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친왕 (禮)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예친왕은 청나라의 작위로, 누르하치의 차남 다이샨이 1636년부터 1648년까지 예친왕으로 재위하면서 시작되었다. 다이샨의 가문은 예친왕, 순친왕, 강친왕으로 분화되었으며, 이후 여러 인물들이 예친왕 작위를 계승했다. 주요 인물로는 초대 예친왕 다이샨, 7대 강친왕 파이도, 8대 예친왕 영은 등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팔기군 - 팔기제
팔기제는 17세기 초 누르하치가 여진족을 통일하며 만든 군사·행정 조직으로, 8개의 기로 확장되어 만주족, 몽골족, 한족 등으로 구성되었고 청나라 통치 기반 확립에 기여했으며 현대 만주족 형성에 영향을 주었다. - 팔기군 - 청-러시아 국경 분쟁
청-러시아 국경 분쟁은 17세기 중반 러시아의 시베리아 진출로 인해 청나라와 러시아 간에 발생한 아무르강 유역의 국경 및 영토 분쟁으로, 나선정벌을 통해 조선도 간접적으로 관여했으며, 네르친스크 조약으로 일단락되었으나 이후 아이훈 조약과 베이징 조약으로 러시아가 외만주를 획득했다. - 청나라 사람 - 주문모
청나라 출신 가톨릭 신부 주문모는 1794년 조선에 잠입하여 선교 활동을 하다 1801년 신유박해 때 순교하였으며, 초기 조선 천주교회 성장에 기여하여 2014년 시복되었다. - 청나라 사람 - 원매 (청나라)
원매는 청나라 중기의 시인이자 미식가, 수필가로 자연의 성정을 중시하는 성령설을 주창하여 새로운 시풍을 형성하는 데 기여했으며, 은거 생활을 하며 수원식단, 자불어, 수원시화 등 다양한 저술을 남기고 여성 문학을 옹호하며 여제자들을 길러내는 등 진보적이면서도 데카당스적인 면모를 보였다.
| 예친왕 (禮) | |
|---|---|
| 기본 정보 | |
![]() | |
| 만주어 | ᠠᡳᠰᡳᠨ ᡤᡳᠣᡵᠣ |
| 만주어 (로마자 표기) | aisin gioro |
| 중국어 간체 | 爱新觉罗 |
| 중국어 번체 | 愛新覺羅 |
| 중국어 병음 | Àixīn Juéluó |
| 한국어 | 아이신 교로 |
| 종류 | |
| 씨족 | 만주족 |
| 역사 | |
| 창시자 | 누르하치 |
| 마지막 왕조 | 청나라 |
| 멸망 | 1912년 |
| 주요 인물 | |
| 황제 | 누르하치 홍타이지 순치제 강희제 옹정제 건륭제 가경제 도광제 함풍제 동치제 광서제 선통제 |
| 기타 | |
| 후손 | 진유지 |
| 예친왕 (禮親王) | |
| 작위 | 친왕 |
| 봉호 변경 | 1636년: 화석례친왕 (和碩禮親王) 1648년: 화석강친왕 (和碩康親王) 1778년: 화석례친왕 (和碩禮親王) (복위) |
| 수여 대상 | 다이샨 (청나라) |
| 후계 | 세습 |
| 역대 예친왕 | |
| 1대 | 다이샨 (代善, 1583년 ~ 1648년) |
| 2대 | 요토 (岳託, 1599년 ~ 1639년) (다이샨의 장남) |
| 3대 | 만달하이 (滿達海, 1632년 ~ 1652년) (다이샨의 손자, 요토의 아들) |
| 4대 | 지사이 (濟賽, 1647년 ~ 1654년) (다이샨의 손자, 요토의 아들) |
| 5대 | 바부하이 (巴布海, 1630년 ~ 1660년) (다이샨의 아들) |
| 6대 | 제두 (介度, 1645년 ~ 1669년) (다이샨의 손자, 바부하이의 아들) |
| 7대 | 순잉 (淳穎, 1663년 ~ 1693년) (제두의 아들) |
| 8대 | 바얼두 (巴爾圖, 1682년 ~ 1753년) (순잉의 아들) |
| 9대 | 융청 (永珹, 1739년 ~ 1777년) (건륭제의 양자) |
| 10대 | 춘명 (淳明, 1767년 ~ 1814년) (융청의 아들) |
| 11대 | 민충 (敏聰, 1794년 ~ 1839년) (춘명의 아들) |
| 12대 | 세탁 (世鐸, 1819년 ~ 1857년) (민충의 아들) |
| 13대 | 경근 (慶瑾, 1846년 ~ 1896년) (세탁의 아들) |
| 14대 | 욱창 (毓昌, 1863년 ~ 1917년) (경근의 아들) |
| 15대 | 괴방식현 (魁芳錫賢, 1885년 ~ ?) (욱창의 아들) |
2. 역대 예친왕
예친왕(禮親王) 작위는 다이샨 사후 여러 차례 계승자를 거치며 명칭과 작위 등급이 변경되기도 했다.
