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우즈베키스탄 슈퍼리그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우즈베키스탄 슈퍼리그는 1992년 소련 해체 이후 창설된 우즈베키스탄의 최상위 축구 리그이다. 2018년까지 "올리 리가"로 불리다가 현재의 명칭으로 변경되었으며, 매년 3월부터 11월까지 진행된다. 리그 우승팀과 준우승팀, 그리고 우즈베키스탄 컵 우승팀은 AFC 챔피언스 리그에 진출한다. 2024년에는 14개 팀이 참가하며, 파흐타코르 타슈켄트가 최다 우승 기록(16회)을 보유하고 있다. 역대 최다 득점 선수는 안바르 베르디예프이며, 세르베르 제파로프는 2008년 득점왕을 차지했다. 1992년부터 2017년까지는 스폰서가 없었으나, 2018년 펩시, 2019년부터는 코카콜라가 공식 스폰서로 참여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92년 설립된 스포츠 리그 - 프리미어리그
    프리미어리그는 1992년 잉글랜드 1부 리그 클럽들이 풋볼 리그에서 독립하여 창설된 잉글랜드 최상위 프로축구 리그로, 20개 클럽이 참가하여 승점에 따라 순위를 결정하며, UEFA 챔피언스리그 및 유로파리그 진출과 EFL 챔피언십 강등이 결정되는 인기와 수익이 높은 리그이다.
  • 1992년 설립된 스포츠 리그 - J1리그
    J1리그는 1965년 일본 사커 리그로 시작하여 1993년 프로 리그로 출범한 일본 최상위 프로 축구 리그이며, 2024년 기준 20개 팀이 참가하고, 상위 팀은 AFC 챔피언스리그에 진출하며 하위 팀은 J2리그로 강등된다.
  • 아시아의 축구 1부 리그 - A리그 멘
    A리그 멘은 오스트레일리아 최초의 프로 축구 리그로서, 1도시 1팀 체제와 민족색 배제를 통해 대중적 인기 확보를 목표로 2004년 출범하여 현재 AFC 챔피언스리그 출전 및 다양한 더비 매치로 인기를 얻고 있다.
  • 아시아의 축구 1부 리그 - 리가 1 (인도네시아)
    리가 1은 인도네시아 최상위 프로 축구 리그로서, 여러 리그 통합 및 혼란기를 거쳐 2017년 현재 명칭으로 개편되었으며, 18개 팀이 참가하여 승강제를 통해 리가 2와 교류하고, 스폰서십을 받아 "고젝 트래블로카 리가1"으로도 불리는 인도네시아 축구의 중심 리그이다.
우즈베키스탄 슈퍼리그
기본 정보
우즈베키스탄 슈퍼 리그 로고
우즈베키스탄 슈퍼 리그 로고
창립1992년
국가우즈베키스탄
연맹AFC
참가 팀 수14
강등우즈베키스탄 프로 리그
리그 단계1
국내 컵우즈베키스탄 컵
우즈베키스탄 슈퍼컵
리그 컵우즈베키스탄 리그 컵
대륙 컵AFC 챔피언스리그 엘리트
AFC 챔피언스리그 2
최근 우승팀나사프 (1회 우승)
최근 시즌2024
최다 우승팀파흐타코르 (16회 우승)
웹사이트http://pfl.uz
https://t.me/uzpfl
명칭
우즈베크어Ўзбекистон Суперлигаси
러시아어Узбекистан Суперлига
일본어ウズベキスタン・スーパーリーグ
스폰서
타이틀 스폰서코카-콜라
우즈베크어 표기Кока-Кола Ўзбекистон Суперлигаси
러시아어 표기Кока-Кола Узбекистан Суперлига

2. 역사

소련의 해체 이후 1992년에 우즈베키스탄 리그가 창설되었으며, 당시 소련 국내 리그인 소비에트 톱 리그가 해체되었다.[7][8] 1992년부터 2017년까지는 "올리 리가"라는 명칭으로 불렸으며, 2018년부터 "우즈베키스탄 슈퍼 리그"로 공식 명칭이 변경되었다.

