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크라이나 외무부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우크라이나 외무부는 우크라이나의 외교 정책을 담당하는 정부 부처이다. 1917년 우크라이나 중앙 사무국 내 국가 사무국으로 시작하여, 소비에트의 개입과 여러 차례의 개편을 거쳐 1991년 우크라이나 독립 이후 현재의 형태로 운영되고 있다. 주요 임무는 국익과 안전 보장, 국제적 지위 증진, 독립 강화, 해외 우크라이나 시민 보호 등이며, 현재 드미트로 쿨레바가 외무부 장관을 맡고 있다. 우크라이나는 유네스코와 협력하며, 2022년에는 외무부 관련 소포 테러 사건이 발생하기도 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우크라이나의 중앙 행정 기관 - 우크라이나 국방부
우크라이나 국방부는 우크라이나의 군사 정책을 관할하는 정부 부처로서, 적대 행위 방지, 군대 구조화, 침략 격퇴를 목표로 군대 활동 지원, 임무 준비 태세 유지, 무기 및 군사 장비 공급 등의 책임을 지며, 1991년 설립 후 2016년부터 국방부 프로세스 개혁을 추진하고 있다. - 우크라이나의 중앙 행정 기관 - 우크라이나 내무부
우크라이나 내무부는 1991년 우크라이나 독립 이후 설립된 정부 기관으로, 국가 경찰, 국가 근위대 등 여러 기관을 산하에 두고 있으며, 내무부 장관은 부처를 총괄하며 총리, 의회, 대통령에게 책임을 진다. - 우크라이나의 대외 관계 - 민주주의와 경제 발전을 위한 구암 기구
민주주의와 경제 발전을 위한 구암 기구는 조지아, 우크라이나, 아제르바이잔, 몰도바 4개국이 결성한 기구로서, 소련 붕괴 이후 민주주의와 경제 발전을 추구하며, 자유무역지대 설립을 추진해왔다. - 우크라이나의 대외 관계 - 노르망디 포맷
노르망디 형식은 우크라이나 사태 해결을 위해 프랑스, 독일, 러시아, 우크라이나 4개국이 참여하는 외교적 협의체로, 우크라이나 동부 분쟁 해결과 민스크 협정 이행을 목표로 했으나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으로 중단되어 현재 역할과 지속 가능성에 대한 의문이 제기되고 있다. - 외무부 - 미국 국무부
미국 국무부는 1789년에 설립되어 외교 정책을 담당하며, 현재는 세계 각국과의 외교 관계를 수립하고 유지하며, 조약 협상 및 국제기구 활동 등을 수행한다. - 외무부 - 중화인민공화국 외교부
중화인민공화국 외교부는 1949년 건국과 함께 설립되어 중국의 외교 정책을 수행하는 최고 기관으로, 역사적 변화와 국제적 위상 강화에 따라 역할과 영향력이 증대되었으나 최근 정보 작전에 대한 비판도 제기되고 있다.
우크라이나 외무부 - [정부기관]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기관 유형 | 정부 부처 |
설립일 | 1917년 11월 12일 |
관할 | 우크라이나 정부 |
본부 위치 | 키이우, 미하이িলロフスキー 광장 1번지 |
직원 수 | 2,000명 이상 |
웹사이트 | 공식 웹사이트 |
인물 | |
외무부 장관 | 안드리 시비하 |
관련 기관 | |
상위 기관 | 우크라이나 각료 내각 |
2. 역사
우크라이나 외무부의 역사는 1917년 우크라이나 총국으로 설치되면서 시작되었으며, 세르히 예프레모프가 초대 수장을 맡았다.[1] 이후 소련의 개입으로 1917년 12월 22일에 부처로 개편되었고, 1923년 소련 정부에 의해 폐지되었다가 1944년에 부활하였다.[1] 1991년 우크라이나 독립 이후에도 계속 운영되고 있다.[1] 초기에는 크리스티안 라코프스키와 같은 인물이 외무장관을 역임했다.[1]
2. 1. 초기 역사 (1917-1923)
우크라이나 중앙 사무국의 국가 사무국으로 설치되어 세르히 예프레모프가 수장을 맡았다.[1] 1917년 12월 22일, 소비에트의 개입으로 부처로 개편되었다.[1] 같은 시기, 우크라이나 정부를 반혁명 정부로 선포한 다른 정부(소비에트)가 구성되었다.[1] 우크라이나 소비에트 정부는 1918년 3월 1일에 자체 사무실을 개편했다.[1] 1923년 소비에트 연방 정부에 의해 해체되었으나, 20년 후인 1944년에 부활했다.[1] 초기 소비에트 대표들은 1919년 불가리아 출신 크리스티안 라코프스키가 임명되기 전까지는 주목할 만한 인물이 아니었다.[1]초기 우크라이나 외무부 장관은 다음과 같다.
