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위 장공 (양)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위 장공(衛莊公)은 위 무공의 아들로, 기원전 758년에 즉위하여 기원전 735년까지 위나라 군주로 재위했다. 제나라 여인 장강을 부인으로 맞았으나 아들을 얻지 못했고, 진나라 공녀 여규와의 사이에서 효백을 낳았으나 일찍 죽었다. 여규의 아우인 대규는 위 환공과 위 선공을 낳았고, 장공은 총애하는 첩에게서 공자 주우를 얻었다. 장공은 주우를 총애했지만, 석작의 간언에도 불구하고 주우를 총애하여 결국 그로 인해 난이 일어날 것을 우려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위나라의 군주 - 위 문후
    위 문후는 전국시대 위나라의 군주로서 이회, 오기 등 인재를 등용하고 법가적 개혁을 통해 위나라를 강국으로 만들었으며, 법치를 통해 사회 질서를 확립하고 백성들의 생활을 안정시키는 데 기여하여 전국시대의 시작을 알리는 중요한 인물로 평가받는다.
  • 위나라의 군주 - 위 무공
    위 무공은 춘추 시대 위나라의 군주로서 강숙의 선정을 본받아 나라를 다스렸다는 기록과 주나라를 도와 공작으로 봉해졌다는 기록이 있으며, 그의 덕을 기리는 송시가 《시경》에 실려 후대에 영향을 주었다.
  • 춘추 시대의 군주 - 제 희공
    제 희공은 제나라의 제후로서 주변국과 우호 관계를 맺고, 송나라와 위나라 사이의 분쟁을 중재하며 북융의 침입을 격퇴하는 등 활발한 대외 활동을 펼쳤으나, 말년에 후계 구도에 혼란을 야기하다가 재위 33년 만에 사망했다.
  • 춘추 시대의 군주 - 제 환공
    제 환공은 춘추 시대 제나라의 제후이자 춘추오패의 첫 번째 패자로, 관중을 등용하여 제나라를 강성하게 만들고 초나라의 남진을 저지하는 등 춘추 시대 초반 질서 확립에 기여했으나, 관중 사후 정치적 혼란과 후계자 다툼으로 비참한 최후를 맞이하여 복합적인 평가를 받는다.
위 장공 (양)
기본 정보
이름荘公 姫揚 (장공 희양)
대수제12대
칭호
왕조
재위 기간기원전 757년 - 기원전 735년
수도조가
姫揚 (희양)
시호荘公 (장공)
생년불명
몰년기원전 735년
부친武公 (무공)
묘호없음
연호없음
주석없음

2. 사적

위 무공의 아들로 태어났다.

기원전 758년 (무공 55년), 아버지 무공이 사망하자 그 뒤를 이어 즉위했다.

기원전 753년 (장공 5년), 제나라의 공녀로 미녀인 장강과 혼인했으나 아들을 두지 못했다. 이후 진나라의 공녀 여규와 혼인하여 아들 효백을 낳았으나 일찍 죽었다. 이에 여규의 동생 대규를 다시 부인으로 맞아 아들 희완을 얻었다. 희완의 어머니 대규가 사망하자, 장공은 첫 부인인 장강에게 희완의 양육을 맡기고 그를 태자로 삼았다.

한편, 장공에게는 총애하는 이 있었는데, 그녀에게서 아들 주우를 얻었다. 기원전 741년 (장공 17년), 장공은 주우를 매우 총애했으며, 주우는 군사에 관심이 많았다.[1] 기원전 740년 (장공 18년), 주우가 장성하고 군사를 좋아하자 장공은 그를 장군으로 삼으려 했다. 이때 상경 석작은 장공이 주우를 후계자로 삼을 것도 아니면서 지나치게 총애하여 교만하게 만들면 장차 난을 일으킬 것이라고 간언했으나, 장공은 듣지 않았다.[2][3]

기원전 735년 (장공 23년), 장공이 사망하고 태자 희완(위 환공)이 즉위했다.[2]

3. 가족 관계

정부인 장강을 비롯하여 여규, 대규 등 여러 부인을 두었으며, 아들로는 일찍 죽은 효백과 위 환공, 위 선공, 그리고 총애했던 첩의 아들인 공자 주우 등이 있다.[1][2][3] 이 외에 다른 첩에게서 공자 예와 공자 직을 두었다.

