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예지 안제예프스키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예지 안제예프스키는 폴란드의 소설가, 수필가, 극작가로, 1909년 바르샤바에서 태어나 바르샤바 대학교에서 문헌학을 전공했다. 1930년대에 문단에 데뷔하여 가톨릭적 주제를 다룬 소설 《마음의 질서》로 인정을 받았으며, 제2차 세계 대전 중에는 유대인 난민을 돕는 활동을 했다. 전쟁 후에는 《재와 다이아몬드》를 발표했는데, 이 작품은 안제이 바이다 감독에 의해 영화화되어 널리 알려졌다. 안제예프스키는 폴란드 공산당에 가입했으나 폴란드 10월 이후 탈당했으며, 반체제 지식인으로 활동하며 KOR의 창립 멤버로 폴란드 연대 운동을 지지했다. 그는 노벨 문학상 후보로 거론되기도 했으며, 1983년 심장마비로 사망 후 폴란드 부활 훈장을 받았다. 그의 작품은 한국에도 번역 출판되었다.

2. 생애와 경력

예지 안제예프스키는 바르샤바 대학교에서 문헌학을 전공하고, 1932년 단편 소설을 발표하며 작가로 데뷔했다. 초기에는 가톨릭에서 영감을 받은 소설로 인정받았으며, 제2차 세계 대전 중에는 유대인 난민을 돕는 활동에 참여했다. 전쟁 이후 재와 다이아몬드 등의 작품을 발표하며 명성을 얻었다. 1950년 폴란드 통일노동자당에 입당했으나 1956년 탈당한 후 반체제 활동에 투신, 노동자 방어 위원회 창립 멤버로 활동하는 등 폴란드의 민주화 운동에 기여했다. 그는 게이였으며,[6][7] 만년에는 알코올 중독으로 어려움을 겪다가 1983년 심장마비로 사망했다. 사후 2006년에는 폴란드 정부로부터 폴란드 부활 훈장이 수여되었다.

2. 1. 초기 생애

1909년 바르샤바에서 태어난 안제예프스키는 폴란드 제2공화국바르샤바 대학교에서 문헌학을 전공했다. 1932년, 《ABC 매거진》에 단편 소설 《어떤 삶에 직면하여》(Wobec czyjegoś życia)를 발표하며 데뷔했다. 1936년에는 《Prosto z mostu》에서 단편집 《피할 수 없는 길》(Drogi nieuniknione)을 출판했으며, 1937년에는 가톨릭에서 영감을 얻은 소설 《마음의 질서》(Ład serca)로 문학원의 신인 작가상을 수상하며 널리 인정받았다.[5]

2. 2. 제2차 세계 대전과 전후 활동

제2차 세계 대전 동안 안제예프스키는 유대인 난민을 돕는 데 참여했다.[3] 그의 단편 소설 《성주간》(Holy Week, 1945)은 "홀로코스트에 직면한 폴란드인의 행동을 조사하려는 최초의 문학적 시도"로 묘사된다.[4]

전쟁 직후, 안제예프스키는 단편집 《밤》(Noc, 1945)과 소설 《재와 다이아몬드》(Popiół i diament, 1948)를 출판했다. 《재와 다이아몬드》는 제2차 세계 대전 종결 직후 소련 계열의 폴란드 노동자당 지도자 암살을 꾀하는 런던 망명 정부 계열 게릴라의 모습을 그린 작품으로, 안제이 바이다 감독에 의해 영화화(1958년)되면서 널리 알려졌다. 1950년 폴란드 통일노동자당(PZPR)에 입당했지만, 1956년 폴란드 10월 시위와 폭동 이후 탈당했다.[5] 1964년 그는 문화의 자유에 관한 요제프 치란키에비치 총리에게 보낸 이른바 34인의 편지 서명자 중 한 명이었다. 1976년 안제예프스키는 지식인 반대 단체 KOR(''노동자 방어 위원회'')의 창립 멤버 중 한 명이었으며, 이후 폴란드의 반공 연대 운동을 강력히 지지했다.

2. 3. 반체제 활동과 민주화 운동

안제예프스키는 1950년 폴란드 통일노동자당(PZPR)에 입당했지만, 1956년 폴란드 10월 시위와 폭동 이후 탈당했다.[5] 프라하의 봄 진압 이후, 체코슬로바키아 작가 연합 의장 에두아르트 골트슈테커에게 사과 편지를 썼다. 1964년에는 문화의 자유에 관한 34인의 편지 서명자 중 한 명이었으며, 이 편지는 요제프 치란키에비치 총리에게 보내졌다. 1976년 안제예프스키는 지식인 반대 단체 KOR(''노동자 방어 위원회'')의 창립 멤버 중 한 명이었다. 이후 폴란드의 반공 연대 운동을 강력히 지지했다.

