용인시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용인시는 대한민국 경기도 남부에 위치한 특례시로, 고구려 시대에는 구성현으로 불렸다. 고려 시대에는 용구현으로 개칭되었으며, 조선 시대에는 용인현으로 개칭된 후 1996년 용인시로 승격되었다. 현재 3개의 구(처인구, 기흥구, 수지구)와 4개의 읍, 3개의 면, 28개의 행정동으로 구성되어 있다. 지명 유래는 용의 전설에서 비롯되었으며, 과거 농업 중심지에서 수도권 분산 정책으로 화학, 전자, 섬유, 기계 등 제조업이 발달했다. 주요 관광지로는 한국민속촌, 에버랜드 등이 있으며, 스포츠 분야에서는 삼성생명 블루밍스 여자 농구팀이 연고지로 활동하고 있다. 용인시는 여러 대학교와 전문대학이 위치한 교육 도시이기도 하며, 국내외 여러 도시와 자매 결연을 맺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용인시 - 성복도서관
성복도서관은 2016년 용인시에 개관한 공공 도서관으로, 지하 1층부터 지상 4층까지 어린이자료실, 종합자료실, 디지털자료실 등 다양한 시설을 갖춘 어린이와 청소년 중심의 복합문화공간이다. - 경기도의 도시 - 평택시
평택시는 경기도 남서부에 위치하며, 안성시, 천안시 등과 접하고, 평택항, 해군 제2함대, 주한 미군 기지, 삼성반도체 평택캠퍼스 등 주요 시설과 다양한 기업의 생산 시설을 갖춘 도농복합시다. - 경기도의 도시 - 파주시
파주시는 경기도 북서부에 위치하며, 고조선 시대부터 역사를 이어왔고, 임진강과 한강이 흐르는 대륙성 기후를 띠며, 장단콩 등 특산물과 다양한 문화·관광 자원을 보유하고 2024년 1월 특례시로 지정되었다. - 용인시의 행정 구역 - 양지군
양지군은 현재의 용인시 처인구 양지면과 안성시 고삼면 일대를 관할했던 경기도의 옛 군으로, 통일신라 시대 양량부곡에서 조선시대 양지현을 거쳐 1895년 군으로 승격되었으나 1914년 용인군에 편입되었다. - 용인시의 행정 구역 - 양지면
양지면은 본래 고구려의 사복홀현이었으나 신라 경덕왕 때 양지현으로 개명된 지역으로, 조선시대에 용구현과 합쳐졌다 분리되는 변화를 겪었고 일제강점기에는 용인군에 병합되어 내사면으로 개칭되었다가 광복 50주년을 맞아 양지면으로 환원되었으며, 현재는 영동고속도로와 국도 제42호선, 양지 나들목, 그리고 여러 레저 시설이 위치한 용인시 처인구의 면이다.
용인시 - [지명]에 관한 문서 | |
---|---|
지도 | |
기본 정보 | |
공식 명칭 | 용인시 |
한자 표기 | 龍仁市 |
로마자 표기 | Yongin-si |
유형 | 특례시 |
지역 | 경기도 (수도권) |
방언 | 경기 방언 |
면적 | 591.32 km² |
인구 (2022년 10월) | 1,076,369명 |
인구 밀도 | 1860.44명/km² |
하위 행정 구역 | 3구, 4읍, 3면, 35동 |
전화 지역 번호 | +82-31-2xx |
시목 | 전나무 |
시화 | 철쭉 |
시조 | 꿩 |
정치 | |
정치 체제 | 시장-의회제 |
시장 | 이상일 (국민의힘) |
시의회 | 용인시의회 |
국회의원 | 갑: 이상식 (더불어민주당) 을: 손명수(더불어민주당) 병: 부승찬(더불어민주당) 정: 이언주(더불어민주당) |
행정 구역 | |
구 | 처인구 기흥구 수지구 |
읍 | 모현읍 이동읍 남사읍 원삼읍 |
면 | 백암면 양지면 동부동 |
행정동 | 31개 |
법정동 | 35개 |
기타 | |
![]() | |
![]() | |
시청 소재지 | (17019)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중부대로 1199(삼가동) |
공식 웹사이트 | 용인시 공식 홈페이지 |
2. 역사
용인은 5세기까지 거슬러 올라가는 인류 정착의 증거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1996년 3월에야 도시 지위를 부여받았다.
