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육군청 (독일)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육군청(Heeresamt)은 독일 연방 국방부의 지소로, 1956년 부대국 제5부/부대과로 설립되어 1970년 육군청으로 개칭되었다. 육군의 효율적인 운용, 교육, 조직, 장비 개선을 목표로 하며, 육군 지휘 참모 감부의 지휘를 받아 육군의 기능적 발전, 정보 기술 시스템 감독, 병과 발전, 계획 수립, 인사 및 교육 기준 수립, 소속 부대 지휘 등의 임무를 수행한다. 육군청은 5개의 전문부와 하위 조직을 두고 있으며, 쾰른에 본부를 두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독일 연방방위군 육군 - 독일 육군
    독일 육군은 독일 제국 육군에서 기원하여 국방군을 거쳐 현재의 독일 연방군 육군으로 이어져 왔으며, 양차 세계 대전과 냉전 시대를 거쳐 독일 재통일 후에는 국제 평화 유지 작전에 참여하고 있다.
  • 독일 연방방위군 육군 - 독일 육군사관학교
    독일 육군사관학교는 독일 제국 시대로부터 이어져 온 군사 교육 기관으로, 독일군의 핵심 장교를 양성하며 여러 시대를 거쳤으나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해체되었고, 현재는 사관후보생 제도를 통해 육군 장교를 선발 및 양성한다.
  • 1956년 설립 - 일본 기상청
    일본 기상청은 일본 국토교통성 외청으로 기상 관측, 예보, 지진 및 쓰나미 경보, 화산 감시 등을 담당하며, 1872년 설립 이후 1956년 현재 명칭으로 개칭, 2001년 국토교통성 외청으로 소속 변경, 2020년 본부 이전 후 전국 관측망과 첨단 기술을 활용하여 관련 정보 제공 및 국민 안전과 사회 경제 활동에 기여한다.
  • 1956년 설립 - 아리마 기념
    아리마 기념은 팬 투표로 출전마를 선정하는 일본 중앙경마의 최고 권위 경주 중 하나로, 나카야마 경마장에서 개최되며 국제 경주로 지정되어 있고 일본 경마 부흥에 큰 영향을 미쳤다.
  • 2013년 폐지 - 대한민국 행정안전부
    대한민국 행정안전부는 국무회의 서무, 법령 공포, 정부 조직 관리, 정부혁신, 전자정부 구축, 지방자치 지원, 재난안전관리 등을 수행하는 중앙행정기관으로, 내무부와 총무처의 통합 및 국민안전처 흡수를 거쳐 현재 명칭으로 세종특별자치시에 위치한다.
  • 2013년 폐지 - 워싱턴 포스트
    워싱턴 포스트는 1877년 창간되어 워싱턴 D.C.에서 발행되는 영향력 있는 미국의 일간지로, 워터게이트 사건 보도와 퓰리처상 수상, 제프 베이조스의 디지털 혁신 추진을 거쳐 "민주주의는 어둠 속에서 죽는다"라는 슬로건을 사용하는 신문이다.
육군청 (독일) - [군대/부대]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
명칭육군청
원어 명칭Heeresamt (독일어)
약칭HA
표어Heeresamt – Die Zukunft im Visier (육군청 - 미래를 우리 시야에)
연혁
창설1956년 2월 16일
해체2013년 6월 27일
국가
국가독일
소속독일 육군
규모
본청약 1,100명
하부 조직 포함약 12,000명
역할 및 구조
종류사령부
역할고위 지휘 권한
명령 체계육군지도참모부 ([[파일:BMVg.svg|15px]] General Staff (Führungsstab des Heeres))
위치
본부노르트라인베스트팔렌주 쾰른
지휘관
최종 부서장Generalmajor Erhard Drews
최종 부관 겸 육군 훈련 학교 사령관Brigadegeneral Heinrich Fischer
주요 지휘관Generalleutnant Heinz-Georg Lemm
Generalleutnant Hellmuth Mäder

2. 역사

독일 연방방위군 육군청의 역사는 1956년 2월 16일, 연방 국방부 산하 부대국(Truppenamtde)의 '''제5부/부대과'''(Abteilung V/Truppenreferatede)로 시작되었다. 같은 해 6월 10일부터 본격적으로 가동된 이 조직은 1970년 10월 1일부로 '''육군청'''이라는 현재의 명칭으로 변경되었다.

1990년독일 통일 과정에서는 구 동독의 국가인민군을 통합하여 새로운 독일군을 형성하기 위한 교육 임무를 수행하였다. 1995년에는 조직 개편을 통해 육군의 개념 발전에 대한 책임을 맡게 되었으며, 2008년 4월 1일에는 육군 후방 지원 센터를 제5부로 통합하며 조직을 확대하였다.

