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즈베키스탄 슈퍼리그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우즈베키스탄 슈퍼리그는 1992년 소련 해체 이후 창설된 우즈베키스탄의 최상위 축구 리그이다. 2018년까지 "올리 리가"로 불리다가 현재의 명칭으로 변경되었으며, 매년 3월부터 11월까지 진행된다. 리그 우승팀과 준우승팀, 그리고 우즈베키스탄 컵 우승팀은 AFC 챔피언스 리그에 진출한다. 2024년에는 14개 팀이 참가하며, 파흐타코르 타슈켄트가 최다 우승 기록(16회)을 보유하고 있다. 역대 최다 득점 선수는 안바르 베르디예프이며, 세르베르 제파로프는 2008년 득점왕을 차지했다. 1992년부터 2017년까지는 스폰서가 없었으나, 2018년 펩시, 2019년부터는 코카콜라가 공식 스폰서로 참여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92년 설립된 스포츠 리그 - 프리미어리그
프리미어리그는 1992년 잉글랜드 1부 리그 클럽들이 풋볼 리그에서 독립하여 창설된 잉글랜드 최상위 프로축구 리그로, 20개 클럽이 참가하여 승점에 따라 순위를 결정하며, UEFA 챔피언스리그 및 유로파리그 진출과 EFL 챔피언십 강등이 결정되는 인기와 수익이 높은 리그이다. - 1992년 설립된 스포츠 리그 - J1리그
J1리그는 1965년 일본 사커 리그로 시작하여 1993년 프로 리그로 출범한 일본 최상위 프로 축구 리그이며, 2024년 기준 20개 팀이 참가하고, 상위 팀은 AFC 챔피언스리그에 진출하며 하위 팀은 J2리그로 강등된다. - 아시아의 축구 1부 리그 - A리그 멘
A리그 멘은 오스트레일리아 최초의 프로 축구 리그로서, 1도시 1팀 체제와 민족색 배제를 통해 대중적 인기 확보를 목표로 2004년 출범하여 현재 AFC 챔피언스리그 출전 및 다양한 더비 매치로 인기를 얻고 있다. - 아시아의 축구 1부 리그 - 리가 1 (인도네시아)
리가 1은 인도네시아 최상위 프로 축구 리그로서, 여러 리그 통합 및 혼란기를 거쳐 2017년 현재 명칭으로 개편되었으며, 18개 팀이 참가하여 승강제를 통해 리가 2와 교류하고, 스폰서십을 받아 "고젝 트래블로카 리가1"으로도 불리는 인도네시아 축구의 중심 리그이다.
우즈베키스탄 슈퍼리그 | |
---|---|
기본 정보 | |
![]() | |
창립 | 1992년 |
국가 | 우즈베키스탄 |
연맹 | AFC |
참가 팀 수 | 14 |
강등 | 우즈베키스탄 프로 리그 |
리그 단계 | 1 |
국내 컵 | 우즈베키스탄 컵 우즈베키스탄 슈퍼컵 |
리그 컵 | 우즈베키스탄 리그 컵 |
대륙 컵 | AFC 챔피언스리그 엘리트 AFC 챔피언스리그 2 |
최근 우승팀 | 나사프 (1회 우승) |
최근 시즌 | 2024 |
최다 우승팀 | 파흐타코르 (16회 우승) |
웹사이트 | http://pfl.uz https://t.me/uzpfl |
명칭 | |
우즈베크어 | Ўзбекистон Суперлигаси |
러시아어 | Узбекистан Суперлига |
일본어 | ウズベキスタン・スーパーリーグ |
스폰서 | |
타이틀 스폰서 | 코카-콜라 |
우즈베크어 표기 | Кока-Кола Ўзбекистон Суперлигаси |
러시아어 표기 | Кока-Кола Узбекистан Суперлига |
2. 역사
소련의 해체 이후 1992년에 우즈베키스탄 리그가 창설되었으며, 당시 소련 국내 리그인 소비에트 톱 리그가 해체되었다.[7][8] 1992년부터 2017년까지는 "올리 리가"라는 명칭으로 불렸으며, 2018년부터 "우즈베키스탄 슈퍼 리그"로 공식 명칭이 변경되었다.
리그는 3월경에 시작하여 11월경에 종료되며, 우즈베키스탄 슈퍼컵으로 시즌을 시작하기도 한다. 팀들은 홈 앤드 어웨이 방식으로 경기를 치른다. 2018 시즌부터 리그 참가 클럽 수가 16개에서 12개로 줄었고, 정규 시즌 후 플레이오프를 통해 순위를 결정하는 방식이 도입되었다. (현재는 14개 팀) 과거에는 17개에서 14개 팀이 참가했었으며, 참가팀 수에 따라 2~3개 팀이 하위 리그로 강등된다. 리그 우승팀과 준우승팀은 AFC 챔피언스 리그 다음 시즌에 진출하며, 우즈베키스탄 컵 우승팀도 함께 출전한다.
