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오능운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오능운은 광서성 신녕주 출신의 생원으로, 도망친 농민을 보호하다가 봉기하여 세력을 키웠다. 1856년 신녕주를 함락시키고, 이후 주변 지역을 장악하며 1861년 태평부에서 '연릉국'을 건국하고 칭왕했다. 그러나 청군의 반격으로 연릉국은 1863년 멸망했으며, 오능운은 포위 돌파를 시도하다 전사했다. 그의 아들 오아충에 의해 저항은 이어졌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충쭤시 출신 - 천우 (정치인)
    천우는 1954년생으로 난닝시 당위원회 서기, 광시 좡족 자치구 인민정부 주석을 역임하고 중국 공산당 제18기 중앙위원회 후보 위원이었으며, 2020년 전국인민대표대회 재정경제위원회 부주임으로 임명된 중화인민공화국의 정치인이다.
  • 충쭤시 출신 - 오아충
    오아충은 19세기 청나라 말 광서성 신녕주 출신으로 아버지 오능운이 세운 연릉국에서 활동하며 청군에 대항했으나 패배 후 베트남으로 피신, 청나라에 대항하려다 전사했고, 그의 세력은 흑기군에 합류했다.
  • 좡족 사람 - 리닝
    중국의 체조 선수 출신 기업인인 리닝은 1982년 체조 월드컵 6관왕, 1984년 로스앤젤레스 올림픽 3관왕을 포함한 6개의 메달을 획득하며 '체조 왕자'라는 별명을 얻었고, 은퇴 후 스포츠 용품 회사 리닝을 설립했으며 국제 체조 연맹 명예의 전당 헌액, 베이징 올림픽 성화 점화 등의 활동을 했다.
  • 좡족 사람 - 천우 (정치인)
    천우는 1954년생으로 난닝시 당위원회 서기, 광시 좡족 자치구 인민정부 주석을 역임하고 중국 공산당 제18기 중앙위원회 후보 위원이었으며, 2020년 전국인민대표대회 재정경제위원회 부주임으로 임명된 중화인민공화국의 정치인이다.
  • 1863년 사망 - 야코프 그림
    야코프 그림은 그림 동화 편찬, 독일어 사전 편찬 참여, 그림의 법칙 정립 등 언어학과 문헌학에 큰 업적을 남긴 독일의 학자이자, 법학자, 민속학자, 자유주의 운동가였다.
  • 1863년 사망 - 야코프 슈타이너
    야코프 슈타이너는 스위스 출신의 기하학자로, 사영기하학의 기초를 확립하고 슈타이너 원뿔곡선을 제시했으며, 저서를 통해 현대 종합 기하학의 기초를 다지고 컴퍼스 없이 직선만으로 2차 방정식 문제를 풀 수 있음을 보였다.
오능운
기본 정보
한자吳凌雲
로마자 표기Wu Lingyun
출생1896년
사망1963년
정치 경력
소속 정당중국 국민당
직업군벌
주요 활동광서성 정부 주석 대리

2. 생애

오능운은 광서성 신녕주의 부유한 가문 출신 생원이었지만, 도망한 농민을 품고 있었다. 1851년 신녕주의 지주(知州)에게 체포되었으나, 뇌물을 바치고 석방되었다. 이후 농민을 전승당(全勝堂)이라는 조직으로 체계화하고 세력을 확대해 갔다.[1]