구분 | 이름 | 정당 | 임기 |
---|---|---|---|
민족 사무총장 | 세르히 예프레모프 | 사회주의 연방주의자 | 1917년 6월 28일 - 1917년 7월 17일 |
민족 사무총장 | 올렉산드르 슐긴 | 사회주의 연방주의자 | 1917년 7월 17일 - 1917년 12월 22일 |
민족 인민 사무국 | 세르게이 바킨스키 | 볼셰비키 | 1917년 12월 14일 - 1918년 3월 1일 |
외무부 장관 | 올렉산드르 슐긴 | 사회주의 연방주의자 | 1917년 12월 22일 - 1918년 1월 24일 |
외무부 장관 | 브세볼로드 홀루보비치 | 사회주의 혁명가 | 1918년 1월 24일 - 1918년 3월 3일 |
외무부 장관 | 미콜라 류빈스키 | 사회주의 혁명가 | 1918년 3월 3일 - 1918년 4월 28일 |
외무부 장관 | 미콜라 바실렌코 | 우크라이나 진보주의자 협회 | 1918년 4월 30일 - 1918년 5월 20일 |
외무부 장관 | 드미트로 도로셴코 | 사회주의 연방주의자 | 1918년 5월 20일 - 1918년 11월 14일 |
외무부 장관 | 게오르기 아파나시에프 | 1918년 11월 14일 - 1918년 12월 14일 | |
외무부 장관 | 볼로디미르 체히우스키 | 우크라이나 멘셰비키 | 1918년 12월 26일 - 1919년 2월 11일 |
외무부 장관 | 코스티안틴 마치예비치 | 1919년 2월 13일 - 1919년 3월 | |
외무부 장관 | 볼로디미르 템니츠키 | 사회민주당원 | 1919년 4월 - 1919년 8월 |
외무부 장관 | 안드리 리비츠키 | 우크라이나 멘셰비키 | 1919년 8월 - 1920년 5월 |
외무 인민 위원 | 볼로디미르 자톤스키 | 볼셰비키 | 1918년 3월 1일–4일 |
외무 인민 위원 | 미콜라 스크리프니크 | 볼셰비키 | 1918년 3월 8일 - 1918년 4월 18일 |
외무 인민 위원 | 크리스티안 라코프스키 | 볼셰비키 | 1919년 1월 - 1919년 7월, 1920년 3월 - 1923년 7월 |
서우크라이나 외무 장관 | 바실 파네이코 | 국민 민주당 | 1918년 11월 - 1919년 1월 |
서우크라이나 외무 장관 | 롱힌 체헬스키 | 국민 민주당 | 1919년 1월 - 1919년 2월 |
서우크라이나 외무 장관 | 미하일로 로진스키 | 1919년 3월 - 1919년 4월 | |
서우크라이나 외무 장관 | 스테판 비트비츠키 | 국민 민주당 | 1919년 4월 - 1920년 2월 |
서우크라이나 외무 장관 | 코스트 레비츠키 | 국민 민주당 | 1920년 - 1923년 2월 |
2. 2. 소련 시기 (1944-1991)
소련의 개입으로 1917년 12월 22일 우크라이나 총국이 부처로 개편되었고, 비슷한 시기에 우크라이나 정부가 반혁명적임을 선언하는 또 다른 정부(소련)가 구성되었다. 우크라이나 소비에트 정부도 1918년 3월 1일 외무부를 개편하게 된다. 1923년 소련 정부에 의해 이 사무소는 폐지되었다가 20년 후인 1944년에 부활하였다. 최초의 소련 외무장관들은 1919년 불가리아 태생의 크리스티안 라코프스키가 임명되기 전까지는 큰 주목을 받지 못했다. 우크라이나 외무부는 1991년 우크라이나의 독립 이후에도 오늘날까지 계속 운영되고 있다.[1]직책 | 이름 | 임기 |
