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프로톤-M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프로톤-M은 2001년 처음 발사된 러시아의 액체 로켓 엔진 발사체로, 저궤도 및 정지 궤도 위성 발사에 사용된다. 3단 또는 4단으로 구성되며, 산화제로는 사산화이질소를, 연료로는 비대칭디메틸히드라진을 사용한다. 프로톤-M은 구조 개선과 엔진 효율 향상을 통해 성능을 개선했으며, 브리즈-M 상단을 사용하여 위성을 더 높은 궤도로 올린다. 2011년까지 90% 이상의 성공률을 보였으나, 상단 로켓 문제, 엔진 결함 등으로 인해 여러 차례 발사 실패를 겪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소모성 우주발사체 - 아리안 5
    아리안 5는 유럽우주국의 중량급 로켓으로, 다양한 파생 모델을 거쳐 최대 10,500kg의 탑재체를 정지궤도 전이궤도까지 운반하는 ECA 모델이 주력으로 활용되었으나, 아리안 6 개발로 2023년 퇴역하였다.
  • 소모성 우주발사체 - 새턴 V
    새턴 V는 미국의 아폴로 계획과 스카이랩 계획에 사용된 다단식 액체 추진 로켓으로, NASA에 의해 13회 발사되어 인류 최초의 달 착륙에 핵심적인 역할을 했으며, 현재 3기가 박물관에 전시되어 있다.
프로톤-M
개요
발사대에 있는 프로톤-M 로켓
발사대에 있는 프로톤-M 로켓
제조사흐루니체프
기능대형 발사체
원산지러시아
발사 비용6,500만 미국 달러
제원
질량705,000 kg
높이58.2 m
지름7.4 m
단수3단 또는 4단
성능
LEO23,000 kg
GTO (1800 m/s)6,920 kg
GTO (1500 m/s)6,300 kg
GSO3,250 kg
발사 이력
상태운용 중
발사장바이코누르 우주 기지, 사이트 81/24 & 200/39
총 발사 횟수115
실패9
부분적 실패2
성공104
최초 발사2001년 4월 7일
마지막 발사2023년 3월 12일
탑재물GLONASS
ExoMars
나우카
1단
엔진6 × RD-275M
이름8S810K
추력10,532 kN
비추력285 isp
연소 시간108 초
연료N2O4 / UDMH
길이21.18 m
지름7.4 m
추진제 질량428,300 kg
빈 무게30,600 kg
2단
엔진3 × RD-0210
1 × RD-0211
이름8S811K
추력2399 kN
비추력327 isp
연소 시간206 초
연료N2O4 / UDMH
길이17.05 m
지름4.1 m
추진제 질량157,300 kg
빈 무게11,000 kg
3단
엔진1 × RD-0212
이름8S812
추력613.8 kN
비추력325 isp
연소 시간238 초
연료N2O4 / UDMH
길이4.11 m
지름4.1 m
추진제 질량46,562 kg
빈 무게3,500 kg
4단 (선택 사항)
이름브리즈-M
엔진1 × S5.98M
추력19.62 kN
비추력326 isp
연소 시간3,000 초
연료N2O4 / UDMH
길이2.61 m
지름4.0 m
추진제 질량19,800 kg
빈 무게2,370 kg
4단 (선택 사항)
이름블록 DM-2
엔진1 × RD-58M
추력85 kN
비추력352 isp
연료RP-1 / LOX
4단 (선택 사항)
이름블록 DM-03
엔진1 RD-58M/RD-58MF
연료RP-1 / LOX
기타
계열유니버설 로켓 (프로톤)
파생프로톤-K
비교 대상아틀라스 V 551
델타 IV 헤비
팰컨 9 FT
Long March 5

2. 역사

프로톤-M은 2001년 4월 7일에 최초로 발사되었다. 기본형은 3단형이며, 필요에 따라 4단형으로 사용할 수 있다.

프로톤-M은 23톤의 인공위성지구 저궤도에, 6.3톤의 인공위성을 정지 궤도에 발사할 수 있다. 프로톤 미듐은 정지궤도에 5톤, 프로톤 라이트는 정지궤도에 3.6톤을 발사할 수 있다.

프로톤 로켓 계열의 발전 과정은 다음과 같다.

