옐브루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엘브루스는 여러 명령어 집합 아키텍처를 사용한 컴퓨터 브랜드로, 역사적으로 다양한 모델이 개발되었다. 초기에는 브세볼로프 부르체프가 개발한 메인프레임 컴퓨터 라인으로 시작하여, 이후 보리스 바바얀이 매우 긴 명령어어(VLIW) 방식을 도입한 새로운 아키텍처를 선보였다. 1992년 모스크바 SPARC 기술 센터(MCST)가 설립되어 개발을 이어갔으며, 1990년대 후반에는 군사적 수요를 충족하기 위해 SPARC 기반 CPU를 개발했다. 2010년대 이후에는 VLIW 아키텍처 기반의 옐브루스 프로세서가 지속적으로 개발되었으며, 2024년에는 "엘브루스-2S3" 마이크로프로세서를 기반으로 한 새로운 컴퓨터가 출시되었다. 옐브루스 프로세서는 독자적인 VLIW 아키텍처를 특징으로 하며, 군사 및 정부 수요를 충족하고 기술 자립에 기여하는 의의를 지닌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썬 마이크로시스템즈 - 자바원
자바원은 썬 마이크로시스템즈가 주최한 연례 기술 컨퍼런스였으며, 2007년부터 2009년까지는 CommunityOne이라는 이름으로 자유 및 오픈 소스 개발자 커뮤니티를 위한 행사로 개최되기도 했다. - 썬 마이크로시스템즈 - 공동 개발 및 배포 허가서
공동 개발 및 배포 허가서(CDDL)는 모질라 공용 허가서(MPL) 1.1을 기반으로 개발된 오픈 소스 라이선스이며, 약한 카피레프트 라이선스 성격을 가지고 OpenSolaris, NetBeans, GlassFish 등 다양한 프로젝트에 사용되었다. - 메인프레임 - IBM 1401
IBM 1401은 1959년에 출시된 가변 단어 길이 십진법 컴퓨터로, IBM 1400 시리즈의 첫 제품으로서 소규모 기업과 대형 컴퓨터 주변 장치 컨트롤러로 사용되었으며 펀치 카드 장비와 진공관을 대체하며 성공하여 1만 대 이상 판매되었고 세계 여러 나라에 도입된 최초의 컴퓨터 중 하나로 현재 컴퓨터 역사 박물관에 두 대가 복원되어 작동 중이다. - 메인프레임 - 입출력 채널
입출력 채널은 CPU 부담을 줄이고 시스템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해 I/O 작업을 전담하는 프로그래밍 가능한 하드웨어 장치로서, 메인프레임 시스템에서 CPU와 독립적으로 I/O 작업을 처리하며 채널 프로그램과 CCW를 사용하여 제어하고 데이터 전송 속도와 유연성을 향상시켜왔다. - 슈퍼컴퓨터 - 고성능 컴퓨팅
고성능 컴퓨팅(HPC)은 과학 및 공학 분야의 복잡한 계산 문제 해결에 사용되는 강력한 컴퓨팅 기술로, 클러스터 방식이 주류이며 경영을 포함한 다양한 영역으로 확장되고 있고, TOP500 목록, 클라우드 컴퓨팅, GPGPU 등의 기술 발전과 함께 기후 변화 예측, 신약 개발, 국가 안보 등 광범위한 분야에서 활용되는 4차 산업혁명 시대의 핵심 기술이다. - 슈퍼컴퓨터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은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산하 정부출연연구기관으로, 과학기술 지식정보 인프라 구축 및 서비스 제공, 정보분석, 과학기술정보 유통, 슈퍼컴퓨팅 인프라 구축 및 운영을 통해 국가 과학기술 진흥과 산업 발전에 기여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 옐브루스 | |
|---|---|
| 지도 | |
| 기본 정보 | |
| 위치 | 러시아의 카바르디노-발카르 공화국과 카라차예보-체르케스 공화국의 경계 |
| 산맥 | 코카서스 산맥 |
| 높이 | 5,642 m (18,510 ft) |
| 좌표 | 43°21′11″N 42°26′14″E |
| 봉우리 종류 | 화산 (휴화산) |
| 마지막 분화 | 기원후 50년 ± 50년 |
| 명칭 | |
| 다른 이름 | 민기타우 (Mingi-Tau) |
| 어원 | '높은 산' 또는 '수천의 산'을 의미하는 이란어에서 유래 |
| 등반 | |
| 최초 등정 | 서쪽 봉우리: 1829년 킬라르 하치로프, 러시아 군대 원정대 소속 동쪽 봉우리: 1874년 8월 22일 플로렌스 크로포드 그로브, 호레이스 워커, 피터 크너벨, 가이드 프레데리크 데보우 |
| 등반로 | 가장 쉬운 길은 남쪽 사면을 따라 이어지는 3A 등급 루트 |
| 지질 | |
| 종류 | 성층 화산 |
2. 역사적 배경

"엘브루스" 브랜드의 컴퓨터는 역사적으로 여러 명령어 집합 아키텍처(ISA)를 사용했다.
