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오케 린드만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오케 린드만은 핀란드의 배우이자 영화 감독이다. 1949년 영화 《호르난코스키》로 데뷔하여, 《무명 용사의 묘》 등 여러 영화에 출연하며 배우로 활동했다. 1964년 영화 《도둑처럼》을 공동 연출하며 감독으로도 데뷔했으며, 《탈리-이한탈라 1944》 등 전쟁 영화를 감독했다. 린드만은 1968년 핀란드 국립 영화상, 1982년 프로 핀란디아 등을 수상했으며, 2000년 명예 교수 칭호를 받았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핀란드의 텔레비전 각본가 - 안나레나 해르쾨넨
    안나레나 해르쾨넨은 핀란드의 작가이자 배우이며, 1984년 데뷔 소설 'Häräntappoase'로 대중적 인지도를 얻고, 영화와 텔레비전 시리즈에 출연하며, 헬싱키 예술대학교 등에서 연기를 공부했다.
  • HIFK 포트볼의 축구 선수 - 윌프리드 카농
    윌프리드 카농은 코트디부아르의 축구 선수로, 수비수로 활약하며 2015년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우승에 기여했고, 엠폴리 FC 유소년 팀에서 시작해 여러 리그를 거치며 국가대표로 50경기 이상 출전했다.
  • HIFK 포트볼의 축구 선수 - 파울루스 아라유리
    파울루스 아라유리는 핀란드의 은퇴한 축구 선수로, 중앙 수비수로 활약하며 핀란드 국가대표팀으로도 활동했고, IFK 마리에함, 칼마르 FF, 레흐 포즈난 등 유럽 클럽에서 뛰었으며, 2023년 HIFK 포트볼에서 선수 생활을 마쳤다.
오케 린드만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린드만 (1963년)
린드만 (1963년)
출생일1928년 1월 11일
출생지헬싱키, 핀란드
사망일2009년 3월 3일
사망지에스포, 핀란드
개인 정보
본명Åke Leonard Lindman (Järvinen)
축구 경력
포지션수비수
유소년 클럽 연도1937-1945
유소년 클럽HIFK
프로 클럽 연도1946-1960
프로 클럽헬싱포르스 IFK
국가대표팀 연도1947-1955
국가대표팀핀란드
국가대표팀 출전 횟수25
국가대표팀 득점0
올림픽 국가대표팀 연도1952
올림픽 국가대표팀핀란드 올림픽
올림픽 국가대표팀 출전 횟수1
올림픽 국가대표팀 득점0
영화인 정보
직업영화 감독
영화 각본가
활동 기간1949년 ~ 2007년
배우자헬레나 카야 (1949년 결혼, 1953년 이혼)
안넬리 사울리 (1956년 결혼, 1962년 이혼)
피르코 만놀라 (1968년 결혼, 2009년 사망)

2. 생애

오케 린드만은 헬싱키에서 태어나 노동자 계급 지역인 발릴라에서 성장했다.[3][1] 그는 핀란드의 배우이자 영화 감독으로 활동했으며, 특히 전쟁 영화 분야에서 중요한 족적을 남겼다. 1949년 배우로 데뷔하여 1955년 영화 무명 용사를 통해 큰 명성을 얻었으며,[1][2][3] 이후 감독으로서도 활발히 활동하며 겨울 전쟁계속 전쟁 등 핀란드의 현대사를 다룬 작품들을 연출했다. 대표적인 감독 작품으로는 탈리-이한탈라 1944가 있다.[5]

2. 1. 어린 시절

린드만은 헬싱키에서 태어나 노동자 계급 지역인 발릴라에서 자랐다. 그의 아버지는 트럭 운전사였다. 1930년에 태어난 그의 형 토르 역시 축구 선수가 되었다. 1932년, 그의 아버지 베이뇌 예르비넨은 폐렴으로 사망했고, 몇 년 후 그의 어머니 에디트는 고스타 린드만과 재혼했다. 린드만은 성인이 된 후에 법적으로 입양되어 계부의 성을 따랐다.[3][1]

2. 2. 배우 및 감독 경력

1949년 영화 《호르난코스키》(Hornankoski)를 통해 배우로 데뷔하였다.[1] 그는 1955년 에드빈 라이네 감독의 전쟁 영화 무명 용사(Tuntematon sotilas)에서 안테로 레토(Antero Lehto) 병사 역을 맡아 뛰어난 연기를 선보이며 핀란드 내에서 큰 명성을 얻었다.[2][3] 이 영화는 핀란드의 계속 전쟁을 사실적으로 묘사하여 핀란드 영화사에서 중요한 작품으로 평가받는다.

