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블렌츠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코블렌츠는 독일 라인란트팔츠주에 위치한 도시로, 모젤강과 라인강이 합류하는 지점에 자리 잡고 있다. 기원전 8년에 로마 제국의 요새로 건설되었으며, '합류점의 요새'라는 뜻의 라틴어 이름에서 유래했다. 중세 시대에는 트리어 대주교령 아래에서 번영했으며, 프랑스 혁명 이후 프랑스, 프로이센, 미국 등의 지배를 거쳐 제2차 세계 대전 중 심각한 피해를 입었다. 주요 관광 명소로는 독일 기사단이 있던 '독일 코너'와 빌헬름 1세 기념비, 에렌브라이트슈타인 요새 등이 있으며, 라인강과 모젤강을 따라 발달한 와인 무역과 관광 산업이 경제의 중요한 부분을 차지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라인란트팔츠주 - 마인츠
마인츠는 독일 라인란트팔츠주의 주도로, 라인강과 마인강 합류 지점에 위치하며 로마 시대 군사 기지에서 발전하여 중세 시대 대주교 도시이자 제국 자유 도시로 번영했고, 구텐베르크의 고향으로서 풍부한 역사와 문화를 간직한 경제, 문화, 교육의 중심지이다. - 라인란트팔츠주 - 보름스
보름스는 라인 강변의 독일 도시로, 켈트족 기원, 로마 제국 시대 발전, 신성 로마 제국 자유 도시 역할, 보름스 협약과 칙령 결정, 마르틴 루터 종교 개혁 관련, 유대인 공동체 중심지, 유네스코 세계 유산, 포도주 양조, 역사 건축물, 니벨룽겐 박물관 등으로 특징지어진다. - 독일의 도시 - 프랑크푸르트
프랑크푸르트 암 마인은 독일 헤센주에 있는 세계적인 금융 중심지이자 유럽중앙은행을 비롯한 주요 국제기구의 본거지이며, 역사적으로 중요한 역할을 수행했고,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재건을 거쳐 유럽 최대의 고층빌딩 도시이자 국제적인 교통 허브로 성장한 다문화 도시이다. - 독일의 도시 - 함부르크
함부르크는 독일 북부의 자유 한자 도시이자 연방 주로, 중세 한자 동맹의 주요 항구 도시로 번영했으며 현재는 유럽 주요 항구 도시이자 국제적인 대도시이다.
코블렌츠 | |
---|---|
지도 정보 | |
![]() | |
기본 정보 | |
공식 명칭 | Koblenz |
로마자 표기 | Koblents |
독일어 발음 | ˈkoːblɛnts |
라틴어 명칭 | (ad) cōnfluentēs |
도시 유형 | 도시 |
위치 | 라인란트팔츠주 |
행정 구역 | 도시 자치구 |
해발 고도 | 64.7 m |
면적 | 105.02 km² |
우편 번호 | 56001–56077 |
지역 번호 | 0261 |
차량 번호 | KO |
웹사이트 | koblenz.de |
인구 | |
인구 | 113,388명 (2018년 12월 31일 기준) |
인구 밀도 | 1,100명/km² |
정치 | |
시장 | 다비트 랑너 |
시장 임기 | 2017–2025 |
시장 직함 | 상급 시장 |
정당 | 무소속 |
역사 | |
로마 시대 | 약 기원전 8년 |
라틴어 명칭 | Castellum apud Confluentes |
기타 정보 | |
좌표 | 50° 21′ 35″ N, 7° 35′ 52″ E |
통계 코드 | 07111000 |
![]() |
2. 역사
코블렌츠라는 이름은 라틴어 ''(ad) cōnfluentēsla''(합류점)에서 유래하며, 이는 갈리아어 Condate("합류지")를 번역한 것일 수 있다.[23] 기원전 8년경 도루수스가 로마 제국 주둔지로 "카스트룸 아푸드 콘플루엔테스"(Castellum apud Confluentes, 합류점의 요새)라는 요새를 건설했다. 요새 근처에는 상인 마을도 형성되었으나, 고대 말기에 파괴되었다.