| 봉호 | 시호 | 이름 | 가계 | 재위년도 | 기록 | |
|---|---|---|---|---|---|---|
| 1 | 예친왕(禮親王) | 열(烈) | 대선(代善) | 누르하치의 차남 | 1636년 ~ 1648년 | |
| 2 | 손친왕(巽親王) | 간(簡) | 만달해(滿達海) | 다이샨의 7남 | 1649년 ~ 1652년 | 1659년 작위 추탈, 패륵(貝勒)으로 강봉(降封)됨 |
| 3 | 손친왕(巽親王) | 회민(懷愍) | 상아대(常阿岱) | 만달해의 장남 | 1652년 ~ 1659년 | 1659년 작위 박탈, 패륵(貝勒)으로 강봉(降封)됨 |
| 4 | 강친왕(康親王) | 량(良) | 걸서(傑書) | 다이샨의 손자 | 1649년 ~ 1697년 | 1649년 ~ 1659년 강군왕(康郡王) 1659년 ~ 1697년 강친왕(康親王) |
| 5 | 강친왕(康親王) | 도(悼) | 춘태(椿泰) | 걸서의 5남 | 1697년 ~ 1709년 | |
| 6 | 강친왕(康親王) | 수(修) | 숭안(崇安) | 춘태의 아들 | 1709년 ~ 1733년 | |
| 7 | 강친왕(康親王) | 간(簡) | 파이도(巴爾圖) | 걸서의 4남 | 1734년 ~ 1753년 | |
| 8 | 예친왕(禮親王) | 공(恭) | 영은(永恩) | 숭안의 차남 | 1753년 ~ 1805년 | |
| 9 | 예친왕(禮親王) | 소련(昭槤) | 영은의 아들 | 1805년 ~ 1816년 | 1816년 작위 박탈 | |
| 10 | 예친왕(禮親王) | 안(安) | 인지(麟趾) | 숭안의 손자 | 1817년 ~ 1821년 | |
| 11 | 예친왕(禮親王) | 화(和) | 전령(全齡) | 인지의 손자 | 1821년 ~ 1850년 | |
| 12 | 예친왕(禮親王) | 각(恪) | 세탁(世鐸) | 전령의 3남 | 1850년 ~ 1914년 | |
| 13 | 예친왕(禮親王) | 돈(敦) | 성후(誠厚) | 세탁의 아들 | 1914년 ~ 1917년 | |
| 14 | 예친왕(禮親王) | 성곤(誠堃) | 1917년 ~ 1929년 | |||
| 15 | 예친왕(禮親王) | 준밍(濬銘) | 성곤의 아들 | 1929년 ~ 1945년 |

2. 1. 예친왕가 가주
| 봉호 | 시호 | 이름 | 가계 | 재위년도 | 기록 | |
|---|---|---|---|---|---|---|
| 1 | 예친왕(禮親王) | 열(烈) | 대선(代善) | 누르하치의 차남 | 1636년 ~ 1648년 | |
| 2 | 손친왕(巽親王) | 간(簡) | 만달해(滿達海) | 다이샨의 7남 | 1649년 ~ 1652년 | 1659년 작위 추탈, 패륵(貝勒)으로 강봉(降封)됨 |
| 3 | 손친왕(巽親王) | 회민(懷愍) | 상아대(常阿岱) | 만달해의 장남 | 1652년 ~ 1659년 | 1659년 작위 박탈, 패륵(貝勒)로 강봉(降封)됨 |
| 4 | 강친왕(康親王) | 량(良) | 걸서(傑書) | 다이샨의 손자 | 1659년 ~ 1697년 | 1649년 ~ 1659년 강군왕(康郡王) 1659년 ~ 1697년 강친왕(康親王) |
| 5 | 강친왕(康親王) | 도(悼) | 춘태(椿泰) | 걸서의 5남 | 1697년 ~ 1709년 | |
| 6 | 강친왕(康親王) | 수(修) | 숭안(崇安) | 춘태의 아들 | 1709년 ~ 1733년 | |