고구려 시대에는 '''구성현(駒城県)'''이었으나, 신라 경덕왕 때 '''거서현(巨黍県)'''으로 개칭되어 한주(漢州)에 속했다. 고려 초기에는 '''용구현(龍駒県)'''으로 개칭되었고, 고려 현종 때 광주부(広州府)의 속현이 되었다가 고려 명종 때 감무(監務)가 설치되었다. 조선 태조 6년(1397년)에는 용구현에 현령이 설치되었고, 태종 13년(1413년)에는 처인현(処仁県)과 합쳐져 '''용인현(龍仁県)'''이 되었다.[6]
1895년 6월 23일(구력 윤5월 1일) 충주부(忠州府) 용인군(龍仁郡)으로 개편되었고,[7] 1896년 8월 4일 경기도 용인군으로 개편되었다.[8] 1914년 4월 1일 군면병합에 따라, 용인군, 양지군(陽智郡) 및 죽산군(竹山郡)의 일부가 합병하여 '''용인군'''이 되었다.[9] 1914년 당시 설치된 면은 다음과 같다. (12면)[9]
- 수여면(水餘面)·포곡면(蒲谷面)·모현면(慕賢面)·읍삼면(邑三面)·수지면(水枝面)·기흥면(器興面)·남사면(南四面)·이동면(二東面)·내사면(内四面)·고삼면(古三面)·외사면(外四面)·원삼면(遠三面)
1938년 1월 1일 수여면(水餘面)이 용인면(龍仁面)으로 개칭되었고,[11] 1963년 1월 1일 고삼면(古三面)이 안성군(安城郡)에 편입되었다.[12] 1979년 5월 1일 용인면이 용인읍(龍仁邑)으로 승격되었고,[14] 1985년 10월 1일 기흥면이 기흥읍(器興邑)으로 승격되었다.[16]
1996년 3월 1일 용인군이 '''용인시'''로 승격되면서,[17] 용인읍은 4개의 행정동으로 분할되었으며, 수지면이 수지읍(水枝邑)으로 승격, 외사면이 백암면(白岩面)으로, 내사면이 양지면(陽智面)으로 개칭되었다. 2000년 9월 1일 구성면이 구성읍(駒城邑)으로 승격되었고,[18] 2001년 12월 24일 수지읍은 6개의 행정동으로 분할되었다.
2005년 10월 31일 수지구(水枝區)·기흥구(器興區)·처인구(處仁區) 3구가 설치되면서,[19] 기흥읍과 구성읍은 여러 행정동으로 분할되었으며, 포곡면이 포곡읍(蒲谷邑)으로 승격했다. 이후 지속적인 인구 증가와 행정 개편을 거쳐 2022년 1월 13일 특례시로 승격[27]되었다.
2. 1. 지명 유래
용인(龍仁)이라는 지명은 조선 태종 13년(1413년)에 처인현(処仁県)과 합쳐져 '''용인현(龍仁県)'''이 되면서 유래되었다.[6] 그 이전에는 고구려 시대에는 '''구성현(駒城県)''', 신라 경덕왕 때 '''거서현(巨黍県)''', 고려 초기에는 '''용구현(龍駒県)'''으로 불렸다.'용(龍)'자가 들어간 유래에는 다음과 같은 설화가 전해진다. 용인시 좌측의 투구봉과 우측의 칼봉 사이 넓은 터는 '장군대지형'으로 불렸다. 옛날 남씨 문중에서 이곳에 묘를 썼는데, 아기장수가 태어났다. 아기장수는 옆구리에 날개가 돋아나고 힘이 장사였으나, 남씨 문중은 화근을 우려해 아기장수를 바위로 눌러 죽였다. 아기가 죽자, 그를 태울 용마(龍馬)가 석성산을 향해 달려나갔다고 한다. 이러한 전설들이 삼국시대의 구성현이 고려 초 용구현으로 바뀌게 된 배경으로 여겨진다.
2. 2. 좌전고개 만세운동

좌전고개 만세운동은 일제 강점기 때 일어난 운동으로 용인 전역으로 확대되었으며, 이를 기념하는 기념탑이 현재 사적지의 기념물로 용인 독립만세운동의 역사를 알려주고 있다. 「좌전고개 만세운동」이라고 불리는 용인 독립만세운동은 1919년 3월 21일 오전 3시 주민 1천여 명이 참가해 벌인 용인 최초의 독립만세운동으로, 이날을 계기로 1만 3천여 명이 동참했고 이 중 700여 명이 일제에 의해 죽거나 실종되었다.[6]
2. 3. 연혁
고구려 때 '''구성현'''(駒城縣)이었는데, 신라 경덕왕 때 '''거서현'''(巨黍縣)이라 개칭하고 한주(漢州)에 속했다.- 고려 초: '''용구현'''(龍駒縣)으로 개칭하였다.
- 고려 현종: 양광도 광주목(廣州)의 속현이 되었다.
- 고려 명종 2년(1172년): 감무를 두었다.
- 조선 태조 6년(1397년): 용구현에 현령을 두었다.
- 태종 13년(1413년): 용구현에 처인현(處仁縣)을 합해 '''용인현'''이 되었다.[33]
- 1895년 6월 23일(음력 윤달 5월 1일): 충주부 '''용인군'''으로 개편하였다.[34] 이때 군의 치소를 현 기흥구 언남동에서 현 처인구 김량장동(당시 수여면 소학동)으로 옮겼다.
- 1896년 8월 4일: 경기도 용인군으로 개편하였다.[35]
- 1914년 4월 1일: 용인군, 양지군(현 양지면·동부동과 안성시 고삼면)과 죽산군의 일부(현 원삼면·백암면)를 통합하여 용인군으로 개편하였다.[36]
- 1917년: 1914년 조선총독부 부제(府制)의 실시에 따라 면제(面制) 시행. 용인군을 수여면, 포곡면, 모현면, 읍삼면, 수지면, 기흥면, 남사면, 이동면, 내사면, 고삼면, 외사면, 원삼면의 12면으로 구성하고 용인군청을 읍내면에서 수여면 김량장리로 이전하였다.
- 1931년 읍삼면을 구성면으로 개칭하였다.