로켓 이름발사체 종류최초 발사일
프로톤 (로켓)대륙간 탄도 미사일(ICBM)1965년 7월 16일
프로톤-K우주발사체1967년 3월 10일
프로톤-M우주발사체2001년 4월 7일



2007년 7월 7일, 국제 발사 서비스(ILS)는 프로톤-M 증강형의 첫 발사를 실시하여, DirecTV-10영어을 궤도에 투입했다. 이는 프로톤 계열 로켓의 326번째 발사였으며, 프로톤-M/브리즈-M의 16번째 발사였고, ILS가 실시한 41번째 프로톤 발사였다[32]. 프로톤-M 증강형은 다음과 같은 특징을 가진다.


  • 1단 엔진 효율 향상
  • 아비오닉스(항공전자장비) 개선
  • 연료 탱크 경량화
  • 브리즈-M 버니어 로켓 강화
  • 1단 연료 탱크 벽 두께 감소
  • 로켓 전체에 복합 재료를 사용하여 질량 감소


이 증강형의 두 번째 발사는 2008년 8월 18일에 실시되어, Inmarsat-4 F3영어을 궤도에 투입했다. 프로톤-M 기본형은 증강형의 우수성으로 인해 2007년 11월에 퇴역했다.

ILS의 CEO인 Frank McKenna영어는 2010년에 정지 천이 궤도에 6.15t의 발사 능력을 가진 프로톤 설계의 페이즈 III가 ILS의 표준 구성이 될 것이라고 밝혔다[33]. 2011년 10월 19일, 프로톤-M/브리즈-M 페이즈 III는 6.740톤의 비아샛-1을 정지 천이 궤도에 투입했다[34].

3. 구조 및 특징

프로톤-M은 3단으로 구성된 액체 로켓 엔진 발사체로, 산화제로는 사산화이질소, 연료로는 비대칭디메틸히드라진을 사용한다.

프로톤-M은 구조 질량을 줄이고, 추력을 증가시키며, 더 많은 추진제를 사용하기 위해 하단 단에 수정 사항을 적용했다. 그 결과, 이전 모델에 비해 성능이 향상되었고, 발사 후 잔류하는 유해 화학 물질의 양도 줄었다. 프로톤-M은 저궤도에 최대 21000kg의 페이로드를 배치할 수 있으며, 상단을 사용하면 정지 궤도(GEO)에 3,000 kg, 정지 천이 궤도(GTO)에 5,500 kg의 페이로드를 배치할 수 있다. 또한, 외국 부품 공급업체에 대한 의존도를 줄이기 위한 노력이 이루어졌다.

2007년 7월 7일, 국제 발사 서비스(International Launch Services)는 최초의 '''프로톤-M 강화형''' 로켓을 발사하여 DirecTV-10 위성을 궤도에 진입시켰다. 이 로켓은 더 효율적인 1단 엔진, 업데이트된 항공 전자 장치, 더 가벼운 연료 탱크 및 브리즈-M 상단 로켓에 더 강력한 버니어 엔진을 탑재하고, 1단 연료 탱크 벽을 얇게 하고 다른 모든 단에 복합 재료를 사용하는 등 로켓 전체의 질량을 줄였다.

3. 1. 1단

프로톤-M 발사


1단은 중앙의 원통형 산화제 탱크와, 각 엔진을 탑재한 6개의 연료 탱크가 원주에 부착된 독특한 형태이다. 다른 두 단과 직경이 동일하다. 1단 엔진은 중립 위치에서 최대 7.0°까지 접선 방향으로 회전하여 완전한 추력 벡터 제어를 제공한다. 이러한 설계는 물류 문제 때문인데, 산화제 탱크와 다음 두 단의 직경은 철도로 바이코누르까지 운송할 수 있는 최대 크기이다. 바이코누르 내에서는 조립된 상태로 다시 철도를 통해 운송된다.

프로톤-M은 하단 구조 중량을 줄이고, 추력을 향상시켰으며, 연료를 보다 완벽하게 소모할 수 있도록 1단에 폐회로식 유도 시스템을 도입했다.