로마 황제 티베리우스 시대에 로마군 주둔지가 설치되었고, 프랑크족 침입(259/260년)으로 약 5.8ha 땅을 둘러싼 성벽이 축조되었다. 5세기에 로마 요새는 버려지고, 프랑크 왕국 메로빙거 왕조 왕궁이 건설되었다. 863년 헌당된 성 카스트루스 교회(St. Kastor-Kirche)는 도시 발전 방향을 제시했다. 13세기 70/80년대 라인강 방향 확장은 도시 지형에 큰 영향을 주어, 시역은 약 42ha까지 넓어졌다.[24]
중세에는 트리어 대주교령 아래 번영했고, 한자 동맹에도 가입했다. 교회 조직상 프랑크 왕국 시대부터 트리어 대주교 관구에 속했지만, 13세기 중반 트리어 대주교가 군주 지위를 차지했다. 13세기 후반, 두 번째 도시 성벽 건설과 대주교 성 건설을 둘러싸고 대주교와 시 사이에 격렬한 대립이 발생, 시민 측이 패배했다. 14세기 새 시민 그룹이 시 지도층에 진입, 심사인단(Schöffenkolleg)과 참사회(Rat)가 설치되었지만, 대주교의 지배적 지위는 유지되었다.[25]
1302년 코블렌츠, 보파르트, 오버베셀, 안데르나흐, 본 사이에 중부 라인 도시 동맹이 성립되었고, 후에 쾰른도 가입했다.[26] 라인강과 모젤강 합류점이라는 위치 덕분에 중세 초기부터 제국의 중요 회의 장소가 되었고, 여러 큰 사건들이 발생했다.[27]
프랑스 혁명 시기 프랑스 지배하에 놓였다. 19세기 전반, 비엔나 의정서 결정에 따라 프로이센 왕국 지배하에 들어갔다. 30년 전쟁, 1688년 팔츠 계승 전쟁(대동맹 전쟁), 프랑스령 시대를 거치며 방비 강화, 부분 파괴, 방어 시설 철거, 재건이 반복되었다. 제2차 세계 대전 중 시 중심부의 85%가 파괴되었다.[28]
2. 1. 고대
기원전 1000년경, 모젤강 반대편의 에렌브라이트슈타인 언덕에 초기 요새가 세워졌다. 기원전 55년, 율리우스 카이사르가 지휘하는 로마군은 라인강에 도착하여 코블렌츠와 안데르나흐 사이에 다리를 건설했다. 기원전 9년경, 드루수스가 세운 군사 기지 중 하나인 “Castellum apud Confluentes”가 있었다.[3]서기 49년에 로마인들이 건설한 큰 다리의 유적이 여전히 남아있다. 로마인들은 다리를 보호하기 위해 두 개의 성을 지었는데, 하나는 서기 9년에, 다른 하나는 2세기에 건설되었으나 259년에 프랑크족에 의해 파괴되었다. 코블렌츠 북쪽에는 머큐리와 로스메르타(갈로-로마 신)의 신전이 있었으며, 이 신전은 5세기까지 계속 사용되었다.[3]
2. 2. 중세

서로마 제국이 멸망한 후, 코블렌츠는 프랑크족에게 정복되어 왕궁이 되었다. 샤를마뉴의 제국이 분열된 후, 그의 아들 루트비히 1세 경건왕의 영토에 포함되었다. 837년에는 샤를 2세 대머리왕에게 할당되었고, 몇 년 후 카롤링거 왕위 계승자들은 이곳에서 베르됭 조약(843년)이 될 논의를 진행했으며, 이 조약에 따라 도시는 로타링기아의 로타르 1세 통치하에 속하게 되었다. 860년과 922년에는 코블렌츠에서 교회 공의회가 열렸다. 882년에는 바이킹에게 약탈당하고 파괴되었다. 925년에는 동프랑크 왕국, 후일 신성 로마 제국의 일부가 되었다.
