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영춘환선인장아과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영춘환선인장아과는 선인장과의 아과 중 하나로, 의사엽선인장아과와 자매군 관계이다. 영춘환선인장속을 포함하며, 핵심 선인장류에 속한다. 귀면각선인장족, 금수옥선인장족, 립살리스족, 영춘환선인장족 등 다양한 족과 속으로 세분화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836년 기재된 식물 - 매실나무
    매실나무는 중국 남부 원산의 장미과 낙엽 교목으로, 이른 봄에 향기로운 꽃을 피우고 여름에 청매와 황매로 나뉘는 열매를 맺으며 관상용, 식용, 약용으로 재배되고 동아시아 문화권에서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
  • 1836년 기재된 식물 - 지칭개
    지칭개는 국화과의 두해살이풀로 햇볕이 잘 드는 곳에서 흔히 볼 수 있는 잡초이며, 엉겅퀴와 유사하나 잎에 가시가 없고 총포 조각에 뿔처럼 생긴 돌기가 있는 것이 특징이고, 어린 잎은 식용이 가능하며 약재로도 사용된다.
  • 영춘환선인장아과 - 멕시코울타리선인장
    멕시코 원산의 멕시코울타리선인장은 기둥 모양 줄기가 최대 3.7미터까지 자라는 선인장으로, 붉은 꽃과 열매를 맺으며 관상용 및 울타리 재료로 재배된다.
  • 영춘환선인장아과 - 메스칼린
    메스칼린은 페네틸아민 계열 환각 물질로, 특정 선인장에서 발견되어 아메리카 원주민 문화에서 종교 의식에 사용되었으며, 세로토닌 수용체에 작용하여 환각 등의 효과를 일으키고 예술가들에게 영감을 주었으나 현재 많은 국가에서 규제 물질로 지정되었다.
영춘환선인장아과 - [생물]에 관한 문서
분류 정보
학명Cactoideae
명명자Eaton, 1836
아과영춘환선인장아과
영어Cactoideae
하위 분류
부족 또는 분기군본문 참조

2. 계통 분류

선인장과는 분자계통학적 연구 결과에 따라 크게 네 개의 아과로 분류된다.[15] 가장 먼저 분기한 그룹은 목기린선인장아과이며, 이후 나머지 아과들이 분기하였다.[15] 영춘환선인장아과는 의사엽선인장아과와 가장 가까운 유연관계를 가지며, 이 두 아과는 자매군을 형성한다.[15] 이 두 아과로 이루어진 그룹은 다시 선인장아과와 자매군 관계에 있으며, 이 세 아과를 합쳐 핵심 선인장류(core cacti)라고 부른다.[15]

2. 1. 목기린선인장아과 (Clade A, Clade B)

선인장과의 계통 분류에서 목기린선인장아과는 가장 먼저 분기한 그룹으로, 선인장과의 초기 진화 형태를 보여주는 것으로 여겨진다.[15] 분자계통학적 연구 결과에 따르면, 목기린선인장아과는 크게 두 개의 분기군(Clade)으로 나뉜다. Clade A가 선인장과 내에서 가장 먼저 분기했으며, Clade B는 Clade A 이후에 분기하여 나머지 모든 선인장 아과(선인장아과, 의사엽선인장아과, 영춘환선인장아과)와 자매군을 형성한다.[15]

2. 2. caulocacti

`caulocacti`는 목기린선인장아과 Clade B와 core cacti를 포함하는 분류군이다.[15] core cacti는 다시 선인장아과, 의사엽선인장아과, 영춘환선인장아과를 포함한다.[15]

2. 3. core cacti

핵심 선인장류(core cacti)는 선인장과의 주요 분기군으로[15], 선인장아과와, 의사엽선인장아과 및 영춘환선인장아과로 구성된 자매 분기군을 포함한다.[15]

3. 하위 분류

영춘환선인장아과는 다음과 같은 하위 족(Tribe)으로 분류된다. 각 족은 다양한 속(Genus)을 포함하고 있다.