배우 활동 외에도 영화 감독으로서 활발히 활동했다. 1964년에는 미국 배우 리처드 롱, 팔머 톰슨과 함께 핀란드-미국 합작 영화 《도둑처럼》(Rikolliset)을 공동으로 연출하며 감독 경력을 쌓기 시작했다.[4]

특히 그는 핀란드의 현대사, 그중에서도 겨울 전쟁계속 전쟁을 다룬 영화 제작에 많은 노력을 기울였다. 그의 대표적인 감독 작품 중 하나인 탈리-이한탈라 1944(Tali-Ihantala 1944, 2007)는 제2차 세계 대전 당시 소련에 맞서 싸운 탈리-이한탈라 전투를 생생하게 그려내며 핀란드 역사에 대한 대중적 관심을 높이는 데 기여했다는 평가를 받는다.[5]

그 외 주요 참여 작품은 다음과 같다.

  • 화이트 레인디어 (Valkoinen peura, 1952년)
  • 슈즈 오브 더 피셔먼 (The Shoes of the Fisherman, 1968년)
  • 텔레폰 (Telefon, 1977년)
  • 레즈 (Reds, 1981년)
  • 헌터 (Jägarna, 1996년)
  • 비욘드 더 프론트 라인 (Framom främsta linjen, 2004년)
  • 탈리-이한탈라 1944 (Tali-Ihantala 1944, 2007년) - 감독
  • 헬싱키, 포에버 (Helsinki, ikuisesti, 2008년)

3. 사생활

린드만은 헬싱키에서 태어나 노동자 계급 지역인 발릴라에서 자랐다. 그의 아버지는 트럭 운전사였다. 1930년에 태어난 그의 형 토르 역시 축구 선수가 되었다. 1932년, 그의 아버지 베이뇌 예르비넨은 폐렴으로 사망했고, 몇 년 후 어머니 에디트는 고스타 린드만과 재혼했다. 린드만은 성인이 된 후 법적으로 입양되어 계부의 성을 따르게 되었다.[3][1]

린드만은 2000년에 명예 교수 칭호를 받았고, 2005년에는 오보 아카데미에서 정치학 명예 박사 학위를 받았다.[3]

4. 수상 경력


  • 1968년: 핀란드 국립 영화상
  • 1982년: 프로 핀란디아
  • 1995년: 핀란드 교육문화부 수오미상
  • 2007년: 스웨덴 북극성 훈장 1등급
  • 유시 상 (총 3회)
  • * 영화 《무명 용사》에서의 역할
  • * 《마법의 길》 연출 (1988년)
  • * 평생 공로

5. 작품 목록

오케 린드만은 배우와 감독으로서 핀란드 영화계에서 중요한 역할을 수행했다. 배우로서 무명 용사의 묘, 하얀 순록 등 핀란드의 주요 영화와 국제적인 작품에 다수 출연하며 폭넓은 연기 경력을 쌓았다. 감독으로서도 활동하며 탈리-이한탈라 1944와 같은 작품을 연출했다. 그의 상세한 작품 활동은 아래 배우 및 감독 관련 하위 섹션에서 확인할 수 있다.

