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수 초상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본문
유수 초상(柳綏 肖像)은 조선 중기의 문신 유수(柳綏, 1678~?)의 초상화입니다. 1993년 11월 5일 대한민국의 보물 제1176호로 지정되었으며, 현재 경기도 용인시 경기도박물관에 소장되어 있습니다.
유수 초상에 대한 상세 정보:
- 제작 시기 및 작가: 1726년(영조 2년) 유수가 49세 때 당대 최고의 화가였던 진재해(秦再奚, 1691~1769)가 그렸습니다. 유수가 동래부사로 재직하던 시절입니다.
- 형태: 가로 88㎝, 세로 165.5㎝ 크기의 족자 형태로, 비단에 채색되었습니다. 의자에 앉아 오른쪽을 바라보는 전신상(全身交椅坐像)이며, 얼굴은 좌안팔분면(左顔八分面), 몸체는 구분면(九分面)으로 공수(拱手) 자세를 취하고 있습니다.
- 묘사:
- 얼굴은 선으로 윤곽을 자연스럽게 묘사하여 온화한 성품을 표현했습니다.
- 짙은 청록색 단령과 오사모를 착용하고, 호피를 깐 의자에 앉아 있습니다.
- 사모의 높이가 상당히 높아 당시의 모자 제도를 반영하고 있습니다.
- 상단의 자찬문: 그림 상단에는 유수가 62세 때(1739년, 영조 15년) 초상화를 보고 감회에 젖어 직접 쓴 자찬문(自贊文)이 있습니다. 자신의 삶과 성품, 그리고 자연을 벗 삼아 살아가는 모습에 대한 내용이 담겨 있습니다.
- 진재해의 서간문: 유수 초상과 함께 전해지는 진재해의 서간문(1727년)에는 초상화의 전신(傳神)에 대한 논의와 이 그림이 자신의 득의작(得意作)이라는 자부심이 담겨 있습니다.
유수(柳綏)라는 인물:
- 본관은 진주(晋州), 자는 여회(汝懷), 호는 성곡(聖谷)입니다.
- 1721년(경종 1년) 증광시에 병과로 급제했습니다.
- 1724년(영조 즉위년) 승지가 되었고, 1725년 함종부사를 지냈으나, 탄핵으로 관작이 삭탈되었다가 1727년 복위되었습니다.
유수 초상은 조선 후기 초상화의 전형적인 양식을 보여주는 작품으로, 인물의 개성과 내면을 섬세하게 표현한 수작으로 평가받습니다.
| 유수 초상 | |
|---|---|
| 유수 초상 | |
![]() | |
| 일반 정보 | |
| 유형 | 보물 |
| 지정 번호 | 1176 |
| 지정 연월일 | 1993년 11월 5일 |
| 소재지 | 경기도 용인시 기흥구 상갈로 6, 경기도박물관 (상갈동) |
| 소유자 | 유태흥 |
| 수량 | 2점(영정1폭 함1점) |
| 제작 시기 | 조선시대 |
| 비고 | 유물 / 일반회화 / 인물화 / 초상화 |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