3. 1. 부모

아버지는 위 무공이다.

3. 2. 처

기원전 753년(장공 5년), 제나라 동궁 득신의 여동생으로 아름다운 용모를 지닌 장강과 혼인하였으나 아들을 두지 못했다. 이후 진나라 공녀인 여규와 혼인하여 아들 효백을 낳았으나 일찍 죽었다. 여규의 동생인 대규가 위 환공위 선공을 낳았으며, 정부인 장강은 환공을 자신의 양아들로 삼았다.

한편, 장공이 총애하는 첩에게서 공자 주우를 얻었는데, 장공은 주우를 지나치게 아껴 훗날 화근이 되었다.[1][2][3] 또 다른 첩으로 이강이 있었는데, 그녀는 훗날 아들인 위 선공과 간통하는 관계가 된다.

'''위 장공의 부인 및 자녀'''
구분이름비고
정부인장강제나라 공녀, 자녀 없음. 위 환공을 양자로 삼음.
부인여규진나라 공녀. 아들 효백(일찍 사망).
잉첩대규여규의 동생. 위 환공, 위 선공의 어머니.
(이름 미상)공자 주우의 어머니.
이강후에 위 선공과 간통.
자녀 (어머니 미상)공자 예
자녀 (어머니 미상)공자 직


3. 3. 자녀

기원전 753년 (장공 5년), 제나라 동궁 득신(得臣)의 여동생으로 미녀인 장강(莊姜)과 혼인했으나 아들을 두지 못했다. 이후 진나라 공녀 여규(厲嬀)와 혼인하여 아들 효백(孝伯)을 낳았으나 일찍 죽었다. 여규의 동생인 대규(戴嬀)가 위 환공(桓公)을 낳았고, 장강이 환공을 자신의 양아들로 삼았다.

한편, 장공에게는 총애하는 첩이 있었는데, 그녀가 공자 주우(州吁)를 낳았다. 기원전 741년 (장공 17년), 장공은 주우를 매우 아꼈으며, 주우는 군사를 좋아했다.[1] 기원전 740년 (장공 18년), 주우가 장성하고 군사를 좋아하자 장공은 그를 장군으로 삼으려 했다. 신하 석작(石碏)은 장공이 주우에게 왕위를 물려줄 것도 아니면서 지나치게 총애하여 교만하게 만들면 장차 난을 일으킬 것이라고 간언했으나, 장공은 듣지 않았다.[2][3]

기원전 735년 (장공 23년), 장공이 죽자 아들 환공이 뒤를 이었다.[2]

  • '''아버지''': 위 무공
  • '''본인''': '''위 장공'''
  • * '''정부인''': 장강(莊姜) - 제나라 동궁 득신의 여동생. 자녀 없음.
  • * '''부인''': 여규(厲嬀) - 진나라 공녀.
  • ** 아들: 효백(孝伯) - 일찍 죽음.
  • * '''잉첩''': 대규(戴嬀) - 여규의 동생.
  • ** 아들: 위 환공 (이름: 완(完)) - 장강의 양자.
  • ** 아들: 위 선공 (이름: 진(晉))
  • * '''첩''' (이름 미상)
  • ** 아들: 공자 주우
  • * '''첩''': 이강(夷姜) - 훗날 아들인 위 선공과 간통.
  • * '''첩''' (모친 미상)
  • ** 아들: 공자 예(芮) (이름: 설(洩)) - 좌공자(左公子).
  • ** 아들: 공자 직(職) - 우공자(右公子).

참조

[1] 서적 12제후연표제2
[2] 서적 위강숙세가제7
[3] 서적 은공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