5. 1. 배우

(내용 없음)

5. 1. 1. 영화

오케 린드만(Åke Lindman, 왼쪽)과 피르코 만놀라, 팔머 톰슨, 라이하넨 부인, 베이코 라이하넨, 톰슨이 핀란드에 영화 ''Make Like a Thief'' 촬영을 위해 도착했을 때 (1964년)

  • 1949: 《호르난코스키》(Hornankoski) - 아르투리 윌리-코스켈라
  • 1950: 《무덤 너머의 춤》(Tanssi yli hautojen) - 핀란드 장교
  • 1950: 《할린 야네》(Hallin Janne) - 시베리아에서 혁명을 선동하는 죄수
  • 1952: 《스톡홀름의 핀란드 소녀들》(Suomalaistyttöjä Tukholmassa) - 에릭
  • 1952: 《하얀 순록(The White Reindeer)》 - 산림 감시원
  • 1952: 《밤은 길다》(Yö on pitkä) - 오케 스트란드베르그
  • 1953: 《바르샤바의 노래》(Varsovan laulu) - 선장
  • 1953: 《페카 푸우패(Pekka Puupää)》 - 페테리, 범죄자 (크레딧 없음)
  • 1953: 《우리는 봄에 온다(We Come During Spring)》 - 킴피, 벌목꾼 두목
  • 1954: 《코바나아마》(Kovanaama) - 죄수 #2
  • 1954: 《니스카부오렌 아르네》(Niskavuoren Aarne) - 집사
  • 1954: 《페카 야 팻카 루미미에헨 젤릴라》(Pekka ja Pätkä lumimiehen jäljillä) - 리쿠 순드만
  • 1955: 《키니 온 자 야 퓌시》(Kiinni on ja pysyy) - 아르피
  • 1955: 《쿠콘라울루스타 쿠콘라울루운》(Kukonlaulusta kukonlauluun) - 에이노 쿠스타알라
  • 1955: 《라카우스 카흘레이사》(Rakkaus kahleissa) - 페르티 쿠우시
  • 1955: 《비에텔리스텐 티에》(Viettelysten tie) - 마르티
  • 1955: 《무명 용사의 묘(The Unknown Soldier)》 - 레토
  • 1956: 《실자 – 누오레나 누쿠누트》(Silja – nuorena nukkunut) - 발코이센 콤파니안패알리코
  • 1956: 《올레트 메노트 미누운 베레니》(Olet mennyt minun vereeni) - 에르키, 선장
  • 1957: 《리스티 야 리에크키》(Risti ja liekki) - 종교 재판관
  • 1957: 《1918(1918)》 - 사무엘 브로
  • 1957: 《헤라 소타미니스테리》(Herra Sotaministeri) - 독일 대사 (크레딧 없음)
  • 1957: 《비흐도인킨 하아요...》(Vihdoinkin hääyö...) - 테에무 야르비넨
  • 1957: 《내일은 없다(No Tomorrow)》 - 푀리므드 포은게
  • 1958: 《검은 옷을 입은 여인(The Lady in Black)》 - 데이비드 프로름
  • 1959: 《에이 루미타 마쿠후오네세엔》(Ei ruumiita makuuhuoneeseen) - 마이크
  • 1959: 《문울프(Moonwolf)》 - 벌목꾼
  • 1959: 《코흐탈로 테케 시이론》(Kohtalo tekee siirron) - 마우리 페타야마
  • 1960: 《루미스텐 메츠엔 탸토》(Lumisten metsien tyttö) - 유카
  • 1960: 《이사카르 케투린 이흐메엘리셋 세익카일루트》(Isaskar Keturin ihmeelliset seikkailut) - 안셀미 쾨르미
  • 1961: 《나무 위의 소년(Pojken i trädet)》 - 스텐 순드베르그
  • 1961: 《쿠우 온 바아라리넨》(Kuu on vaarallinen) - 니미스미에스
  • 1961: 《케르토카 세 해넬레...》(Kertokaa se hänelle...) - 구급차 운전사
  • 1961: 《메》(Me) - 우르포
  • 1962: 《알라 누올라세...》(Älä nuolase...) - 무토미에스 (크레딧 없음)
  • 1962: 《한 바라스티 엘라만》(Hän varasti elämän) - 형사 오케 야르비넨
  • 1962: 《나이세트, 요카 미눌레 안노이트》(Naiset, jotka minulle annoit)
  • 1963: 《빌린 포호욜란 굴타》(Villin Pohjolan kulta) - 요엘 보르나
  • 1963: 《테렌펠리아》(Teerenpeliä) - 기술 관리자 (크레딧 없음)
  • 1963: 《빌린 포호욜란 살라토 라악소》(Villin Pohjolan salattu laakso) - 요엘 보르나
  • 1964: 《도둑처럼(Make Like a Thief)》 - 아르보 매키
  • 1965: 《라우카스 키프로크세사》(Laukaus Kyproksessa) - 바애펠리 오니 린툴라
  • 1967: 《억 달러 두뇌(Billion Dollar Brain)》 - 단역 (크레딧 없음)
  • 1968: 《어부의 신발(The Shoes of the Fisherman)》 - 라코타를 풀어주는 군인 (크레딧 없음)
  • 1972: 《광대가 울었던 날(The Day the Clown Cried)》 - 뚱뚱한 죄수
  • 1977: 《텔레폰(Telefon)》 - 알렉산드로프 중위
  • 1978: 《툰타마톤 이스태바》(Tuntematon ystävä) - 올라비 수시코스키
  • 1978: 《봄살바》(Bomsalva) - 루리크 린드그렌
  • 1981: 《레즈(Reds)》 - 스칸디나비아 호위병
  • 1982: 《요우시암푸야》(Jousiampuja) - 에이노
  • 1982: 《클리페트》(Klippet) - 라게르포르만
  • 1983: 《칼라발리켄 이 벤더》(Kalabaliken i Bender)
  • 1984: 《더티 스토리》(Dirty Story) - 에릭 야른스테트
  • 1987: 《빛나는 착륙》(Lysande landning) (TV 영화) - 데이비드 드레이어
  • 1987: 《라인 울코푸올레타》(Lain ulkopuolella) - 교장
  • 1988: 《크로스나렌(Kråsnålen)》 (TV 미니시리즈) - 아그렌 대장장이
  • 1990: 《아메리칸 라티》(Ameriikan raitti) - 오토
  • 1991: 《리크티가 맨 바르 알드리 슬립스》(Riktiga män bär alltid slips) - 스탈하네
  • 1993: 《하르윤패 야 키우산테키야트》(Harjunpää ja kiusantekijät) - 응급 대응 센터 (목소리, 크레딧 없음)
  • 1995: 《만넨 우탄 안시케》(Mannen utan ansikte) - 대통령 (목소리)
  • 1996: 《사냥꾼(The Hunters)》 - 보스
  • 1996: 《요유나》(Yöjuna) - 칼레비 발린
  • 1999: 《작은 크리스마스 이야기(En liten julsaga)》 - 페카
  • 2003: 《운명의 책(Kohtalon kirja)》 - 갈라그 (마지막 영화 역할)