초기에는 브세볼로드 부르체프가 개발한 메인프레임 컴퓨터로, 버로스 대형 시스템의 영향을 받은 태그 아키텍처와 ALGOL-68 기반 시스템 프로그래밍 언어를 사용했다. 이후 부르체프가 은퇴하고 보리스 바바얀이 매우 긴 명령어어 (VLIW) 방식을 도입하여 엘브루스 1, 2와는 완전히 다른 시스템 아키텍처를 구축했다.
1992년, 모스크바 SPARC 기술 센터(MCST)가 설립되어 개발을 이어갔으며, "엘브루스" 명칭은 이 회사의 모든 컴퓨터 시스템 브랜드로 사용되었다. 1990년대 후반, MCST는 자체 반도체 지적 재산 코어 개발 자금을 마련하고 군사용 외산 CPU의 백도어 위협에 대응하기 위해 SPARC 기반 중앙 처리 장치(CPU)를 개발했다.
2024년에는 다음과 같은 개발이 이루어졌다.
- 6월: 로스전자[2][3]가 "엘브루스-2S3 (Эльбрус-2С3) 마이크로프로세서"[1] 기반 컴퓨터 개발
- 9월: MCST, 제10회 러시아 포럼 "마이크로일렉트로닉스 2024"[4][5][6]에서 "엘브루스-2S3 (Эльбрус-2С3) 마이크로프로세서" 발표
- 12월: 로스텍 "로스텍 일렉트로닉스"의 "PLC-엘브루스 (엘브루스-2S3 마이크로프로세서 기반)"가 러시아 연방 디지털 개발부 등록[7][8]
2. 1. 브세볼도프 부르트세프의 옐브루스 개발 (1970년대~1980년대)
소비에트 연방의 최초 슈퍼컴퓨터로 여겨지는 옐브루스 2 (1977)는 10 프로세서 컴퓨터였다. 이 옐브루스는 슈퍼스칼라 RISC 프로세서였으며, 빠른 이미터 결합 소자 칩을 사용하여 엘브루스 1 아키텍처를 재구현하였다.[1]부르트세프가 은퇴한 이후, 새 개발자인 보리스 바바얀은 이전의 옐브루스 1과 2 아키텍처와는 완전히 다른, 매우 긴 명령어어 (VLIW) 방식을 사용하는 새로운 시스템 아키텍처를 도입했다.[1]
2. 2. 보리스 바바얀의 VLIW 아키텍처 도입 (1980년대~현재)
보리스 바바얀 팀은 1986년에 16개의 프로세서를 가진 옐브루스 3을 개발했는데, 이는 세계 최초의 VLIW 컴퓨터 중 하나였다.[11][12] 옐브루스 3 아키텍처를 사용한 마이크로프로세서인 옐브루스 2000 (2001)은 옐브루스-S로도 알려져 있다. 옐브루스 2000을 기반으로 한 2 프로세서 컴퓨터인 옐브루스-3M1 (2005)은 300MHz로 작동했다. ccNUMA 기술을 사용한 옐브루스 МВ3S1/C (2009)는 옐브루스-S를 기반으로 한 4 프로세서 컴퓨터로, 500MHz로 작동했다.이후 개발된 프로세서들의 성능은 다음과 같다.
