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상 하중비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유상 하중비는 로켓의 총 질량과 탑재체 질량 간의 관계를 나타내는 지표이다. 이 비율은 로켓의 성능을 평가하는 데 중요한 요소이며, 다양한 발사체의 질량비와 탑재체 분율을 비교하여 분석할 수 있다. 연료 분율 및 탑재체 분율과 밀접한 관련이 있으며, 발사체의 구조 및 연료 효율성을 나타낸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우주선 - 상업용 궤도 운송 서비스
상업용 궤도 운송 서비스(COTS)는 NASA가 국제 우주 정거장(ISS)에 상업적인 화물 운송 서비스를 제공하고, 민간 기업의 우주 개발 참여를 장려하며, 우주 산업 경쟁력 강화 및 NASA의 우주 탐사 프로그램에 필요한 기술 개발과 비용 절감을 목표로 추진한 프로그램이다. - 우주선 - 우주 캡슐
우주 캡슐은 유인 우주 탐사를 위해 우주 비행사를 지구 궤도 또는 다른 천체로 수송하고 안전하게 귀환시키도록 개발된 탑승 공간으로, 초기에는 단일 비행사 수용을 위해 설계되었으나 현재는 다중 승무원 및 무인 화물 수송용으로 발전하여 다양한 형태로 운용되고 있다. - 항공우주공학 - 처녀 비행
처녀 비행은 항공기나 로켓의 최초 비행을 의미하며, 본 문서는 몽골피에 형제의 열기구부터 벌컨 센타우르 로켓까지 역사적으로 중요한 항공기 및 로켓의 처녀 비행 목록과 기술적 의미를 다룬다. - 항공우주공학 - 비행성
비행성은 항공기의 조종성, 안정성, 조종사의 조작 반응성을 포괄하는 개념으로, 항공기 안정성 이론을 바탕으로 평가하며, 플라이 바이 와이어 등의 기술 발전을 통해 향상되어 왔다.
| 유상 하중비 | |
|---|---|
| 개요 | |
| 유상 하중비 (Payload Fraction) | 항공기나 우주선의 총 이륙 중량 대비 유상 하중의 비율을 나타내는 척도 |
| 설명 | 유상 하중비는 항공기나 우주선의 효율성을 나타내는 중요한 지표 중 하나이며, 높을수록 더 효율적인 설계로 간주됨. |
| 계산 | 유상 하중비 = (유상 하중) / (총 이륙 중량) |
| 활용 | 항공기 및 우주선 설계, 운영 비용 분석, 성능 비교 등에 활용 |
| 항공기 유상 하중비 | |
| 일반적인 값 | 여객기: 0.2 ~ 0.3 화물기: 0.3 ~ 0.4 |
| 영향 요인 | 항공기 종류 설계 운용 조건 |
| 우주선 유상 하중비 | |
| 일반적인 값 | 매우 낮음 (대략 0.01 ~ 0.05) |
| 이유 | 지구 중력 극복을 위한 추진 시스템의 높은 중량 극저온 연료 사용으로 인한 추가적인 단열 및 구조 보강 필요 |
| 중요 고려 사항 | 우주 발사체의 경우 유상 하중비를 극대화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며, 이를 위해 다양한 기술적 노력이 이루어짐. |
| 유상 하중비 극대화를 위한 노력 | |
| 항공기 | 경량 소재 사용 공기역학적 설계 최적화 고효율 엔진 개발 |
| 우주선 | 다단 로켓 기술 고성능 추진 시스템 개발 경량화 소재 적용 |
| 같이 보기 | |
| 관련 항목 | 추력대중량비 델타-v 오버 |
| 참고 자료 | |
| 참고 문헌 | (미국 항공우주국) NASA의 유상 하중 정보 페이지 NASA 웹사이트 항공 우주 공학 관련 교재 |
2. 질량비 공식
Mass ratio영어 공식은 다음과 같다.
질량비는 로켓의 총 질량(페이로드를 포함한 질량)을 페이로드의 질량으로 나눈 값이다. 다양한 발사체의 질량비는 아래 표와 같다.
:
3. 질량비 예시
운송 수단 이륙 질량 저궤도(LEO)로의 탑재체 질량 질량비 탑재체 분율 팰컨 9 블록 5 549054kg + 22800kg 22800kg 25.1 3.99% 프로톤-M 705000kg + 23000kg 23000kg 31.7 3.16% 창정 3B/E 458970kg + 11500kg 11500kg 40.9 2.44% 아리안 6 860000kg + 21500kg 21500kg 41.0 2.44% 일렉트론 13000kg + 300kg 300kg 44.3 2.26% 스페이스X 스타쉽 200000kg + 5000000kg[1] 200000kg 26 3.85% 소유스-2.1b[2] 312000kg + 8200kg 8200kg 40.0 2.50% 우주왕복선 2030000kg 27500kg 73.8 1.35% 아폴로 17 새턴 V[3] 2961860kg TLI까지 48609kg 60.9 1.64% 아폴로 17 달 착륙선 하강 단계[3] 약 16493.51kg 약 4782.13kg (LLO에서 달) 3.45 29.0% 아폴로 17 달 착륙선 상승 단계[3] 약 4782.13kg 약 250.43kg (달에서 LLO까지) 19.1 5.24% V-2[4] 12805kg 1000kg (320km 거리 준궤도) 12.8 7.81%
3. 1. 한국형 발사체
한국형 발사체인 누리호(KSLV-II)는 한국의 우주 개발 노력을 상징하는 중요한 프로젝트이다. 누리호 개발을 통해 한국은 독자적인 우주 발사체 기술을 확보하고 우주 강국으로 도약하기 위한 발판을 마련했다. 다만, 누리호의 정확한 유상 하중비 정보는 공개된 자료를 통해 확인해야 한다.