1018년, 황제 하인리히 2세가 헌장을 받은 후 트리어 대주교 선제후에게 이 도시를 하사하였다. 이 도시는 18세기 말까지 그의 후계자들의 소유였으며, 17세기부터 그들의 주요 거주지였다. 1138년에는 황제 콘라트 3세가 이곳에서 선출되었다. 1198년에는 필리프 슈바벤 공작과 오토 4세 사이의 전투가 인근에서 벌어졌다. 1216년에는 주교 테오도리히 폰 비트가 바실리카와 병원의 토지를 튜턴 기사단에 기증했는데, 이후 이 지역은 "독일 코너"(Deutsches Eck)가 되었다.
1249년에서 1254년 사이에 코블렌츠는 대주교 아놀드 2세 폰 이젠부르크에 의해 새로운 성벽이 건설되었고, 혼란스러운 시민들을 제압하기 위해 후임 대주교들은 현재도 도시를 지배하고 있는 에렌브라이트슈타인 요새를 건설하고 강화하였다.
로마 제국 티베리우스 황제 시대에 로마 군대의 주둔지가 설치되었고, 프랑크족의 침입(259년/260년)을 받아 약 5.8ha의 땅을 둘러싼 견고한 성벽이 축조되었다. 5세기에 로마의 요새가 버려지고, 프랑크 왕국메로빙거 왕조의 왕궁이 건설되었다. 863년 헌당된 성 카스트루스 교회(St. Kastor-Kirche)는 후일 도시의 발전 방향을 제시했다. 13세기 70년대/80년대의 라인 강 방향으로의 확장은 도시 지형에 근본적인 영향을 주었으며, 시역은 약 42ha까지 넓어졌다.[24]
교회 조직상, 코블렌츠는 프랑크 왕국 시대 이래 트리어 대주교 관구에 속해 있었지만, 13세기 중반에 트리어 대주교가 군주 지위(Landeshoheit)를 차지하고 있었다. 13세기 후반에는 두 번째 도시 성벽 건설과 시역 내의 대주교 성 건설과 관련하여 대주교와 시 사이에 격렬한 대립이 발생하여 시민 측의 패배로 끝났다. 14세기에 새로운 시민 그룹이 시의 지도층에 진입하여 심사인단(Schöffenkolleg)과 함께 참사회(Rat)가 설치되었지만, 대주교의 지배적 지위는 흔들리지 않았다.[25]
1302년에는 여러 영방 국가에 속하는 여러 도시들을 하나로 묶는 중부 라인 도시 동맹이 코블렌츠, 보파르트, 오버베셀, 안데르나흐 그리고 본 사이에 성립했고, 후에는 쾰른도 이에 가입했다.[26]
라인 강과 모젤 강의 합류 지점이라는 유리한 위치 때문에 중세 초기 이래 제국의 중요한 회의 장소가 되었고, 큰 사건들이 이곳에서 발생했다.