3. 2. 2단

2단은 일반적인 원통형 설계를 사용한다. 3개의 RD-0210 엔진과 1개의 RD-0211 엔진으로 구동된다. RD-0211은 추진제 탱크의 가압에 사용되는 열교환기를 개조한 RD-0210의 변형이다. 2단은 분리되기 몇 초 전에 발사되기 시작하기 때문에 배기 가스를 배출하기 위해 폐쇄된 단 사이가 아닌 그물망을 통해 1단에 연결된다. "핫 스테이징"이라고 알려진 이 방식은 2단에 얼리지 추력기가 필요하지 않게 한다. 추력 벡터 제어는 엔진 짐벌링을 통해 제공된다.

3. 3. 3단

3단은 일반적인 원통형 설계를 가지고 있으며, 처음 두 단을 제어하는 항공 전자 시스템을 포함한다. 3단은 RD-0213 엔진 1개(RD-0210의 고정형 버전)와 4노즐 버니어 엔진인 RD-0214 엔진 1개(추력 벡터 제어에 사용)로 구성된다. RD-0214의 노즐은 최대 45.0°까지 회전할 수 있으며, RD-0213 노즐 주변에 일정한 간격을 두고 약간 위에 배치된다.[31]

3. 4. 상단 (Upper Stage)



프로톤-M 발사는 대부분 위성을 더 높은 궤도로 올리기 위해 브리즈-M 상단을 사용해 왔다. 글로나스 위성을 탑재한 블록 DM-02 상단을 사용한 발사가 6회, 블록 DM-03을 사용한 발사가 7회 있었다.[10] 2023년 기준으로, 2021년 7월 나우카와 유럽 로봇 팔 (ERA)을 국제 우주 정거장으로 발사하기 위해 상단 없이 단 한 번의 프로톤-M 발사가 있었다.

3. 5. 페이로드 페어링 (Payload Fairing)

국제 발사 서비스(ILS)가 수행하는 상업 발사에는 두 종류의 페어링이 사용된다.[11][12]

  • '''PLF-BR-13305''' 단축형 페어링.
  • '''PLF-BR-15255''' 장축형 페어링.


두 페어링 모두 직경은 4.35m이다.

프로톤-M/브리즈-M 페이로드 페어링

4. 성능

프로톤-M은 3단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모두 사산화이질소와 비대칭 디메틸히드라진을 이용하는 액체 연료 엔진이다.

제1단은 중앙 산화제 탱크 주위에 각각 엔진을 가진 6개의 연료 탱크가 부착된 특징적인 구조를 가지고 있다. 제1단의 엔진은 최대의 추력 편향 제어를 위해 원래 위치에서 접선 방향으로 7도 회전할 수 있다. 프로톤-M의 이러한 설계는 물류 문제 때문인데, 산화제 탱크와 상단의 직경은 철도로 바이코누르로 운반할 수 있는 최대 크기이다.

제2단은 전통적인 원통형 설계로, 3기의 RD-0210과 1기의 RD-0211 엔진이 추진력을 발휘한다. RD-0211은 RD-0210의 파생형이며, 연료 탱크를 가압하는 역할도 한다. 2단은 1단과의 분리 수초 전에 점화하므로, 배기를 배출할 수 있도록 1단과 2단은 망상 구조로 연결되어 있다. 추력 편향 제어는 엔진의 짐벌 기구를 통해 이루어진다.

제3단 역시 기존의 원통형 설계이며, 처음 3단의 모든 아비오닉스 장치와 RD-0212 엔진 모듈로 구성된다. RD-0212 엔진 모듈은 RD-0210 엔진의 고정(비 짐벌) 버전인 RD-0213 엔진 1기와 추력 편향 제어에 이용되는 4노즐형 버니어 엔진인 RD-0214 엔진 1기를 조합한 것이다. RD-0214의 노즐은 45도 회전이 가능하며, RD-0213 주변에 배치되어 있다.

프로톤-M에서는 하단에 구조 중량 감소, 추력 향상, 연료의 완전한 소모 등의 수정이 이루어졌다. 제1단에서는 폐회로식 유도 시스템이 이용되어, 완전한 연료 소모가 가능하게 되었다. 이로 인해 로켓의 능력은 이전 파생형에 비해 증대되었으며, 낙하 시 하단에 남아있는 유독 화학 물질의 양을 줄이게 되었다. 프로톤-M은 저궤도에 21t, 정지 천이 궤도에 3톤, 정지 궤도에 5.5톤을 투입할 수 있다.