3. 2. 해외 발사체
| 운송 수단 | 이륙 질량 | 저궤도(LEO)로의 탑재체 질량 | 질량비 | 탑재체 분율 |
|---|---|---|---|---|
| 팰컨 9 블록 5 | 549054kg + 22800kg | 22800kg | 25.1 | 3.99% |
| 프로톤-M | 705000kg + 23000kg | 23000kg | 31.7 | 3.16% |
| 창정 3B/E | 458970kg + 11500kg | 11500kg | 40.9 | 2.44% |
| 아리안 6 | 860000kg + 21500kg | 21500kg | 41.0 | 2.44% |
| 일렉트론 | 13000kg + 300kg | 300kg | 44.3 | 2.26% |
| 스페이스X 스타쉽 | 200000kg + 5000000kg[1] | 200000kg | 26 | 3.85% |
| 소유스-2.1b[2] | 312000kg + 8200kg | 8200kg | 40.0 | 2.50% |
| 우주왕복선 | 2030000kg | 27500kg | 73.8 | 1.35% |
| 아폴로 17 새턴 V[3] | 2961860kg | TLI까지 48609kg | 60.9 | 1.64% |
| 아폴로 17 달 착륙선 하강 단계[3] | 약 16493.51kg | 약 4782.13kg (LLO에서 달) | 3.45 | 29.0% |
| 아폴로 17 달 착륙선 상승 단계[3] | 약 4782.13kg | 약 250.43kg (달에서 LLO까지) | 19.1 | 5.24% |
| V-2[4] | 12805kg | 1000kg (320km 거리 준궤도) | 12.8 | 7.81% |
4. 관련 개념
로켓의 총 질량과 페이로드(탑재체)의 질량 관계는 다음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
질량비와 밀접하게 관련된 개념으로는 연료 분율과 탑재체 분율이 있다.
4. 1. 연료 분율
항공 분야의 탑재체 분율과 연료 분율에 대해서는 연료 분율 문서를 참조하면 된다.4. 2. 탑재체 분율
탑재체 분율은 로켓의 총 질량에서 탑재체가 차지하는 비율을 나타내는 값이다. 이 값은 로켓의 성능을 평가하는 중요한 지표 중 하나로 사용된다. 탑재체 분율은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탑재체 분율은 질량비와 밀접한 관련이 있다. 질량비는 로켓의 총 질량과 추진제(연료와 산화제)를 제외한 건조 질량의 비율을 의미한다. 일반적으로 질량비가 높을수록 탑재체 분율은 낮아지는 경향이 있다. 즉, 로켓의 질량 대부분이 추진제에 사용될수록 탑재체에 할당되는 질량은 상대적으로 줄어들게 된다.
다음은 여러 로켓의 탑재체 분율을 나타낸 표이다.
| 운송 수단 | 이륙 질량 | 탑재체 질량 | 탑재체 분율 |
|---|---|---|---|
| 팰컨 9 블록 5 | 549054kg + 22800kg | 22800kg | 3.99% |
| 프로톤-M | 705000kg + 23000kg | 23000kg | 3.16% |
| 창정 3B/E | 458970kg + 11500kg | 11500kg | 2.44% |
| 아리안 6 | 860000kg + 21500kg | 21500kg | 2.44% |
| 일렉트론 | 13000kg + 300kg | 300kg | 2.26% |
| 스페이스X 스타쉽 | 200000kg + 5000000kg | 200000kg[1] | 3.85% |
| 소유스-2.1b[2] | 312000kg + 8200kg | 8200kg | 2.50% |
| 우주왕복선 | 2030000kg | 27500kg | 1.35% |
| 아폴로 17 새턴 V[3] | 2961860kg | TLI까지 48609kg | 1.64% |
| 아폴로 17 달 착륙선 하강 단계[3] | 약 16493.51kg | LLO에서 달까지 약 4782.13kg | 29.0% |
| 아폴로 17 달 착륙선 상승 단계[3] | 약 4782.13kg | 달에서 LLO까지 약 250.43kg | 5.24% |
| V-2[4] | 12805kg | 1000kg (320km 거리 준궤도) | 7.81% |
위 표에서 볼 수 있듯이, 로켓마다 탑재체 분율은 큰 차이를 보인다. 이는 각 로켓의 설계, 목적, 사용되는 추진제의 종류 등에 따라 달라지기 때문이다.
참조
[1]
뉴스
Max Payload of Starship V1
https://twitter.com/[...]
2024-03-15
[2]
웹사이트
SOYUZ-2 Launch Vehicle / Power Characteristics
http://en.samspace.r[...]
JSC SRC Progress
2015-08-20
[3]
PDF
https://www.nasa.gov[...]
2024-08
[4]
웹사이트
Astronautix-V-2
http://www.astronaut[...]
[5]
문서
치올콥스키 로켓 방정식, 우주상수 등의 공식에 비해 쉬운 편에 속한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