- 842년 베르됭 조약(843년)의 예비 협상(성 카스트루스 교회에서) [27]
- 860년 6월 5일-7일, 카롤링거 왕조 3왕의 평화 협상[27]
- 1138년 2월 22일 호엔슈타우펜 왕조 콘라트 3세의 독일 왕으로의 선출[27]
- 1198년 9월 8일, 물을 뺀 모젤 강 바닥에서 행해진 호엔슈타우펜 가 필리프 폰 슈바벤과 벨프 가 오토 4세와의 전투[27]
- 1338년 루트비히 4세가 개최하고 잉글랜드와 프랑스의 중재를 한 궁정 회의[27]
- 막시밀리안 1세가 1492년 1월 1일에 개최한 제국 회의[27]
2. 3. 프랑스 혁명과 코블렌츠
프랑스 혁명이 발발하자 코블렌츠는 프랑스를 탈출한 왕당파 망명자들과 봉건 영주들의 주요 거점이 되었다.[4] 1791년 6월 이후 10월 이전의 어느 시점에 코블렌츠(그리고 베르마와 브뤼셀)의 충성파 지지자들은 외국 군대의 지원을 받아 프랑스 침공을 준비하고 있었다. 음모자들은 코블렌츠와 튀르리 궁전 사이를 오가며 루이 16세 국왕으로부터 격려와 자금을 받았고, 비밀 위원회는 무기를 모으고 장교와 병사들을 모집했다.[5] 코블렌츠에 거주하는 주목할 만한 망명자들 중에는 샤를(아르투아 백작)(미래의 샤를 10세), 전 장관 샤를 알렉상드르 드 칼론, 그리고 루이(프로방스 백작)(미래의 루이 18세)가 있었다. 장교와 병사들은 가제트 드 파리(신병 한 명당 60리브르)를 통해 모집되었고, 모집된 병사들은 메츠로 보내진 후 코블렌츠로 이동했다. 1792년 1월 클로드 알리에가 코블렌츠를 방문했을 때 그는 6만 명의 병사가 무장을 갖추고 행동 준비를 마쳤다고 말했다.[6]1792년 7월 26일, 7만 명의 프로이센 군과 6만 8천 명의 오스트리아, 헤센, 망명 귀족으로 구성된 침략군을 지휘한 브런스위크 공작이 코블렌츠로 진군하기 시작했다. 그는 코블렌츠를 포함하여 저항하는 도시들을 불태우고 반란자들을 몰살하겠다는 내용의 선언문을 발표했다. 그러나 제1차 세계 대전과 마찬가지로 폭우와 아르곤 숲의 험난한 지형이 침략군의 진군을 막았다. 도로는 "진흙탕"이었고, 악천후로 인해 보급선이 마비되면서 보급품이 부족해지기 시작했다. 급진적인 혁명가 조르주 당통은 알려지지 않은 조건 하에 브런스위크 공작과 협상하여 그의 철수를 이끌어냈다. 브런스위크 공작은 그랑프레와 베르됭을 거쳐 라인강을 건너 철수했고, 코블렌츠는 구원받았다.[7]
1793년, 뱅데(Vendée)에서 일어난 가톨릭 농민들의 반란은 국민의회를 전복시키려는 목적으로 시작되었는데, 코블렌츠(Koblenz)에서 온 사절들이 교황령, 왕령, 그리고 금을 가지고 뱅데로 왔기 때문이었다. 프랑스 혁명군의 감시를 피하는 과정에서 이들 사절들은 중산층, 낭트의 전 노예 무역상들, 그리고 반
프랑스 혁명 당시 경험을 바탕으로 페터 크로포트킨은 코블렌츠에 거주하던 왕당파 망명자 유형을 묘사하기 위해 "코블렌츠파(Koblenzian)"라는 용어를 만들었다.[9]
2. 4. 근대
이 도시는 13세기에 성장한 라인 도시 연맹의 일원이었다. 튜턴 기사단은 1231년경 코블렌츠 바일리위크를 설립했다. 코블렌츠는 큰 번영을 누렸으나, 30년 전쟁의 재앙으로 급격한 쇠퇴를 겪었다. 트리어 선제후 필립 크리스토프가 에렌브라이트슈타인을 프랑스에 넘겨준 후, 이 도시는 1632년에 황제군 주둔지가 되었다. 그러나 이 군대는 곧 스웨덴군에 의해 쫓겨났고, 스웨덴군은 다시 이 도시를 프랑스에 넘겨주었다. 황제군은 마침내 1636년에 폭풍우 속에서 이 도시를 탈환하는 데 성공했다.[3]1688년, 코블렌츠는 부플러 원수 지휘하의 프랑스군에 포위되었지만, 옛 도시(Altstadt)를 폐허로 만들고, 다른 건물들 중에서도 1725년 현재의 모습으로 복원된 옛 상인회관(Kaufhaus)을 파괴하는 것 외에는 성공하지 못했다. 이 도시는 1690년부터 1801년까지 트리어 대주교 선제후의 거주지였다.[3]