- 1938년 수여면을 용인면으로 개칭하였다.[37]
- 1963년 1월 1일 : 고삼면을 안성군으로 편입하였다.[38] (11면)
- 1973년 7월 1일 : 수진면 죽전리가 구성면에서 다시 수지면으로 복구되었다.[39]
- 1979년 5월 1일 : 용인면을 용인읍으로 승격하였다.[40] (1읍 10면)
- 1983년 2월 15일 : 수지면에서 쇠죽골천과 가산천, 여천(麗川) 유역의 이의리·하리를 수원시로 편입하였다.[41] 남사면 진목리의 월경마을이 평택시로 이속되었다.[42]
- 1985년 10월 1일 : 기흥면을 기흥읍으로 승격하였다.[43] (2읍 9면)
- 1996년 3월 1일 : 용인군 일원을 관할로 도농복합형태의 용인시가 설치되었다.[44] 용인읍은 4개 행정동으로 분동, 수지면이 수지읍으로 승격.[45] 외사면을 백암면으로, 내사면을 양지면으로 개칭하였다.[46] (2읍 8면 4행정동)
- 2000년 9월 1일 : 구성면이 구성읍으로 승격하였다.[47] (3읍 7면 4행정동)
- 2001년 12월 24일 : 수지읍이 수지출장소로 승격하였다. 풍덕천1동·풍덕천2동·죽전1동·죽전2동·동천동·상현동의 6개동을 설치하였다.[48] (2읍 7면 10행정동)
- 2002년 9월 5일 : 용인시 인구 50만명을 돌파하였다.
- 2003년 3월 31일 : 상현동에서 성복동을 분동하였다.[49](2읍 7면 11행정동).
- 2005년 10월 31일 : 구제(區制)가 실시되어 기흥읍·구성읍을 관할로 하는 기흥구를 설치하고, 수지출장소를 수지구로 승격하였으며, 나머지 면·동을 관할로 하는 처인구를 설치하였다. 기흥읍은 기흥동·신갈동·구갈동·상갈동·서농동으로, 구성읍은 보정동·구성동·마북동·어정동으로 분동하였다.[51], 포곡면은 포곡읍으로 승격하였다.[52](3구 1읍 6면 22행정동)
- 2007년 7월 1일: 기흥구의 어정동이 동백동, 상하동으로 분동하였다.[55] (3구 1읍 6면 23행정동)
- 2010년 8월 2일: 기흥구의 신갈동에서 영덕동이 분동하였다. (3구 1읍 6면 24행정동)
- 2017년 9월 1일: 용인시의 주민등록 인구가 100만 명을 돌파하였다.[56]
- 2017년 12월 11일: 이동면, 모현면이 각각 이동읍, 모현읍으로 승격하였다. (3구 3읍 4면 24행정동)
- 2020년 1월 20일: 상갈동은 상갈동, 보라동으로, 동백동은 동백1동, 동백2동, 동백3동으로, 영덕동은 영덕1동, 영덕2동으로 분동하였다.[59] (3구 3읍 4면 28행정동)
- 2021년 2월 19일: 남사면이 남사읍으로 승격. (3구 4읍 3면 28행정동)
- 2021년 9월 6일: 처인구 역삼동은 역북동, 삼가동으로, 수지구 죽전1동은 죽전1동, 죽전3동으로, 수지구 상현1동은 상현1동, 상현3동으로 분동하였다. (3구 3읍 4면 31행정동)
- 2022년 1월 13일: 특례시로 승격되었다.
3. 지리
경기도 남부 내륙에 위치하며, 지질은 주로 화강암과 화강편마암으로 되어 있다. 광주산맥의 영향으로 구릉과 소분지가 발달하였고, 하천은 중앙지대를 중심으로 방사상으로 흐른다.
탄천은 북쪽으로 흘러 한강에 합류하고, 구흥천은 남쪽으로 흘러 평택시를 지나 분향만으로 유입되며, 청미천 상류는 동남쪽으로 흘러 유역의 소분지를 관개한다. 용인 일대는 광주산맥의 낮은 구릉이 경안(京安)과 김량장의 침식곡으로 동서로 분단된 서쪽 지방이다. 용인시의 땅 모양이 거북과 같다 하여, 풍수지리에서 길지로 알려진 곳이 많다. 기흥구 공세동 자봉산 기슭에는 숭례문과 풍남문을 축성한 최유경(崔有慶)의 효행심으로부터 '생거진천 사거용인(生居鎭川 死居龍仁)'이라는 표현이 유래하였다.[60]
3. 1. 기후
용인시는 내륙에 위치하여 기온의 교차가 심한 대륙성 기후를 나타낸다. 쾨펜의 기후 구분에 따르면 온대 습윤 기후(Dwa)에 속한다.[61] 연평균 기온은 11.6°C이며, 1월 평균 기온은 -3.1°C, 8월 평균 기온은 25.1°C이고, 연평균 강수량은 1300mm이다.[1]월 | 1월 | 2월 | 3월 | 4월 | 5월 | 6월 | 7월 | 8월 | 9월 | 10월 | 11월 | 12월 | 연평균 |
---|---|---|---|---|---|---|---|---|---|---|---|---|---|
