울리세스 FC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울리세스 FC는 2000년 디나모-2000 예레반으로 창단되어 아르메니아 프리미어 리그에 참가한 아르메니아의 축구 클럽이다. 2006년 현재의 명칭으로 변경되었으며, 2011년에는 리그 우승을 차지하며 FC 퓨닉의 10연속 우승을 저지했다. 2016년 재정적 문제로 인해 해체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울리세스 FC - 바즈겐 사르키샨 공화국 경기장
바즈겐 사르키샨 공화국 경기장은 아르메니아 예레반에 위치한 다목적 경기장으로, 1935년 디나모 경기장으로 개장하여 1999년 개보수 후 공화국 경기장으로 개칭, 이후 바즈겐 사르키샨의 업적을 기려 현재의 이름으로 변경되었으며 아르메니아 축구 국가대표팀의 홈 구장으로 사용된다. - 아르메니아의 없어진 축구단 - FC 미카
FC 미카는 1985년에 창단되어 여러 차례 우승을 차지했으며, 2007년 예레반으로 연고지를 이전했다가 재정 문제로 은퇴 후 2022년에 프로 리그에 복귀한 아르메니아의 축구 클럽이다. - 아르메니아의 없어진 축구단 - 아락스 아라라트 FC
아락스 아라라트 FC는 아르메니아 아라라트 시를 연고로 1960년에 창단되어 1998년 3관왕을 달성했으나 재정 문제로 해체와 재창단을 반복하다 현재는 아마추어 리그에서 활동한다. - 아르메니아 프리미어리그 구단 - FC 퓨니크
FC 퓨니크는 1992년 호메네트멘 예레반으로 창단되어 아르메니아 프리미어리그에서 16번 우승을 차지했으며, UEFA 챔피언스 리그 예선 3라운드 진출 등의 성적을 거둔 아르메니아의 축구 클럽이다. - 아르메니아 프리미어리그 구단 - FC 아라라트 예레반
FC 아라라트 예레반은 1935년 창단된 아르메니아의 축구 클럽으로, 소련 시절 리그 우승과 컵 우승을 차지하며 전성기를 누렸고, 아르메니아 독립 후에도 리그 우승과 컵 우승을 기록하며 현재 아르메니아 프리미어리그에 참가하고 흐라즈단 스타디움을 홈 구장으로 사용하고 있다.
| 울리세스 FC - [스포츠팀]에 관한 문서 | |
|---|---|
| 기본 정보 | |
![]() | |
| 풀네임 | 울리세스 축구 클럽 |
| 별칭 | (없음) |
| 창단 | 2000년 |
| 해체 | 2016년 |
| 홈구장 | 바즈겐 사르키샨 공화국 경기장, 예레반 |
| 수용 인원 | 14,403명 |
| 구단주 | 발레리 호브하니스얀 |
| 회장 | 헨리흐 가잔지얀 |
| 감독 | 가기크 시모냔 |
| 스폰서 | "홀리데이" 그룹 오브 컴퍼니즈 |
| 웹사이트 | 울리세스 FC 공식 웹사이트 |
| 클럽 정보 | |
| 리그 | 아르메니아 프리미어리그 |
| 2015–16 시즌 | 8위 (최종) |
| 유니폼 | |
| 홈 유니폼 | 흰색 셔츠, 흰색 바지, 흰색 양말 |
| 원정 유니폼 | 빨간색 셔츠, 빨간색 바지, 빨간색 양말 |
| 서드 유니폼 | 검은색 셔츠, 검은색 바지, 흰색 양말 |
2. 역사
클럽은 2000년 디나모-2000 예레반이라는 이름으로 창단되었고, 이후 스폰서 변경에 따라 2004년 디나모-제니트 예레반으로, 2006년에는 울리세스 FC로 명칭을 변경했다.[4][5]
2009년 아르메니아 프리미어 리그에서 3위를 기록하며 클럽 역사상 처음으로 UEFA 유로파 리그 출전 자격을 얻었다. 2011년에는 창단 후 첫 아르메니아 프리미어 리그 우승 트로피를 들어 올렸다. 다음 해 열린 아르메니아 슈퍼컵에서는 아르메니아 독립컵 우승팀인 FC 미카와 맞붙었으나, 승부차기 끝에 패배하여 준우승에 머물렀다.[6]
그러나 재정적 및 비재정적 문제로 인해 2016년 결국 해체되었다.
2. 1. 창단과 명칭 변경 (2000-2006)
클럽은 2000년 Դինամո-2000 Երևան|디나모-2000 예레반hy이라는 이름으로 창단되었다. 창단 초기에는 아르메니아 퍼스트 리그를 거치지 않고 바로 2001년 아르메니아 프리미어 리그 시즌에 참가하며 프로 리그에 데뷔했다.2004년에는 새로운 스폰서를 맞아 구단 명칭을 ՖԱ Դինամո-Զենիթ Երևան|FC 디나모-제니트 예레반hy으로 변경했으며, 그 해 아르메니아 프리미어 리그에서 5위를 기록했다. 같은 해부터 2군 팀을 운영하기 시작했는데, 2004년에는 ՖԱ Դինամո-ՎԶ Երևան|FC 디나모-VZ 예레반hy, 2005년에는 ՖԱ Զենիթ Չարենցավան|FC 제니트 차렌차반hy이라는 이름으로 아르메니아 1부 리그에 참가했다.
