천도했다고 한다. 수도 천도 후 조선 정부는 종묘, 경복궁, 창덕궁 건설을 시작으로 한양 건설을 추진했다. 1395년 한양부로 개칭되었다. 1399년, 정종 원년에 왕자의 난으로 인해 수도가 다시 개경으로 잠시 옮겨졌다. 1405년, 태종 5년에 수도는 다시 한양으로 환도되었다. 세종 시대에 이르러 이 도시는 약 20만 명의 인구를 가진 대도시로 성장했다.

일본 통치 시대1943년 6월 10일, 경성부에 구제가 시행되면서 종로구가 설립되었다.[42] 조선 왕조가 서울로 천도한 이후, 서울 중심부인 종로는 한국의 여러 중추 기관들이 모인 지역으로 발전해 왔다. 현재에도 구 내에 있는 청와대경복궁이 이를 보여준다. 이 지역을 관할하는 종로 선거구에서 노무현 전 대통령과 이명박 전 대통령이 국회의원으로 선출된 경위로 “한국 정치의 1번지”라고 불린다.[35]

2. 1. 지명 유래

종로라는 이름은 지금의 종로1가에 도성문을 여닫는 시각을 알려주는 큰 종을 매달았던 종루에서 비롯한다. 아침의 ‘파루’와 저녁의 ‘인정’을 알렸는데, 종루가 있다고 해서 운종가라고 불렀다. 1943년 4월 1일 구제도를 실시할 때 ‘종루가 있는 거리’(bell street)라는 뜻으로 종로구라 이름 붙였다.[2] 종로구는 구 중앙을 관통하는 주요 간선도로인 종로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다. 여기서 종은 종로에 있는 종각 교차로에 위치한 보신각 종루를 가리킨다.[3]

2. 2. 연혁

종로라는 이름은 지금의 종로1가에 있던 큰 종을 매달았던 종루에서 유래한다. 이 종은 도성문을 여닫는 시간을 알려주는 역할을 했다. 1943년 4월 1일 구제도(區制度)가 시행될 때, '종루가 있는 거리'라는 뜻으로 종로구라는 이름이 붙여졌다.[42]

  • 1394년 한양으로 수도를 옮기고, 이듬해 6월 6일 한양을 한성부로 고쳤다. 같은 해 9월에는 종묘, 사직, 경복궁을 완성하였다.
  • 1396년에는 백악산, 낙산, 목멱산, 인왕산을 잇는 약 18km의 도성을 쌓았다. 한성부의 행정구역은 5부 52방으로 구성되었는데, 지금의 종로구는 중부 8방과 동부 2방에 해당되었다.[40]
  • 1910년 10월 1일: 한성부를 경성부로 이름을 바꾸었다.
  • 1911년 4월 1일: 경성부의 행정조직을 5부 8면제로 시행하면서, 지금의 종로구는 중부 8방과 동부 2방에 해당되었다.[40]
  • 1914년 4월 1일: 5부의 행정 구역을 넓혀 8면 가운데 도성 근처 지역을 5부에 편입하였는데, 이 중 지금의 종로구에 해당하는 일부 지역이 동부에 편입되었다.[41]
  • 1943년 6월 10일: 경기도 경성부 종로구를 설치하였다.[42] 이때 종로구는 청운정, 신교정, 궁정정, 효자정, 창성정, 통인정, 누상정, 누하정, 옥인정, 사직정, 체부정, 필운정, 내자정, 통의정, 적선정, 당주정, 도렴정, 내수정, 서대문정, 광화문통 등의 지역을 포함했다.
  • 1946년 10월 1일: 기존의 '~정(町)'으로 된 행정구역을 '~동(洞)'으로 일괄 변경했다.[43]
  • 1947년 6월: 동회제를 실시하였다.[44]
  • 1950년: 경무대동회→경무동회 개칭
  • 1955년 4월 18일: 행정동제를 실시하여 36개 행정동을 설치했다.[45]
  • 1970년 5월 18일: 법정동과 동사무소 이름을 일치시키고, 행정동을 36개에서 25개로 통합 조정했다.
  • 1975년 10월 1일: 서대문구의 평창동 등과 동대문구의 창신동 등을 종로구로 편입했다.[46]
  • 1977년 9월 1일: 누상동, 종로1가동, 종로5,6가동, 동숭동이 폐지되어 22개 동이 되었다.[47]
  • 1980년 7월 1일: 종로3가+종로4,5,6가→종로3,4가동, 5,6가동(충신동 합속).[48] (21행정동)
  • 1980년: 명륜3가동 관할 와룡동 1번지→종로1,2가동 관할 와룡동 합속
  • 1998년 12월 1일: 세종로동을 사직동에, 종로1·2가동과 종로3·4가동을 종로1·2·3·4가동으로 합동하였다.[49] (19행정동)
  • 2008년: 사직동 관할 세종로 일부→종로1,2,3,4가동 합속
  • 2008년 11월 1일: 청운동과 효자동을 청운효자동으로 합동하였다.[50] (18행정동)
  • 2012년 8월 1일: 명륜3가동과 혜화동을 혜화동으로 합동하고 종로1,2,3,4동 관할 와룡동 일부를 이에 합속.[51] (17행정동)