최고 기온 (°C) | 2.6°C | 5.7°C | 11.7°C | 18.5°C | 23.9°C | 27.8°C | 29.2°C | 30.1°C | 26°C | 20.1°C | 12.2°C | 4.4°C | 17.7°C |
평균 기온 (°C) | -3.1°C | -0.4°C | 5.2°C | 11.4°C | 17.1°C | 21.7°C | 24.7°C | 25.1°C | 19.8°C | 12.9°C | 5.8°C | -1.3°C | 11.6°C |
최저 기온 (°C) | -8.5°C | -6°C | -1°C | 4.9°C | 10.9°C | 16.5°C | 21°C | 21.3°C | 15.3°C | 7.4°C | 0.5°C | -6.4°C | 6.3°C |
강수량 (mm) | 17.2mm | 31.6mm | 40.3mm | 75.6mm | 89.4mm | 123.5mm | 374.6mm | 290.3mm | 130.7mm | 50.1mm | 47.2mm | 21.4mm | 1291.9mm |
강수일 수 (0.1 mm) | 4.3 | 4.1 | 5.9 | 7.2 | 7.2 | 7.6 | 13.6 | 13.0 | 8.3 | 5.0 | 7.1 | 5.6 | - |
4. 행정 구역
용인시의 행정 구역은 3구, 4읍, 3면, 28행정동으로 구성되어 있다. 면적은 경기도 전체의 5.8%에 해당하는 591.36km2이며, 2020년 1월 기준 인구는 1,004,081명, 371,685세대이다.[62]
구 | 한자 | 면적 | 인구 | 세대 |
---|---|---|---|---|
처인구 | 處仁區 | 467.6km2 | 253,896 | 107,785 |
기흥구 | 器興區 | 81.7km2 | 437,146 | 165,355 |
수지구 | 水枝區 | 42.1km2 | 370,398 | 135,054 |
용인시 | 龍仁市 | 591.3km2 | 1,061,440 | 408,194 |
- 인구·세대는 2020년 1월 주민등록 기준
3개 구의 면적 비율은 수지:기흥:처인이 1:2:11이지만, 인구는 가장 넓은 처인구가 가장 적다.

5. 인구
2017년 6월 30일 주민등록 기준으로 용인시의 인구는 99만 6894명(외국인 제외)이다. 이 중 남자는 49만 5643명, 여자는 50만 1251명으로 여자가 다소 많아 성비는 98.8이다. 외국인은 1만 5761명이다. 유소년 인구비율은 18.3%, 노인 인구비율은 10.3%이다.
기흥구, 수지구는 용인시 전체 면적의 20.9%를 차지하지만, 시 전체 인구의 77%가 이 지역에 거주하여 인구가 시의 서북부에 집중되어 있다. 처인구에는 22만 9588명(23%), 기흥구에는 41만 8336명(42%), 수지구에는 34만 8970명(35%)이 거주한다.
연도 | 총인구(명) |
---|---|
1966년 | 105,179 |
1970년 | 96,551 |
1975년 | 111,442 |
1980년 | 135,537 |
1985년 | 153,767 |
1990년 | 187,975 |
1995년 | 242,048 |
2000년 | 384,741 |
2005년 | 686,842 |
2010년 | 847,138 |
2015년 | 971,327 |
2020년 | 1,089,087 |
2022년 | 1,092,840 |
용인시의 인구는 2017년에 100만 명을 돌파했다.
6. 경제
용인시는 원래 농업이 주 산업이었으나, 1970년대 이후 수도권 분산 정책에 따라 기흥구와 수지구 일대에 화학, 전자, 섬유, 기계, 식품 등 다양한 제조업체가 들어섰다. 과거에는 이 지역에 목장이 많았지만, 현재는 골프장이 많이 조성되어 있다.
2001년 6월 5일, 정보통신부는 경기도 용인시에 소프트웨어 지원 센터 설치를 확정했다. 이는 수지구에 단국대학교를 중심으로 형성된 민관학 협력 체계를 기반으로 한 것이었다. 2002년 7월 31일 용인소프트웨어지원센터가 개소하였고, 2006년 7월 26일 용인시 디지털산업진흥원으로 명칭이 변경되었다.[63]
2012년 2월 23일, 용인시는 미국의 산업용 가스 제조업체인 프렉스에어코리아㈜가 기흥구에 1180억 원을 투자하여 공장을 신설할 계획이라고 발표했다. 이 공장은 기흥구 농서동 24,029m2 부지에 연면적 4,243m2 규모로 건설될 예정이며, 초고순도 질소 가스 제조 및 관련 부대시설을 갖추게 된다.
