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예천 청룡사 석조비로자나불좌상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본문

예천 청룡사 석조비로자나불좌상은 경상북도 예천군 용문면 청룡사에 있는 고려시대 석조 불상입니다. 1965년 7월 16일에 보물로 지정되었으며, 지정 명칭은 예천 청룡사 석조비로자나불좌상(醴泉 靑龍寺 石造毘盧遮那佛坐像)입니다.
개요:


  • 크기: 신체 높이 111㎝, 머리 높이 33.5㎝
  • 특징: 대좌만 갖추고 있지만, 불상 뒷면에 광배를 부착했던 구멍이 있어 원래는 광배도 있었던 것으로 보입니다.
  • 위치: 청룡사 법당 안에 석조여래좌상(보물, 1965년 지정)과 함께 봉안되어 있습니다.

형태:

  • 머리: 넓고 큼직한 육계(肉髻)가 솟아 있으며, 머리카락은 소라 모양의 나발(螺髮)을 선각(線刻)하였습니다.
  • 얼굴: 거의 사각형에 가깝고 넓고 풍만하지만, 볼륨이 적고 평판적입니다. 가늘고 긴 눈은 거의 직선에 가깝게 표현되었고, 코는 파손되었으며, 코와 입 사이의 간격이 매우 좁아 특이한 인상을 줍니다.
  • 목: 삼도(三道)가 희미하게 표현되어 있습니다.
  • 법의: 통견(通肩)으로 무겁게 처리되었으며, 옷주름은 평행선으로 나타냈습니다. 어깨부터 양손에 걸쳐 흘러내린 옷주름 선은 유려하지만 형식화되어 부자연스럽습니다.
  • 손: 가슴 부근에서 오른손을 위, 왼손을 아래로 포개어 지권인(智拳印)을 결하고 있습니다. 지권인을 짓고 있는 모습은 같은 시기에 제작된 장곡사 철불좌상에 비하여 힘이 빠져 긴장감이 줄어든 모습입니다.
  • 다리: 결가부좌를 하고 있습니다.

의의 및 평가:예천 청룡사 석조비로자나불좌상은 고려시대 불교 조각의 특징을 잘 보여주는 작품으로, 특히 지권인을 한 비로자나불의 도상을 하고 있다는 점에서 중요한 자료로 평가됩니다.

예천 청룡사 석조비로자나불좌상 - [유적/문화재]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이름예천 청룡사 석조비로자나불좌상
한자 이름醴泉 靑龍寺 石造毘盧遮那佛坐像
유형보물
지정 번호425
지정일1965년 7월 16일
시대고려시대
소유자청룡사
주소경상북도 예천군 용문면 선리 520-2번지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