2. 1. 창설과 초기 발전

육군청은 연방 국방부의 지소로서 1956년 2월 16일에 부대국(Truppenamt)의 '''제5부/부대과'''(Abteilung V/Truppenreferate)로 처음 설립되었다. 초기 내부 조직은 지휘부대감부(InFüTr), 전투부대감부(InKpfTr), 포병부대감부(InArtTr), 방공부대감부(InHFlaTr), 공병부대감부(InPiTr), 기술부대감부(InTTr), 위생부대감부(InSanTr), 육군 교육 제도 감부(EBH), 육군 기간 부문(SDH) 등으로 구성되었다.

1956년 6월 10일부터 제5부/부대과는 본격적으로 가동되기 시작했으며, 1970년 10월 1일에는 명칭을 '''육군청'''으로 변경하였다. 1986년에는 부지 내에 제2차 세계 대전 당시 나치에 저항했던 프리드리히 올브리히트 장군을 기리는 기념비가 세워졌다.

1990년 8월, 통일 과정에서 독일 민주 공화국(동독)의 국가인민군과의 통합 사업이 시작되면서, 육군청은 새로운 독일군을 형성하기 위한 교육을 담당하게 되었다. 이후 1995년에는 육군청 전체의 조직 개편이 이루어졌고, 이때부터 육군 내 개념 발전에 대한 책임을 맡게 되었다. 2008년 4월 1일에는 육군 후방 지원 센터가 제5부로서 육군청에 통합되었다.

2. 2. 육군청으로의 개칭과 역할 확대

연방 국방부의 지소로서 1956년 2월 16일에 부대국(Truppenamt)의 제5부/부대과(Abteilung V/Truppenreferate)로 처음 설립되었다. 초기의 내부 조직은 다음과 같이 구성되었다.

조직명원어 약칭
지휘부대감부InFüTr
전투부대감부InKpfTr
포병부대감부InArtTr
방공부대감부InHFlaTr
공병부대감부InPiTr
기술부대감부InTTr
위생부대감부InSanTr
육군 교육 제도 감부EBH
육군 기간 부문SDH



제5부/부대과는 1956년 6월 10일부터 가동되었으며, 1970년 10월 1일육군청으로 명칭이 변경되었다. 1986년에는 부지 내에 프리드리히 올브리히트 장군 저항 전사 기념비를 건설했다.

1990년 8월부터는 통일 과정에서 동독의 국가인민군을 통합하는 사업에 참여하여, 새로운 독일군을 형성하기 위한 교육을 담당하는 등 역할이 확대되었다. 1995년에는 육군청 전체의 재편성이 이루어졌고, 이후 육군에서의 개념 발전에 대한 책임을 맡게 되었다. 2008년 4월 1일에는 육군 후방 지원 센터가 제5부로서 육군청에 통합되었다.

2. 3. 독일 통일과 육군 통합

1990년 8월부터 육군청은 독일 통일 과정에서 동독의 국가인민군을 연방군으로 통합하는 사업이 개시되면서, 신생 독일군을 형성하기 위한 교육을 담당했다.

1995년에는 육군청 전체에 대한 재편성이 이루어져, 이 시점부터 육군의 개념 발전에 대한 책임을 지게 되었다. 이후 2008년 4월 1일에는 육군 후방 지원 센터가 제5부로서 육군청에 통합되었다.

2. 4. 현대화와 임무 재편

1990년 8월부터 동독 국가인민군과의 통합 사업이 시작되면서, 육군청은 신생 독일군을 형성하기 위한 교육을 담당하는 중요한 역할을 수행했다. 1995년에는 육군청 전체의 재편성이 이루어져, 이후 육군에서의 개념 발전에 대한 책임을 지게 되었다. 2008년 4월 1일에는 육군 후방 지원 센터가 제5부로서 육군청에 통합되었다.

3. 임무

육군청의 상위 목적은 육군의 효율적인 운용, 교육, 조직 및 장비에 대한 추가적인 개선을 도모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다음과 같은 사항이 육군청의 주요 임무가 된다.


  • 육군 지휘 참모 감부의 제약 하에서 직무에 기초한 육군의 기능적 발전.
  • 육군 정보 기술 시스템의 감독과 지도.
  • 병과의 발전.
  • 계획 작성 및 규칙 처리.
  • 인사·교육 기준의 계획 작성 및 처리.
  • 소속 부대에 대한 지휘.