2018년 기준으로 용인시의 재정자립도는 62.07%로, 경기도 내에서 화성시와 성남시에 이어 세 번째로 높다.[64]
6. 1. 지역 내 총생산
2018년 기준 용인시의 지역 내 총생산(GRDP)은 32조원으로 고양시, 성남시, 수원시와 더불어 경기도 지역 내 총생산의 51.3%를 차지하고 있다.[65] 농림어업(1차 산업)은 4188억원으로 1%의 비중을 차지하며 광업 및 제조업(2차 산업)은 59조원으로 72.7%의 비중을 차지하고 상업 및 서비스업(3차 산업)은 21조원으로 26.8%의 비중을 차지한다.[65] 3차 산업 부문에서는 대규모 택지개발의 영향으로 사업서비스(4.1%)와 건설업(3.0%), 도소매업(2.7%)과 부동산업 및 임대업(2.7%)이 주를 이루고 있다.[65]6. 2. 산업별 종사자 현황
2020년 용인시 산업의 총 종사자 수는 52,723개 사업장, 337,516명으로 경기도 전체 종사자 수의 6.52%를 차지한다. 이 중 농림어업(1차 산업) 종사자는 148명으로 비중이 낮고, 광업 및 제조업(2차 산업) 종사자는 59,208명(20.6%), 상업 및 서비스업(3차 산업) 종사자는 228,330명(79.4%)이다. 2차 산업은 경기도 전체 비중(27.1%)보다 낮고, 3차 산업은 경기도 전체 비중(72.9%)보다 높다. 3차 산업 부문에서는 도소매업(13.0%), 사업서비스업(12.7%), 교육서비스업(11.1%), 숙박 및 음식점업(9.3%)이 큰 비중을 차지한다.[67]6. 3. 상업 시설
AK플라자 기흥점과 신세계백화점 경기점이 있다.[1][2] 기흥구에는 이마트 트레이더스 구성점, 이마트 동백점, 이마트 흥덕점, 이마트 보라점, 롯데마트 신갈점, 코스트코 공세점, 이케아 기흥점이 있다. 수지구에는 이마트 죽전점, 이마트 수지점, 롯데마트 롯데몰수지점이 있다. 처인구에는 이마트 용인점이 있다.영화관으로는 CGV 기흥, CGV 동백, 롯데시네마 용인기흥, 메가박스 용인기흥, 메가박스 용인테크노밸리, CGV 신세계경기, 롯데시네마 수지, CGV 용인, CGV DRIVE IN 용인크랙사이드, 롯데시네마 용인역북이 있다.
6. 3. 1. 백화점
AK플라자 기흥점(구갈동)과 신세계백화점 경기점(죽전동)이 있다.[1][2]6. 3. 2. 대형마트, 창고형 마트
기흥구에는 이마트 트레이더스 구성점(보정동), 이마트 동백점(중동), 이마트 흥덕점(영덕동), 이마트 보라점(보라동), 롯데마트 신갈점(신갈동), 코스트코 공세점(공세동), 이케아 기흥점(고매동)이 있다. 수지구에는 이마트 죽전점(죽전동), 이마트 수지점(신봉동), 롯데마트 롯데몰수지점(성복동)이 있다. 처인구에는 이마트 용인점(역북동)이 있다.6. 3. 3. 영화관
영화관 이름 | 위치 (행정동) |
---|---|
CGV 기흥 | 구갈동 |
CGV 동백 | 중동 |
롯데시네마 용인기흥 | 구갈동 |
메가박스 용인기흥 | 고매동 |
메가박스 용인테크노밸리 | 청덕동 |
CGV 신세계경기 | 죽전동 |
롯데시네마 수지 | 성복동 |
CGV 용인 | 김량장동 |
CGV DRIVE IN 용인크랙사이드 | 역북동 |
롯데시네마 용인역북 | 역북동 |
7. 관광
용인시의 대표적인 관광지로는 한국민속촌과 에버랜드가 있으며, 이 두 곳은 많은 관광객이 찾는 곳이다.[68]
처인성은 경기도 기념물 제44호로, 용인시 남사읍 아곡리 43번지에 위치한 총면적 5820m2의 장방형 토성이다. 고려 때 군창으로 사용되었던 곳으로 추정되며, 백제 때 축성되었다는 주장도 있다. 고려의 김윤후 장군이 몽골의 세력을 몰아낸 장소이다. 할미산성도 용인의 주요 역사 유적지 중 하나이다.
용인 천주교 공원묘지에는 김수환 추기경의 묘소가 있다. 하루 평균 800명의 추모객이 방문한다.[69]
한택식물원은 백암면 옥산리의 비봉산 기슭에 자리 잡고 있으며, 1979년부터 조성되어 2003년 5월부터 일반인들에게 개방되었다. 총면적은 약 300000m2이며 8000여 종, 720만 그루의 식물이 자라고 있다.[70]
와우정사는 대한불교열반종의 총본산으로 1970년 실향민인 김해근(법명 해곡 삼장법사)이 세운 호국 사찰이다. 와우정사 내 열반전에는 인도네시아에서 들여온 통향나무로 만든 길이 12m, 높이 3m의 열반상(와불상)이 있는데, 이는 세계 최대의 목불상으로 기네스북에 기록되어 있다.[71]
아르피아 타워는 높이 106m로, 죽전역 인근에 위치하며 하수처리장 굴뚝을 토대로 지어졌다. 전망대에서는 수지구 일대를 조망할 수 있다.
드라미아는 처인구에 위치하며, 《해를 품은 달》, 《주몽》, 《선덕여왕》, 《동이》와 같은 사극 촬영지이다. 전통 민속놀이, 궁중 의상, 활쏘기를 포함한 관람 투어가 가능하다.[4]
양지파인리조트는 처인구에 위치한 또 다른 관광 명소이다.
7. 1. 박물관
8. 군사
지상작전사령부가 처인구에 있으며, 예하 55사단이 포곡읍에 있다.
한국 전쟁 당시 터키군이 김량장동에서 중공군에 맞서 금양장 전투를 치렀다. 터키군은 이 전투에서 '백병전'으로 10배 가까운 중공군을 괴멸시키고 승리해 군우리 전투에서의 패배를 설욕했다. 금양장 전투에서 중공군 1900명, 터키군 12명이 전사했다.