3. 지리

종로구는 조선 왕조가 수도를 세운 곳으로부터 600년 동안 서울의 중심지였다. 수도로서 정치, 경제, 문화, 역사에서 중요한 역할을 수행했기에 종로구는 흔히 한국의 얼굴이자 심장이라고 불린다.[4] 인왕산, 백악산, 낙산으로 이어지는 높고 낮은 산과 언덕이 천연 담장을 이루고 있고, 남쪽에는 큰 개천이 울타리 구실을 하며, 그 안에 황토마루·솔고개·배고개·붉은재·박석고개·마두산 등 작은 둔덕들이 있기는 하지만, 대체로 판판한 분지를 이루고 있어 예부터 명당으로 주목받았다.[52]

광화문 광장


광화문광장


이 지역에는 왕들이 거주하고 일했던 경복궁, 창덕궁, 창경궁, 운현궁과 같은 궁궐들이 있다. 대한민국 대통령의 전직 관저인 청와대도 종로구에 위치해 있다.[4]

종로구는 복원된 청계천, 전통 마을인 인사동, 유교 사당인 종묘, 그리고 한국 불교 조계종의 중심 사찰인 조계사 등의 관광 명소로 유명하다. 광화문광장에는 이순신 장군 동상과 세종대왕 동상이 있다.[5][6][7] 아트센터 나비, 가회박물관 등 여러 박물관이 있으며, 성균관대학교배화여자대학교의 본교 캠퍼스도 종로구에 있다.

4. 정치

종로구는 예로부터 정치 1번지로 불렸다. 조선 시대 궁궐, 일제강점기 조선총독부, 대한민국 정부 수립 이후 청와대정부서울청사 등 주요 기관이 위치해 있었다.[53] 종로구에는 평창동과 같은 부촌과 창신동 등의 서민 거주 지역이 공존하며,[53] 노년층이 주로 찾는 종로 지역과[54] 성균관대학교 인문사회캠퍼스, 서울대학교 연건캠퍼스 등 대학가가 함께 있다.

윤보선, 김두한, 장면 등 거물 정치인들이 종로구를 지역구로 국회의원을 지냈으며, 민주화 이후 이명박, 노무현, 정세균, 이낙연, 최재형 등이 종로구에서 국회의원을 역임했다.

광화문광장과 종로 등지에서는 여러 단체의 시위와 집회가 자주 열린다.[55] 2017년 종로구 일대에서 열린 시위는 2,563건이었다.[37]

종로구는 서울과 대한민국의 중심에 위치하여 정치적으로 매우 중요한 곳으로 여겨진다.[13][14] 2022년까지 대통령 공식 관저인 청와대가 있었고, 광화문광장청계광장이 있어 전국 단위 선거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이러한 중요성 때문에 정당들은 종로구 후보를 신중하게 선택한다.

종로구는 윤보선, 노무현, 이명박 등 세 명의 대통령을 국회의원으로 배출했다. 서울의 다른 구와 마찬가지로 자체 시장을 선출하고 구의회를 구성할 권리가 있다.