  • 귀면각선인장족 (Cereeae Salm-Dyck)[7]
  • 금수옥선인장족 (Notocacteae Buxb.)[8]
  • 리만벤소니아족 (Lymanbensonieae N.Korotkova & Barthlott)[9]
  • 립살리스족 (Rhipsalideae DC.)[10]
  • 블로스펠디아족 (Blossfeldieae Crozier)[11]
  • 영춘환선인장족 (Cacteae Rchb.)[12]
  • 코피아포아족 (Copiapoinae Doweld)[13]
  • 프라일레아족 (Fraileeae)
  • 필로칵투스족 (Phyllocacteae Rchb.)[14]
  • 에키노케레우스족 (Echinocereeae)
  • 힐로케레우스족 (Hylocereeae)[5]

3. 1. 귀면각선인장족 (Cereeae)

귀면각선인장족[7](Salm-Dyck)은 다양한 형태의 기둥 모양 선인장을 포함하는 분류군이다. 이 족은 하위에 귀면각선인장아족(Cereeae), 레부티아아족(Rebutiinae), 트리코케레우스아족(Trichocereeae)의 세 아족으로 분류된다.

3. 1. 1. 귀면각선인장아족 (Cereeae)


  • 아로자도아속 (''Arrojadoa'')
  • 브라질리케레우스속 (''Brasiliscereus'')
  • 케레우스속 (''Cereus'')
  • 치포케레우스속 (''Cipocereus'')
  • 콜레오세팔로케레우스속 (''Coleocephalocereus'')
  • 디스코카쿠스속 (''Discocactus'')
  • 에스포스토옵시스속 (''Espostoopsis'')
  • 파케이로아속 (''Facheiroa'')
  • 레오케레우스속 (''Leocereus'')
  • 멜로카쿠스속 (''Melocactus'')
  • 미크란토케레우스속 (''Micranthocereus'')
  • 필로소케레우스속 (''Pilosocereus'')
  • 프라에케레우스속 (''Praecereus'')
  • 세르룰라토케레우스속 (''Serrulatocereus'')
  • 시키시키속 (''Xiquexique'')

3. 1. 2. 레부티아아족 (Rebutiinae)

''아일로스테라속'', ''브라우닝기아속'', ''김노칼리시움속'', ''라시오케레우스속'', ''레부티아속'', ''스테트소니아속'', ''위에벨마니아속''

3. 1. 3. 트리코케레우스아족 (Trichocereeae)

''아칸토칼리시움속'' – ''아르트로케레우스속'' – ''보르지카쿠스속'' – ''카마에케레우스속'' – ''클레이스토카쿠스속'' – ''덴모자속'' – ''에키놉시스속'' – ''에스포스토아속'' – ''하아게오케레우스속'' – ''하리시아속'' – ''레우코스텔레속'' – ''로비비아속'' – ''록산토케레우스속'' – ''마투카나속'' – ''밀라속'' – ''오레오케레우스속'' – ''오로야속'' – ''라우호케레우스속'' – ''라이헤오카쿠스속'' – ''사마이파티케레우스속'' – ''세티에키놉시스속'' – ''쇠렌시아속'' – ''트리코케레우스속'' – ''바트리칸니아속'' – ''웨베르바우에로케레우스속'' – ''융가소케레우스속''

3. 2. 금수옥선인장족 (Notocacteae)

[8]

  • 금관선인장속(''Eriosyce'' Phil.)
  • 금수옥선인장속(''Parodia'' Speg.)
  • ''Eulychnia'' Phil.
  • 네오웨르데르만니아속(''Neowerdermannia'' Fric)
  • 야비아속(''Yavia'' R.Kiesling & Piltz)
  • 코피아포아속(''Copiapoa'')
  • 텔로세팔라속(''Thelocephala'')

3. 3. 리만벤소니아족 (Lymanbensonieae)


  • 칼림만티움속(''Calymmanthium'' F.Ritter)
  • 리먼벤소니아속(''Lymanbensonia'' Kimnach)

3. 4. 립살리스족 (Rhipsalideae)

립살리스족은 주로 나무나 바위에 붙어 자라는 착생선인장으로 구성된다.[10] 이 족에는 다음과 같은 속들이 포함된다.

