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림픽 자메이카 선수단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자메이카는 1948년 하계 올림픽에 처음 참가한 이후 1980년 하계 올림픽을 제외하고 모든 하계 올림픽에 참가했다. 1960년 하계 올림픽에는 서인도 연방 선수단의 일원으로 출전했다. 하계 올림픽에서 총 94개의 메달을 획득했으며, 1988년 캘거리 동계 올림픽에 처음으로 동계 올림픽에 참가했다. 자메이카는 육상 종목에서 강세를 보이며, 27개의 금메달, 39개의 은메달, 28개의 동메달을 획득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나라별 올림픽 정보 - 올림픽 독일 연합 선수단
올림픽 독일 연합 선수단은 1956년부터 1964년까지 서독과 동독의 연합으로 구성되어 올림픽에 참가했으며, 독일 선수단 승리 시 베토벤의 교향곡 9번을 연주하고 올림픽 국기를 사용했으며, 하계 올림픽에서 118개, 동계 올림픽에서 19개의 메달을 획득했다. - 나라별 올림픽 정보 - 올림픽 영국 선수단
영국은 하계 올림픽과 동계 올림픽에 모두 참가하며, 1896년 첫 근대 올림픽부터 모든 하계 올림픽에 참가했고, 하계 올림픽에서 금메달 298개, 동계 올림픽에서 금메달 12개를 획득했다. - 올림픽 선수단에 관한 - 2008년 하계 올림픽
2008년 하계 올림픽은 "하나의 세계, 하나의 꿈"이라는 표어 아래 중화인민공화국 베이징에서 204개국이 참가한 역대 최대 규모의 대회로, 28개 종목에서 302개의 메달을 놓고 경쟁했으며 중국이 금메달 1위를 차지했으나 인권, 환경, 도핑 문제 등 논란도 있었다. - 올림픽 선수단에 관한 - 1996년 하계 올림픽
1996년 하계 올림픽은 미국 애틀랜타에서 개최되어 26개 종목 271개 세부 종목으로 구성, 197개국이 참가했으나, 센테니얼 올림픽 공원 폭탄 테러 사건과 재정적 성공, 도시 인프라 개선이라는 양면성을 남겼다.
올림픽 자메이카 선수단 | |
---|---|
올림픽 정보 | |
NOC | JAM |
NOC 명칭 | 자메이카 올림픽 협회 |
웹사이트 | www.joa.org.jm |
하계 올림픽 참가 횟수 | 1948 1952 1956 1964 1968 1972 1976 1980 1984 1988 1992 1996 2000 2004 2008 2012 2016 2020 2024 |
동계 올림픽 참가 횟수 | 1988 1992 1994 1998 2002 2010 2014 2018 |
하계 청소년 올림픽 참가 횟수 | 2010 2014 |
동계 청소년 올림픽 참가 횟수 | 2016 |
관련 참가국 | BWI (1960) |
올림픽 메달 집계 | |
순위 | 40 |
금메달 | 27 |
은메달 | 39 |
동메달 | 28 |
합계 | 94 |
2. 하계 올림픽
자메이카는 1948년 런던 올림픽에 처음 참가한 이래 대부분의 하계 올림픽에 선수단을 파견하였다. 1960년 로마 올림픽에는 트리니다드 토바고, 바베이도스 등과 함께 서인도 연방(BWI) 소속으로 참가하기도 했으나, 연방 해체 후 1964년 도쿄 올림픽부터 다시 자메이카 독립 선수단으로 참가하고 있다.
주로 육상 종목, 특히 단거리에서 세계적인 강세를 보여왔으며, 우사인 볼트와 같은 전설적인 선수들을 배출하며 육상 강국으로서의 명성을 쌓았다. 역대 하계 올림픽에서 획득한 메달 대부분이 육상 종목에서 나왔다. 자메이카 선수단이 가장 좋은 성적을 거둔 대회는 2012년 런던 올림픽으로, 총 13개의 메달(금 4, 은 5, 동 4)을 획득했다.
2. 1. 개요
자메이카 선수단이 가장 많은 메달을 획득한 하계 올림픽은 2012년 런던 올림픽으로, 총 13개의 메달을 획득했다. 하계 올림픽 종목 중에서는 올림픽 육상에서 가장 많은 93개의 메달을 따냈다. 동계 올림픽에서는 아직 메달을 획득한 기록이 없다.2. 2. 참가 역사
자메이카는 1948년 런던 올림픽에 처음으로 참가하였다. 이 대회에서 13명의 선수가 출전하여 육상 종목에서 아서 윈트가 남자 400m 금메달과 800m 은메달을, 허브 매킨리가 남자 400m 은메달을 획득하는 등 총 금메달 1개, 은메달 2개를 따내며 종합 20위라는 성공적인 데뷔를 하였다.1952년 헬싱키 올림픽에서는 8명의 선수가 금메달 2개, 은메달 3개를 획득하여 종합 13위에 올랐다. 그러나 1956년 멜버른 올림픽에서는 6명의 선수가 참가했지만 메달을 획득하지 못했다.