1856년 봉기를 일으켜 신녕주를 함락시켰으나, 이듬해 청군이 탈환하자 충주 농라촌(隴羅村)으로 도망갔다. 이후 주변의 주와 현을 차례로 지배하에 두었고, 1860년 9월 신녕주를 다시 공략하고 10월에 태평부를 함락시켰다. 1861년 태평부에서 ‘연릉국’(延陵國)을 건국하고 왕을 칭했다. 양국정(梁國楨), 황만년(黃萬年) 등 수십 명에게 작위를 주어 각지의 수비를 맡겼다. 그러나 1861년 6월 청군이 반격하자 양리주(養利州), 좌주(左州), 영명주(寧明州) 등이 잇따라 함락되었다. 1862년 청군이 태평부로 진격했고, 군사 양국정, 원수 나품광(羅品光) 등이 전사하여 태평부가 함락되었다. 오능운은 농라촌으로 도망쳤지만, 그곳도 포위되었고, 1863년에 포위를 돌파하려다 전사했다. 연릉국은 멸망했지만, 아들 오아충(吳亞忠)이 포위 돌파에 성공하여 전투를 계속했다.[2]

2. 1. 초기 활동

광서성 신녕주의 부유한 가문 출신으로 생원이었지만, 도망한 농민을 품고 있었다. 1851년, 신녕주의 지주(知州)[1]에 의해 체포되었으나, 뇌물을 바치고 석방되었다. 이후 농민을 전승당(全勝堂)이라는 조직으로 체계화하고 세력을 확대해 갔다.

1856년, 오능운은 봉기를 일으켜 신녕주를 함락시켰다. 그러나 이듬해 청군이 신녕주를 탈환하자 충주 농라촌(隴羅村)으로 도망갔다.

2. 2. 봉기 및 연릉국 건국

광서성 신녕주의 부유한 가문 출신으로 생원이었지만, 도망한 농민을 품고 있었다. 1851년, 신녕주의 지주(知州)[1]에 의해 체포되었지만, 뇌물을 바치고 석방되었다. 이후 농민을 전승당(全勝堂)이라는 조직으로 체계화하고 세력을 확대해 갔다.

1856년, 오능운은 봉기를 해서 신녕주를 함락시켰다. 그러나 이듬해 청군이 탈환하자 충주(忠州)의 농라촌(隴羅村)으로 도망갔다. 그 후에도 주변의 주와 현을 차례로 지배하에 두었고, 1860년 9월에 신녕주를 재차 공략하여 10월에 태평부를 함락시켰다. 1861년, 오능운은 태평부에서 ‘'''연릉국'''(延陵國)의 건국을 선언하고 칭왕을 했다. 양국정(梁國楨), 황만년(黃萬年) 등 수십 명에게 작위를 주어 각지의 수비를 맡겼다. 그러나 6월이 되면서 청군이 반격하자 양리주(養利州), 좌주(左州), 영명주(寧明州) 등이 잇따라 함락되었다. 1862년이 되자 청군은 태평부로 진격했고, 군사 양국정, 원수 나품광(羅品光) 등이 전사하고 태평부는 함락되었다. 오능운은 농라촌으로 도망쳤지만, 그곳도 포위당했고, 1863년에 포위를 돌파하려다 전사했다. 이렇게 연릉국은 멸망했지만, 포위 돌파에 성공한 아들 오아충(吳亞忠)[2]에 의해 전투는 계속되었다.

2. 3. 청군의 반격과 최후

1861년, 오능운은 태평부에서 ‘'''연릉국'''(延陵國)의 건국을 선언하고 칭왕을 했다. 양국정(梁國楨), 황만년(黃萬年) 등 수십 명에게 작위를 주어 각지의 수비를 맡겼다. 그러나 6월이 되면서 청군이 반격하자 양리주(養利州), 좌주(左州), 영명주(寧明州) 등이 잇따라 함락되었다. 1862년, 청군은 태평부로 진격했고, 군사 양국정, 원수 나품광(羅品光) 등이 전사하고 태평부는 함락되었다. 오능운은 농라촌으로 도망쳤지만, 그곳도 포위당했고, 1863년에 포위를 돌파하려다 전사했다. 이렇게 연릉국은 멸망했지만, 포위 돌파에 성공한 아들 오아충(吳亞忠)에 의해 전투는 계속되었다.[2]

참조

[1] 문서 오늘날의 주지사
[2] 문서 오아종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