9. 교통
2004년 분당선 연장 개통으로 용인시에도 철도 교통 시대가 열렸다. 용인 경전철은 2013년에 개통되었으며, 신분당선 연장 구간도 2016년에 개통되었다. 1972년 수려선 폐지 이후 일반 여객 철도 노선은 없으며, KTX 등을 이용하려면 수원역으로 가야 한다. 수도권 광역급행철도 A선 구성역이 계획 중이다.[2]
용인시의 시내버스와 용인시의 마을버스 외에도 서울특별시의 서울역 방면 노선과 신사역에서 기흥역 방면으로 진입하는 광역버스도 운행된다. 처인구에 있는 용인공용버스터미널에서는 서울고속버스터미널행 고속버스와 광주, 부산종합버스터미널행 노선, 인천국제공항 등지로 가는 시외버스를 이용할 수 있다. 처인구 동부의 백암시외버스정류장은 수원역, 기흥역 등과 연결된다.[2]
1971년 영동고속도로를 시작으로, 2009년 용인서울고속도로, 2022년 수도권제2순환고속도로가 개통되었다. 경부고속도로는 시의 서부를 지나며 영동고속도로와 신갈 분기점에서 만난다. 국도는 동서를 관통하는 국도 제42호선, 남북을 관통하는 국도 제45호선과 양지를 종점으로 하는 국도 제17호선이 있다.
9. 1. 철도
2004년 11월 26일 분당선 보정임시역이 개통되면서 용인에도 철도 교통 시대가 열렸다. 같은 노선의 죽전역이 2007년 12월 24일에, 죽전~기흥 구간이 2011년 12월 28일에, 상갈역이 2012년 12월 1일에 개통되었다. 용인 경전철은 2013년 4월 26일에 전 구간 개통되었다. 신분당선 정자역~광교역 연장 구간이 2016년 1월 30일에 개통되었다.[2]일반 여객 철도인 수려선이 이용객 감소로 1972년에 폐지된 이후, 일반 여객 철도 노선은 존재하지 않는다. 따라서 KTX, ITX-새마을, 무궁화호, 누리로를 이용하려면 가장 가까운 수원역으로 가야 한다. 수도권 광역급행철도 A선 구성역이 계획 중이다.
- 용인경량전철주식회사
- * 용인 경전철 : 기흥역 - 강남대역 - 지석역 - 어정역 - 동백역 - 초당역 - 삼가역 - 시청·용인대역 - 명지대역 - 김량장역 - 운동장·송담대역 - 고진역 - 보평역 - 둔전역 - 전대·에버랜드역
9. 2. 버스
용인시의 시내버스, 용인시의 마을버스 외에도 서울특별시의 서울역으로 가는 노선과 신사역에서 기흥역 방면으로 진입하는 광역버스도 운행된다.- 용인공용버스터미널: 처인구에 있으며, 용인경전철 운동장·송담대역에서 남쪽으로 500m 거리에 있다.
- * 서울고속버스터미널행 고속버스는 비교적 단거리 노선으로 30~40분 간격으로 운행하며, 소요시간은 45분이다. 그 외 광주·부산종합버스터미널행 노선이 있다.
- * 시외버스는 인천국제공항·김포국제공항·안산·원주·전주·아산·대전 등으로 운행한다.
- 백암시외버스정류장: 처인구 동부의 버스 교통 요충지로, 수원역·기흥역과 연결되어 있으며, 용인대장금파크 방면 버스와도 연결된다.[2]
9. 3. 도로
1971년 영동고속도로가, 2009년에 용인서울고속도로가, 2022년에 수도권제2순환고속도로가 개통되었다. 경부고속도로가 시의 서부를 지나가고 영동고속도로와 신갈 분기점에서 만난다. 국도는 동서를 관통하는 국도 제42호선, 남북을 관통하는 국도 제45호선과 양지를 종점으로 하는 국도 제17호선이 있다.; 고속도로
- 경부고속도로: 기흥동탄 나들목, 기흥 나들목, 남사진위 나들목, 수원신갈 나들목, 신갈 분기점, 죽전휴게소
- 세종포천고속도로: 용인 분기점, 북용인 분기점, 북용인 나들목, 처인휴게소, 오포 나들목
- 영동고속도로: 신갈 분기점, 마성 나들목, 서용인 분기점, 용인 나들목, 양지 나들목, 용인휴게소
- 용인서울고속도로: 흥덕 나들목, 광교상현 나들목, 서수지 나들목, 서분당(고기) 나들목
- 수도권제2순환고속도로: 서용인 나들목, 서용인 분기점, 포곡 나들목
; 국도
; 지방도
10. 스포츠
용인시에 위치한 명지대학교 자연캠퍼스, 용인대학교에서 하계, 동계 올림픽을 비롯하여 여러 스포츠 선수들을 배출하고 있다. 김학범, 박지성, 손웅정을 배출한 명지대학교는 FISU 대학월드컵축구 대회에서 동메달을 획득했다. 축구, 농구 외에도 수영, 쇼트트랙, 테니스, 태권도, 럭비, 골프 등과 용인시청 소속의 볼링, 씨름 등 여러 스포츠 종목에서 강세를 보인다. 처인구 동부동에는 1982년에 준공된 관람석 12,000석의 용인종합운동장이 위치해 있다.