| 7 | 강친왕(康親王) | 간(簡) | 파이도(巴爾圖) | 걸서의 4남 | 1734년 ~ 1753년 | |
| 8 | 예친왕(禮親王) | 공(恭) | 영은(永恩) | 숭안의 차남 | 1753년 ~ 1805년 | |
| 9 | 예친왕(禮親王) | 소련(昭槤) | 영은의 아들 | 1805년 ~ 1816년 | 1816년 작위 박탈 | |
| 10 | 예친왕(禮親王) | 안(安) | 인지(麟趾) | 숭안의 손자 | 1817년 ~ 1821년 | |
| 11 | 예친왕(禮親王) | 화(和) | 전령(全齡) | 인지의 손자 | 1821년 ~ 1850년 | |
| 12 | 예친왕(禮親王) | 각(恪) | 세탁(世鐸) | 전령의 3남 | 1850년 ~ 1914년 | |
| 13 | 예친왕(禮親王) | 돈(敦) | 성후(誠厚) | 세탁의 아들 | 1914년 ~ 1917년 | |
| 14 | 예친왕(禮親王) | 성곤(誠堃) | 1917년 ~ 1929년 | |||
| 15 | 예친왕(禮親王) | 준밍(濬銘) | 성곤의 아들 | 1929년 ~ 1945년 |
2. 2. 예친왕 가계도
| 봉호 | 시호 | 이름 | 가계 | 재위년도 | 기록 |
|---|---|---|---|---|---|
| 예친왕(禮親王) | 열(烈) | 대선(代善) | 누르하치의 차남 | 1636년 ~ 1648년 | |
| 손친왕(巽親王) | 간(簡) | 만달해(滿達海) | 다이샨의 7남 | 1649년 ~ 1652년 | 1659년 작위 추탈, 패륵(貝勒)으로 강등 |
| 손친왕(巽親王) | 회민(懷愍) | 상아대(常阿岱) | 만달해의 장남 | 1652년 ~ 1659년 | 1659년 작위 박탈, 패륵(貝勒)으로 강등 |
| 강친왕(康親王) | 량(良) | 걸서(傑書) | 다이샨의 손자 | 1649년 ~ 1697년 | 1649년 ~ 1659년 강군왕(康郡王), 1659년 ~ 1697년 강친왕(康親王) |
| 강친왕(康親王) | 도(悼) | 춘태(椿泰) | 걸서의 5남 | 1697년 ~ 1709년 | |
| 강친왕(康親王) | 수(修) | 숭안(崇安) | 춘태의 아들 | 1709년 ~ 1733년 | |
| 강친왕(康親王) | 간(簡) | 파이도(巴爾圖) | 걸서의 4남 | 1734년 ~ 1753년 | |
| 예친왕(禮親王) | 공(恭) | 영은(永恩) | 숭안의 차남 | 1753년 ~ 1805년 | |
| 예친왕(禮親王) | 소련(昭槤) | 영은의 아들 | 1805년 ~ 1816년 | 1816년 작위 박탈 | |
| 예친왕(禮親王) | 안(安) | 인지(麟趾) | 숭안의 손자 | 1817년 ~ 1821년 | |
| 예친왕(禮親王) | 화(和) | 전령(全齡) | 인지의 손자 | 1821년 ~ 1850년 | |
| 예친왕(禮親王) | 각(恪) | 세탁(世鐸) | 전령의 3남 | 1850년 ~ 1914년 | |
| 예친왕(禮親王) | 돈(敦) | 성후(誠厚) | 세탁의 아들 | 1914년 ~ 1917년 | |
| 예친왕(禮親王) | 성곤(誠堃) | 1917년 ~ 1929년 | |||
| 예친왕(禮親王) | 준밍(濬銘) | 성곤의 아들 | 1929년 ~ 1945년 |
- '''다이샨'''(1583 – 1648; '''초대'''): 누르하치의 둘째 아들로, 1636년부터 1648년까지 정일품 예친왕 작위를 받았으며, 사후에 정일품 예열친왕(禮烈親王)으로 추존되었다.