1786년, 마지막 트리어 대주교 선제후인 작센의 클레멘스 벤체슬라우스는 도시의 확장과 개선을 크게 도왔고, 에렌브라이트슈타인을 웅장한 바로크 궁전으로 바꿨다. 1789년 바스티유 함락 이후, 이 도시는 대주교 선제후의 수상인 페르디난트 프리히어 폰 두미니크의 초청으로 프랑스 망명 귀족들의 주요 집결지 중 하나가 되었다. 대주교 선제후는 박해받는 프랑스 국왕인 루이 16세의 삼촌이었기 때문에 이를 승인했다. 도시로 몰려든 많은 왕당파 프랑스 난민들 중에는 프로방스 백작과 아르투아 백작이 있었다. 게다가, 루이 16세의 사촌인 콩데 공 루이 조제프 드 부르봉이 도착하여 프랑스 혁명과 구체제 복고를 위해 싸울 의지를 가진 젊은 귀족들의 군대를 조직했다. 콩데 군은 브런스비크 공 칼 빌헬름 페르디난트가 이끄는 프로이센과 오스트리아 군대와 연합하여 1792년 프랑스 침공을 시도했지만 실패했다. 이로 인해 프랑스 제1공화국의 분노가 대주교 선제후에게 향했고, 1794년 마르소(포위 공격 중 사망) 지휘하의 프랑스 혁명군에 의해 코블렌츠가 함락되었고, 뤼네빌 조약(1801년) 체결 후 새로운 프랑스 주인 라인-모젤의 중심지가 되었다. 1814년에는 러시아군이 점령했다. 빈 회의는 이 도시를 프로이센에 할당했고, 1822년에는 프로이센 라인 주의 정부 소재지가 되었다.[3]
제1차 세계 대전 후, 프랑스는 다시 한번 이 지역을 점령했다. 이 도시는 1919년부터 1923년까지 미군 점령군의 중심지였다. 프랑스의 반발에도 불구하고, 이 도시의 독일 주민들은 1926년 이후 더욱 독일적인 철자법인 '''Koblenz'''를 사용하는 데 고집했다. 제2차 세계 대전 동안 이 도시는 독일 B 집단군의 사령부를 주둔했고, 많은 다른 도시들과 마찬가지로 격렬한 폭격을 받고 나중에 재건되었다. 1945년 3월 16일부터 19일까지, 작전 럼버잭을 지원하는 미국 제87보병사단의 치열한 전투가 벌어졌다. 1947년부터 1950년까지, 이 도시는 정부 소재지로서 라인란트팔츠의 역할을 했다.[3]
30년 전쟁, 1688년의 팔츠 계승 전쟁(대동맹 전쟁), 프랑스령 시대를 거치면서 반복적으로 방비 강화, 부분 파괴, 방어 시설 철거, 재건이 이루어졌다. 제2차 세계 대전 중 시 중심부의 파괴는 85%에 달했다.[28]
3. 인구
연도 | 인구 |
---|---|
1469 | 1,193 |
1663 | 1,409 |
1800 | 7,992 |
1836 | 13,307 |
1871 | 24,902 |
1900 | 45,147 |
1910 | 56,487 |
1919 | 56,676 |
1925 | 58,161 |
1933 | 65,257 |
1939 | 91,098 |
1950 | 66,444 |
1961 | 99,240 |
1970 | 101,374 |
1987 | 108,246 |
2011 | 107,825 |
2018 | 114,024 |
행정 구역 변경에 따라 인구 규모가 영향을 받았을 수 있다.
4. 지리
모젤강과 라인강의 합류점에 위치하며, 하천 교통의 요충지이다. 모젤강이 라인강으로 흘러드는 곳은 도이체스 에크(Deutsches Eck, “독일의 곶”)라고 불리는데,[22] 독일 기사단이 1216년 이후 이곳에 기사단 건물을 세운 데서 유래한다. 와인 거래 외에도, 라인강변의 경관으로 인해 관광업도 발달하고 있다. 인근 도시로는 라인강을 따라 북서쪽으로 약 50km 거리에 본, 80km 거리에 쾰른, 남동쪽으로 65km 거리에 마인츠가 있다. 모젤강을 남서쪽으로 약 95km 거슬러 올라가면 트리어에 도착하며, 동쪽으로 약 10km 거리에는 온천지인 바트 에姆斯가 있다.
