월링퍼드 조약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월링퍼드 조약은 1153년 잉글랜드 내전을 종식시키기 위해 체결된 협정이다. 1135년 헨리 1세 사후, 마틸다와 스티븐 간의 왕위 계승 다툼으로 시작된 내전은 15년 가까이 지속되었으며, 이 기간 동안 법과 질서가 무너졌다. 앙주 백작 헨리와 스티븐 간의 전투가 예상되던 중 윌리엄 오도비니의 중재로 월링퍼드에서 임시 휴전이 이루어졌고, 스티븐의 아들 외스타슈의 급사 이후 윈체스터에서 조약이 체결되었다. 주요 내용은 스티븐의 종신 왕위 보장, 헨리의 왕위 계승, 윌리엄의 영지 보장, 군대 해산, 불법 성채 해체 등이었다. 이 조약으로 내전이 종식되었고, 스티븐 사후 헨리 2세가 즉위하여 플랜태저넷 왕조가 시작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무정부시대 - 대지의 기둥
켄 폴릿이 1989년에 발표한 역사 소설인 대지의 기둥은 12세기 잉글랜드를 배경으로 킹스브리지라는 가상의 마을에 대성당을 건설하려는 사람들의 이야기와 당시 사회의 혼란과 변화를 생생하게 그려낸 작품이다. - 무정부시대 - 백선 침몰사고
백선 침몰사고는 1120년 영국 해협에서 발생한 참사로, 헨리 1세의 후계자 사망으로 잉글랜드의 정치적 혼란을 야기했으며, 문학 작품의 소재로 활용되기도 했다. - 옥스퍼드셔주의 역사 - 메갈로사우루스
메갈로사우루스는 쥐라기 중기에 유럽에서 살았던 수각류 공룡의 한 속으로, 1824년 윌리엄 버클랜드에 의해 명명되었으며 최초로 과학 문헌에 기술된 비조류 공룡 중 하나로 여겨지고, 과거에는 다양한 육식 공룡 화석들이 속했으나 2008년 이후 영국에서 발견된 특정 화석으로 제한되었다. - 옥스퍼드셔주의 역사 - 어핑턴의 백마
어핑턴의 백마는 잉글랜드 옥스퍼드셔주 어핑턴 언덕에 있는 선사 시대의 백악질 말 형상으로, 켈트족의 종교적 또는 부족 상징으로 추정되며 지역 사회의 상징으로 널리 사용된다.
월링퍼드 조약 | |
---|---|
조약 정보 | |
이름 | 월링퍼드 조약 |
다른 이름 | 스탬퍼드 조약 월링퍼드 협정 |
유형 | 평화 조약 |
체결일 | 1153년 12월 |
장소 | 월링퍼드 |
서명자 | 잉글랜드의 머시아 백작 헨리 2세 잉글랜드의 스티븐 왕 |
배경 | |
주요 원인 | 잉글랜드의 무정부 시대 |
관련 전투 | 링컨 전투 윈체스터 전투 |
결과 | |
주요 결과 | 스티븐 왕은 잉글랜드 왕으로 인정됨 헨리 2세는 스티븐 왕의 후계자로 지명됨 잉글랜드의 무정부 시대 종식 |
관련 인물 | |
주요 인물 | 스티븐 왕 헨리 2세 테오발트 대주교 |
기타 | |
중요성 | 잉글랜드의 무정부 시대를 종식시키고 플랜태저넷 왕조의 시작을 알림 |
2. 배경
1135년 헨리 1세 사후, 그의 딸 마틸다 여제와 조카 스티븐 간의 왕위 계승 다툼은 잉글랜드를 내전으로 몰아넣었으며, 이 시기는 무정부 시대라고 불린다.