전통적으로 종로구는 평창동, 삼청동, 사직동 등을 중심으로 서울 출신 주민과 부유층이 많아 보수적인 지역으로 여겨졌다. 그러나 2010년대 더불어민주당이 수도권에서 세력을 확장하면서 혜화동 성균관대학교 학생들과 창신동, 숭인동 등 저소득층 주민들의 지지를 얻어 종로구에서도 영향력을 확대했다.

2020년 6월, 종로구는 더불어민주당의 핵심 지역으로 여겨졌다.[16] 이낙연 전 국무총리가 대통령 선거 출마를 위해 사퇴하기 전까지 종로구 국회의원을 지냈다. 2022년 3월 재보궐선거에서 최재형이 종로구 국회의원으로 당선되면서 국민의힘이 다시 부상했다. 6월 지방선거에서는 정문헌이 구청장으로 당선되었다.

행정안전부, 통일부, 외교부 청사가 종로구 서울정부종합청사에 위치해 있다.[17][18][19] 과거 교육부, 문화체육관광부, 보건복지부, 해양수산부 청사도 종로구에 있었으나, 세종특별자치시로 이전했다.

서울정부종합청사 본청


청와대

4. 1. 역대 구청장

대수이름임기
1최탁(崔卓)1945년 8월 16일 ~ 1945년 11월 26일
2오두환(吳斗煥)1945년 11월 27일 ~ 미상
3김진용(金瑨鎔)1947년 8월 27일 ~ 1949년 2월 15일
4김진용(金瑨鎔)1949년 2월 16일 ~ 1950년 11월 24일
5김교홍(金敎鴻)1950년 11월 25일 ~ 1954년 3월 16일
6지성준1954년 3월 17일 ~ 1956년 9월 12일
민선 5대김영종(金永椶)김영종 문서 참고
민선 8대정문헌2022년 ~ 현재[25]


5. 행정 구역

종로구 행정구역도


종로구의 행정 구역은 87개의 법정동을 관리하는 17개의 행정동으로 구성되어 있다. 종로구의 면적은 23.91km2이며, 2018년 6월 30일 기준으로 인구는 73,655세대, 163,569명이다.[56]

행정동한자면적 (km2)세대인구 (명)
청운효자동淸雲孝子洞2.57km25,42213,467
사직동社稷洞1.23km24,4719,722
삼청동三淸洞1.49km21,4153,067
부암동付岩洞2.27km24,27910,540
평창동平倉洞8.87km27,59919,154
무악동毋岳洞0.36km23,0188,282
교남동橋南洞0.35km24,50610,748
가회동嘉會洞0.54km22,0744,608
종로1·2·3·4가동鐘路洞2.35km25,3298,485
종로5·6가동鐘路洞0.6km23,1685,615
이화동梨花洞0.78km24,4878,667
혜화동惠化洞1.11km29,09020,354
창신1동昌信洞0.31km23,0226,259
창신2동昌信洞0.26km24,22810,213
창신3동昌信洞0.23km22,8787,476
숭인1동崇仁洞0.23km23,0066,824
숭인2동崇仁洞0.35km25,66310,088
종로구鐘路區23.91km273,655163,569


6. 인구

종로구의 행정 구역은 87개의 법정동을 관리하는 17개의 행정동으로 구성되어 있다. 종로구의 면적은 23.91km2이며, 2018년 6월 30일을 기준으로 73,655세대, 163,569명이다.[56]

; 행정동별 인구 현황

행정동한자면적 (km2)세대인구 (명)
청운효자동淸雲孝子洞2.575,42213,467
사직동社稷洞1.234,4719,722
삼청동三淸洞1.491,4153,067
부암동付岩洞2.274,27910,540
평창동平倉洞8.877,59919,154
무악동毋岳洞0.363,0188,282
교남동橋南洞0.354,50610,748
가회동嘉會洞0.542,0744,608
종로1·2·3·4가동鐘路洞2.355,3298,485
종로5·6가동鐘路洞0.603,1685,615
이화동梨花洞0.784,4878,667
혜화동惠化洞1.119,09020,354
창신1동昌信洞0.313,0226,259
창신2동昌信洞0.264,22810,213
창신3동昌信洞0.232,8787,476
숭인1동崇仁洞0.233,0066,824
숭인2동崇仁洞0.355,66310,088
종로구鐘路區23.9173,655163,569