  • 게발선인장속 (''Schlumbergera'' Lem.)
  • 하티오라속 (''Hatiora'' Britton & Rose)
  • 레피스미움속 (''Lepismium'' Pfeiff.)
  • 립살리스속 (''Rhipsalis'' Gaertn.)

3. 5. 블로스펠디아족 (Blossfeldieae)


  • ''블로스펠디아속'' Werderm.

3. 6. 영춘환선인장족 (Cacteae)


  • 난봉옥선인장속(''Astrophytum'' Lem.)
  • 상아환선인장속(''Coryphantha'' (Engelm.) Lem.)
  • 암모란선인장속(''Ariocarpus'' Scheidw.)
  • 암선인장속(''Echinocactus'' Link & Otto)
  • 영춘환선인장속(''Mammillaria'' Haw.)
  • 오우옥선인장속(''Lophophora'' J.M.Coult.)
  • 월세계선인장속(''Epithelantha'' F.A.C.Weber ex Britton & Rose)
  • 정교전선인장속(''Turbinicarpus'' (Backeb.) Buxb. & Backeb.)
  • 제관선인장속(''Obregonia'' Fric)
  • 천황선인장속(''Thelocactus'' (K.Schum.) Britton & Rose)
  • 호두선인장속(''Ferocactus'' Britton & Rose)
  • ''Acharagma'' (N.P.Taylor) Zimmerman ex Glass
  • ''Aztekium'' Boed.
  • ''Cumarinia'' (Knuth) Buxb.
  • ''Escobaria'' Britton & Rose
  • ''Geohintonia'' Glass & W.A.Fitz Maur.
  • ''Kadenicarpus'' Doweld
  • ''Leuchtenbergia'' Hook.
  • ''Mammilloydia'' Buxb.
  • ''Neolloydia'' Britton & Rose
  • ''Ortegocactus'' Alexander
  • ''Pediocactus'' Britton & Rose
  • ''Pelecyphora'' C.Ehrenb.
  • ''Rapicactus'' Buxb. & Oehme
  • ''Sclerocactus'' Britton & Rose
  • ''Stenocactus'' (K.Schum.) A.Berger
  • ''Strombocactus'' Britton & Rose
  • ''에키노마스투스속''
  • ''글란둘리카쿠스속''

3. 7. 코피아포아족 (Copiapoinae)


  • 코피아포아속 (''Copiapoa'' Britton & Rose)
  • 프라일레아속 (''Frailea'' Britton & Rose)

3. 8. 프라일레아족 (Fraileeae)


  • ''프라일레아속''

3. 9. 필로칵투스족 (Phyllocacteae)