2. 4. 개인적 삶

안제예프스키는 게이였다.[6][7]

그는 노벨 문학상의 유력한 후보로 여겨졌지만, 상을 받지는 못했다. 만년에 알코올 중독으로 추정되는 문제로 인해 문학적 생산에 지장을 받았으며, 이로 인해 진정한 도덕적 권위자가 되지 못했다는 평가를 받는다.[5]

1983년 바르샤바에서 심장마비로 사망했다.

3. 유산

안제예프스키의 전쟁 시기 작품들은 반 나치 국내군에 영감을 주었으며, 이는 다시 전후 그가 폴란드 스탈린주의의 선전가로 활동하는 데 영향을 미쳤다. 이는 체스와프 미워시의 ''사로잡힌 마음''에서 분석되는데, 미워시는 이 책에서 안제예프스키를 "알파"라고만 지칭한다.[2] 미워시에 따르면 안제예프스키의 글은 "성스럽고 거만"하며, 전후 폴란드의 다른 시인과 작가들은 그를 "존경할 만한 매춘부"로 여겼다.[8]

2006년 9월 23일, 예지 안제예프스키는 사후 추서로 폴란드 대통령 레흐 카친스키로부터 폴란드 재건 훈장 사령관 십자훈장을 수여받았다.

4. 주요 작품

예지 안제예프스키는 소설, 희곡, 평론 등 다양한 장르에서 작품을 발표했다. 대표적인 소설로는 ''재와 다이아몬드''(1948)가 있으며,[9] 이 작품은 영화로도 만들어져 1959년 베니스 영화제에서 비평가상을 받았다. ''천국의 문''(1960)은 문장 부호 없이 두 문장으로만 쓰여진 소설로 알려져 있다. 그 외에도 ''심문관'' (1957), ''효과적인 전쟁'' (1953), ''사티로스를 위한 시터'' (1963) 등이 있다.

4. 1. 소설


  • Drogi nieuniknione|피할 수 없는 길pl (1936년)
  • Ład serca|마음의 질서pl (1937년)
  • Apel|점호pl (1945년)
  • Noc|밤pl (1945년)
  • Popiół i diament|잿더미와 다이아몬드pl (1948년)[9]
  • * Popiół i diament|잿더미와 다이아몬드pl 가와카미 히카루 번역, 이와나미 문고 (상하), 1998년
  • Wojna skuteczna, czyli opis bitew i potyczek z Zadufkami|효과적인 전투, 또는 코가 높은 천적들과의 전투 및 소규모 충돌 기록pl (1953년)
  • Złoty lis|금빛 여우pl (1955년)
  • Ciemności kryją ziemię|어둠이 대지를 덮다pl (1957년)
  • Bramy raju|천국의 문pl (1957년)
  • Idzie skacząc po górach|뛰어 산을 가다pl (1963년)
  • Miazga|진흙pl (1979년)
  • Nikt|아무도pl (1983년)

4. 2. 희곡


  • Aby pokój zwyciężył:szkice|아비 포쿠이 즈비치엥지우:슈키체pl
  • Apelacja|아펠라치아pl
  • Bramy raju|브라미 라유pl
  • Ciemności kryją ziemię|치엠노시치 크리용 지에미엥pl
  • Gra z cieniem|그라 즈 치에니엠pl
  • Idzie skacząc po górach|이지에 스카총츠 포 구라흐pl
  • Intermezzo|인테르메초pl
  • Już prawie nic|유슈 프라비에 니츠pl
  • Książka dla Marcina|크시옹슈카 들라 마르치나pl
  • Ludzie i zdarzenia|루지에 이 즈다제니아pl
  • Ład serca|우아트 세르차pl
  • Miazga|미아즈가pl
  • Niby gaj|니비 가이pl
  • Nikt|니크트pl
  • Noc|노츠pl
  • O człowieku radzieckim:szkice|오 츠워비에쿠 라지에츠킴:슈키체pl
  • Partia i twórczość pisarza|파르티아 이 트부르초시치 피사자pl
  • Popiół i diament|포피우 이 디아멘트pl (한국어판: Popiół i diament|재와 금강석pl, 중앙일보사, 1990)
  • Święto Winkelrieda|시비엥토 빈켈리에다pl (예지 자구르스키와 공동 집필)
  • Teraz na ciebie zagłada|테라즈 나 치에비에 자그와다pl
  • Wojna skuteczna czyli opis bitew i potyczek z Zadufkami|보이나 스쿠테츠나 칠리 오피스 비테프 이 포티체크 즈 자두프카미pl
  • Z dnia na dzień|즈 드니아 나 지엔pl
  • Złoty lis|즈워티 리스pl
  • Cesarz Heliogabal|체사시 헬리오가발pl (미완성, 미출간)

4. 3. 평론


  • Partia i twórczość pisarza|당과 작가의 일pl (1952년)
  • Ludzie i zdarzenia|사람과 사건pl (1952년 ~ 1953년)


등, 수많은 작품을 출판했으며, 일본어 번역은 그 외에 요네카와 가즈오가 번역했다.

