옥천군 (선거구)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옥천군 선거구는 1948년 제헌 국회의원 선거를 앞두고 신설되어 옥천군 전 지역을 관할했다. 1963년 제6대 국회의원 선거를 앞두고 보은군 선거구와 통합되어 옥천군·보은군 선거구가 되면서 폐지되었다. 역대 국회의원으로는 정구삼, 신각휴, 권복인이 있었으며, 권복인은 친일 행적 의혹이 있다. 역대 선거 결과로는 1948년 제헌 국회의원 선거에서 정구삼이 당선되었고, 1950년, 1954년, 1960년에는 신각휴가, 1958년에는 권복인이 당선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옥천군의 정치 - 옥천군수
옥천군수는 옥천군의 행정 수반이며, 1995년 7월 1일부터 민선으로 선출된다. - 옥천군의 정치 - 옥천군수 선거
옥천군수 선거는 1995년부터 2022년까지 총 8번 실시되었으며, 류봉렬, 한용택, 김영만, 김재종, 황규철 등이 군수로 당선되었다. - 충청북도의 폐지된 선거구 - 청주시 흥덕구 을
청주시 흥덕구 을은 대한민국 제17대 국회의원 선거를 앞두고 신설되어 운천신봉동, 복대1동 등을 관할했으며, 청주시와 청원군 통합 이후 오송읍 등을 추가로 관할했으나 20대 총선을 앞두고 청주시 흥덕구 선거구로 통합되었다. - 충청북도의 폐지된 선거구 - 단양군 (선거구)
단양군 선거구는 1948년 신설되어 1963년 제천군과 통합 폐지될 때까지 5번의 국회의원 선거를 치렀으며, 조종승, 장영근, 조종호 등이 당선되었다. - 1948년 신설된 대한민국 선거구 - 단양군 (선거구)
단양군 선거구는 1948년 신설되어 1963년 제천군과 통합 폐지될 때까지 5번의 국회의원 선거를 치렀으며, 조종승, 장영근, 조종호 등이 당선되었다. - 1948년 신설된 대한민국 선거구 - 고창군 갑
고창군 갑은 대한민국 제헌 국회의원 선거를 위해 신설되어 고창군 지역을 관할했으며, 1963년 선거구 통합으로 폐지되었고 김영동, 김수학, 정세환, 류진 등이 국회의원으로 활동했다.
옥천군 (선거구) - [선거구 정보]에 관한 문서 | |
---|---|
선거구 정보 | |
이름 | 옥천군 |
의회 | 국회 |
큰 지도 | 충청북도 |
연도 | 1948년 |
폐지 | 1963년 |
유형 | 국회 |
이후 선거구 | 옥천군·보은군 |
의원 수 | 1인 |
2. 역사
1948년 제헌 국회의원 선거를 앞두고 옥천군 전 지역을 관할하는 선거구로 신설되었다. 1963년 제6대 국회의원 선거를 앞두고 보은군 선거구와 통합되어 옥천군·보은군 선거구가 됨에 따라 폐지되었다.
3. 역대 국회의원
3. 1. 역대 국회의원 목록
4. 역대 선거 결과
옥천군 선거구에서는 대한민국 제헌 국회의원 선거부터 대한민국 제5대 국회의원 선거까지 총 다섯 번의 국회의원 선거가 실시되었다.
4. 1. 제1대 국회의원 선거 (1948년)
대한민국 제헌 국회의원 선거 당시 충청북도 옥천군에서 실시된 제1대 국회의원 선거에서는 대한독립촉성국민회 소속 정구삼 후보가 11,561표(33.44%)를 얻어 당선되었다.후보 | 정당 | 득표수 | 득표율 |
---|---|---|---|
정구삼 | 대한독립촉성국민회 | 11,561 | 33.44% |
이천종 | 대한독립촉성국민회 | 6,743 | 19.50% |
강면회 | 대한독립촉성국민회 | 6,647 | 19.22% |
이병면 | 대한독립촉성국민회 | 5,932 | 17.15% |
금기만 | 대한독립촉성국민회 | 3,689 | 10.67% |
이세영 | 무소속 | 0 | 0% |
4. 2. 제2대 국회의원 선거 (1950년)
대한민국 제2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민주국민당 신각휴 후보가 당선되었다.후보 | 정당 | 득표수 | 득표율 |
---|---|---|---|
신각휴 | 민주국민당 | 6,462 | 18.72% |
권복인 | 무소속 | 4,566 | 13.22% |
이종면 | 무소속 | 3,475 | 10.06% |
이봉식 | 민주국민당 | 3,041 | 8.80% |
곽정길 | 무소속 | 3,020 | 8.74% |
홍종한 | 무소속 | 2,805 | 8.12% |
정구충 | 무소속 | 2,594 | 7.51% |
이중무 | 무소속 | 2,520 | 7.30% |
김준복 | 무소속 | 1,771 | 5.13% |
조종환 | 무소속 | 1,743 | 5.04% |
박창의 | 대한국민당 | 1,602 | 4.64% |
이천종 | 대한국민당 | 609 | 1.76% |
이병면 | 대한국민당 | 311 | 0.90% |
금기만 | 민주국민당 | 0 | 0% |
4. 3. 제3대 국회의원 선거 (1954년)
4. 4. 제4대 국회의원 선거 (1958년)
대한민국 제4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자유당 권복인 후보가 61.57%의 득표율을 기록하여 당선되었다. 민주당 신각휴 후보는 38.42%의 득표율로 2위를 차지하였다.
4. 5. 제5대 국회의원 선거 (1960년)
대한민국 제5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민주당 신각휴 후보가 당선되었다.후보 | 정당 | 득표수 | 득표율 |
---|---|---|---|
신각휴 | 민주당 | 14,432 | 37.00% |
이용희 | 무소속 | 7,702 | 19.74% |
조용구 | 자유당 | 5,733 | 14.69% |
홍종한 | 민주당 | 5,365 | 13.75% |
장용호 | 무소속 | 3,288 | 8.42% |
김범성 | 사회대중당 | 1,637 | 4.19% |
강병익 | 한국사회당 | 847 | 2.17% |
합계 | 39,004 | 100% |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