; 연도별 인구 추이 (내국인)

연도총인구
1966년224,761명
1970년215,971명
1975년333,049명
1980년291,960명
1985년265,342명
1990년242,891명
1995년190,116명
2000년168,879명
2005년154,043명
2010년151,069명
2015년161,521명
2020년149,384명


7. 경제

종로는 역사적으로 조선과 그 후의 대한제국의 중심지였다. 대한민국 수립 이후에도 현대에 이르기까지 그 중요성을 유지했다. 조선의 수도였던 한양에는 종로와 중구가 포함되었다.

종로 업무 지구


서울의 전통적인 중심지인 종로는 중심 위치 덕분에 국내외 기업들을 계속해서 유치하고 있으며, 중요한 업무 지구로 남아 있다. 종로에 본사를 둔 주목할 만한 기업으로는 금호아시아나그룹(Kumho Asiana Group), 교보생명(Kyobo Life), 롯데그룹(Lotte Group), SK그룹(SK Group), 현대건설(Hyundai Engineering & Construction), 대우건설(Daewoo E&C), 대림산업(Daelim Group), 동아일보가 있다. 이 지역에는 많은 주요 비즈니스 센터와 사무실 건물뿐만 아니라 외교 공관도 있다.

더페이스샵(The Face Shop)의 본사는 신문로 2가(Sinmunno 2-ga)에 있는 LG광화문빌딩에 있다.[9]

에어서울(Air Seoul)의 본사는 신문로 1가(Sinmunno 1-ga)에 있는 금호아시아나 본관(Kumho Asiana Main Tower)에 있다.[10]

8. 문화 및 관광

종로구는 조선 왕조가 수도를 세운 곳으로부터 600년 동안 서울의 중심지였으며, 정치, 경제, 문화, 역사에서 중요한 역할을 수행해왔기에 흔히 한국의 얼굴이자 심장이라고 불린다.[4] 경복궁, 창덕궁, 창경궁, 운현궁과 같이 왕들이 거주하고 일했던 궁궐들과 대한민국 대통령의 전직 관저인 청와대가 종로구에 있다.[4]

청계천, 인사동, 종묘, 조계사 등은 종로구의 유명한 관광 명소이다. 광화문광장에는 이순신 장군 동상과 세종대왕 동상이 있다.[5][6][7] 아트센터 나비, 가회박물관 등 여러 박물관과 성균관대학교, 배화여자대학교 본교 캠퍼스도 종로구에 있다.

관광은 종로구 경제에서 중요한 부분을 차지한다. 광화문광장은 중앙에 위치하여 매년 많은 관광객을 유치하며, 인사동과 북촌한옥마을 또한 많은 방문객을 끌어들인다. 광장시장은 한국에서 가장 오래된 전통시장 중 하나로, 매일 약 65,000명이 방문한다.[11][12]

광화문 남쪽에 조성된 광화문광장 등에서는 대규모 시위가 자주 열리는데, 2017년 종로구 일대에서 열린 시위는 2,563건이었다.[37]

8. 1. 주요 기관

종로구는 서울의 중심부에 위치하여 대한민국의 정치, 행정, 언론, 사법, 치안, 의료 관련 주요 기관들이 집중되어 있다.

8. 2. 갤러리

경복궁 전경


창경궁 명정전


국립민속박물관


종묘


탑골공원


북촌 한옥마을


청계천 시작부


청계천과 빌딩들


청계광장과 소라탑


청와대의 모습


야경으로 본 경복궁


인사동의 전통 찻집

9. 교육

종로구에는 여러 종류의 학교가 있다.