2. 1. 무정부 시대
무정부 시대는 잉글랜드 국왕 스티븐과 마틸다 여제가 잉글랜드 왕위 쟁탈전에서 승리하지 못하고 거의 15년간 무력 투쟁이 이어진 시기이다. 이 기간 동안 법과 질서가 무너졌고, 반란을 일으킨 남작들이 잉글랜드 북부와 이스트앵글리아에서 더 큰 권력을 얻었으며, 주요 전투 지역은 황폐화되었다.[1] 1150년대 초, 남작들과 교회는 대부분 장기적인 평화를 원했다.2. 2. 헨리의 등장과 협상
1153년, 무정부 시대는 거의 15년간의 무력 투쟁으로 이어졌지만, 잉글랜드 국왕 스티븐과 마틸다 여제는 잉글랜드 왕위 쟁탈전에서 승리하지 못했다. 1150년대 초, 남작들과 교회는 대부분 장기적인 평화를 원했다.앙주 백작 헨리는 월링퍼드 성 근처의 반대 요새를 공격했고, 양측 군대 간의 전투가 예상되었다. 그러나 윌리엄 오도비니, 1대 아룬델 백작은 더 이상의 전투가 무의미하다고 주장하며 설득했고, 템스 강둑의 월링퍼드에서 임시 휴전이 이루어졌다. 하지만 스티븐의 아들 외스타슈 4세는 합의에 반대했다. 외스타슈가 1153년 8월에 갑작스럽게 사망한 후, 더 공식적인 합의가 1153년 11월 윈체스터에서 작성되었고, 이후 웨스트민스터에서 서명된 것으로 보인다.[1]
월링퍼드 이후에도 전투는 계속되었지만, 소극적인 방식으로 진행되었다. 스티븐은 헨리에게 옥스퍼드와 스탬퍼드를 빼앗겼고, 왕은 잉글랜드 동부에서 휴 빅고드와 싸우느라 정신이 없었지만, 노팅엄 성은 앙주 제국의 점령 시도를 견뎌냈다.[1] 한편, 스티븐의 형제인 윈체스터의 헨리 주교와 캔터베리의 테오발드 대주교는 양측 간의 항구적인 평화를 중재하기 위해 노력하여 스티븐에게 합의를 수용하도록 압력을 가했다.[2] 스티븐과 헨리 커트만틀의 군대는 윈체스터에서 다시 만났고, 그곳에서 두 지도자는 11월에 항구적인 평화 조약을 비준했다.[3]
어머니 마틸다로부터 잉글랜드 왕위 계승권을 물려받은 앙주 백작 앙리는 아키텐 여공 엘레오노르 다키텐과 결혼하여 대륙의 유력 제후로 성장했고, 1153년 1월 프랑스 바르플뢰르에서 잉글랜드에 상륙하여 서부에서 지지자를 모아 런던으로 진격했다. 이에 대항한 스티븐은 병을 앓고 있었고, 전년(1152년) 왕비 마틸드 드 불로뉴가 사망하여 의기소침해 있었으며, 동생 윈체스터 주교와 캔터베리 대주교 테오발드 오브 베크의 중재로 앙리와의 화해를 모색했다. 이에 스티븐의 장남 외스타슈가 반대하며 베크의 영지를 약탈했지만, 8월 외스타슈가 급사하여 후계자를 잃은 스티븐은 더욱 낙담했고, 화해가 진행되었다.[6][7]
예비 협상은 워링퍼드에서 이루어졌고, 11월 6일 윈체스터에서 앙리와 스티븐 사이에 협정이 체결되었다. 잉글랜드와 노르망디의 제후들도 윈체스터에 모여 협정에 동의했고, 12월 웨스트민스터에서 정식으로 승인되었다.[8]
3. 조약의 체결
1153년, 무정부 시대는 거의 15년간의 무력 투쟁으로 이어졌다. 잉글랜드 국왕 스티븐과 마틸다 여제는 잉글랜드 왕위 쟁탈전에서 승리하지 못하고, 이 기간 동안 법과 질서가 무너져 잉글랜드 북부와 이스트앵글리아에서 반란을 일으킨 남작들이 큰 권력을 얻게 되었고, 주요 전투 지역에는 황폐화가 일어났다. 1150년대 초, 남작들과 교회는 대부분 장기적인 평화를 원했다.