대부분의 프로톤-M 발사에는 브리즈-M이 상단으로 사용된다. 또한, 블록-DM도 상단으로 사용되고 있으며, 블록 DM-2를 상단으로 이용한 글로나스 위성 발사가 6회, Blok DM-03영어을 이용한 글로나스 위성 발사가 2회 이루어졌다[31]

2007년 7월 7일, 국제 발사 서비스(ILS)는 프로톤-M 증강형의 첫 발사를 실시하여, DirecTV-10영어을 궤도에 투입했다. 이 형식은, 보다 효율적인 제1단 엔진, 아비오닉스 갱신, 보다 가벼운 연료 탱크와 보다 강화된 브리즈-M의 버니어 로켓, 제1단의 더욱 얇은 연료 탱크 벽과 다른 모든 단에서의 복합 재료 사용 등 로켓 전체의 질량 감소 등이 특징이다. 프로톤-M의 기본형은 증강형의 우위성으로 2007년 11월에 퇴역했다.

ILS의 CEO인 Frank McKenna영어는 2010년에는 정지 천이 궤도에 6.15ton의 발사 능력을 가진 프로톤 설계의 페이즈 III가 ILS의 표준 구성이 될 것이라고 밝혔다[33]。2011년 10월 19일, 프로톤-M/브리즈-M 페이즈 III에 의해 6.74ton의 비아샛-1이 정지 천이 궤도에 투입되었다[34]

5. 발사 절차 (Launch Profile)

일반적인 임무에서 프로톤-M은 브리즈-M 상단 로켓과 함께 발사된다. 프로톤-M은 궤도 유닛(탑재체, 탑재체 어댑터, 브리즈-M)을 약간의 준궤도 궤도로 발사한다. 1단, 2단 및 페어링은 지정된 추락 지점에 추락하고, 3단은 바다에 추락한다. 3단 분리 후, 궤도 유닛은 짧은 기간 동안 관성 비행을 하고, 브리즈-M은 첫 번째 점화를 수행하여 170 km에서 230 km 고도, 51.5° 경사각의 주차 궤도에 진입한다. 이후 브리즈-M은 탑재체를 최종 궤도 또는 전이 궤도에 배치하기 위해 궤도 기동을 수행한다. 전이 궤도가 사용되는 경우, 최종 기동은 탑재체 자체 추진 시스템을 사용하여 수행된다.[31]

프로톤-M은 3단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모두 사산화이질소와 비대칭 디메틸히드라진을 이용하는 액체 연료 엔진을 사용한다.


  • 1단: 중앙 산화제 탱크 주위에 각각 엔진을 가진 6개의 연료 탱크가 부착된 특징적인 구조를 가지고 있다. 1단의 엔진은 최대의 추력 편향 제어를 제공하기 위해 원래 위치에서 접선 방향으로 7도 회전할 수 있다.
  • 2단: 전통적인 원통형 설계로, 3기의 RD-0210 엔진과 1기의 RD-0211 엔진이 추진력을 발휘한다. 2단은 1단과의 분리 수초 전에 점화하며, 배기를 배출할 수 있도록 1단과 2단은 망상 구조로 연결되어 있다.
  • 3단: 기존의 원통형 설계이며, 3단의 모든 아비오닉스 장치와 RD-0212 엔진 모듈로 구성된다. RD-0212 엔진 모듈은 RD-0210 엔진의 고정 버전인 RD-0213 엔진 1기와 추력 편향 제어에 이용되는 4노즐형 버니어 엔진인 RD-0214 엔진 1기를 조합한 것이다.


프로톤-M에서는 하단에 구조 중량 감소, 추력 향상, 연료 소모 최적화 등의 수정이 이루어졌다. 1단에서는 폐회로식 유도 시스템이 이용되어 연료 소모를 최적화하고, 낙하 시 유독 화학 물질의 양을 줄였다. 프로톤-M은 저궤도에 21t, 정지 천이 궤도에 3톤, 정지 궤도에 5.5톤을 투입할 수 있다.