  • 공작선인장속(''Epiphyllum'' Haw.)[14]
  • 금유선인장속(''Aporocactus'' Lem.)
  • 달빛선인장속(''Selenicereus'' Britton & Rose)
  • 대봉룡선인장속(''Cephalocereus'' Pfeiff.)
  • 무륜주선인장속(''Pachycereus'' (A.Berger) Britton & Rose)
  • 벽채주선인장속(''Bergerocactus'' Britton & Rose)
  • 변경주선인장속(''Carnegiea'' Britton & Rose)
  • 비로사과각선인장속(''Acanthocereus'' (A.Berger) Britton & Rose)
  • 상제각선인장속(''Lophocereus'' Britton & Rose)
  • 용신목선인장속(''Myrtillocactus'' Console)
  • 주모주선인장속(''Echinocereus'' Engelm.)
  • 쥐꼬리선인장속(''Disocactus'' Lindl.)
  • ''Armatocereus'' Backeb.
  • ''Austrocactus'' Britton & Rose
  • ''Castellanosia'' Cárdenas
  • ''Corryocactus'' Britton & Rose
  • ''Deamia'' Britton & Rose
  • ''Dendrocereus'' Britton & Rose
  • ''Escontria'' Rose
  • ''Jasminocereus'' Britton & Rose
  • ''Lemaireocereus'' Britton & Rose
  • ''Leptocereus'' Britton & Rose
  • ''Marshallocereus'' Backeb.
  • ''Mitrocereus'' (Backeb.) Backeb.
  • ''Morangaya'' G.D.Rowley
  • × ''Myrtgerocactus'' Moran
  • ''Neoraimondia'' Britton & Rose
  • ''Nyctocereus'' (A.Berger) Britton & Rose
  • × ''Pachebergia'' S.Arias & Terrazas
  • × ''Pacherocactus'' G.D.Rowley
  • ''Peniocereus'' (A.Berger) Britton & Rose
  • ''Pfeiffera'' Salm-Dyck
  • × ''Polascontria'' Y.Cruz & S.Vázquez
  • ''Polaskia'' Backeb.
  • ''Pseudoacanthocereus'' F.Ritter
  • ''Pseudorhipsalis'' Britton & Rose
  • ''Pterocereus'' T.MacDoug. & Miranda
  • ''Stenocereus'' (A.Berger) Riccob.
  • ''Strophocactus'' Britton & Rose
  • ''Weberocereus'' Britton & Rose

3. 10. 에키노케레우스족 (Echinocereeae)


  • 아르마토케레우스속
  • (''Acanthocereus''는 힐로케레우스족에 속함)[5]
  • 오스트로카쿠스속
  • 베르제리오카쿠스속
  • 브라키케레우스속
  • 카네기아속
  • 세팔로케레우스속
  • 코리오카쿠스속
  • 에키노케레우스속
  • 에스콘티아속
  • 자스미노케레우스속
  • 렙토케레우스속
  • 로포케레우스속
  • 미트로케레우스속
  • 미르틸로카쿠스속
  • 네오라이몬디아속
  • 파키케레우스속
  • 페니케레우스속
  • 페이퍼라속
  • 필로소케레우스속
  • 폴라스키아속
  • 스테노케레우스속
  • 스테파노케레우스속
  • 스트로포카쿠스속

3. 11. 힐로케레우스족 (Hylocereeae)


  • ''아칸토케레우스속''[5]
  • ''데아미아속''
  • ''디소카쿠스속''
  • ''에피필룸속''
  • ''킴나키아속''
  • ''가짜립살리스속''
  • ''셀레니케레우스속'' (''Hylocereus'' 포함)
  • ''웨베로케레우스속''

3. 12. 노토카테아족 (Notocacteae)


  • ''코피아포아속''
  • ''에리오시케속''
  • ''네오웨르데르만니아속''
  • ''파로디아속''
  • ''텔로세팔라속''
  • ''야비아속''

참조

[1] 논문 High proportion of cactus species threatened with extinction https://www.nature.c[...] 2015-10-05
[2] 서적 The Cactus Primer https://books.google[...] Harvard University Press 1990-10-11
[3] 논문 Structure–function relationships in highly modified shoots of Cactaceae 2006
[4] 논문 A farewell to dated ideas and concepts: molecular phylogenetics and a revised suprageneric classification of the family Cactaceae
[5] 논문 A phylogenetic framework for the Hylocereeae (Cactaceae) and implications for the circumscription of the genera https://www.research[...] 2017
[6] 간행물 A Botanical Dictionary 1836
[7] 간행물 Allgemeine Gartenzeitung 1840
[8] 간행물 Madroño 1958
[9] 간행물 Willdenowia 2010
[10] 간행물 Prodromus Systematis Naturalis Regni Vegetabilis 1828
[11] 간행물 Phytologia 2004
[12] 간행물 Flora Germanica Excursoria 1832
[13] 간행물 Tsukkulenty 2000
[14] 간행물 Der Deutsche Botaniker Herbarienbuch 1841
[15] 논문 Basal cactus phylogeny: implications of ''Pereskia'' (Cactaceae) paraphyly for the transition to the cactus life form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