1960년 로마 올림픽에는 자메이카, 트리니다드 토바고, 바베이도스 등이 연합하여 구성된 서인도 연방(BWI)의 일원으로 참가하였다. 서인도 연방 해체 후, 1964년 도쿄 올림픽부터 다시 자메이카 독립 선수단으로 꾸준히 올림픽에 참가하고 있다.
자메이카는 올림픽 참가 이래 주로 육상 단거리 종목에서 강세를 보이며 많은 메달을 획득하였다. 특히 우사인 볼트와 같은 세계적인 스타 선수들을 배출하며 육상 강국으로서의 명성을 떨쳤다.
개최 올림픽 | 선수 | 금 | 은 | 동 | 합계 | 순위 |
---|---|---|---|---|---|---|
1896년 아테네 | 불참 | |||||
1900년 파리 | ||||||
1904년 세인트루이스 | ||||||
1908년 런던 | ||||||
1912년 스톡홀름 | ||||||
1920년 안트베르펜 | ||||||
1924년 파리 | ||||||
1928년 암스테르담 | ||||||
1932년 로스앤젤레스 | ||||||
1936년 베를린 | ||||||
1948년 런던 | 13 | 1 | 2 | 0 | 3 | 20 |
1952년 헬싱키 | 8 | 2 | 3 | 0 | 5 | 13 |
1956년 멜버른 | 6 | 0 | 0 | 0 | 0 | – |
1960년 로마 | 서인도 연방의 일부로 참가 | |||||
1964년 도쿄 | 21 | 0 | 0 | 0 | 0 | – |
1968년 멕시코시티 | 25 | 0 | 1 | 0 | 1 | 39 |
1972년 뮌헨 | 33 | 0 | 0 | 1 | 1 | 43 |
1976년 몬트리올 | 20 | 1 | 1 | 0 | 2 | 21 |
1980년 모스크바 | 18 | 0 | 0 | 3 | 3 | 34 |
1984년 로스앤젤레스 | 45 | 0 | 1 | 2 | 3 | 28 |
1988년 서울 | 35 | 0 | 2 | 0 | 2 | 34 |
1992년 바르셀로나 | 36 | 0 | 3 | 1 | 4 | 38 |
1996년 애틀랜타 | 46 | 1 | 3 | 2 | 6 | 39 |
2000년 시드니 | 45 | 0 | 6 | 3 | 9 | 54 |
2004년 아테네 | 47 | 2 | 1 | 2 | 5 | 35 |
2008년 베이징 | 50 | 5 | 4 | 2 | 11 | 15 |
2012년 런던 | 50 | 4 | 5 | 4 | 13 | 18 |
2016년 리우데자네이루 | 56 | 6 | 3 | 2 | 11 | 16 |
2020년 도쿄 | 48 | 4 | 1 | 4 | 9 | 21 |
2024년 파리 | 58 | 1 | 3 | 2 | 6 | 44 |
2028년 로스앤젤레스 | 개최 예정 | |||||
2032년 브리즈번 | ||||||
합계 | 27 | 39 | 28 | 94 | 38 |
2. 3. 역대 메달 집계
역대 올림픽 메달 집계도 참고하십시오.
개최 올림픽 | 선수 | 금 | 은 | 동 | 합계 | 순위 |
---|---|---|---|---|---|---|
1896 아테네 | 불참 | |||||
1900 파리 | ||||||
1904 세인트루이스 | ||||||
1908 런던 | ||||||
1912 스톡홀름 | ||||||
1920 안트베르펜 | ||||||
1924 파리 | ||||||
1928 암스테르담 | ||||||
1932 로스앤젤레스 | ||||||
1936 베를린 | ||||||
1948 런던 | 13 | 1 | 2 | 0 | 3 | 20 |
1952 헬싱키 | 8 | 2 | 3 | 0 | 5 | 13 |
1956 멜버른 | 6 | 0 | 0 | 0 | 0 | – |
1960 로마 | 서인도 연방의 일부로 참가 | |||||
1964 도쿄 | 21 | 0 | 0 | 0 | 0 | – |
1968 멕시코시티 | 25 | 0 | 1 | 0 | 1 | 39 |
1972 뮌헨 | 33 | 0 | 0 | 1 | 1 | 43 |
1976 몬트리올 | 20 | 1 | 1 | 0 | 2 | 21 |
1980 모스크바 | 18 | 0 | 0 | 3 | 3 | 34 |
1984 로스앤젤레스 | 45 | 0 | 1 | 2 | 3 | 28 |
1988 서울 | 35 | 0 | 2 | 0 | 2 | 34 |
1992 바르셀로나 | 36 | 0 | 3 | 1 | 4 | 38 |
1996 애틀랜타 | 46 | 1 | 3 | 2 | 6 | 39 |
2000 시드니 | 45 | 0 | 6 | 3 | 9 | 54 |