리그는 3월경에 시작하여 11월경에 종료되며, 우즈베키스탄 슈퍼컵으로 시즌을 시작하기도 한다. 팀들은 홈 앤드 어웨이 방식으로 경기를 치른다. 2018 시즌부터 리그 참가 클럽 수가 16개에서 12개로 줄었고, 정규 시즌 후 플레이오프를 통해 순위를 결정하는 방식이 도입되었다. (현재는 14개 팀) 과거에는 17개에서 14개 팀이 참가했었으며, 참가팀 수에 따라 2~3개 팀이 하위 리그로 강등된다. 리그 우승팀과 준우승팀은 AFC 챔피언스 리그 다음 시즌에 진출하며, 우즈베키스탄 컵 우승팀도 함께 출전한다.

2. 1. 리그 시스템

우즈베키스탄 슈퍼리그는 일반적으로 3월에서 11월 사이에 진행되며, 우즈베키스탄 슈퍼컵으로 국내 대회를 시작하기도 한다.[2] 팀들은 홈 앤드 어웨이 방식으로 서로 경기를 치른다.[2] 리그 우승팀과 준우승팀은 AFC 챔피언스 리그 다음 시즌에 진출하며, 우즈베키스탄 컵 우승팀도 함께 출전한다.[2]

2018 시즌부터 리그 참가 클럽 수가 16개에서 12개로 줄었고,[2] 정규 시즌 후 플레이오프를 통해 순위를 결정하는 방식이 도입되었다. (현재는 14개 팀) 과거에는 17개에서 14개 팀이 참가했었으며, 참가팀 수에 따라 2~3개 팀이 하위 리그로 강등된다.[2]

3. 현재 클럽 (2024 시즌)

2024 시즌에는 14개의 클럽이 참가한다.

클럽명연고지홈 경기장수용 인원
나브바호르 나망간나망간나망간 마르카지이 스타디움22,000
나사프 카르시카르시카르시 마르카지이 스타디움14,750
로코모티프 타슈켄트타슈켄트로코모티프 스타디움8,000
마샬무바레크바흐람 바포에프 스타디움10,000
메탈루르크 베카바드베카바드베카바드 메탈루르크 스타디움15,000
부뇨드코르타슈켄트부뇨드코르 스타디움34,000
부하라부하라부하라 아레나22,700
세멘치쿠바사이세멘치 스타디움5,000
코칸트코칸트 스타디움10,500
키질쿰 자라프샨자라프샨프로그레스 스타디움12,500
파흐타코르 타슈켄트타슈켄트파흐타코르 마르카지이 스타디움35,000
AGMK올말리크알말리크 메탈루르그 스타디움12,000
네프치 페르가나페르가나페르가나 스타디움14,520



타슈켄트를 연고로 하는 클럽들이 강세를 보이고 있다. 나브바호르 나망간, 나사프 카르시 등 지방 연고 클럽들도 경쟁력을 갖추고 있다.

3. 1. 우즈베키스탄 리그

타슈켄트를 연고로 하는 클럽들이 강세를 보이고 있다. 나브바호르 나망간, 나사프 카르시 등 지방 연고 클럽들도 경쟁력을 갖추고 있다.

우즈베키스탄 리그
클럽위치경기장수용인원감독설립
나브바호르 나망간나망간마르카지 스타디움22,000샴벨 바바얀1978
나사프 카르시카르시카르시 스타디움14,750루지쿨 베르디에프/Ruziqul Berdievuz1986
로코모티프 타슈켄트타슈켄트로코모티프 스타디움8,000안드레이 미클랴에프/Andrey Miklyaevuz2002
마샬무바레크바흐람 바포에프 스타디움10,000알렉산더 코먀코프/Aleksandr Khomyakovru1984
메탈루르크 베카바드베카바드메탈루르크 베카바드 스타디움15,000안드레이 시필로프/Andrey Shipilovuz1945
부뇨드코르타슈켄트부뇨드코르 스타디움34,000이반 부발로2005
부하라부하라부하라 아레나22,700울루그베크 바카에프/Ulug'bek Baqoevuz1989
세멘치쿠바사이세멘치 스타디움5,000압둘라미크 카키모프/Abdulamik Khakimovuz1987
코칸트 1912코칸트코칸트 스타디움10,500울루그베크 바카에프/Ulug'bek Baqoevuz1912
키질쿰 자라프샨자라프샨요슐라르 스타디움12,500유리 루킨/Yuriy Lukinuz1967
파흐타코르타슈켄트파흐타코르 스타디움35,000막심 샤츠키흐1956
AGMK올말리크AGMK 스타디움12,000미르자롤 카시모프2004


