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올리고키스타절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올리고키스타절은 통발속에 속하는 절 중 하나이다. 이 절에는 여러 종의 통발이 포함되어 있으며, 한국과 외국에서 자생하는 종들이 있다. 올리고키스타절은 통발속의 계통 분류에서 비발바리아아속에 속하며, 아라렐라절과 함께 다계통군으로 분류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통발과 - 통발속
    통발속은 뿌리와 잎, 줄기의 구분이 뚜렷하지 않은 식충식물 속으로, 독특한 포충낭을 이용하여 수생 동물을 포획하며, 다양한 생활 형태와 꽃의 형태를 보인다.
  • 통발과 - 땅귀개
    땅귀개는 습지나 얕은 수역에서 자라는 여러해살이 식충식물로, 실 모양의 땅속줄기에 달린 포충낭으로 플랑크톤을 잡아먹으며, 여름에서 가을에 걸쳐 노란색 입술 모양의 꽃을 피우고, 꽃 모양이 귀이개를 닮아 이름 붙여졌으며, 서식지 파괴로 많은 지역에서 보호받고 있다.
올리고키스타절 - [생물]에 관한 문서
분류학적 정보
학명Utricularia sect. Oligocista
명명자A.DC.
모식종U. bifida
모식종 명명자L.
하위 분류
하위 종 수42종, 본문 참조
이명
이미지 정보
땅귀개

2. 하위 종

이름
U. adpressa
U. albocaerulea
U. andongensis
U. arcuata
U. babui
땅귀개 (U. bifida)
U. bosminifera
U. cecilii
U. chiribiquitensis
U. circumvoluta
U. delphinioides
U. densiflora
U. erectiflora
U. foveolata
U. graminifolia
U. heterosepala
U. involvens
U. jackii
U. laxa
U. lazulina
U. letestui
U. lloydii
U. macrocheilos
U. malabarica
U. meyeri
U. micropetala
U. odorata
U. pierrei
U. pobeguinii
U. polygaloides
U. praeterita
U. prehensilis
U. recta
U. reticulata
U. scandens
U. smithiana
U. spiralis
U. subramanyamii
U. tortilis
자주땅귀개 (U. uliginosa)
U. vitellina
U. wightiana


2. 1. 한국 자생종

이름
통발 adpressa
통발 albocaerulea
통발 andongensis
통발 arcuata
통발 babui
통발 bifida
통발 bosminifera
통발 cecilii
통발 chiribiquitensis
통발 circumvoluta
통발 delphinioides
통발 densiflora
통발 erectiflora
통발 foveolata
통발 graminifolia
통발 heterosepala
통발 involvens
통발 jackii
통발 laxa
통발 lazulina
통발 letestui
통발 lloydii
통발 macrocheilos
통발 malabarica
통발 meyeri
통발 micropetala
통발 odorata
통발 pierrei
통발 pobeguinii
통발 polygaloides
통발 praeterita
통발 prehensilis
통발 recta
통발 reticulata
통발 scandens
통발 smithiana
통발 spiralis
통발 subramanyamii
통발 tortilis
통발 uliginosa
통발 vitellina
통발 wightiana


2. 2. 외국 자생종

외국 자생종


3. 계통 분류

다음은 통발속에 속하는 다양한 하위 아속(Subgenus)과 절(Section)의 관계를 표시한 계통도이다. 2003년 존슨 등(Jobson et al.)과 2004년과 2006년의 뭘러 등(Müller et al.)의 연구를 기초로 요약한 내용이다.[5] 아라렐라절(''Aranella'')과 베시툴리나절(''Vesiculina'')은 다계통군으로 분지도에 별표(*)를 표시했다. 연구가 이루어지지 않은 일부 단형절은 계통 분류학적 위치가 명확하지 않다.

통발아속( ''Utricularia'')의 칸돌레아절(''Candollea''), 켈리돈절(''Chelidon''), 코리스토테테카이절(''Choristothecae''), 카미엔스키아절(''Kamienskia''), 마르티니아절(''Martinia''), 메이오눌라절(''Meionula''), 미라빌레스절(''Mirabiles''), 올리베리아절(''Oliveria''), 세티스카펠라절(''Setiscapella''), 스프루케아절(''Sprucea''), 스테예르마르키아절(''Steyermarkia''), 스틸로테카절(''Stylotheca'')과 비발바리아아속( ''Bivalvaria'')의 미누타이절(''Minutae''), 폴리폼폴릭스아속( ''Polypompholyx'')의 트리덴타타리아절(''Tridentaria'')은 아래에 포함되지 않았다.

아래는 통발속의 계통 분류도이다.


  • '''통발아속( ''Utricularia'')'''영어
  • ''Avesicaria''
  • ''Vesiculina''*
  • ''Utricularia olivacea''
  • ''Vesiculina''*
  • ''Nelipus''
  • ''Lecticula''
  • 통발절( ''Utricularia'')
  • 오르키디오이데스절( ''Orchidioides'')
  • 폴리오사절( ''Foliosa'')
  • '''비발바리아아속( ''Bivalvaria'')'''영어
  • '''올리고키스타절( ''Oligocista'')'''
  • ''Avesicarioides''
  • ''Benjaminia''
  • ''Stomoisia''
  • ''Enskide''
  • ''Aranella''*
  • ''Calpidisca''
  • ''Lloydia''
  • ''Australes''
  • 니그레스켄테스절( ''Nigrescentes'')
  • ''Phyllaria''
  • ''Aranella''*
  • '''폴리폼폴릭스아속( ''Polypompholyx'')'''영어
  • ''Pleiochasia''
  • ''Polypompholyx''

참조

[1] 서적 The genus Utricularia - a taxonomic monograph Kew Bulletin Additional Series XIV: London 1989
[2] 논문 Recent progress in understanding the evolution of carnivorous Lentibulariaceae (Lamiales) 2006
[3] 서적 The genus Utricularia - a taxonomic monograph Kew Bulletin Additional Series XIV: London 1989
[4] 논문 Recent progress in understanding the evolution of carnivorous Lentibulariaceae (Lamiales) 2006
[5] 논문 Recent Progress in Understanding the Evolution of Carnivorous Lentibulariaceae (Lamiales) 200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