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왕바랭이속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왕바랭이속은 벼과에 속하는 식물 속의 하나이다. 주요 종으로는 아프리카와 아시아에서 식량 작물로 재배되는 손가락조와 한국을 포함한 열대 및 아열대 지역에 널리 분포하는 잡초인 왕바랭이가 있다. 그 외에도 다양한 종이 존재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우산잔디족 - 나도바랭이
    나도바랭이는 전 세계 온대, 아열대, 열대 기후 지역에 분포하는 여러해살이풀로, 10-30cm 높이로 자라며 2-8cm 길이의 잎과 9-10월에 흑색 열매를 맺는 원추화서를 가지며 습하고 그늘진 곳에서 잘 자란다.
  • 우산잔디족 - 나도바랭이속
    나도바랭이속은 53종이 인정되는 식물 속이며, 과거에는 나도바랭이속으로 분류되었던 일부 종들이 현재 다른 속으로 분류되기도 한다.
  • 1788년 기재된 식물 - 인디언천인국
    인디언천인국은 북미 원산의 여러해살이풀로 다채로운 색상의 설상화가 특징이며, 전 세계적으로 귀화하여 펑후 제도에서는 현화로 지정될 만큼 사랑받고, 오클라호마 주의 주 야생화이기도 하다.
  • 1788년 기재된 식물 - 아가판서스속
    아가판서스속은 남아프리카 원산의 여러해살이풀로 '사랑의 꽃'이라는 뜻을 가지며 푸른색이나 보라색 꽃이 피어 관상용으로 재배되지만, 현재는 수선화과 아가판토이데아과로 분류되고 일부 지역에서는 침입종으로 지정되기도 한다.
  • 식물의 속 - 너도밤나무속
    너도밤나무속은 북반구 온대 지역에 분포하는 참나무과 교목으로, 두 아속으로 나뉘며 각 아속은 형태, 유전형, 분포에서 차이를 보이고, 목재, 식량, 관상용 등 다양한 용도로 활용되며, 질병과 해충의 위협을 받고 있다.
  • 식물의 속 - 라이밀
    라이밀은 밀과 호밀을 교배하여 만든 곡물이며, 육종을 통해 수확량, 영양 품질, 도복 저항성 등을 개량하고 글루텐을 함유하고 있다.
왕바랭이속 - [생물]에 관한 문서
개요
왕바랭이(E. indica)
분류
식물계
미분류 군속씨식물군
외떡잎식물군
닭의장풀군
벼목
벼과
아과나도바랭이아과
우산잔디족
아족왕바랭이아족
왕바랭이속
학명Eleusine Gaertn.
명명자요제프 게르트너
모식종손가락조(E. coracana (L.) Gaertn.)
이명Elevsine Gaertn., alternate spelling
하위 종

2. 하위 종


  • 손가락조 ''E. coracana'' (L.) Gaertn.
  • 왕바랭이 ''E. indica'' (L.) Gaertn.
  • ''E. africana'' Kenn.-O'Byrne
  • ''E. floccifolia'' Spreng.
  • ''E. intermedia'' (Chiov.) S.M.Phillips
  • ''E. jaegeri'' Pilg.
  • ''E. kigeziensis'' S.M.Phillips
  • ''E. multiflora'' Hochst. ex A.Rich.
  • ''E. semisterilis'' S.M.Phillips
  • ''E. tristachya'' (Lam.) Lam.

2. 1. 주요 종


  • 손가락조(''E. coracana'' (L.) Gaertn.): 아프리카와 아시아 일부 지역에서 중요한 식량 작물로 재배된다.
  • 왕바랭이(''E. indica'' (L.) Gaertn.): 한국을 포함한 전 세계 열대 및 아열대 지역에 널리 분포하는 잡초이다.
  • ''E. africana'' Kenn.-O'Byrne
  • ''E. floccifolia'' Spreng.
  • ''E. intermedia'' (Chiov.) S.M.Phillips
  • ''E. jaegeri'' Pilg.
  • ''E. kigeziensis'' S.M.Phillips
  • ''E. multiflora'' Hochst. ex A.Rich.
  • ''E. semisterilis'' S.M.Phillips
  • ''E. tristachya'' (Lam.) Lam.

2. 2. 기타 종


  • ''E. africana'' Kenn.-O'Byrne
  • ''E. floccifolia'' Spreng.
  • ''E. intermedia'' (Chiov.) S.M.Phillips
  • ''E. jaegeri'' Pilg.
  • ''E. kigeziensis'' S.M.Phillips
  • ''E. multiflora'' Hochst. ex A.Rich.
  • ''E. semisterilis'' S.M.Phillips
  • ''E. tristachya'' (Lam.) Lam.

참조

[1] 문서 lectotype designated by Nash in Britton & Brown, Ill. Fl. N. U.S. (ed. 2) 1: 228 (1913)
[2] 웹사이트 Tropicos, Eleusine Gaertn. http://www.tropicos.[...]
[3] 웹사이트 Gaertner, Joseph. 1788. De Fructibus et Seminibus Plantarum 1: pages 7–8 https://www.biodiver[...]
[4] 웹사이트 Gaertner, Joseph. 1788. De Fructibus et Seminibus Plantarum 1: Plate I (1), figure XI (11 a-i) https://www.biodiver[...]
[5] 웹사이트 Multilingual ''Eleusine'' common names http://www.plantname[...]
[6] 웹사이트 US Department of Agriculture Plants Profile http://plants.usda.g[...]
[7] 웹사이트 USDA Genetic Resources Information Network https://web.archive.[...] 2009-10-15
[8] 웹사이트 Kew World Checklist of Selected Plant Families http://apps.kew.org/[...]
[9] 웹사이트 The Plant List search for ''Eleusine'' http://www.theplantl[...]
[10] 웹사이트 Gaertner, Joseph. De Fructibus et Seminibus Plantarum 1: 7. 1788. https://www.biodiver[...]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