4. 1. 기후
Koblenz|코블렌츠de (벤도르프)의 1991년~2020년 평균 기후는 다음과 같다.월 | 1월 | 2월 | 3월 | 4월 | 5월 | 6월 | 7월 | 8월 | 9월 | 10월 | 11월 | 12월 | 연간 |
---|---|---|---|---|---|---|---|---|---|---|---|---|---|
평균 최고 기온 (℃) | 5.2°C | 6.7°C | 11.7°C | 16.6°C | 20.3°C | 23.4°C | 25.2°C | 25.5°C | 20.6°C | 15.1°C | 9.3°C | 5.2°C | 15.2°C |
평균 기온 (℃) | 2.5°C | 3.4°C | 6.7°C | 10.7°C | 14.3°C | 17.3°C | 19.3°C | 19°C | 14.8°C | 10.6°C | 6.4°C | 2.7°C | 10.5°C |
평균 최저 기온 (℃) | -0.3°C | 0.2°C | 2.7°C | 5.3°C | 9°C | 12°C | 13.8°C | 13.6°C | 10.4°C | 7°C | 3.8°C | 0.3°C | 6.3°C |
강수량 (mm) | 41.5mm | 34.4mm | 44.6mm | 36.1mm | 59.1mm | 65.8mm | 75.9mm | 62.1mm | 62.6mm | 49.3mm | 52.6mm | 52.8mm | 630mm |
강수 일수 (≥ 1mm) | 15.1 | 13.9 | 16.0 | 12.6 | 14.4 | 13.8 | 15.7 | 13.4 | 13.4 | 15.1 | 17.5 | 17.3 | 177.6 |
일조 시간 | 52.2 | 68.0 | 118.8 | 177.6 | 195.1 | 202.3 | 192.2 | 197.4 | 137.9 | 94.7 | 42.9 | 40.0 | 1486.4 |
상대 습도 (%) | 82.9 | 80.5 | 74.0 | 69.4 | 70.3 | 70.6 | 70.7 | 70.9 | 78.4 | 82.1 | 85.0 | 85.4 | 76.8 |
5. 문화
어린이 장난감 요요는 18세기 프랑스에서 ''de Coblenz''(코블렌츠)라는 별명으로 불렸는데, 이는 당시 도시에 살았던 수많은 프랑스 귀족 망명자들을 일컫는 말이었다.[36]
미덕의 화살(''Tugendpfeil'')은 20세기 초까지 코블렌츠와 라인강 좌안의 여성 머리 장식에서 나온 커다란 금색 또는 은색 머리핀이다.[37] 전통적으로 사춘기와 결혼 적령기 사이의 어린 가톨릭 소녀들이 착용했다.
코블렌츠의 오래된 지역에는 역사적 가치가 있는 여러 건물들이 있다. 그 중에서도 두 강의 합류점 근처에 있는 성 카스토르 성당(Kastorkirche)은 카르덴의 카스토르에게 봉헌되었으며 네 개의 탑을 가지고 있어 특히 주목할 만하다. 836년 경건왕 루트비히에 의해 건립되었지만, 현재의 로마네스크 양식 건물은 1208년에 완공되었고, 고딕 양식의 둥근 천장은 1498년에 만들어졌다. 성 카스토르 성당 앞에는 1812년 프랑스인들이 세운 분수대가 있는데, 나폴레옹의 러시아 침공을 기념하는 비문이 새겨져 있다. 얼마 지나지 않아 러시아군이 코블렌츠를 점령했고, 그들의 사령관인 세인트 프라이스트는 이 비문에 "코블렌츠 시 러시아 사령관이 확인하고 승인함: 1814년 1월 1일"이라는 글을 덧붙였다.