| 프로세서 | 작동 속도 | 연산 속도 |
|---|---|---|
| 옐브루스-2S+ (2011) | 500 MHz | 16 GFlops |
| 옐브루스-2SM (2014) | 300 MHz | 9.6 GFlops |
| 옐브루스-4S (2014) | 800 MHz | 50 GFlops[11][12] |
| 옐브루스-8S (2014–2015) | 1.3 GHz | >200 GFlops |
| 옐브루스-16S (2018) | >1 TFlops (목표) |
1992년, 모스크바 SPARC 기술 센터(MCST)가 설립되어 개발을 계속했으며, 이 회사는 "엘브루스"라는 명칭을 모든 컴퓨터 시스템의 브랜드로 사용했다. 1990년대 후반에는 군사용 외제 CPU의 백도어 위협으로 인해 MCST에서 SPARC 기반 CPU를 개발했다. 2024년에는 로스전자[2][3]에서 "엘브루스-2S3 (Эльбрус-2С3) 마이크로프로세서"[1]를 기반으로 한 새로운 컴퓨터를 개발했다. 또한, MCST는 "엘브루스-2S3 마이크로프로세서"를 발표했고,[4][5][6] 로스텍 일렉트로닉스의 프로그래밍 가능한 논리 제어기 "PLC-엘브루스 (엘브루스-2S3 마이크로프로세서 기반)"는 러시아 연방 디지털 개발부의 등록부에 포함되어 중요 정보 인프라 시설에서 사용 가능하게 되었다.[7][8]
2. 3. SPARC 기반 프로세서 개발 (1990년대 후반~2010년대)
1990년대 후반, 군사 분야에서 외산 CPU의 백도어 위협에 대한 우려로 인해 기금이 조성되어 모스크바 SPARC 기술 센터(MCST)에서 SPARC 기반 CPU를 개발하였다.- ''옐브루스-90마이크로''(1998–2010)는 SPARC 명령어 집합 구조(ISA) 마이크로프로세서 기반의 컴퓨터 라인으로, MCST R80, R150, R500, R500S 및 MCST-4R이 있으며 80, 150, 500, 1000 MHz에서 작동한다. 옐브루스-90은 S-400 미사일 시스템을 제어하는 데 사용된다.[10]
2. 4. 최근 개발 동향 (2010년대~현재)
모스크바 SPARC 기술 센터(MCST)는 1990년대 후반, 군사용 외산 CPU의 백도어 위협에 대응하고 자체 반도체 지적 재산 코어 개발 자금을 마련하기 위해 SPARC 기반 CPU를 개발했다.2010년대 이후 개발 동향은 다음과 같다.
- 옐브루스-2S+ (2011): 500 MHz, 16 GFlops
- 옐브루스-2SM (2014): 300 MHz, 9.6 GFlops
- 옐브루스-4S (2014): 800 MHz, 50 GFlops[11][12]
- 옐브루스-8S (2014–2015): 1.3 GHz, >200 GFlops
- 옐브루스-16S (2018): >1 TFlops (계획 중)
2024년에는 다음과 같은 개발이 이루어졌다.
- 6월: 로스전자[2][3]가 "엘브루스-2S3 (Эльбрус-2С3) 마이크로프로세서"[1] 기반 컴퓨터 개발
- 9월: MCST, 제10회 러시아 포럼 "마이크로일렉트로닉스 2024"[4][5][6]에서 "엘브루스-2S3 (Эльбрус-2С3) 마이크로프로세서" 발표
- 12월: 로스텍 "로스텍 일렉트로닉스"의 "PLC-엘브루스 (엘브루스-2S3 마이크로프로세서 기반)"가 러시아 연방 디지털 개발부 등록[7][8]
3. 주요 모델
옐브루스는 크게 옐브루스 아키텍처 기반 모델과 SPARC 아키텍처 기반 모델로 나뉜다.
3. 1. 옐브루스 아키텍처 기반
옐브루스 1 (1973)은 1965년 BESM-6을 옐브루스-1K2로 업데이트하면서 개발되었다.[11][12] 옐브루스 2 (1977)는 소비에트 연방 최초의 슈퍼컴퓨터로, 10개의 프로세서를 가진 슈퍼스칼라 RISC 프로세서였다. 옐브루스 2는 빠른 이미터 결합 소자 칩을 사용하여 옐브루스 1 아키텍처를 재구현하였다.[9]보리스 바바이안은 부르트세프가 은퇴한 후, 이전의 옐브루스 1, 2와는 완전히 다른, 매우 긴 명령어를 사용하는 새로운 시스템 아키텍처를 소개했다. 옐브루스 3 (1986)은 바바얀 팀이 개발한 16 프로세서 컴퓨터로, 세계 최초의 VLIW 컴퓨터 중 하나였다.[9]
옐브루스 2000 (2001)은 옐브루스 3 아키텍처를 사용한 마이크로프로세서로, 옐브루스-S라고도 불린다. 옐브루스-3M1 (2005)은 옐브루스 2000을 기반으로 한 2 프로세서 컴퓨터로, 300MHz로 작동했다. 옐브루스 МВ3S1/C (2009)는 ccNUMA 기술을 사용한 4 프로세서 컴퓨터로, 옐브루스-S를 기반으로 500MHz로 작동했다.[9]
이후 개발된 옐브루스 마이크로프로세서들은 다음과 같다:
1990년대 후반, 군사 분야에서 외산 CPU의 백도어 위협 때문에 MCST는 SPARC 명령어 집합을 사용하는 마이크로프로세서인 옐브루스-90마이크로 (1998–2010)를 개발했다. MCST R80, R150, R500S, MCST-4R 등이 개발되었으며, 각각 80, 150, 500, 1000 MHz로 작동했다.