2004 아테네 | 47 | 2 | 1 | 2 | 5 | 35 |
2008 베이징 | 50 | 5 | 4 | 2 | 11 | 15 |
2012 런던 | 50 | 4 | 5 | 4 | 13 | 18 |
2016 리우데자네이루 | 56 | 6 | 3 | 2 | 11 | 16 |
2020 도쿄 | 48 | 4 | 1 | 4 | 9 | 21 |
2024 파리 | 58 | 1 | 3 | 2 | 6 | 44 |
2028 로스앤젤레스 | 향후 개최 예정 | |||||
2032 브리즈번 | 향후 개최 예정 | |||||
합계 | 27 | 39 | 28 | 94 | 38 |
개최지 | 선수 | 금 | 은 | 동 | 합계 | 순위 |
---|---|---|---|---|---|---|
1924 샤모니 | 불참 | |||||
1928 장크트모리츠 | ||||||
1932 레이크플래시드 | ||||||
1936 가르미슈파르텐키르헨 | ||||||
1948 장크트모리츠 | ||||||
1952 오슬로 | ||||||
1956 코르티나담페초 | ||||||
1960 스쿼밸리 | ||||||
1964 인스브루크 | ||||||
1968 그르노블 | ||||||
1972 삿포로 | ||||||
1976 인스브루크 | ||||||
1980 레이크플래시드 | ||||||
1984 사라예보 | ||||||
1988 캘거리 | 4 | 0 | 0 | 0 | 0 | – |
1992 알베르빌 | 5 | 0 | 0 | 0 | 0 | – |
1994 릴레함메르 | 4 | 0 | 0 | 0 | 0 | – |
1998 나가노 | 6 | 0 | 0 | 0 | 0 | – |
2002 솔트레이크시티 | 2 | 0 | 0 | 0 | 0 | – |
2006 토리노 | 불참 | |||||
2010 밴쿠버 | 1 | 0 | 0 | 0 | 0 | – |
2014 소치 | 2 | 0 | 0 | 0 | 0 | – |
2018 평창 | 3 | 0 | 0 | 0 | 0 | – |
2022 베이징 | 6 | 0 | 0 | 0 | 0 | – |
2026 밀라노-코르티나담페초 | 향후 개최 예정 | |||||
2030 프랑스 알프스 | 향후 개최 예정 | |||||
2034 솔트레이크시티 | 향후 개최 예정 | |||||
합계 | 0 | 0 | 0 | 0 | – |
지금까지 가장 많은 메달을 획득한 하계 올림픽은 2012년 런던 올림픽의 13개이며, 가장 많은 메달을 획득한 하계 올림픽 종목은 올림픽 육상의 93개이다. 동계 올림픽에서의 메달 획득은 아직 없다.[1]
2. 4. 종목별 메달 집계
wikitext
대부분의 메달을 육상에서 획득했으며, 사이클에서 동메달 1개를 획득했다. 동계 올림픽에서는 메달을 획득하지 못했다.
3. 동계 올림픽
대회명 금 은 동 계 1988 캘거리 0 0 0 0 1992 알베르빌 0 0 0 0 1994 릴레함메르 0 0 0 0 1998 나가노 0 0 0 0 2002 솔트레이크시티 0 0 0 0 2006 토리노 불참 2010 밴쿠버 0 0 0 0 2014 소치 0 0 0 0 2018 평창 0 0 0 0 2022 베이징 0 0 0 0 합계 0 0 0 0
3. 1. 참가 역사
자메이카는 하계 올림픽에서 꾸준히 선수단을 파견해왔으며, 특히 육상 종목에서 세계적인 수준의 성과를 거두었다. 1948년 하계 올림픽 첫 참가 이래 아서 윈트, 허브 맥켄리, 돈 쿼리, 멀린 오티 등을 시작으로, 우사인 볼트, 셸리앤 프레이저프라이스, 일레인 톰슨헤라와 같은 세계적인 스프린터들을 배출하며 육상 강국으로서의 명성을 쌓았다.
동계 올림픽에는 1988년 캘거리 동계 올림픽에 처음으로 참가하였다. 당시 열대 국가인 자메이카에서 남자 봅슬레이 팀이 출전하여 큰 화제를 모았으며, 이들의 도전 이야기는 영화 《쿨 러닝》(Cool Runnings)으로 제작되어 전 세계적으로 알려졌다.
자메이카는 이후 1992년, 1994년, 1998년, 2002년, 2010년, 2014년, 2018년, 2022년 동계 올림픽에 참가하였으나, 2006년 토리노 동계 올림픽에는 불참하였다. 아직까지 동계 올림픽에서 메달을 획득하지는 못했다. 특히 대한민국 평창에서 개최된 2018년 동계 올림픽에서는 여자 봅슬레이팀이 사상 처음으로 참가하여 또 다른 의미있는 발자취를 남겼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