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와리오니아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와리오니아는 국화과에 속하는 식물 속으로, Warioniinae 아족에 속하는 유일한 종인 Warionia saharae를 포함한다. 이 식물은 방향성 관목으로, 북아프리카 모로코와 알제리 사막 지역에 자생하며, 잎에서 추출한 정유와 치료 효과로 알려져 있다. 와리오니아는 계통 분류상 치커리족의 자매군으로, 고유한 형태적 특징과 유전자 분석 결과를 통해 분류되었다. 이 식물은 관절염, 간질 치료에 사용되며, 향수 재료로도 활용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치커리족 - 미크로세리스아족
    미크로세리스아족은 유액을 가지는 한해살이 또는 여러해살이 식물로, 뿌리줄기나 덩이줄기를 가지며 피침형 또는 난형 잎을 가지는 것이 특징이다.
  • 치커리족 - 스콜리무스아족
    스콜리무스아족은 지중해 연안, 유럽, 북아프리카, 서아시아, 카나리아 제도에 분포하며 건조하고 햇볕이 잘 드는 환경에서 서식하는 식물 분류군이다.
와리오니아 - [생물]에 관한 문서
속 정보
학명Warionia saharae
명명자Benth. & Coss.
상위 분류군치커리족
아족와리오니아아족 (Warioniinae)
와리오니아속 (Warionia)
와리오니아 사하라이
속 명명자Benth. & Coss.
상위 분류군 명명자Gemeinholzer & N.Kilian

2. 계통 분류

다음은 2009년 펑크(Funk) 등과 2014년 파네로(Panero) 등의 연구에 기초한 치커리족의 계통 분류이다.[7]

최근의 유전자 분석 결과 와리오니아속은 다른 모든 치커리족자매군으로 확인되었으며, 자체 아족인 와리오니아아족(Warioniinae)에 속한다.

''Warionia''와 그 친척 간의 관계[1]


2. 1. 하위 분류

다음은 2009년 펑크(Funk) 등과 2014년 파네로(Panero) 등의 연구에 기초한 치커리족의 계통 분류이다.[7]

치커리족 하위 분류


3. 형태

'''와리오니아'''는 방향성 관목으로, 보통 0.5m~2m 사이이며, 드물게 15cm 또는 최대 3m까지 자란다. 식물 전체에는 끈적이는 흰색의 우윳빛 라텍스를 운반하는 라텍스관과 오일관이 네트워크를 이루고 있다. 이 식물은 이열(biserial) 선모(glandular hair)를 가지고 있다. 염색체 수는 34개이다(2n = 34).[1][2]

3. 1. 줄기, 뿌리, 잎

''와리오니아 사하라에''는 파스닙을 연상시키는 밝은 갈색의 원뿌리를 가지고 있다. 어린 식물은 지상에서 잎차례의 주걱형, 톱니 모양 잎으로 구성되어 있다. 늙은 식물은 줄기를 발달시키는데, 처음에는 녹색이지만 결국 목질화되어 코르크질의 회색 껍질을 형성한다. 약 75μm로, 목부의 직경은 국화과 내에서 높은 수준이다. 목부 섬유는 비교적 두꺼운 벽을 가지고 있다.[3] 물결 모양의 다소 육질인 잎은 줄기를 따라 어긋나게 배열되어 있으며, 길이는 2cm-13cm, 너비는 1cm-3cm이며, 장타원형에서 주걱형에 이른다. 잎은 물결 모양에서 깃털 모양 갈라짐까지이며, 각 잎 조각의 주요 잎맥은 날카로운 팁으로 뻗어 있다. 잎은 깃털 모양의 잎맥을 가지고 있다. 잎자루는 좁아지지만 여전히 줄기까지 뻗어 있다. 잎 표면은 부드럽게 털이 있으며, 특히 가장자리 근처에 샘털이 있다.[1]

3. 2. 꽃

줄기 끝에 단독으로 또는 2~3개씩 묶여서 곧게 솟은 꽃차례가 있다. 각 꽃차례는 길이 3cm~4cm, 너비 4.5cm~6cm이며, 관상화만 포함한다. 꽃받침의 일반적인 기부(또는 꽃받침)는 평평하며, 관상화가 심어진 곳에 들여쓰기가 있고, 비늘과 털은 없다. 종 모양의 총포는 4~5개의 녹색 포열로 구성되며, 때로는 뻗은 끝부분이 보라색을 띠고, 종이처럼 불규칙하게 미세한 톱니 모양의 가장자리를 갖는다. 바깥쪽 열의 포열은 길이가 6mm~7mm, 너비가 1.5mm~2mm인 반면, 위쪽 열의 포열은 점점 더 길어져 결국 21mm~23mm에 이른다. 각 꽃차례는 25개에서 40개의 관상화를 맺는다.[1]

각각의 작은 꽃은 양성으로, 노란색 별 모양 대칭의 화관을 가지고 있으며, 길이는 22mm~25mm이다. 10mm~11mm 길이의 좁고 곧거나 S자형의 튜브로 구성되어 있고, 갑자기 5개의 깊게 갈라진 종 모양으로 넓어지며, 뒤틀린 엽은 7mm~8mm 길이이며, 부드러운 털, 쌍으로 된 털 및 소수의 세포 더미로 구성된 선모를 가지고 있으며, 끝은 털 뭉치로 장식되어 있다. 모든 국화과 식물과 마찬가지로 5개의 수술은 튜브로 융합되어 있으며, 이를 통해 암술이 자라나 길이를 따라 털에 꽃가루를 묻힌다. ''와리오니아''(Warionia)의 수술은 노란색이며, 길이가 11mm~12mm이고, 기부는 노란색의 심실 필라멘트에 부착된 지점 아래 1.5mm~2mm까지 닿으며, 뾰족한 끝은 융합된 튜브 위 2mm까지 닿는다. 꽃가루 입자는 크고, 대략 구형이며, 삼구극, 가시를 가지고 있으며 가시 사이에 구멍이 있다. 노란색 암술대는 꿀샘을 가지고 있는 넓어진 기부를 가지며, 결국 24mm~26mm까지 자라며, 암술의 여성 단계에서 끝부분이 4mm~6mm 길이의 두 개의 가지로 갈라진다. 암술 가지의 내부는 유두로 완전히 덮여 있으며, 외부 표면에는 가지 아래로 약간 뻗어 있는 털이 있다.[1]