4. 역대 우승팀 및 득점왕

네프치소그디아나 발레리 케치노프 (파흐타코르, 24골)1993네프치파흐타코르나브바호르 루스탐 두르모노프 (네프치, 24골)1994네프치부하라나브바호르 라브샨 보조로프 (네프치, 26골)1995네프치MHSK나브바호르 올레그 샤츠키흐 (나브바호르, 23골)1996나브바호르네프치MHSK 자파르 이르스메토프 (두스틀리크, 23골)
올레그 샤츠키흐 (나브바호르, 23골)1997MHSK네프치나브바호르 자파르 이르스메토프 (두스틀리크, 34골)1998파흐타코르네프치나브바호르 미르잘롤 카시모프 (파흐타코르, 22골)
이고르 슈크비린 (파흐타코르, 22골)1999두스틀리크네프치나브바호르 우미드 이소코프 (네프치, 24골)
바흐티요르 하미둘라예프 (안디잔, 24골)2000두스틀리크네프치나사프 자파르 이르스메토프 (두스틀리크, 45골)2001네프치파흐타코르나사프 우미드 이소코프 (네프치, 28골)2002파흐타코르네프치키질쿰 바흐티요르 하미둘라예프 (안디잔, 22골)2003파흐타코르네프치나브바호르 마르셀 이디아툴린 (키질쿰, 26골)2004파흐타코르네프치나브바호르 슈흐라트 미르홀디르쇼예프 (나브바호르, 31골)2005파흐타코르마샬나사프 안바르 솔리에프 (파흐타코르, 29골)2006파흐타코르네프치나사프 파벨 솔로민 (트락토르, 21골)2007파흐타코르쿠루브치마샬 일홈 모민조노프 (쿠루브치, 21골)2008 2분요드코르파흐타코르네프치 세르베르 제파로프 (분요드코르, 19골)2009분요드코르파흐타코르나사프 히바우두 (분요드코르, 20골)2010분요드코르파흐타코르나사프 알리셰르 홀리코프 (네프치, 13골)
노시르베크 오타쿠지예프 (AGMK, 13골)2011분요드코르나사프파흐타코르 밀로스 트리푸노비치 (분요드코르, 17골)2012파흐타코르분요드코르로코모티프 안바르 베르디예프 (네프치, 19골)2013분요드코르로코모티프나사프 올렉산드르 피슈르 (분요드코르, 19골)2014파흐타코르로코모티프나사프 아르투르 게보르키안 (나사프, 18골)2015파흐타코르로코모티프나사프 이고르 세르게예프 (파흐타코르, 23골)2016로코모티프분요드코르나사프 테무르쿠자 압두홀리코프 (로코모티프, 22골)2017로코모티프나사프파흐타코르 마라트 비크마예프 (로코모티프, 26골)2018 3로코모티프파흐타코르나브바호르 티아고 베제라 (파흐타코르, 17골)2019파흐타코르로코모티프분요드코르 드라간 체란 (파흐타코르, 23골)2020파흐타코르나사프AGMK 드라간 체란 (파흐타코르, 21골)2021파흐타코르소그디아나AGMK 드라간 체란 (파흐타코르, 16골)2022파흐타코르나브바호르나사프 드라간 체란 (파흐타코르, 20골)2023파흐타코르나사프나브바호르 드라간 체란 (파흐타코르, 13골)colspan="5"|


4. 1. 우승팀

파흐타코르 타슈켄트가 16회 우승으로 우즈베키스탄 슈퍼리그 최다 우승 기록을 보유하고 있다. 1992년에는 파흐타코르 타슈켄트와 네프치 페르가나가 공동 우승을 차지했다. 네프치 페르가나와 분요드코르는 각각 5회 우승, 로코모티프 타슈켄트는 3회 우승을 기록했다.