이 지역에는 웅장한 탑을 가진 훌륭한 교회인 ''리프라우엔키르헤''(성모 마리아 교회, 본당 1250년, 합창단 1404~1431년)도 있다. 1280년에 세워진 트리어 선제후들의 성(현재 시립 미술관으로 사용)과 1773년 오스트리아의 정치가인 메테르니히 공작이 태어난 메테르니히 가문의 저택도 이곳에 있다. 또한 약 1110년경에 세워진 두 개의 탑이 있는 정면을 가진 성 플로리아누스 교회도 주목할 만하다.
전 예수회 대학은 J.C. 세바스티아니(1694~1698)가 설계한 바로크 양식 건물로 현재 시청으로 사용되고 있다.
코블렌츠 근처에는 4월 1일부터 10월 31일까지 관광객들에게 개방되는 라인슈타인 근처의 라넥 성이 있다.
이 도시는 약 3,000년 전에 건설된 청동기 시대의 토목 구조물인 골로링에 가깝다. 이곳은 아마도 우르넨펠트 문화의 달력이었을 것이다.
온화한 기후 덕분에 이 지역에서는 무화과나무, 올리브나무, 야자나무 등 지중해 식물이 자란다.
1772년·1773년 괴테는 이곳에 살고 있던 빌란트의 사촌이자 여류 작가인 조피 폰 라 로슈(Sophie von La Roche)의 저택을 방문하여 가족 구성원처럼 대접받았던 모습을 자서전 『시와 진실』(Dichtung und Wahrheit)에서 상세히 서술하고 있다.[33]
만화가 미즈키 시게루는 예전에 강 중앙의 섬이었던 코블렌츠 교외 오베르베르트(Oberwerth)를 무대로 하는 "죽음의 춤"이라는 요괴 이야기를 그리고 있다. "사랑하는 사람과 함께하지 못하고 죽으면 죽음의 춤의 지옥에 떨어진다"라는 내용으로, 그 장소가 이 섬이라고 한다. 14세기 중반 코블렌츠의 "무사"의 딸이 아버지의 종과 사랑에 빠졌지만, 아버지가 그 관계를 반대하여 죽는다. 그는 오베르베르트로 가서 광란의 춤을 추는 소녀들의 무리 속에 들어가 춤을 추며 죽는다는 이야기이다.[34]
5. 1. 도이체스 에크와 빌헬름 1세 기념비
튜턴 기사단은 라인강과 모젤강이 합류하는 지점에 있는 독일 기사단 바일리윅 지역을 할당받았는데, 이곳은 "독일 코너"(독일 코너)로 알려지게 되었다.1897년, 독일 황제 빌헬름 1세의 기념비가 그의 손자인 빌헬름 2세에 의해 이곳에 제막되었다. 이 기념비는 높이가 14m에 달하는 기마상이며, 건축가는 브루노 슈미츠였다. "독일 코너"는 이 기념비, 독일 제국의 (재)건국, 그리고 노래 "라인강의 파수병"에 묘사된 대로 이 지역에 대한 프랑스의 어떠한 주장도 거부하는 독일의 태도와 관련되어 있다.
제2차 세계 대전 중, 이 동상은 미군 포병에 의해 파괴되었다. 프랑스 점령 당국은 이 기념비를 완전히 파괴하고 새로운 기념비로 대체하려고 했다.
1953년, 테오도르 호이스 대통령은 남아 있는 서독 연방 주들의 상징과 동쪽의 상실된 지역들의 상징을 추가하여 이 기념비를 독일 통일을 위해 재헌정했다. 그 이후로 독일 국기가 그곳에 게양되었다. 주민 투표를 통해 독일에 합류한 후 4년 뒤 사르란트가 추가되었다.
1980년대에는 늦은 밤 TV에서 이 기념비의 영상 클립이 하루를 마무리하며 국가가 연주될 때 자주 방영되었으나, 24시간 방송이 일반화되면서 이 관행은 중단되었다. 1990년 10월 3일, 전 동독 지역이 합류한 바로 그날, 그들의 상징이 이 기념비에 추가되었다.