  • 초등학교


  • 중학교


  • 고등학교


  • 대학교 및 대학원

가톨릭대학교 성신캠퍼스 (사립)상명대학교 (사립)성균관대학교 (사립)
서울대학교 연건캠퍼스 (국립)[27]북한대학원대학교 (사립)


  • 국제학교

서울국제학교 (사립): 초등 및 중등 교육 모두 가능[28]서울글로벌고등학교 (국립)


9. 1. 대학과 종로구

1395년 조선 태조 4년, 도읍지 한양에 성균관을 착공하여 태조 7년(1398) 7월에 준공하였다.[57] 성균관에는 문묘, 명륜당을 비롯하여 동서재, 정록소, 양현고, 식당 등의 건물이 있었다. 조선 초기의 성균관 직제는 고려의 제도를 그대로 답습하여 대사성 1인, 좨주[58] 1인, 악정[59] 2인, 직강 1인, 전부[60] 1인, 박사 2인, 직학[61] 2인, 학유[62] 4인 등 도합 22인의 교수직을 두었다.

1401년 태종 원년 7월 관제 개혁 때, 좨주는 사성(司成)으로, 악정은 사예(司藝)로, 전부는 주부 등으로 바꾸었다. 성균관 관원은 성균관 유생뿐만 아니라, 일부는 사부학당 교수, 훈도를 겸하여 사학생도들을 가르쳤고, 종학박사를 겸하여 종친을 교육하는 일도 맡았다. 세조 12년(1466) 1월 관제 경정 때 경국대전에 따르면, 성균관의 장인 지성균관사는 대제학이 예겸하고, 그 아래 동지사 2인은 겸관이었으며, 대사성 1인, 사성 2인, 사예 3인, 직강 4인, 전적 13인, 박사 3인, 학정 3인, 학유 3인, 학록 3인 등 38인의 관원으로 문묘의 석전제와 유생의 교육을 맡았다.

성균관 유생 정원은 생원, 진사 1백 인, 기재 1백 인 도합 2백 인이었으며, 당시 이들의 경비는 양현고와 성균관에 주어진 전지 및 이를 경작하는 노비로 충당되었다. 성균관은 구한말 갑오경장(1894) 때까지 조선의 최고 교육기관이었는데, 1910년 8월 국권피탈로 대한제국의 국권을 일제가 빼앗자 1920년 6월 100여 명의 독립운동가들이 재단법인 《조선교육회》를 발기하고 '조선민립대학설립운동'을 전개하여 종합대학 설립을 추진하였다.

이에 일제가 한국인의 고등교육기관을 막을 목적으로 1924년 일본 정부가 서울(당시 경성부) 연건동에 종합대학으로 《경성제국대학》을 세웠다. 후에 경성제국대학이 서울과 그 근교 9개 전문학교를 하나로 합쳐 하나의 종합대학교로 설립한다는 내용의 1946년 7월 13일 발표된 국립 서울대학교 설치 방침으로 촉발한 '국립 서울대학교 설치안(국대안) 파동을 겪게 되면서 1946년 8월 22일 국립 서울대학교로 다시 탄생하였다.

섬네일
예부터 이 지역에 향교가 있어 ‘교동’으로 불렸던 종로구는 1908년 서북학회낙원동 282번지에 건물을 지었다. 서북학회박은식, 이갑, 이동휘, 안창호 등이 만들고, 33명의 공동 소유로 모금을 통한 회관 건립을 계획, 착수하였다.

서북학회는 일제의 강압책으로 국권회복운동이 어려워짐에 따라 관서지방(평안남북도·황해도)의 서우학회(西友學會)와 관북지방(함경남북도)의 한북흥학회(漢北興學會)가 통합해 1908년 1월 조직한 애국계몽운동 단체로, 국권 회복, 인권 신장, 입헌공화국 수립을 목표로 하였다. 서우학회는 박은식·김병희·신석하·장응량·김윤옥·김병일·김달하·김석환·김명준·곽윤기·김기주·김유탁 등이 발기하였고, 한북흥학회는 오상규, 이준, 유진호, 설태희, 이동휘, 이종호, 강용구, 윤익선, 이재성, 태명식, 주우, 김주병, 양효건, 강윤희, 정진홍 등이 설립하였다. 조직은 서우학회와 한북흥학회를 토대로 서울에 총사무소를 두고, 31개 지역에 지회를 설치하는 한편 69개 지역에 학교를 두었다. 평안남북도·함경남북도·황해도의 신흥시민층을 중심으로 구성되었으며, 회원은 2,500여 명이었다.