대부분의 프로톤-M 발사에는 브리즈-M이 상단으로 사용된다.

6. 신뢰성 (Reliability)

기준, 프로톤-M은 총 115회 발사되었으며, 그중 11회가 실패하거나 부분적인 실패를 기록하여 의 성공률을 보였다. 실패 원인 중 4번은 프로톤-M 자체의 문제였고, 6번은 브리즈-M 상단 로켓의 오작동으로 인해 탑재체가 궤도에 진입하지 못한 경우였다. 이 중 두 번은 위성 자체 추진력으로 궤도를 수정할 수 있었다. 나머지 1번은 블록 DM-03 상단 로켓에 연료가 과다 주입되어 프로톤이 궤도에 진입하기 위한 무게를 초과한 결과였다.[39]

프로톤-M의 주요 발사 실패 사례와 상단 오작동 사례는 하위 섹션에 자세히 설명되어 있다.

6. 1. 주요 발사 실패 사례

2007년 9월, 일본의 JCSAT-11 통신 위성을 탑재한 프로톤-M/브리즈-M 로켓이 궤도 진입에 실패하여 카자흐스탄 울리타우 구에 추락했다. 조사 결과 로켓의 1단과 2단이 파이로케이블 손상으로 인해 분리되지 못한 것으로 밝혀졌다.[35]

2010년 12월 5일, 상단과 탑재체가 1500kg의 액체 산소 과다 주입으로 인해 궤도 속도에 도달하지 못하여 운반하던 글로나스 위성 3기가 손실되었다.[39]

2013년 7월, 세 개의 글로나스 위성을 탑재한 프로톤-M/DM-03이 발사 직후 실패했다. 발사 후 몇 초 안에 로켓이 수직 축을 따라 좌우로 흔들리기 시작했다. 온보드 유도 컴퓨터가 비행 궤도를 수정하려 했지만 실패하여 복구할 수 없는 피치오버 상태가 되었다. 상단과 탑재체는 발사 24초 후에 가해지는 힘으로 인해 분리되었고, 1단이 파괴되어 화염에 휩싸였다. 지면 충돌은 발사 30초 후에 발생했다. 요 제어를 담당하는 1단 각속도 센서 3개가 잘못된 방향으로 설치되었다. 오류가 주 센서뿐만 아니라 이중화된 센서에도 영향을 미쳐 로켓은 요 제어 능력을 상실했고, 이로 인해 실패가 발생했다.[37] 원격 측정 데이터는 또한 발사대 엄빌리컬이 조기에 분리되어 프로톤이 엔진이 완전한 추력을 내기 전에 몇 십 분의 1초 일찍 발사되었을 수 있음을 시사했다.

2014년 5월, 또 다른 프로톤-M 발사가 실패하여 익스프레스 통신 위성이 손실되었다. 2013년 추락 사고와 달리, 이번 사고는 비행 9분 이상 경과 후 3단 버니어 엔진 중 하나가 꺼지면서 자세 제어를 잃어 발생했다. 자동 종료 및 파괴 명령이 내려졌고, 상단과 탑재체의 잔해는 중국 북부에 추락했다. 조사 위원회는 터보펌프 중 하나가 마운트에서 떨어져 추진제 라인이 파열되고 버니어가 추력을 잃게 된 것이 실패의 가장 유력한 원인이라고 결론 내렸다.

2015년 5월, 멕시코 통신 위성 멕스샛-1을 탑재한 프로톤-M이 3단 문제로 손실되었다. 러시아 소식통은 문제점이 2014년 실패와 동일하다고 밝혔다.[38] 조사 결과 3단 버니어 엔진 RD-0214이 터보펌프의 회전자 불균형 증가로 인한 과도한 진동 부하로 인해 고장난 것으로 밝혀졌으며, 이는 1988년의 이전 사고와 동일한 원인이라고 결론 내렸다.

2016년 6월 발사에서 2단의 엔진 4개 중 하나가 조기에 정지되었다. 브리즈-M은 그로 인한 단의 성능 저하를 만회하여 인텔샛 31 위성을 의도한 궤도에 진입시켰다. 조사가 진행되는 동안 로켓은 2016년 나머지 기간과 2017년 상반기 동안 운행이 중단되었다.

