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예천 명봉사 경청선원자적선사능운탑비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본문

예천 명봉사 경청선원자적선사능운탑비(醴泉 鳴鳳寺 境淸禪院慈寂禪師陵雲塔碑)는 경상북도 예천군 명봉사에 있는 통일신라 말기부터 고려시대 초기까지 활동한 승려 자적선사(慈寂禪師, 882~939년)의 행적을 기록한 석비입니다. 2010년 2월 24일 대한민국의 보물 제1648호로 지정되었습니다.
탑비의 건립 배경 및 시기자적선사의 덕을 추모하기 위하여 고려 태조의 명으로 태조 24년(941년)에 세워졌습니다. 자적선사는 신라 헌강왕 8년(882)에 태어나 효공왕 3년(899)에 수계하였으며, 고려 태조 22년(939)에 58세로 입적하였습니다.
탑비의 형태 및 특징


  • 귀부(거북 모양 받침돌), 비좌(비신을 세우는 받침돌), 비신(비석의 몸체), 이수(용 모양 머릿돌)를 갖춘 통일신라 이래의 전형적인 일반형 석비입니다.
  • 전체 높이는 2.91m (혹은 282cm), 귀부의 높이는 0.52m, 둘레는 5.05m입니다. 비신의 높이는 1.9m (혹은 186cm), 너비는 0.96m, 두께는 0.2m (혹은 20.5cm)입니다.
  • 비문은 누가 찬하고 썼는지는 확실하지 않지만, 최언위가 지은 것으로 추정되고 있습니다.
  • 서체는 중국 당나라 서예가 구양순의 필적을 집자(集字)한 해서(楷書)입니다.
  • 비문의 일부가 결락되어 있으나, 비문의 중요 내용은 거의 파악이 가능합니다.

비문의 내용

  • 비문(앞면): 자적선사의 출가에서 입적에 이르기까지의 행적이 기록되어 있습니다. 자적선사가 봉림산문의 진경대사에게 출가하여 경명왕을 만나고, 예천 지방 세력의 후원을 받았으며, 태조를 만나 경청선원(境淸禪院)을 조성하다 입적한 내용이 담겨있습니다.
  • 음기(뒷면): 10행의 이두문으로 기록되어 있으며, 1976년에 판독되었습니다. 내용은 중앙관서인 도평성에서 홍준화상 중도의 우법사에게 보낸 첩문(牒文, 나라에서 발급하는 증서)과 탑비의 조성과정에 관한 것입니다. 이 첩문은 고려 초기의 공문서 양식과 당시 이두의 용법을 보여주는 귀중한 자료로 평가받고 있습니다.

탑비의 가치

  • 고려시대 초기 불교사 및 역사 연구에 중요한 자료를 제공합니다.
  • 고려 초기의 공문서 양식과 이두 사용을 보여주는 희귀한 자료입니다.
  • 통일신라 이래의 전형적인 석비 양식을 보여주는 예술적 가치를 지니고 있습니다.


예천 명봉사 경청선원자적선사능운탑비 - [유적/문화재]에 관한 문서
개요
이름예천 명봉사 경청선원자적선사능운탑비
원어醴泉 鳴鳳寺 境淸禪院慈寂禪師陵雲塔碑
지정 종류보물
지정 번호1648
지정일2010년 2월 24일
시대고려시대
소유자명봉사
수량1기
소재지경상북도 예천군 명봉사길 62 (상리면)
관련 장소예천 명봉사
추가 정보
문화재청 ID12,16480000,37
참고 (과거 지정 내역)
지정 종류 (과거)유형문화재
지정 번호 (과거)3
지정일 (과거)1972년 12월 29일
해제일 (과거)2010년 2월 24일
문화재청 ID (과거)21,00030000,3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