서북학회 건물은 청나라 기술자를 불러 지었고, 당시 보기 드문 현대식 건축물로 장안의 화제가 되었다. 33명의 이름으로 지어진 것도 색다르다.[63] 1908년 11월 2일 준공되었다.

낙원동 교사는 3층 양옥이었는데(1층은 반지하), 연건평 395평였다. 1886년 서울 중구 정동에 건평 200평 규모의 한식 기와집에서 시작된 초창기 이화학당보다 훨씬 컸다. 여기서 단국대건국대(설립인가 순)가 태동하고 국민대는 설립 기성회의 임시 사무실로 썼다. 고려대학교의 전신인 보성전문학교서북협성학교도 한때 이 건물에서 배우고 가르쳤는데, '종로 낙원동 교사'로 불리면서 서울대학교가 있었던 혜화동 대학로(마로니에 공원)와 함께 대학가에서 꽤 알려졌던 곳이다. 유서 깊은 '종로 낙원동 교사'는 신흥 사학의 산실이었다.[63]

이후 '종로 낙원동 교사'였던 서북회관은 백화점의 박흥식이 이사장으로 운영하다 민중병원을 운영하던 함경남도 단천 출신 건국대 설립자 유석창에게 소유가 넘어갔다. 1977년 건물은 도시계획으로 철거·해체, 1985년 건국대학교 교정 안으로 이전·복원되어 현재 군자동 건국대 내 상허기념관으로 활용하면서 등록문화재 제53호 '서북학회회관(西北學會會館)'으로 등록되어 있다.

대학 50년사[64]를 보면, 해방 후 새롭게 정립한 '민족정기'로 1946년 8월 22일서울대학교 '개교일'로 기념하고 있다. 설립 인가서 기준, 2년제 전문대학 형식이던 이화여자전문대1946년 6월 24일 제1호 인가서를, 연희전문대1946년 7월 31일 제2호 인가서를 미군정청 학무국으로부터 받았다. 보성전문대1946년 8월 5일 제3호 인가서를 받아 8월 15일, 고려대학교라는 종합대학 승격의 법률적 토대를 마련했다.

종로구 혜화동혜화전문학교(惠化專門學敎)는 1946년 9월 20일 동국대로, 명륜동명륜전문학교(明倫專門學敎)는 1946년 9월 25일 성균관대로 설립인가를 받았다. 낙원동단국대1947년 11월 1일 광복 최초 4년제 대학으로 정식 설립인가를 받았다. 1948년에는 숙명여대, 중앙대, 한양대, 국민대, 1949년에는 건국대, 홍익대가 설립인가를 받았으며, 1949년 가인가를 받았던 경희대1952년 정식 설립인가를 받았다. 일제 때 평양에 있다 폐교되었던 숭실대1954년 4월 15일 문교부로부터 정식 설립인가를 받았다. (한국대학신문 광복 이후 정규대학 설립인가 현황(1946년~1954년) 참조)[64][65][66]

현재 종로구에는 다음과 같은 대학교들이 위치해 있다.

종류학교비고
대학교가톨릭대학교 성신캠퍼스사립
대학교상명대학교사립
대학교성균관대학교사립
대학교서울대학교 연건캠퍼스국립[27]
대학원대학교북한대학원대학교사립


10. 교통

종로구에는 여러 도시 철도 노선이 지나간다. 수도권 전철 1호선동묘앞역, 동대문역, 종로5가역, 종로3가역, 종각역을 지나며, 수도권 전철 3호선경복궁역안국역을 거쳐간다. 수도권 전철 4호선혜화역동대문역을 지나고, 수도권 전철 5호선서대문역광화문역을 지난다. 서울 지하철 6호선동묘앞역창신역을 지난다.