5. 2. 감독


  • 1964년: 메이크 라이크 어 씨프 (공동 연출: 리처드 롱, 팔머 톰슨)
  • 1999년: 라핀 쿨란 키미알루스
  • 2004년: 프라롬 프레엠스타 리닌
  • 2007년: 탈리-이한탈라 1944
  • 2008년: 헬싱키, 포에버

참조

[1] 웹사이트 Åke Lindman https://hifkfotboll.[...] 2009-03-03
[2] 웹사이트 Åke Lindman » Internationals https://www.worldfoo[...] 2022-03-01
[3] 간행물 Lindman, Åke (1928–2009) https://kansallisbio[...] Finnish Literature Society
[4] 웹사이트 Åke Lindman https://www.olympedi[...] 2021-11-09
[5] 서적 Pelimiehet Suomen Urheilumuseosäätiö
[6] 뉴스 Åke Lindman oli konna myös jalkapallokentillä https://yle.fi/a/3-6[...] 2009-03-03
[7] 웹사이트 Tali-Ihantala 1944 https://elonet.finna[...] National Audiovisual Institute 2024-08-31
[8] 뉴스 Ruotsin kuningas palkitsi Åke Lindmanin https://www.is.fi/vi[...] 2007-12-03
[9] 뉴스 Åke Lindmanille Betoni-jussi http://www.iltalehti[...] 2008-02-04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