3. 2. SPARC 아키텍처 기반
1990년대 후반, 군사 분야에서 외국산 CPU의 백도어 위협에 대한 우려로 인해 기금이 모금되었고, MCST에서 SPARC 기반 CPU를 개발하게 되었다.[10]4. 옐브루스 프로세서의 특징 및 의의
옐브루스 프로세서는 1970년대부터 소비에트 연방과 러시아에서 개발된 마이크로프로세서 시리즈이다. 초기에는 슈퍼컴퓨터 개발에 초점을 맞추었으며, 이후 군사 및 정부 수요를 충족시키기 위한 독자적인 기술 개발에 주력했다.
옐브루스 1 (1973)은 BESM-6의 업데이트 과정에서 개발되었고, 옐브루스 2 (1977)는 소비에트 연방 최초의 슈퍼컴퓨터로 여겨진다. 옐브루스 2는 슈퍼스칼라 RISC 프로세서였으며, 빠른 이미터 결합 소자 칩을 사용하여 엘브루스 1 아키텍처를 재구현하였다.[11] 1990년대 후반에는 외산 CPU의 백도어 위협에 대한 우려로 SPARC 기반 CPU 개발을 위한 기금이 조성되기도 했다.[11]
4. 1. 독자 아키텍처 (VLIW)
부르트세프가 은퇴하고, 보리스 바바이안이 새로운 시스템 아키텍처를 개발했다. 이전의 옐브루스 1과 2 아키텍처와는 완전히 달랐으며, 매우 긴 명령어를 사용하게 된다.[11][12]- 옐브루스 3 (1986)은 바바얀 팀이 개발한 16 프로세서 컴퓨터로, 세계 최초의 VLIW 컴퓨터 중 하나이다.
- 옐브루스 2000 (2001)는 옐브루스 3 아키텍처를 사용한 마이크로프로세서이며, 옐브루스-S로 알려져 있다.
- 옐브루스-3M1 (2005)은 옐브루스 2000에 기반을 둔 2 프로세서 컴퓨터로, 300 Mhz로 구동되었다.
- 옐브루스 МВ3S1/C (2009)는 ccNUMA 기술을 사용한 4 프로세서 컴퓨터로, 옐브루스-S를 기반으로 하였으며, 500 Mhz로 구동되었다.
- 옐브루스-2S+ (2011)는 500 Mhz로 구동되었으며, 16 GFlops의 연산 속도를 낼 수 있었다.
- 옐브루스-2SM (2014)는 300 Mhz로 구동되었으며, 9.6 GFlops의 연산 속도를 낼 수 있었다.
- 옐브루스-4S (2014)는 800 Mhz로 구동되었으며, 50 GFlops의 연산 속도를 낼 수 있었다.
- 옐브루스-8S (2014–2015)는 1.3 Ghz로 구동되며 200 GFlops 이상의 연산 속도를 낼 수 있었다.
- 옐브루스-16S (2018)는 현재 계획 중으로 1 TFlops 이상의 성능을 목표로 하고 있다.