10. 1. 도시 철도


:** ●영어 수도권 전철 1호선

:: (동대문구) ← 동묘앞역 - 동대문역 - 종로5가역 - 종로3가역 - 종각역 → (중구)

:** ●영어 수도권 전철 3호선

:: (서대문구) ← 경복궁역 - 안국역 - 종로3가역 → (중구)

:** ●영어 수도권 전철 4호선

:: (성북구) ← 혜화역 - 동대문역 → (중구)

:** ●영어 수도권 전철 5호선

:: (서대문구) ← 서대문역 - 광화문역 - 종로3가역 → (중구)

:** ●영어 서울 지하철 6호선

:: (중구) ← 동묘앞역 - 창신역 → (성북구)

11. 자매 도시

지역 & 국가도시
대한민국|대한민국한국어
강원특별자치도
영월군
대한민국|대한민국한국어
경기도
안성시
대한민국|대한민국한국어
전라남도
나주시
대한민국|대한민국한국어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中华人民共和国|중화인민공화국중국어베이징시 둥청구 (1995년)
中华人民共和国|중화인민공화국중국어상하이시 정안구 (2000년)
Монгол Улс|몽골mn울란바토르 시 수흐바토르 구 (1996년)
México|멕시코es산미겔데아옌데 (2013년)
Česká republika|체코cs프라하 프라하1자치구 (2015년)
កម្ពុជា|캄보디아km포이펫 (2019년)
Australia|호주영어라이드 (2019년)
United States of America|미국영어펜실베이니아주 랭커스터 (1999년)[31]


12. 외교 공관

도심에 위치한 종로구에는 다음과 같은 외국 대사관들이 있다.[24]