이 외에 육군청은 쾰른에 배치된 몇몇 외국군의 주재 무관 연락관과 연계하고 있다.

육군청은 약 500명의 장교, 250명의 부사관, 160개의 반 및 120명 이상의 문민 직원으로 구성되며, 예하에 약 12,000명을 거느리고 있다.

4. 조직

(내용 없음)

4. 1. 주요 간부

육군청의 장(長)인 청장에는 육군 소장이 임명된다. 청장 직속으로는 선임 법무관(LRB)과 선임 위생관(LSO)이 배치되어 있으며, 이들은 장교 교육, 부사관 교육, 부대 교육 및 예비역 교육의 집행을 통제하고 감찰하는 역할을 맡는다. 청장은 외국군 연락관과 직접 접촉할 권한을 가진다. 부청장에는 육군 준장이 임명되며, 모든 육군 학교의 지휘관인 동시에 정보통신 부대도 지휘한다. 막료장 역시 육군 준장이 맡으며, 육군청 막료부의 장으로서 소속 부서 간의 업무 조정 및 운용 평가 등을 총괄한다. 각 부서는 막료장에게 관리 사항을 보고한다.

4. 2. 내부 조직

전문부는 제1부부터 제5부까지로 구성되며, 각 부서의 주요 임무는 다음과 같다.

부서주요 임무
제1부 (Abteilung Ide, 육군 발전)육군 기본 개념 정립, 방위 자재 개발 필요 조건 계획
제2부 (Abteilung IIde, 교육)육군 전체의 기본적/공통적 교육 업무 총괄
제3부 (Abteilung IIIde, 육군 군비)육군 군비 계획 수립/관리
제4부 (Abteilung IVde, 조직)육군 조직 구조 개념 정립, 조직 관리, 장비 성능 검증, 기본 조직 구조 준비/정비, 장비/자재 관리
제5부 (Abteilung Vde, 후방 지원·이용)육군 후방 지원 태세의 핵심 지도/통제



육군청 본부는 쾰른의 콘라트 아데나워 병영에 있다. 제2부와 제4부는 오이스키르헨의 루돌프 크리스토프 폰 게르스도르프 병영, 제3부는 코블렌츠의 라인강 병영, 제5부 일부는 바트 노이에나르-바일러의 아르강 병영에 각각 위치한다.

4. 3. 하위 조직

육군청은 육군의 모든 중앙 교육 기관을 관할한다.

  • 육군 센터
  • 육군 학교


이러한 육군 학교와 센터 등 육군 시설 3,000곳과 약 12,000명의 군인 및 민간 직원을 하위 지휘 기구로 둔다.

5. 역대 국장

wikitext

이름계급취임일퇴임일
1헬무트 라인하르트 (Helmuth Reinhardt)소장1956년 6월 1일1960년 9월 30일
2헬무트 매더 (Hellmuth Mäder)중장1960년 10월 1일1968년 9월 30일
3후베르트 조넥 (Hubert Sonneck)중장1968년 10월 1일1974년 3월 31일
4하인츠-게오르크 렘 (Heinz-Georg Lemm)중장1974년 4월 1일1979년 9월 30일
5호르스트 베너 (Horst Wenner)중장1979년 10월 1일1983년 3월 31일
6베르너 셰퍼 (Werner Schäfer)중장1983년 4월 1일1986년 3월 31일
7게르하르트 바흐터 (Gerhard Wachter)중장1986년 4월 1일1986년 11월 30일
8볼프강 오덴달 (Wolfgang Odendahl)중장1986년 12월 1일1990년 3월 31일
9에른스트 클라푸스 (Ernst Klaffus)중장1990년 4월 1일1994년 3월 31일
10위르겐 라이하르트 (Jürgen Reichardt)소장1994년 4월 1일1999년 3월 31일
11만프레트 디트리히 (Manfred Dietrich)소장1999년 4월 1일2001년 3월 31일
12베르너 비더 (Werner Widder)소장2001년 3월 31일2003년 9월
13위르겐 루베 (Jürgen Ruwe)소장2003년 10월 1일2005년 3월 1일
14볼프강 코르테 (Wolfgang Korte)소장2005년 3월 1일2006년 11월 15일
15볼프요아힘 클라우스 (Wolf-Joachim Clauß)소장2006년 11월 15일2012년 6월 1일
하인리히 피셔 (Heinrich Fischer) (직무대행)준장2012년 6월 1일2012년 12월 31일
16에어하르트 드루스 (Erhard Drews)소장2013년 1월 1일2013년 6월 27일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