용인은 여자프로농구 여자 농구 팀인 용인 삼성생명 블루밍스의 연고지이다.
11. 교육 기관
용인시에는 대학교와 전문대학 등의 교육기관이 있다.
11. 1. 대학교
용인시에는 여러 대학교 캠퍼스가 있다.학교명 | 위치 |
---|---|
경희대학교 국제캠퍼스 | 기흥구 |
강남대학교 | 기흥구 |
루터대학교 | 기흥구 |
웨스트민스터신학대학원대학교 | 기흥구 |
칼빈대학교 | 기흥구 |
단국대학교 죽전캠퍼스 | 수지구 |
명지대학교 자연캠퍼스 | 처인구 |
총신대학교 양지캠퍼스 | 처인구 |
용인대학교 | 처인구 |
한국외국어대학교 글로벌캠퍼스 | 처인구 |
중앙신학대학원대학교 | 처인구 |
용인송담대학교 | 처인구 |
11. 2. 전문대학
용인예술과학대학교(구 용인송담대학교)12. 용인시 캐릭터
조아용은 용인시의 지명에 있는 '용'(龍)에서 착안해 만든 용 캐릭터이다.[72] 상상 속 동물 '용'의 특징인 뿔과 수염, 날카로운 이빨을 활용해 용의 모습을 현대식으로 재구성했다. SNS에서 호감을 표시할 때 '좋아요'를 사용하는 것과 용인의 '용'자를 결합해 '조아용'으로 이름을 정했다.[72] 조아용은 성별과 나이가 미상이며, 시민들에게 친근하게 다가갈 수 있는 장난꾸러기 캐릭터로 설정되었다. 기분파 성향으로 기쁨, 신남, 화남, 슬픔 등 다양한 표정을 가지고 있다.
13. 자매 도시
용인시는 국내외 여러 도시와 자매 결연을 맺고 있다.
국내 자매 도시는 영천시, 진도군, 사천시이다. 국외 자매 도시는 다음과 같다.
13. 1. 국내
영천시, 진도군, 사천시13. 2. 국외
참조
[1]
웹사이트
Climatological Normals of Korea (1991 ~ 2020)
https://data.kma.go.[...]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2023-06-07
[2]
웹사이트
Shinbundang Line Map
http://shinbundang.c[...]
2011-07-25
[3]
웹사이트
[무모한 도전? 무한도전!] 'NO.7' 윤도영, '찰칵 세리머니' 준비 완료!
https://post.naver.c[...]
Korea Football Association
2023-11-10
[4]
뉴스
Beyond Seoul: 19 reasons to explore Korea
http://www.cnngo.com[...]
2012-03-16
[5]
웹사이트
주민등록 인구통계 - 행정안전부
https://jumin.mois.g[...]
2024-01-03
[6]
서적
용인의 연혁
[7]
법률
칙령 제98호 地方制度改正件
1895-05-26
[8]
법률
칙령 제36호 地方制度官制改正件
1896-08-04
[9]
법률
朝鮮総督府令第111号
1913-12-29
[10]
간행물
(신구대조) 조선 전도부군면리동 명칭 일람
1917
[11]
뉴스
군청소재 면명을 군명에 따라 개정
http://newslibrary.n[...]
동아일보
1937-12-16
[12]
법률
법률 제1175호 시·군관할구역변경및면의폐치에관한법률
1962-11-21
[13]
법률
大統領令第6542号 市・郡・区・邑・面の管轄区域変更に関する規定
1973-03-12
[14]
법률
大統領令第9409号 미금읍등53개읍설치에관한규정
1979-04-07
[15]
법률
大統領令第11027号 市・郡・区・邑・面の管轄区域変更及び面設置等に関する規定
1983-01-10
[16]
법률
大統領令第11772号 京畿道楊州郡檜泉邑等の邑の設置と邑の管轄区域変更に関する規定
1985-09-26
[17]
법률
법률 제4994호 경기도파주시등5개도농복합형태의시설치등에관한법률
1995-12-06
[18]
간행물
행정자치부공고 제2000-95호
http://theme.archive[...]
2000-08-05
[19]
법률
龍仁市条例第648号 구및읍·면·동의명칭과관할구역에관한조례
2005-10-05
[20]
법률
전라남도 나주시 등 4개 시·군의 관할구역 변경에 관한 규정
http://www.law.go.kr[...]
2007-02-08
[21]
뉴스
수원.용인 경계일부-어정동 분동 등 관할구역 변화
http://news.naver.co[...]
뉴시스
2007-04-29
[22]
뉴스
<소식>용인시 동백동, 상하동 사무소 개소
http://news.naver.co[...]
뉴시스
2007-07-02
[23]
뉴스
용인시 100만 인구 돌파..기초자치단체 중 4번째
http://v.media.daum.[...]
연합뉴스
2017-09-03
[24]
법률
경기도 수원시와 용인시의 관할구역 변경에 관한 규정
http://www.law.go.kr[...]
2019-08-13
[25]
뉴스
부산·수원·용인 등 관할구역 변경…불합리한 행정구역 조정
http://news1.kr/arti[...]
뉴스1
2019-08-06
[26]
법률
龍仁市条例第1997号 구및읍·면·동의명칭과관할구역에관한조례
2020-01-10
[27]
웹사이트
‘특례시’된 수원·고양·용인·창원…저소득층 복지 ‘대도시급’으로
https://www.hani.co.[...]