- * '''7남:''' '''만다하이'''(滿達海; 1622–1652; '''2대'''): 1649년부터 1652년까지 정일품 예친왕 작위를 계승했으며, 사후에 정일품 순간친왕(巽簡親王)으로 추존되었다. 그의 시호는 베일러 작위로 변경되었다.
- ** '''1남:''' '''창아다이'''(常阿岱; 1643년 11월 21일 - 1665년 5월 29일; '''3대'''): 1652년부터 1659년까지 정일품 순친왕 작위를 계승했다. 이후 아버지의 사후 강등으로 인해 1659년부터 1665년까지 베일러 작위를 받았다. 그는 사후에 정일품 순회민친왕(巽懷愍親王)으로 추존되었다.
- * '''8남:''' 후서(祜塞; 1628–1646): 1653년 기예수가 정2품 강친왕 작위를 받으면서 사후 정일품 강혜순친왕(康惠順親王)으로 추존되었다.
- ** '''3남:''' '''기예수''' (1645년 1월 20일 – 1697년 4월 1일; '''4대'''): 1649년부터 1659년까지 형 징기를 이어 정2품 강친왕 작위를 받았다. 1659년부터 1697년까지 정일품 강친왕 작위로 예친왕 작위를 계승했으며, 사후에 정일품 강량친왕(康良親王)으로 추존되었다.
'''4남:''' '''바얼투''' (巴爾圖; 사망 1753; '''7대'''): 1734년부터 1753년까지 정일품 강친왕 작위를 계승했으며, 사후에 정일품 강간친왕(康簡親王)으로 추존되었다.
'''5남:''' '''춘태''' (椿泰; 1683년 9월 5일 - 1709년 6월 20일; '''5대'''): 1697년부터 1709년까지 정일품 강친왕 작위를 계승했으며, 사후에 정일품 강도친왕(康悼親王)으로 추존되었다.
* '''충안''' (崇安; 사망 1733; '''6대'''): 1709년부터 1733년까지 정일품 강친왕 작위를 계승했으며, 사후에 정일품 강수친왕(康修親王)으로 추존되었다.
** '''차남:''' '''영은''' (永恩; 1727년 9월 12일 - 1805년 4월 10일; '''8대'''): 1753년부터 1805년까지 정일품 예친왕 작위를 계승했으며, 사후에 정일품 예공친왕(禮恭親王)으로 추존되었다.
*** '''조련''' (昭槤; 1776년 3월 26일 – 1833년 1월 14일; '''9대'''): 1805년부터 1816년까지 정일품 예친왕 작위를 계승했으며, 1816년 작위가 박탈되었고 3년간 가택 연금되었다.
** '''3남:''' 영휘(永㥣; 1729년 2월 5일 – 1799년 3월 28일): 그의 아들이 작위를 계승한 후 1817년에 정일품 예친왕으로 추존되었다.
*** '''장남:''' '''린즈''' (麟趾; 1756–1821 '''10대'''): 영휘의 아들로, 1817년부터 1821년까지 정일품 예친왕 작위를 계승했으며, 사후에 정일품 예안친왕(禮安親王)으로 추존되었다.
시춘(錫春; 1776 – 1817): 그의 아들, 취안링이 작위를 계승한 후 정일품 예친왕으로 추존되었다.