시즌우승팀우승 횟수
파흐타코르 타슈켄트16
네프치 페르가나5
분요드코르5
로코모티프 타슈켄트3
두스틀릭 타슈켄트2
나브바호르 나망간1
MHSK 타슈켄트1
나사프 카르시1


4. 2. 득점왕

안바르 베르디예프는 1995년부터 2019년까지 우즈베키스탄 슈퍼리그에서 활동하며 통산 225골을 기록하여 최다 득점 선수로 기록되어 있다.[4] 한국 팬들에게 익숙한 세르베르 제파로프는 분요드코르 소속으로 2008년에 19골을 넣어 득점왕을 차지한 바 있다.[4] 드라간 체란은 파흐타코르에서 뛰면서 2019년부터 2023년까지 5번의 득점왕을 차지했다.[4]

순위이름연도
1안바르 베르디예프1995–2019225
2자파르 홀무로도프1997–2012200
3슈흐라트 미르홀디르쇼예프2000–2014194
4바흐티요르 하미둘라예프1997–2011178
5자파르 이르스메토프1993–2012174
6우미드 이소코프1994–2009171
7라브샨 보조로프1992–2007171
8안바르 솔리예프1996–2015164
9오이베크 우스만코자예프1992–2005157
10루스탐 듀르모노프1992–2002133
11파리드 하비불린1992–2004131
12무흐토르 쿠르보노프1993–2009128
13누몬 하사노프1992–2009125
14노시르베크 오타쿠지예프2003–현재117
15세르베르 제파로프2000–현재113
16슈흐라트 라흐몬쿨로프1992–2005108
17나그메툴라 쿠티바예프1992–2007106
18아르투르 게보르키안2007–현재105
19올레크 샤츠키흐1993–2003105
20발리 켈디예프1992–2006104
21자이니딘 타지예프2001–2015102
22샤흐보즈 에르키노프2003–2019101
23이고르 타란2003–현재95


5. 클럽별 통산 기록

wikitext

클럽우승 횟수준우승 횟수우승 연도
파흐타코르1461992*, 1998, 2002, 2003, 2004, 2005, 2006, 2007, 2012, 2014, 2015, 2019, 2020, 2021
네프치 페르가나591992*, 1993, 1994, 1995, 2001
분요드코르522008, 2009, 2010, 2011, 2013
로코모티프 타슈켄트342016, 2017, 2018
FC 두스트릭201999, 2000
MHSK 타슈켄트111997
나프바호르 나망간1-1996
나사프 카르시-5
FK 부하라-1
PFC 마슈알 무바레크-1

5. 1. 클럽별 우승 횟수

클럽우승준우승3위우승 시즌
파흐타코르16621992*, 1998, 2002, 2003, 2004, 2005, 2006, 2007, 2012, 2014, 2015, 2019, 2020, 2021, 2022, 2023
네프치5911992*, 1993, 1994, 1995, 2001
분요드코르5312008, 2009, 2010, 2011, 2013
로코모티프3412016, 2017, 2018
두스틀릭2--1999, 2000
나사프14112024
나브바호르11101996
MHSK1111997
마샬-11
소그디아나-11
부하라-1-
AGMK--2
키질쿰--1



* 1992년에는 파흐타코르와 네프치 두 팀이 공동 우승을 차지했다.


해산된 팀은 ''이탤릭체''로 표시한다.