---|---|---|
외무 인민 위원 | 올렉산드르 코르니이추크 | 1944년 2월 - 7월 |
외무 인민 위원 | 드미트리 마누일스키 | 1944년 7월 - 1946년 3월 15일 |
외무부 장관 | 드미트리 마누일스키 | 1946년 3월 15일 - 1952년 |
외무부 장관 | 아나톨리 바라노프스키 | 1952년 6월 10일 - 1953년 6월 17일 |
외무부 장관 | 루카 팔라마르추크 | 1953년 6월 17일 - 1965년 8월 13일 |
외무부 장관 | 드미트로 빌로콜로스 | 1966년 3월 16일 - 1970년 6월 11일 |
외무부 장관 | 게오르기 셰벨 | 1970년 8월 10일 - 1980년 11월 18일 |
외무부 장관 | 볼로디미르 마르티넨코 | 1980년 11월 18일 - 1984년 12월 28일 |
외무부 장관 | 볼로디미르 크라베츠 | 1984년 12월 28일 - 1990년 7월 27일 |
외무부 장관 | 아나톨리 즐렌코 | 1990년 7월 27일 - 1991년 8월 24일 |
2. 3. 독립 이후 (1991-)
우크라이나 외무부는 1991년 우크라이나 독립 이후에도 계속 운영되고 있다.이름 | 임기 |
---|---|
아나톨리 즐렌코 | 1991년 8월 24일 ~ 1994년 8월 25일 |
헨나디 우도벤코 | 1994년 8월 25일 ~ 1998년 4월 17일 |
보리스 타라시우크 | 1998년 4월 17일 ~ 2000년 9월 29일 |
아나톨리 즐렌코 | 2000년 10월 2일 ~ 2003년 9월 2일 |
코스티안틴 그리셴코 | 2003년 9월 2일 ~ 2005년 2월 3일 |
보리스 타라시우크 | 2005년 2월 4일 ~ 2006년 12월 1일 2006년 12월 5일 ~ 2007년 1월 30일 |
볼로디미르 오흐리츠코 | 2007년 1월 31일 ~ 2007년 3월 21일 |
아르세니 야체뉴크 | 2007년 3월 21일 ~ 2007년 12월 18일 |
볼로디미르 오흐리츠코 | 2007년 12월 18일 ~ 2009년 3월 3일 |
페트로 포로셴코 | 2009년 10월 9일 ~ 2010년 3월 11일 |
코스티안틴 그리셴코 | 2010년 3월 11일 ~ 2012년 12월 24일 |
레오니드 코자라 | 2012년 12월 24일 ~ 2014년 2월 23일 |
안드리 데쉬치차 | 2014년 2월 27일 ~ 2014년 6월 19일 |
파블로 클림킨 | 2014년 6월 19일 ~ 2019년 8월 29일 |
바딤 프리스타이코 | 2019년 8월 29일 ~ 2020년 3월 4일 |
드미트로 쿨레바 | 2020년 3월 4일 ~ 2024년 9월 5일 |
안드리 시비하 | 2024년 9월 5일 ~ |
2006년 7월 12일 우크라이나 내각 결의안 제960호에 따르면, 우크라이나 외무부의 주요 임무는 다음과 같다.[1]
3. 주요 임무
4. 조직
우크라이나 외무부는 우크라이나 수도 키이우의 역사적인 구 키이우 지구에 있으며, 최근 재건된 성 미카엘 황금 돔 수도원과 인접해 있다. 외무부 건물은 수도원을 기념하여 명명된 미하일 리스카 광장과 볼로디미르 언덕 공원 옆에 자리하고 있다.