2. 1. 리그 시스템
우즈베키스탄 슈퍼리그는 일반적으로 3월에서 11월 사이에 진행되며, 우즈베키스탄 슈퍼컵으로 국내 대회를 시작하기도 한다.[2] 팀들은 홈 앤드 어웨이 방식으로 서로 경기를 치른다.[2] 리그 우승팀과 준우승팀은 AFC 챔피언스 리그 다음 시즌에 진출하며, 우즈베키스탄 컵 우승팀도 함께 출전한다.[2]2018 시즌부터 리그 참가 클럽 수가 16개에서 12개로 줄었고,[2] 정규 시즌 후 플레이오프를 통해 순위를 결정하는 방식이 도입되었다. (현재는 14개 팀) 과거에는 17개에서 14개 팀이 참가했었으며, 참가팀 수에 따라 2~3개 팀이 하위 리그로 강등된다.[2]
3. 현재 클럽 (2024 시즌)
2024 시즌에는 14개의 클럽이 참가한다.
클럽명 | 연고지 | 홈 경기장 | 수용 인원 |
---|---|---|---|
나브바호르 나망간 | 나망간 | 나망간 마르카지이 스타디움 | 22,000 |
나사프 카르시 | 카르시 | 카르시 마르카지이 스타디움 | 14,750 |
로코모티프 타슈켄트 | 타슈켄트 | 로코모티프 스타디움 | 8,000 |
마샬 | 무바레크 | 바흐람 바포에프 스타디움 | 10,000 |
메탈루르크 베카바드 | 베카바드 | 베카바드 메탈루르크 스타디움 | 15,000 |
부뇨드코르 | 타슈켄트 | 부뇨드코르 스타디움 | 34,000 |
부하라 | 부하라 | 부하라 아레나 | 22,700 |
세멘치 | 쿠바사이 | 세멘치 스타디움 | 5,000 |
코칸트 | 코칸트 스타디움 | 10,500 | |
키질쿰 자라프샨 | 자라프샨 | 프로그레스 스타디움 | 12,500 |
파흐타코르 타슈켄트 | 타슈켄트 | 파흐타코르 마르카지이 스타디움 | 35,000 |
AGMK | 올말리크 | 알말리크 메탈루르그 스타디움 | 12,000 |
네프치 페르가나 | 페르가나 | 페르가나 스타디움 | 14,520 |
타슈켄트를 연고로 하는 클럽들이 강세를 보이고 있다. 나브바호르 나망간, 나사프 카르시 등 지방 연고 클럽들도 경쟁력을 갖추고 있다.
3. 1. 우즈베키스탄 리그
타슈켄트를 연고로 하는 클럽들이 강세를 보이고 있다. 나브바호르 나망간, 나사프 카르시 등 지방 연고 클럽들도 경쟁력을 갖추고 있다.우즈베키스탄 리그 | |||||
---|---|---|---|---|---|
클럽 | 위치 | 경기장 | 수용인원 | 감독 | 설립 |
나브바호르 나망간 | 나망간 | 마르카지 스타디움 | 22,000 | 샴벨 바바얀 | 1978 |
나사프 카르시 | 카르시 | 카르시 스타디움 | 14,750 | 루지쿨 베르디에프/Ruziqul Berdievuz | 1986 |
로코모티프 타슈켄트 | 타슈켄트 | 로코모티프 스타디움 | 8,000 | 안드레이 미클랴에프/Andrey Miklyaevuz | 2002 |
마샬 | 무바레크 | 바흐람 바포에프 스타디움 | 10,000 | 알렉산더 코먀코프/Aleksandr Khomyakovru | 1984 |
메탈루르크 베카바드 | 베카바드 | 메탈루르크 베카바드 스타디움 | 15,000 | 안드레이 시필로프/Andrey Shipilovuz | 1945 |
부뇨드코르 | 타슈켄트 | 부뇨드코르 스타디움 | 34,000 | 이반 부발로 | 2005 |
부하라 | 부하라 | 부하라 아레나 | 22,700 | 울루그베크 바카에프/Ulug'bek Baqoevuz | 1989 |
세멘치 | 쿠바사이 | 세멘치 스타디움 | 5,000 | 압둘라미크 카키모프/Abdulamik Khakimovuz | 1987 |
코칸트 1912 | 코칸트 | 코칸트 스타디움 | 10,500 | 울루그베크 바카에프/Ulug'bek Baqoevuz | 1912 |
키질쿰 자라프샨 | 자라프샨 | 요슐라르 스타디움 | 12,500 | 유리 루킨/Yuriy Lukinuz | 1967 |
파흐타코르 | 타슈켄트 | 파흐타코르 스타디움 | 35,000 | 막심 샤츠키흐 | 1956 |
AGMK | 올말리크 | AGMK 스타디움 | 12,000 | 미르자롤 카시모프 | 2004 |
4. 역대 우승팀 및 득점왕
네프치
올레그 샤츠키흐 (나브바호르, 23골)
이고르 슈크비린 (파흐타코르, 22골)
바흐티요르 하미둘라예프 (안디잔, 24골)
노시르베크 오타쿠지예프 (AGMK, 13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