2006년, 다시 스폰서 변경으로 인해 구단 명칭을 울리세스 FC로 바꾸었다.
2. 2. 울리세스 FC 시대와 리그 우승 (2006-2016)
2006년 아르메니아 프리미어 리그 개막 전에 구단은 새로운 스폰서를 맞아 이름을 울리세스 FC로 변경했다[4][5]. 그 해 리그에서 8위를 기록하며 FC 디나모 예레반과의 강등 플레이오프를 치렀고, 이 경기에서 승리하여 다음 시즌에도 1부 리그 잔류를 확정했다. 이후 2007년과 2008년 시즌에는 팀 성적이 향상되어 강등권 경쟁을 피할 수 있었다.2007년에는 아쉬타라크의 카사기 마르지크 스타디움에서 홈 경기를 치렀다. 2008년 초에는 예레반의 쉔가비트 축구 학교를 인수하고, 보스케하트의 바르다난크-451 스타디움을 훈련 기지로 삼으며 구단 규모를 확장했다. 2009년에는 홈 구장을 예레반의 미카 스타디움으로 옮겼고, 리그 3위를 차지하여 클럽 역사상 처음으로 UEFA 유로파 리그 출전권을 획득했다.
2011년, 울리세스 FC는 2011년 아르메니아 프리미어 리그에서 우승하며 클럽 역사상 첫 리그 정상에 올랐다. 이는 FC 퓨닉의 리그 10연패를 저지한 결과였다. 다음 해 아르메니아 슈퍼컵에서는 아르메니아 독립컵 우승팀인 FC 미카와 맞붙었으나, 0-0 무승부 후 승부차기에서 3-5로 패배하여 준우승에 머물렀다[6].
그러나 2016년 2월 3일, 구단은 재정적, 비재정적 문제를 이유로 2015-16 시즌 후반기 리그 참가를 포기한다고 발표하며 사실상 해체되었다.
2. 3. 해체 (2016)
2016년, 울리세스 FC는 재정적 문제와 비재정적 문제를 이유로 해체되었다.3. 역대 리그 및 컵 대회 성적
울리세스 FC는 아르메니아 프리미어 리그에서 활동했으며, 2011 시즌에는 리그 '''우승'''을 차지했다. 아르메니아 컵에서는 2009년, 2010년, 2011년, 그리고 2011-12 시즌에 준결승까지 진출하는 성과를 거두었다.[7][8] 상세한 시즌별 성적은 아래 하위 섹션에서 확인할 수 있다.
3. 1. 아르메니아 프리미어 리그
아르메니아 프리미어 리그에서의 주요 기록은 다음과 같다. 2011 시즌에는 리그 '''우승'''을 차지했으며, 2009년과 2010년에는 3위, 2014-15 시즌에는 준우승을 기록했다.[7][8]| 시즌 | 리그 | 아르메니아 컵 | 최고 득점자 | |||||||||
|---|---|---|---|---|---|---|---|---|---|---|---|---|
| 디비전 | 순위 | 경기 | 승 | 무 | 패 | 득점 | 실점 | 승점 | 이름 | 리그 | ||
| 2001 | 1부 | 9위 | 22 | 4 | 4 | 14 | 18 | 48 | 16 | 1라운드 | ||
| 2002 | 1부 | 10위 | 22 | 3 | 3 | 16 | 19 | 63 | 12 | 8강 | ||
| 2003 | 1부 | 6위 | 28 | 5 | 4 | 19 | 18 | 69 | 19 | 8강 | ||
| 2004 | 1부 | 5위 | 20 | 2 | 2 | 16 | 12 | 41 | 8 | 8강 | ||
| 2005 | 1부 | 6위 | 28 | 7 | 6 | 15 | 23 | 51 | 27 | 1라운드 | ||
| 2006 | 1부 | 8위 | 28 | 5 | 2 | 21 | 31 | 66 | 17 | - | ||
| 2007 | 1부 | 7위 | 28 | 8 | 6 | 14 | 21 | 46 | 30 | 8강 | ||
| 2008 | 1부 | 6위 | 28 | 7 | 8 | 13 | 19 | 29 | 29 | 8강 | ||
| 2009 | 1부 | 3위 | 28 | 16 | 5 | 7 | 47 | 25 | 53 | 준결승 | 아르투르 코차랸 | 15 |
| 2010 | 1부 | 3위 | 28 | 17 | 4 | 7 | 44 | 23 | 55 | 준결승 | ||
| 2011 | 1부 | 1위 | 28 | 15 | 8 | 5 | 38 | 22 | 53 | 준결승 | 조르지 크라소프스키 | 8 |
| 2012–13 | 1부 | 6위 | 42 | 11 | 12 | 19 | 41 | 50 | 45 | 준결승, 8강 | 아르센 발라베키안 | 10 |
| 2013–14 | 1부 | 7위 | 28 | 7 | 4 | 17 | 21 | 46 | 25 | 8강 | ||
| 2014–15 | 1부 | 2위 | 28 | 15 | 5 | 8 | 43 | 32 | 50 | 8강 | 호브하네스 고하랸 | 9 |
| 2015–16 | 1부 | 8위 | 28 | 0 | 2 | 26 | 8 | 76 | 2 | 8강 | 밀루틴 이바노비치 | 2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