외무장관 임명은 우크라이나 대통령이 하며, 우크라이나 각료회의의 다른 장관들과 달리 우크라이나 의회의 승인을 받아야 한다.[4]
4. 1. 수뇌부
직책 | 이름 | 비고 |
---|---|---|
외무부 장관 | 드미트로 쿨레바 | |
외무 제1차관 | 에미네 제파로바 | [14][15] |
외무 차관 | 에호르 보조크 | [16] |
외무 차관 | 바실리 보드나르 | [17] |
외무 차관 | 예우헨 예닌 | [18] |
디지털 개발, 디지털 전환, 디지털화 담당 차관 | 드미트로 세닉 | [19][20] |
4. 2. 부서
부서명 |
---|
장관 비서실 |
제1 유럽국 |
제2 유럽국 |
아메리카국 |
아시아 태평양국 |
중동 아프리카국 |
유럽 연합국 |
러시아 연방의 위협에 대응하기 위한 부서 |
국제 안보국 |
국제 기구국 |
영사 서비스 부 |
인사 관리부 |
정치부 |
재무부 |
외교 서비스 개발 및 제공 부서 |
국제법학과 |
공공 외교학과 |
우크라이나 연구원[21] |
5. 국제 협력
2006년 7월 12일 우크라이나 내각 결의안 제960호에 따르면, 우크라이나 외무부는 다음과 같은 주요 임무를 수행한다.[4]
- 국제 사회와의 평화롭고 상호 이익이 되는 협력을 통해 우크라이나의 국익과 안보를 확보한다.
- 우크라이나의 국제적 지위를 안정시키고 국제적인 명성을 높여, 세계에서 신뢰할 수 있는 동반자로서의 이미지를 널리 알린다.
- 우크라이나의 독립, 국가 주권, 경제적 독립 및 영토 보전을 강화하기 위한 유리한 외부 조건을 조성한다.
- 부여된 권한 내에서 우크라이나 외교 정책의 통일성과 일관성을 확보한다.
- 해외 우크라이나 시민 및 법인의 권리와 이익을 보호한다.
- 외국에 있는 우크라이나 공동체와의 관계 발전을 촉진하고, 국제법 규범 및 우크라이나 현행 법률에 따라 이들에게 지원과 보호를 제공한다.
5. 1. 유네스코
우크라이나는 1954년 5월 12일에 유네스코에 가입하였으며,[5] 1962년에 유네스코 대표부를 설치하였다.[25][26][27] 현재 주프랑스 우크라이나 대사가 유네스코 대표를 겸임하고 있다.[25][26][27] 1996년 3월 26일 대통령령으로 외무부 산하에 우크라이나 유네스코 국가위원회가 설치되었으며, 위원장은 세르히 키슬리차이다.[6] 우크라이나의 유네스코 상임 대표는 주 프랑스 대사인 코스티안틴 티모셴코이다.[7] 우크라이나는 유네스코와 협력하는 14개의 학과와 유네스코 관련 63개의 학교를 가지고 있다.[8][9]6. 사건 및 논란
2022년 12월 2일, 헝가리, 네덜란드, 폴란드, 크로아티아, 이탈리아, 오스트리아의 우크라이나 대사관 및 총영사관에 동물의 시체가 든 소포가 발송되었다.[22] 드미트로 쿨레바 우크라이나 외무부 장관은 이를 "테러 행위"로 규탄했다. 11월 말에는 주스페인 우크라이나 대사에게 배달된 소포가 폭발하는 사건도 있었다.