2017년 1월 28일, 러시아 정부는 프로그레스 MS-04의 실패에 대한 조사 결과로 보로네시 기계 공장에서 생산된 모든 프로톤-M 2단 및 3단 엔진을 회수하고, 완성된 프로톤 로켓 3기를 해체하며, 3개월 반 동안 비행을 중단한다고 발표했다. 조사 결과 고온에 견딜 수 없는 저렴한 대체품이 귀금속을 함유한 엔진 부품 대신 사용되었고, 생산 및 인증 문서가 위조된 것으로 밝혀졌다.

6. 2. 상단 오작동

프로톤-M 로켓은 여러 차례 발사에 실패했는데, 이 중 일부는 로켓이 탑재체를 더 높은 궤도로 운반하는 데 사용되는 상단부의 문제 때문이었다. 특히 2014년 5월과 2015년 5월의 실패가 대표적이다.

다음은 브리즈-M 상단의 문제로 실패한 최소 5번의 발사 목록이다.

  • 2006년 2월 아랍샛-4A
  • 2008년 3월 AMC-14
  • 2011년 8월 익스프레스 AM4
  • 2012년 8월 텔콤-3 및 익스프레스 MD2[27]
  • 2012년 12월 야말-402


야말-402는 몇 년간의 운용 수명을 희생하여 궤도를 수정할 수 있었고, AMC-14는 미국 정부에 판매된 것을 제외하고, 다른 모든 탑재체는 사용할 수 없게 되었다.

2010년 12월 5일에는 상단에 1.5ton의 액체 산소가 과적되어 궤도 속도에 도달하지 못하면서 글로나스 위성 3기가 손실되기도 했다.[39]

7. 환경 문제 (Environmental Impact)

비판론자들은 프로톤 로켓 연료(비대칭 디메틸히드라진(UDMH))와 러시아 우주 프로그램이 생성한 잔해가 러시아와 카자흐스탄 지역을 오염시키고 있다고 주장한다. 일부 주민들은 발사 후 산성비가 내린다고 주장한다. 그러나 흐루니체프 국립 연구 생산 우주 센터의 아나톨리 쿠진 부국장은 이러한 주장을 부인하며 "우리는 이 문제에 대한 특별한 연구를 수행했습니다. 대기 중의 산성도 수준은 로켓 발사의 영향을 받지 않으며, 알타이 타운에서 발생하는 질병과 로켓 연료 성분 또는 모든 종류의 우주 활동 사이의 연관성을 증명하는 데이터는 없습니다."라고 말했다.[30]