3. 3. 열매

꽃받침 아래 열매(시프셀라라고 함)는 길이가 4.5mm~5mm이고 폭이 1.5mm~3mm이며, 털이 많아 깃털처럼 보이는 흰색 털이 달린 고리가 있는 끝 부분에서 좁아진다. 모든 국화과와 마찬가지로 꽃받침이 변형되어 관모라고 한다. 이 경우 관모는 뻣뻣하고 흰색-황색을 띠며 약간 종이 같은 털 두 개의 원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털 길이를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작은 이빨을 가지고 있고, 대부분 15mm~18mm 길이지만 바깥쪽 털 중 일부는 2.5mm 길이이다.[1]

4. 생태

''와리오니아 사하라에''는 타마나르, 이프니, 에르푸드, 피기그 사이의 모로코와 나아마 주 및 베니 우니프 구의 알제리에 고유종이다.[1] 해발 0~1300m 사이의 현무암과 규산질 암석에서 고(高) 아틀라스 산맥, 안티 아틀라스 산맥, 사하라 아틀라스 산맥의 경사면, 모로코 남부 해안, 사막에서 자란다.[1] 이프니에서는 ''Euphorbia echinus'', ''E. obtusifolia'', ''Senecio anteuphorbium''과 함께 자라는 것이 발견되었다. 이 종은 여름에 계절별 물 공급량이 일정 수준 이하로 떨어지면 잎을 잃지만, 재배 시에는 적절하게 물을 주면 잎을 유지한다. 야생에서는 산양의 방목으로 인한 피해를 제외하고는 해충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꽃가루는 암술이 수정 능력을 갖기 전에 성숙하며, 이는 이 종이 타가 수분에 의존하게 만든다. 개체들이 서로 멀리 떨어져 있고, 꽃가루 매개 곤충이 부족할 수 있으므로 종자 수정률은 낮을 수 있다.[5]

5. 화학 성분

이 식물은 만졌을 때 톡 쏘는 냄새를 풍기는데, 이는 42–53%의 β-유데스몰, 17½%의 트랜스-네롤리돌, 5–8½%의 리날룰 및 약 2½%의 구아이올을 함유한 방향족 오일 때문이다.[4][5] 정유 함량은 건조 잎 무게의 약 1%이다. 손상되면 이 식물은 매우 끈적한 흰색 라텍스를 분비하는데, 이는 다른 치코리아과와 마찬가지로 트리테르펜 함량이 높다.[1]

6. 이용

정유 성분 때문에 치료 효과가 있다고 알려져 있다. 말린 잎을 달여서 관절염, 간질 치료에 사용한다.[6] 현지 치료사들은 자궁 감염 치료에도 사용한다. 현지 여성들은 이 식물을 향수로 사용하며, "이 식물에 부여된 초자연적인 힘이 그들을 더 매력적으로 만든다고 믿는다."[1]

7. 재배

이 종은 통풍이 잘 되는 퇴비에서 낮 30°C, 밤 15°C에서 씨앗으로 재배할 수 있다. 첫해에 1.5m까지 자랄 수 있으며, 이 단계에서 줄기는 목질화된다. 재배 시에는 흰파리가 문제가 될 수 있으며, 습하면 잎에 흰가루병이 발생할 수 있다.[5]

8. 기타

Warionia프랑스어속은 사하라 사막에서 발견되는 국화과의 단형 속이다.

8. 1. 어원

장 피에르 아드리앙 와리옹이 1865년과 1866년에 알제리 해안 산맥의 남서쪽에서 표본을 수집했다. 이 표본은 1872년 조르주 벤담과 에르네스트 코송에 의해 프랑스 식물학회 회보에 ''Warionia saharae''로 명명되고 기술되었다. 동의어는 없다.[1]

속명 ''와리오니아''는 북아프리카에 주둔하며 광범위한 표본을 수집한 프랑스 군의관이자 식물학자인 아드리앙 와리옹(Adrien Warion, 1837–1880)을 기리기 위해 명명되었다. 종명 ''사하라에''는 이 식물이 자연적으로 자라는 사하라 사막의 일부를 가리킨다.[1]

참조

[1] 논문 Warionia (Asteraceae): a relict genus of Cichorieae?
[2] 서적 Systematics, evolution and biogeography of Compositae International Association for Plant Taxonomy 2016-11-18
[3] 논문 Wood Anatomy of Cynareae (Compositeae) http://woodevolution[...] 2016-12-03
[4] 논문 Chemical Composition of the Essential Oil of Warionia saharae from Morocco
[5] 논문 Warionia saharae
[6] 간행물 Medical Plants used by Berger and Arab Peoples of Morocco: Ethnopharmacology and Phytochemistry http://circle.ubc.ca[...] Department of Botany, University of British Columbia 2016-12-03
[7] 서적 Systematics, Evolution and Biogeography of the Compositae IAPT (International Association for Plant Taxonomy)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