4. 2. 군사 및 정부 수요 충족
1990년대 후반, 군사 부문에서 외산 CPU의 백도어 위협에 대한 우려로 인해 MCST에서 SPARC 기반 CPU 개발을 위한 기금이 조성되었다.[11]| 연도 | 제품명 | 설명 | 동작 속도 | 연산 속도 |
|---|---|---|---|---|
| 1986 | 옐브루스 3 | 바바얀 팀이 개발한 16 프로세서 컴퓨터, 세계 최초의 VLIW 컴퓨터 중 하나 | - | - |
| 2001 | 옐브루스 2000 | 옐브루스 3 아키텍처를 사용한 마이크로프로세서, 옐브루스-S | - | - |
| 2005 | 옐브루스-3M1 | 옐브루스 2000 기반 2 프로세서 컴퓨터 | 300 Mhz | - |
| 2009 | 옐브루스 МВ3S1/C | ccNUMA 기술을 사용한 4 프로세서 컴퓨터, 옐브루스-S 기반 | 500 Mhz | - |
| 2011 | 옐브루스-2S+ | - | 500 Mhz | 16 GFlops |
| 2014 | 옐브루스-2SM | - | 300 Mhz | 9.6 GFlops |
| 2014 | 옐브루스-4S | - | 800 Mhz | 50 GFlops[12] |
| 2014–2015 | 옐브루스-8S | - | 1.3 Ghz | >200 GFlops |
| 2018 | 옐브루스-16S | 계획 중 | - | >1 TFlops |
| 1998–2010 | 옐브루스-90마이크로 | SPARC 명령어 집합을 사용하는 마이크로프로세서, MCST R80, R150, R500S, MCST-4R 등 개발 | 80, 150, 500, 1000 Mhz | - |
4. 3. 기술 자립 및 발전
옐브루스 1 (1973)은 BESM-6의 업데이트로 1965년 Elbrus-1K2의 업데이트 중 개발되었다.[11] 옐브루스 2 (1977)는 10 프로세서 컴퓨터로, 소비에트 연방의 최초의 슈퍼컴퓨터로 여겨진다.[11] 이 옐브루스는 슈퍼스칼라 RISC 프로세서였으며, 빠른 이미터 결합 소자 칩을 사용하여 엘브루스 1 아키텍처를 재 구현하였다.[11]부르트세프가 은퇴하고, 새 개발자인 보리스 바바이안이 완전히 새로운 시스템 아키텍처를 소개했다.[11] 이전의 옐브루스 1과 2 아키텍처와는 딴판이었으며, 매우 긴 명령어를 사용하게 된다.[11]
옐브루스 3 (1986)은 바바얀 팀이 개발한 16 프로세서 컴퓨터로, 세계 최초의 VLIW 컴퓨터 중 하나이다.[11] 옐브루스 2000 (2001)는 옐브루스 3 아키텍처를 사용한 마이크로프로세서이며, 옐브루스-S로 알려져 있다.[11]
1990년 후반부에 군사쪽에서의 외제 CPU에서의 백도어 위협으로 인해 기금이 모여서 SPARC 기반의 CPU가 MCST에서 개발되었다.[11]
| 모델명 | 연도 | 클럭 속도 |
|---|---|---|
| MCST R80 | 1998–2010 | 80 MHz |
| MCST R150 | 1998–2010 | 150 MHz |
| MCST R500S | 1998–2010 | 500 MHz |
| MCST-4R | 1998–2010 | 1000 MHz |
참조
[1]
웹사이트
Центральный процессор «Эльбрус-2С3» (ТВГИ.431281.027) - МЦСТ
http://www.mcst.ru/E[...]
2021-08-23
[2]
웹사이트
Ростех разработал самый миниатюрный компьютер на базе «Эльбруса»
https://rostec.ru/ne[...]
2024-06-13
[3]
웹사이트
Ростех разработал самый миниатюрный компьютер на базе «Эльбруса»
https://rostec.ru/me[...]
2024-06-13
[4]
웹사이트
Description of the microprocessor device and its operational characteristics - Central processor "Elbrus-2S3" (TVGI.431281.027)
http://www.mcst.ru/s[...]
2021-08-23
[5]
웹사이트
Ростех разработал самый миниатюрный компьютер на базе «Эльбруса»
http://www.mcst.ru/2[...]
2024-09-30
[6]
웹사이트
Catalog of solutions based on the Elbrus-2S3 processor - 2024
http://www.mcst.ru/s[...]
2024-09-30
[7]
웹사이트
Промышленный контроллер «Росэлектроники» на базе «Эльбруса» прошел госрегистрацию
https://www.ruselect[...]
2024-12-11
[8]
웹사이트
Каталог Модуль процессора МП21
https://katalog-rek.[...]
2024-12-11
[9]
웹사이트
Russia's homegrown Elbrus processor and PC would be fantastic in 1999
https://www.pcworld.[...]
2015-05-12
[10]
뉴스
Russia's S-400 air defence systems for NATO armies
http://www.pravdarep[...]
Pravda Report
2017-09-25
[11]
문서
Russia's homegrown Elbrus processor and PC would be fantastic in 1999
http://www.pcworld.c[...]
[12]
웹인용
보관된 사본
http://portuguese.ru[...]
2017-01-0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