2022-01-13
[28]
지역
처인구
[29]
지역
기흥구 (신갈동, 영덕1동, 영덕2동, 구갈동, 상갈동, 보라동, 기흥동, 서농동, 동백2동, 상하동)
[30]
지역
수지구 (풍덕천1동, 풍덕천2동, 신봉동, 동천동, 상현1동, 상현3동, 성복동)
[31]
지역
기흥구(보정동, 구성동, 마북동, 동백1동, 동백3동), 수지구(상현2동, 죽전1동, 죽전2동, 죽전3동)
[32]
뉴스
수원·용인·고양·창원특례시 출범...달라지는 점?
https://www.korea.kr[...]
KTV
2022-01-13
[33]
서적
용인의 연혁
[34]
법률
칙령 제98호 地方制度改正件
1895-05-26
[35]
법률
칙령 제36호 地方制度官制改正件
1896-08-04
[36]
법률
조선총독부령 제111호
1913-12-29
[37]
뉴스
군청소재 면명을 군명에 따라 개정
http://newslibrary.n[...]
동아일보
1937-12-16
[38]
법률
법률 제1175호 시·군관할구역변경및면의폐치에관한법률
1962-11-21
[39]
법률
대통령령 제6542호 시·군·구·읍·면의관할구역변경에관한규정
1973-03-12
[40]
법률
대통령령 제9409호 미금읍등53개읍설치에관한규정
1979-04-07
[41]
법률
대통령령 제11027호 시·군·구·읍·면의관할구역변경에관한규정
1983-02-15
[42]
법률
대통령령 제11027호 시·군·구·읍·면의관할구역변경및면설치등에관한규정
1983-01-10
[43]
법률
대통령령 제11772호 경기도양주군회천읍등읍설치와읍의관할구역변경에관한규정
1985-09-26
[44]
법률
법률 제4994호 경기도파주시등5개도농복합형태의시설치등에관한법률
1995-12-06
[45]
법률
용인군 조례 제1444호 읍·면·동의명칭과관할구역에관한조례
1996-02-27
[46]
법률
용인군 조례 제1140호 읍·면·동의명칭과관할구역에관한조례
1996-01-09
[47]
법률
용인군 조례 제277호 읍·면·동의명칭과관할구역에관한조례
2000-08-21
[48]
법률
용인시 조례 제368호 읍·면·동의명칭과관할구역에관한조례
2001-12-24
[49]
법률
용인시 조례 제437호 읍·면·동의명칭과관할구역에관한조례
2003-03-31
[50]
법률
용인군 조례 제495호 읍·면·동의명칭과관할구역에관한조례
2004-01-15
[51]
법률
용인시 조례 제651호 구와 읍·면·동의명칭과관할구역에관한조례
2005-10-05
[52]
법률
용인시 조례 제648호 구와 읍·면·동의명칭과관할구역에관한조례
2005-10-05
[53]
법률
전라남도 나주시 등 4개 시·군의 관할구역 변경에 관한 규정
http://www.law.go.kr[...]
2007-02-08
[54]
뉴스인용
수원.용인 경계일부-어정동 분동 등 관할구역 변화
https://news.naver.c[...]
뉴시스
2007-04-29
[55]
뉴스인용
<소식>용인시 동백동, 상하동 사무소 개소
https://news.naver.c[...]
뉴시스
2007-07-02
[56]
뉴스
용인시 100만 인구 돌파..기초자치단체 중 4번째
https://news.v.daum.[...]
연합뉴스
2017-09-03
[57]
법률
경기도 수원시와 용인시의 관할구역 변경에 관한 규정
http://www.law.go.kr[...]
2019-08-13
[58]
뉴스인용
부산·수원·용인 등 관할구역 변경…불합리한 행정구역 조정
http://news1.kr/arti[...]
뉴스1
2019-08-06
[59]
법률
용인시 조례 제1997호 구및읍·면·동의명칭과관할구역에관한조례
2020-01-10
[60]
뉴스인용
‘살만한 곳’ 용인
http://www.yongin21.[...]
굿모닝용인(용인시민신문)
2009-03-18
[61]
백과사전
기후
[62]
웹사이트
주민등록 인구통계
http://www.mois.go.k[...]
2018-02-12
[63]
웹사이트
용인시 디지털산업진흥원
http://yongin.grandc[...]
[64]
웹사이트
경기지역 24개 시·군 재정자립도 ↓···안산·과천 하락폭 커
https://news.joins.c[...]
2018-04-15
[65]
웹사이트
경기도 시군단위 지역내총생산(GRDP)
http://kosis.kr/stat[...]
[66]
웹사이트
경기도 기본통계 및 2010 인구주택 총조사
http://kosis.kr/stat[...]
[67]
웹사이트
경기도 사업체조사
http://kosis.kr/stat[...]
[68]
백과사전
용인의 교통·관광
[69]
뉴스인용
[70]
서적
똑똑한 여행책
열번째행성
2006
[71]
웹인용
두산백과
https://terms.naver.[...]
[72]
웹인용
용인의 상징 < 용인시 소개 < 용인소개 < HOME : 용인시청 대표포털
https://www.yongin.g[...]
2022-05-29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