참조
[1]
웹사이트
Official website of the Ministry. Contact Us (section).
http://mfa.gov.ua/en
2017
[2]
웹사이트
History of the MFA
http://www.mfa.gov.u[...]
2008-08-10
[3]
웹사이트
Official website of the Ministry. Structure.
http://mfa.gov.ua/en[...]
2017-03-09
[4]
뉴스
Rada appoints Poroshenko Ukraine's foreign minister
http://www.kyivpost.[...]
Kyiv Post
2009-10-09
[5]
웹사이트
Співпраця України та ЮНЕСКО
http://www.mfa.gov.u[...]
[6]
웹사이트
Sergiy Kyslytsya - Deputy Minister of Foreign Affairs of Ukraine - MFA of Ukraine
http://mfa.gov.ua/en[...]
2016-06-25
[7]
웹사이트
Постійне Представництво України при ЮНЕСКО
http://www.mfa.gov.u[...]
[8]
웹사이트
List of departments associated with UNESCO
http://www.mfa.gov.u[...]
[9]
웹사이트
List of schools associated with UNESCO
http://www.mfa.gov.u[...]
[10]
뉴스
Yanukovych appoints new Cabinet of Ministers
http://www.kyivpost.[...]
Kyiv Post
2012-12-24
[11]
웹사이트
Official website of the Ministry. Contact Us (section).
http://mfa.gov.ua/en
2008-08-10
[12]
웹사이트
History of the MFA
http://www.mfa.gov.u[...]
2008-08-10
[13]
웹사이트
ウクライナ議会、シビハ氏を新外相に任命
https://www.ukrinfor[...]
2024-12-18
[14]
웹사이트
Стало відомо, хто стане першим заступником голови МЗС України
https://www.rbc.ua/u[...]
2020-05-18
[15]
웹사이트
Про призначення Джапарової Е. А. першим заступником Міністра закордонних справ України
https://www.kmu.gov.[...]
2022-02-20
[16]
웹사이트
Про призначення Божка Є. В. заступником Міністра закордонних справ України
https://www.kmu.gov.[...]
2022-02-20
[17]
웹사이트
Про призначення Боднара В. М. заступником Міністра закордонних справ України
https://www.kmu.gov.[...]
2022-02-20
[18]
웹사이트
Про призначення Єніна Є. В. заступником Міністра закордонних справ України
https://www.kmu.gov.[...]
2022-02-20
[19]
웹사이트
Кулебі призначили заступника із "цифрових" питань
https://www.ukrinfor[...]
2022-02-20
[20]
웹사이트
Про призначення Сеніка Д. Ю. заступником Міністра закордонних справ України з питань цифрового розвитку, цифрових трансформацій і цифровізації
https://www.kmu.gov.[...]
2022-02-20
[21]
웹사이트
Департаменти та управління Міністерства закордонних справ України
http://mfa.gov.ua/ua[...]
[22]
Youtube
欧州7か国のウクライナ大使館に動物の死がい含む小包|TBS NEWS DIG
https://www.youtube.[...]
2022-12-03
[23]
웹인용
History of the MFA
http://www.mfa.gov.u[...]
2008-08-10
[24]
뉴스
Rada appoints Poroshenko Ukraine's foreign minister
http://www.kyivpost.[...]
Kyiv Post
2009-10-09
[25]
웹사이트
List of departments associated with UNESCO
http://www.mfa.gov.u[...]
[26]
웹사이트
Постійне Представництво України при ЮНЕСКО
http://www.mfa.gov.u[...]
[27]
웹인용
Sergiy Kyslytsya - Deputy Minister of Foreign Affairs of Ukraine - MFA of Ukraine
http://mfa.gov.ua/en[...]
2016-06-25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푸틴 “젤렌스키, 양자회담 원하면 모스크바 와라”
“우리는 우리의 정장이 있다”…우크라, 트럼프 정장 타령에 반격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