* '''장남:''' '''취안링''' (全齡; 1816년 12월 15일 – 1850년 5월 9일; '''11대'''): 1821년부터 1850년까지 정일품 예친왕 작위를 계승했다. 그는 사후에 정일품 예화친왕(禮和親王)으로 추존되었다.
** '''3남:''' '''스둬''' (世鐸; 1843년 7월 27일 – 1914년 1월 8일; '''12대'''): 1850년부터 1914년까지 정일품 예친왕 작위를 계승했으며, 사후에 정일품 예각친왕(禮恪親王)으로 추존되었다.
*** '''청허우''' (誠厚; 1864 – 1917; '''13대'''): 1914년부터 1917년까지 정일품 예친왕 작위를 계승했으며, 사후에 정일품 예돈친왕(禮敦親王)으로 추존되었다.
*** '''청쿤''' (誠堃; 1886 – 1929; '''14대'''): 스둬의 양자로 입적되었으며, 1917년부터 1929년까지 정일품 예친왕 작위를 계승했다.
'''준밍''' (濬銘; 1918–1951; '''15대'''): 청허우의 양자로 입적되었으며, 1929년부터 1945년까지 정일품 예친왕 작위를 계승했다.
3. 주요 인물
예친왕(禮親王) 작위를 계승한 주요 인물은 다음과 같다.
- '''다이샨''' (1583–1648): 누르가치의 둘째 아들. 1636년부터 1648년까지 재위. 사후 '''예열친왕'''(禮烈親王)으로 추존.
- '''만다하이'''(滿達海, 1622–1652): 다이샨의 7남. 1649년부터 1652년까지 재위. 사후 '''순간친왕'''(巽簡親王)으로 추존.
- '''창아다이'''(常阿岱, 1643–1665): 만다하이의 아들. 1652년부터 1659년까지 순친왕으로 재위. 이후 아버지의 작위 강등으로 1659년부터 1665년까지 베일러 작위를 받음. 사후 '''순회민친왕'''(巽懷愍親王)으로 추존.
- '''기예수''' (1645–1697): 다이샨의 8남 후세의 셋째 아들. 1659년부터 1697년까지 재위. 사후 '''강량친왕'''(康良親王)으로 추존.
- '''춘태''' (椿泰, 1683–1709): 기예수의 5남. 1697년부터 1709년까지 재위. 사후 '''강도친왕'''(康悼親王)으로 추존.
- '''충안''' (사망 1733): 춘태의 아들. 1709년부터 1733년까지 재위. 사후 '''강수친왕'''(康修親王)으로 추존.
- '''바얼투''' (사망 1753): 기예수의 4남. 1734년부터 1753년까지 재위. 사후 '''강간친왕'''(康簡親王)으로 추존.
- '''영은''' (永恩, 1727–1805): 충안의 차남. 1753년부터 1805년까지 재위. 사후 '''예공친왕'''(禮恭親王)으로 추존.
- '''조련''' (昭槤, 1776–1833): 영은의 아들. 1805년부터 1816년까지 재위. 1816년 작위 박탈 및 3년간 가택 연금.
- '''린즈''' (麟趾, 1756–1821): 영은의 아들. 1817년부터 1821년까지 재위. 사후 '''예안친왕'''(禮安親王)으로 추존.
- '''취안링''' (全齡, 1816–1850): 린즈의 손자. 1821년부터 1850년까지 재위. 1839년 상홍기의 기주 역임. 사후 '''예화친왕'''(禮和親王)으로 추존.
- '''스둬''' (世鐸, 1843–1914): 취안링의 3남. 1850년부터 1914년까지 재위. 사후 '''예각친왕'''(禮恪親王)으로 추존.
- '''청허우''' (誠厚, 1864–1917): 스둬의 아들. 1914년부터 1917년까지 재위. 사후 '''예돈친왕'''(禮敦親王)으로 추존.
- '''청쿤''' (誠堃, 1886–1929): 스둬의 양자. 1917년부터 1929년까지 재위.
- '''준밍''' (濬銘, 1918–1951): 청허우의 양자. 1929년부터 1945년까지 재위.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