참조

[1] infobox https://jumin.mois.g[...]
[2] 웹사이트 Welcome To Jongno http://www.jongno.go[...] 2020-10-25
[3] 웹사이트 Bosingak Belfry (보신각터) http://english.visit[...] 2020-10-25
[4] 웹사이트 About Jongno-gu https://archive.toda[...] Jongno-gu Official website 2008-04-23
[5] 뉴스 Popular plaza http://koreajoongang[...] 2009-08-03
[6] 뉴스 The road less travelled, by cars http://koreajoongang[...] 2009-08-03
[7] 뉴스 Gwanghwamun Plaza: Let's Try to Turn New Place Into National Symbol https://koreatimes.c[...] 2009-08-02
[8] 웹사이트 우리역사넷 http://contents.hist[...] 2020-10-25
[9] 웹사이트 Company location http://international[...] 2012-10-09
[10] 웹사이트 Home https://flyairseoul.[...] 2016-11-01
[11] 웹사이트 Gwangjang Market: Seoul's quirky foodie paradise https://www.koreatim[...] 2013-02-14
[12] 웹사이트 Taste of Humanism in the 107-Year-Old Memories of Gwangjang Market http://www.koreafocu[...] The Hankyoreh 2012-07-21
[13] 웹사이트 Welcome To Jongno http://www.jongno.go[...]
[14] 웹사이트 [Newsmaker] Jongno race bellwether of presidential election http://www.koreahera[...] 2020-02-09
[15] 뉴스 Seoul mayor Park Won-soon shakes up S Korean politics https://www.bbc.com/[...] 2011-11-15
[16] 웹사이트 (3rd LD) Ex-PM Lee wins against main rival Hwang in Seoul's Jongno https://en.yna.co.kr[...] 2020-04-16
[17] 웹사이트 Location http://www.mospa.go.[...] 2013-01-01
[18] 웹사이트 Location & Contact Info http://eng.unikorea.[...] 2013-01-01
[19] 웹사이트 Location http://www.mofa.go.k[...] 2014-01-01
[20] 웹사이트 Contact Info http://www.globe.gov[...] 2013-01-01
[21] 웹사이트 Location https://web.archive.[...] 2014-01-01
[22] 웹사이트 Location https://web.archive.[...] 2014-01-01
[23] 웹사이트 Home (Archive.org) https://web.archive.[...] 2014-01-04
[24] 웹사이트 주한공관주소록 https://www.mofa.go.[...] 외교부 2022-04-25
[25] 웹사이트 종로구, 열린 청장실 https://www.jongno.g[...] 2022-07-17
[26] 웹사이트 Welcome To Jongno http://www.jongno.go[...] 2020-10-25
[27] 웹사이트 Seoul National University Yeongeon Campus https://medicine.snu[...] Seoul National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2022-07-17
[28] 웹사이트 Contact http://www.xavier.sc[...] 2014-05-22
[29] 웹사이트 국제교류현황, 지자체별 (둥청구) https://www.gaok.or.[...] Governors association of Korea 2022-07-17
[30] 웹사이트 국제교류현황, 지자체별 (수흐바타르구) https://www.gaok.or.[...] Governors association of Korea 2022-07-17
[31] 웹사이트 https://www.gaok.or.[...] Governors association of Korea 2022-07-17
[32] 웹사이트 https://www.gaok.or.[...] Governors association of Korea 2022-07-17
[33] 웹사이트 https://www.gaok.or.[...] Governors association of Korea 2022-07-17
[34] 웹사이트 주민등록 인구통계 - 행정안전부 https://jumin.mois.g[...] 2024-01-02
[35] 웹사이트 前・元首相が火花 次期大統領選に影響―韓国総選挙 https://web.archive.[...] 時事通信社 2020-04-09
[36] 웹사이트 人口、世帯と住宅 - 邑面洞 2022年~2022年 http://kosis.kr/ 2016-09-11
[37] 웹사이트 【コラム】葛藤と分裂の大韓民国 http://www.chosunonl[...] 朝鮮日報 2018-11-18
[38] 웹인용 2022년 11월 주민등록 인구 https://jumin.mois.g[...]
[39] 웹인용 2022년 11월 주민등록 인구 https://jumin.mois.g[...]
[40] 간행물 조선총독부령 제31호
[41] 법령 조선총독부령 제111호 1913-12-29
[42] 법령 조선총독부령 제163호 1943-06-09
[43] 법령 서울시헌장 제1조
[44] 법령 서울시령 제2호
[45] 법령 서울특별시 조례 제66호 1955-04-18
[46] 법령 대통령령 제7816호 구의증설및관할구역변경에관한규정 1975-09-23
[47] 법령 서울특별시 조례 제1181호 1977-08-29
[48] 법령 시조례 제1413호
[49] 법령 구조례 제383호 동사무소설치조례
[50] 법령 구조례 제740호 동주민센터명칭과소재지및관할구역에관한조례 2008-09-19
[51] 간행물 구조례 제945호 동주민센터명칭과소재지및관할구역에관한조례 2012-07-20
[52] 서적 한양: 그곳에서 살고 싶다? (주)교학사 1997-03-10
[53] 뉴스 백만장자들 대궐 짓고 살던 동네가 쪽방촌으로 https://economychosu[...]
[54] 뉴스 왜 종로는 노인들의 놀이터가 됐을까? https://magazine.han[...]
[55] 뉴스 광화문광장 재개장 후 종로 일대 집회·시위 다시 늘어 https://www.yna.co.k[...]
[56] 간행물 제28회 2013 종로통계연보 종로구청 2013
[57] 기타
[58] 기타
[59] 기타
[60] 기타
[61] term 直學
[62] term 學諭
[63] 뉴스 (17) 유서 깊은 낙원동 교사 - 신흥 사학의 산실 http://www.unn.net/C[...] 한국대학신문 2009-02-25
[64] 뉴스 미 군정기 대학 설립 봇물 http://www.unn.net/C[...] 한국대학신문 2010-03-01
[65] 뉴스 "1953년 戰禍 속 졸업생에게" 김창숙 선생 친필 훈사 발견 http://news.chosun.c[...] 조선일보 2011-06-25
[66] 뉴스 成大 창립자 김창숙 선생의 1953년 졸업훈사 공개 http://news.donga.co[...] 동아일보 2011-06-25
[67] 웹사이트 종로구 종합 청사 준공 http://photoarchives[...] 2010-03-29
[68] 뉴스 종로구 부구청장 김창식 전 서울시 식품안전추진단장 부임 http://www.sctoday.c[...] 서울문화투데이 2010-01-26
[69] 뉴스 '구청의 어머니' 서울시 자치구 부구청장 누구? http://www.asiae.co.[...] 아시아경제 2013-05-04
[70] 뉴스 지방선거 출마 사직 공직자 명단 http://www.yonhapnew[...] 연합뉴스 2010-03-05
[71] 뉴스 종로구청, '행복한 우리동네 찾아가는 건강특강' 강좌 개최 http://health.chosun[...] 헬스조선 2012-06-19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