4. 4. 기타

Aby pokój zwyciężył:szkicepl

Apelacjapl

Bramy rajupl

Ciemności kryją ziemiępl

Gra z cieniempl

Idzie skacząc po górachpl

Intermezzopl

Już prawie nicpl

Książka dla Marcinapl

Ludzie i zdarzeniapl

Ład sercapl

Miazgapl

Niby gajpl

Niktpl

Nocpl

O człowieku radzieckim:szkicepl

Partia i twórczość pisarzapl

Popiół i diamentpl

  • 한국어판 <재와 금강석>, 중앙일보사, 1990

Święto Winkelriedapl (Jerzym Zagórskim)

Teraz na ciebie zagładapl

Wojna skuteczna czyli opis bitew i potyczek z Zadufkamipl

Z dnia na dzieńpl

Złoty lispl

Cesarz Heliogabalpl - 미완성 및 미출판

  • ''피할 수 없는 길'' (Drogi nieuniknionepl, 1936), 단편집
  • ''마음의 방식'' (Ład sercapl, 1938), 첫 번째 소설, 폴란드 문학 아카데미상 수상작
  • ''밤'' (Nocpl, 1945) - ''성주간'' 포함
  • ''재와 다이아몬드'' (Popiół i diamentpl, 1948),[9] 영화 버전은 1959년 베니스 영화제에서 비평가상을 수상
  • ''심문관'' (Ciemności kryją ziemiępl, 1957, tr. 1960)
  • ''효과적인 전쟁'' (Wojna skuteczna, czyli Opis bitew i potyczek z Zadufkamipl, 1953), 스탈린주의적 훈훈한 이야기
  • ''천국의 문'' (Bramy rajupl, 1960), 문장 부호 없이 두 문장으로 쓰여진 소설로 유명하다.
  • ''사티로스를 위한 시터'' (Idzie skacząc po górachpl, 1963), 영국에서는 ''He Cometh Leaping upon the Mountain''로 출판됨

''(그리고 다른 작품들)''

; 소설

  • 『피할 수 없는 길』 Drogi nieuniknionepl (1936년)
  • 『마음의 질서』 Ład sercapl (1937년)
  • 『점호』 Apelpl (1945년)
  • 『밤』 Nocpl (1945년)
  • 『잿더미와 다이아몬드』 Popiół i diamentpl (1948년)
  • * 『잿더미와 다이아몬드』 가와카미 히카루 번역, 이와나미 문고 (상하), 1998년
  • 『효과적인 전투, 또는 코가 높은 천적들과의 전투 및 소규모 충돌 기록』 Wojna skuteczna, czyli opis bitew i potyczek z Zadufkamipl (1953년)
  • 『금빛 여우』 Złoty lispl (1955년)
  • 『어둠이 대지를 덮다』 Ciemności kryją ziemiępl (1957년)
  • 『천국의 문』 Bramy rajupl (1957년)
  • 『뛰어 산을 가다』 Idzie skacząc po górachpl (1963년)
  • 『진흙』 Miazgapl (1979)
  • 『아무도』 Niktpl (1983)


; 평론

  • 『당과 작가의 일』 Partia i twórczość pisarzapl (1952년)
  • 『사람과 사건』 Ludzie i zdarzeniapl (1952년 ~ 1953년)

등, 수많은 작품을 출판했으며, 일본어 번역은 그 외에 요네카와 가즈오가 번역했다.

5. 한국과의 관계

안제예프스키의 작품 중 소설 《재와 금강석》은 1990년 한국어로 번역되어 중앙일보사에서 출판되었다.[1]

참조

[1] 서적 Oxford Illustrated Encyclopedia of the Arts Oxford University Press
[2] 웹사이트 Jerzy Andrzejewski https://web.archive.[...] Kuusankoski Public Library
[3] 서적 The Holocaust Object in Polish and Polish-Jewish Culture https://books.google[...] Indiana University Press 2011-02-21
[4] 서적 Polish Film and the Holocaust: Politics and Memory https://books.google[...] Berghahn Books
[5] 서적 Holy Week: a novel of the Warsaw Ghetto Uprising By Jerzy Andrzejewski https://books.google[...] Ohio University Press
[6] 간행물 Constructing a Narrative: The History of Homosexuality in Poland Bilitis Resource Center 2006
[7] 학술지 The Captive (Homosexual) Minds. On Being a Writer and a Homosexual in Communist Poland (Wilhelm Mach, Jerzy Andrzejewski) https://www.ceeol.co[...] 2022-08-07
[8] 서적 The Captive Mind Vintage International
[9] 웹사이트 Polish literature in English translation. http://home.roadrunn[...]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