스티븐 왕은 월링퍼드 성 근처에 반대 요새를 건설하여 마틸다의 지지자인 브리엔 피츠카운트를 공격했고, 마틸다의 아들 앙주 백작 헨리는 이 반대 요새들을 공격하여 양측 군대 간의 전투가 예상되었다. 그러나 윌리엄 오도비니, 1대 아룬델 백작은 더 이상의 전투가 무의미하다고 설득하여 템스 강둑의 월링퍼드에서 임시 휴전이 이루어졌지만, 스티븐의 아들 외스타슈 4세는 합의에 반대했다. 그러나 외스타슈가 1153년 8월에 갑작스럽게 사망한 후, 더 공식적인 합의가 1153년 11월 윈체스터에서 작성되었고, 이후 웨스트민스터에서 서명된 것으로 보인다.[1]
월링퍼드 이후에도 전투는 계속되었지만, 소극적인 방식으로 진행되었다. 스티븐은 헨리에게 옥스퍼드와 스탬퍼드를 빼앗겼고, 왕은 잉글랜드 동부에서 휴 빅고드와 싸우느라 정신이 없었지만, 노팅엄 성은 앙주 제국의 점령 시도를 견뎌냈다.[1] 한편, 스티븐의 형제인 윈체스터의 헨리 주교와 캔터베리의 테오발드 대주교는 양측 간의 항구적인 평화를 중재하기 위해 노력하여 스티븐에게 합의를 수용하도록 압력을 가했다.[2] 스티븐과 헨리 커트만틀의 군대는 윈체스터에서 다시 만났고, 그곳에서 두 지도자는 11월에 항구적인 평화 조약을 비준했다.[3]
앙주 백작 앙리는 어머니 마틸다로부터 잉글랜드 왕위 계승권을 물려받고, 아키텐 여공 엘레오노르 다키텐과 결혼하여 대륙의 유력 제후로 성장했다. 1153년 1월 프랑스 바르플뢰르에서 잉글랜드에 상륙하여 서부에서 지지자를 모아 런던으로 진격했다. 이에 대항한 스티븐은 병을 앓고 있었고, 전년(1152년) 왕비 마틸드 드 불로뉴가 사망하여 의기소침해 있었으며, 동생 윈체스터 주교 헨리와 캔터베리 대주교 시오볼드 오브 베크의 중재로 앙리와의 화해를 모색했다. 스티븐의 장남 외스타슈가 반대했지만, 8월 외스타슈가 급사하여 후계자를 잃은 스티븐은 더욱 낙담했고, 화해가 진행되었다.[6][7]
예비 협상은 워링퍼드에서 이루어졌고, 11월 6일 윈체스터에서 앙리와 스티븐 사이에 협정이 체결되었다. 잉글랜드와 노르망디의 제후들도 윈체스터에 모여 협정에 동의했고, 12월 웨스트민스터에서 정식으로 승인되었다.[8]
3. 1. 주요 내용
4. 조약의 결과 및 영향
1153년 11월, 월링퍼드에서 예비 협상이 진행되었고, 윈체스터에서 앙리(훗날의 헨리 2세)와 스티븐 사이에 협정이 체결되었다. 잉글랜드와 노르망디 제후들도 윈체스터에 모여 협정에 동의했고, 12월 웨스트민스터에서 정식으로 승인되었다. 협정 체결로 내란이 종결되었다.[6][7][8]
협정의 내용은 다음과 같다.
- 스티븐은 종신토록 왕위를 보장받지만, 사후에는 앙리가 왕위를 계승한다.
- 스티븐의 차남 윌리엄은 왕위 계승권을 포기하는 대신, 양친과 본인, 아내의 권리로 잉글랜드와 대륙에 소유한 영지를 상속받는다.
- 쌍방 모두 군대를 해산한다.
- 지방 귀족이 마음대로 건설한 성(Adulterine castle|불법 성채영어)은 해체한다.
1154년 10월 25일 스티븐이 사망하자 협정에 따라 앙리가 잉글랜드 왕 헨리 2세로 즉위, 12월 19일 웨스트민스터 사원에서 대관식을 거행하여 플랜태저넷 왕가가 시작되었다.[9] 헨리 2세는 나중에 1155년에 월링퍼드에 왕실 헌장을 수여하여 투쟁에서 월링퍼드의 지원에 보상했다.
참조
[1]
서적
[2]
서적
[3]
서적
[4]
서적
[5]
서적
[6]
서적
[7]
서적
[8]
서적
[9]
서적
[10]
서적
이야기 영국사
청아출판사
2006-01-05
[11]
서적
이야기 영국사
청아출판사
2006-01-05
[12]
서적
King Stephen
Yale University Press
2010
[13]
서적
이야기 영국사
청아출판사
2006-01-0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