참조

[1] 간행물 Surplus Missile Motors https://www.gao.gov/[...] United States Government Accountability Office 2017-08
[2] 웹사이트 Commercial Launch Vehicle {{!}} ILS Proton Breeze M http://www.ilslaunch[...] International Launch Services 2016-04-07
[3] 웹사이트 Proton Launch System Mission Planner's Guide – Section 2. LV Performance http://www.ilslaunch[...] International Launch Services 2017-06-11
[4] 웹사이트 Upgraded Proton booster adds satellite to Intelsat's fleet http://spaceflightno[...] Spaceflightnow.com 2016-06-09
[5] 웹사이트 Proton http://planet4589.or[...] Jonathan's Space Page 2009-03-05
[6] 웹사이트 1st and 2nd Stage {{!}} ILS Proton {{!}} Launch Vehicle http://www.ilslaunch[...] International Launch Services 2016-04-07
[7] 웹사이트 3rd Stage {{!}} ILS Proton {{!}} Launch Vehicle http://www.ilslaunch[...] International Launch Services 2016-04-07
[8] 웹사이트 Breeze M {{!}} ILS Proton {{!}} Launch Vehicle http://www.ilslaunch[...] International Launch Services 2016-04-07
[9] 웹사이트 Commercial Launch Heritage {{!}} Proton Rocket http://www.ilslaunch[...] International Launch Services 2016-04-10
[10] 웹사이트 Proton http://space.skyrock[...] Gunter's Space Page
[11] 웹사이트 Payload Fairing {{!}} ILS Proton {{!}} Launch Vehicle http://www.ilslaunch[...] International Launch Services 2016-04-07
[12] 웹사이트 Proton Launch System Mission Planner's Guide Section 4 Spacecraft Interfaces http://www.ilslaunch[...] International Launch Services 2016-04-07
[13] 웹사이트 DIRECTV 10 http://www.ilslaunch[...] International Launch Services
[14] 웹사이트 ILS Reaps Reward of Khrunichev Takeover http://www.ilslaunch[...] Satellite Finance 2009-12
[15] 웹사이트 ViaSat 1 http://space.skyrock[...] Gunter's Space Page
[16] 뉴스 Proton Medium, International Launch Services' answer to Falcon 9, put on "indefinite hold" https://spacenews.co[...] 2018-08-30
[17] 웹사이트 ILS unveils two Proton variants sized for smaller satellites http://spacenews.com[...] Space News 2016-09-13
[18] 웹사이트 ILS to expand Proton Rocket Family in Response to Changing Launch Market http://spaceflight10[...] SpaceFlight101.com 2016-09-13
[19] 웹사이트 Proton/JCSAT-11 launch failure http://www.russiansp[...] 2007-09-06
[20] 웹사이트 Russia clears Proton to resume flying in December http://www.spaceflig[...] Spaceflight Now 2010-12-10
[21] 웹사이트 Russia's Proton crashes with a trio of navigation satellites http://www.russiansp[...] RussianSpaceWeb 2013-07-09
[22] 웹사이트 Названа предварительная причина аварии "Протона" с мексиканским спутником https://slon.ru/post[...] slon.ru 2015-05-16
[23] 웹사이트 Third stage engine blamed for Russian Proton-M rocket crash - SpaceFlight Insider http://www.spaceflig[...] 2015-06
[24] 웹사이트 Proton mission with MexSat-1 satellite http://www.russiansp[...] 2017-06-01
[25] 웹사이트 Russia to check space flight engines over faulty parts http://www.spacedail[...]
[26] 웹사이트 Russia grounds Proton-M rockets over crash {{!}} DW {{!}} 28.01.2017 https://www.dw.com/e[...] 2022-01-13
[27] 뉴스 Russian rocket fails to reach target orbit http://www.thehindu.[...] 2012-08-07
[28] 뉴스 Rogozin: Russia to Consolidate Space Sector into Open Joint Stock Company http://www.parabolic[...] 2013-08-30
[29] 뉴스 Rocket failure to lead to space industry reform http://rbth.ru/scien[...] 2013-07-03
[30] 뉴스 Russians say space rocket debris is health hazard https://www.bbc.co.u[...] BBC 2012-08-07
[31] 웹사이트 Proton http://space.skyrock[...] Gunter's Space Page 2015-10-18
[32] 웹사이트 DIRECTV 10 http://www.ilslaunch[...] 인터ナショナル・ローンチ・サービシーズ 2015-10-18
[33] 웹사이트 ILS Reaps Reward of Khrunichev Takeover http://www.ilslaunch[...] Satellite Finance 2015-10-18
[34] 웹사이트 ViaSat 1 http://space.skyrock[...] Gunter's Space Page 2015-10-18
[35] 웹사이트 Proton/JCSAT-11 launch failure http://www.russiansp[...] 2013-07-29
[36] 웹사이트 Russian Proton-M rocket crashes on takeoff http://rt.com/news/p[...] 2013-07-02
[37] 웹사이트 Russia's Proton crashes with a trio of navigation satellites http://www.russiansp[...] RussianSpaceWeb 2013-07-10
[38] 웹사이트 Названа предварительная причина аварии «Протона» с мексиканским спутником https://slon.ru/post[...] slon.ru 2015-05-16
[39] 웹사이트 Russia clears Proton to resume flying in December http://www.spaceflig[...] Spaceflight Now 2015-10-18
[40] 웹사이트 Russian rocket fails to reach target orbit http://www.thehindu.[...] 2015-10-18
[41] 뉴스 Rocket failure to lead to space industry reform http://rbth.ru/scien[...] 2013-07-03
[42] 뉴스 Rogozin: Russia to Consolidate Space Sector into Open Joint Stock Company http://www.parabolic[...] 2013-08-30
[43] 웹사이트 Russians say space rocket debris is health hazard http://www.bbc.co.uk[...] BBC 2012-08-0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