5. 2. 역대 리그 순위 (1992-2023)

파흐타코르는 2023 시즌 종료 기준, 리그 역대 순위에서 통산 승점 2020점, 942경기 640승 154무 148패, 2086득점 783실점을 기록하며 1위를 차지하고 있다.[3] 네프치는 승점 1629점으로 2위, 나브바호르는 승점 1463점으로 3위를 기록하고 있다.[3]

순위출전 시즌승점경기승리무승부패배득점실점우승준우승3위최고 순위
1파흐타코르322020942640154148208678316621
2네프치29162986449315022116359185911
3나브바호르3214639424391993041514108311101
4나사프271442790428168194136382914111
5부하라291121864325146393112813140102
6소그디아나281004830281161388103313120112
7분요드코르17974482292102908433975311
8안디잔27915792250165377103012830005
9메탈루르그-베코바드2690775625015734990311390005
10키질쿰-자라프샨248906962461522988369880013
11디나모 사마르칸트2486373224413135787710810004
12로코모티프-타슈켄트168564602491091548085893411
13마샬-무보라크197445382141022236737250112
14코칸트 191217634516180942526708720005
15올말리크16622452175971766386210023
16트랙터-타슈켄트16621490178872256848140004
17두스틀릭11559346169521256695322001
18수르혼-테르미즈17536504148922535749140006
19쇼르탄-구자르12381340109541773935660004
20MHSK736221610644664203351111
21호레즘823024862441422815180007
22자라프샨 나보이62171966037992363550009
23양기예르7205216563712326638500010
24투론 누쿠스515516444239717132900011
25코손소이51451564025911713050008
26굴리스탄5119154341710314234000014
27아틀라치41181243416741492800007
28치르치크410312226257113024000014
29토팔랑-사리오시요396862812461031460009
30키묘가르-치르치크39610425215811319300014
31올림피크2665215211657600006
32아카데미야 타슈켄트159341611772450005
33세무르그 안그렌257721512459920000012
34투론2335261531328800013
35세멘치-콰사요이131308715396400015
36칠론조르-타슈켄트130348620517000016
37샤흐리혼128327718256700015
38오보드124306618255100014
39보브켄트115303621237000016
40우즈-동-주 안디잔113302721176500016



width=10px bgcolor=ACE1AF|2024년 우즈베키스탄 슈퍼리그 팀
width=10px bgcolor=FBE08D|2024년 우즈베키스탄 슈퍼리그에 참가하지 않은 팀
width=10px bgcolor=BBBBBB|클럽 해체


6. 기타

6. 1. 스폰서십

1992년부터 2017년까지 우즈베키스탄 슈퍼리그는 어떠한 기업과도 타이틀 스폰서십 계약을 맺지 않았다.[6] 2018년 4월 4일, 우즈베키스탄 축구 협회 부회장 우미드 아흐마존노프와 공식 ''PepsiCo'' 병입 업체인 IBT는 펩시가 2018 시즌의 공식 리그 스폰서가 되는 데 합의했다.[6] 2019년부터는 코카콜라가 리그의 공식 스폰서로 활동하고 있다.

기간스폰서명칭
1992–2017스폰서 없음올리 리가
2018펩시(PepsiCo)펩시 우즈베키스탄 슈퍼 리그
2019–현재코카콜라(The Coca-Cola Company)코카콜라 우즈베키스탄 슈퍼 리그


6. 2. 한국과의 관계

참조

[1] 웹사이트 Coca-Cola – титульный спонсор Суперлиги и Кубка Узбекистана http://pfl.uz/ru/new[...] pfl.uz 2019-03-06
[2] 뉴스 Высшая и Первая лиги Узбекистана сменят названия https://www.gazeta.u[...] Gazeta.uz 2017-11-21
[3] Webarchive 25 та Ўзбекистон чемпионатининг умумий жадвали http://championat.uz[...] 2016-11-30
[4] 웹사이트 Uzbekistan Super League all time topscoreres (as of 10 December 2018) https://championat.a[...] Championat.asia 2018-12-10
[5] 웹사이트 Uzbekistan Super League most appearances (9 December 2018) https://championat.a[...] Championat.asia 2018-12-09
[6] 뉴스 Суперлига по футболу представила своего первого титульного спонсора https://nuz.uz/sport[...] 2018-04-05
[7] 간행물 Высшая и Первая лиги будут переименованы в Суперлигу и Про-лигу Узбекистана http://the-uff.com/r[...] ウズベキスタンサッカー連盟 2017-11-21
[8] 뉴스 Высшая и Первая лиги Узбекистана сменят названия https://www.gazeta.u[...] 2017-11-2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