독일 통일이 완료되고 폴란드 행정부 관할 지역이 폴란드에 할양됨에 따라, 이 기념비는 공식적인 활동적인 목적을 상실하고 이제는 역사를 상기시키는 것만 남았다. 1993년, 국기는 한 지역 부부가 기증한 동상 복제품으로 교체되었다. 그러나 동상 복원식 날짜는 1870년 세당 전투에서 독일이 프랑스에 승리한 것을 기념하는 세당 축일(9월 2일)과 일치하여 논란을 불러일으켰다.
도이체스 에크에는 독일 제국 초대 황제인 빌헬름 1세의 기마상이 세워졌다. 1897년에 제막된 이 기마상은 쿠르트 투홀스키에 의해 "케이크 장식"(Tortenaufsatz)이라고 풍자되기도 했다.[29] 제2차 세계 대전 때 미군에 의해 파괴되었지만, 1953년에 재건되었다.[30] 라인 강변에서 자일반을 이용하여 맞은편 에렌브라이트슈타인 요새(Festung Ehrenbreitstein)[31]로 건너갈 수 있으며,[32] 전망대에서 도이체스 에크의 경관을 감상할 수 있다.
5. 2. 라인 강변과 자일반
모젤강과 라인강의 합류점에 위치하며, 하천 교통의 요충지이다. 모젤강이 라인강으로 흘러드는 곳은 도이체스 에크(Deutsches Eck, “독일의 곶”)라고 불리며,[22] 독일 기사단이 1216년 이후 이곳에 기사단 건물을 세운 데서 유래한다. 와인 거래 외에도, 라인강변의 경관으로 인해 관광업도 발달하고 있다.도이체스 에크에는 독일 제국 초대 황제인 빌헬름 1세의 기마상이 세워졌다. 1897년에 제막된 이 기마상은 샤를마뉴와 프리드리히 1세(바르바로사)를 인용하여 황제를 찬양했지만, 쿠르트 투홀스키는 이를 "케이크 장식"(Tortenaufsatz)이라고 풍자했다.[29] 제2차 세계 대전 때 미군에 의해 파괴되었지만, 1953년에 재건되었다.[30] 라인 강변에서 자일반을 이용하여 맞은편 에렌브라이트슈타인 요새[31]로 건너갈 수 있으며,[32] 전망대에서 도이체스 에크의 경관을 감상할 수 있다.
5. 3. 세계유산
코블렌츠는 모젤강과 라인강이 합류하는 지점에 위치하며, 하천 교통의 요충지이다. 모젤강이 라인강으로 흘러드는 곳은 도이체스 에크(Deutsches Eck, “독일의 곶”)라고 불리는데[22], 이는 독일 기사단이 1216년 이후 이곳에 기사단 건물을 세운 데서 유래한다. 와인 거래 외에도, 라인강변의 경관으로 인해 관광업도 발달하고 있다.5. 4. 코블렌츠 국방 기술 박물관
1982년년부터 코블렌츠 시내의 구 Langemarck-Kaserne (Koblenz)|랑게마르크 병영de 건물 안에 독일 연방군이 관리하는 연구·교육 시설 겸 일반인을 위한 박물관·자료관으로서 코블렌츠 국방 기술 박물관이 설치되어 공개되고 있다.5. 5. 요요와 미덕의 화살
요요는 18세기 프랑스에서 ''de Coblenz''(Koblenz)라는 별명으로 불렸는데, 이는 당시 코블렌츠에 살았던 수많은 프랑스 귀족 망명자들을 일컫는 말이었다.[36]미덕의 화살(''Tugendpfeil'')은 20세기 초까지 코블렌츠와 라인강 좌안의 여성 머리 장식에 사용되던 크고 화려한 금색 또는 은색 머리핀이다.[37] 전통적으로 사춘기와 결혼 적령기 사이의 어린 가톨릭 소녀들이 착용했다.
6. 경제
코블렌츠는 모젤과 라인 와인 무역의 주요 거점이며, 광천수 수출도 활발히 이루어지는 도시이다. 주요 제조업으로는 자동차 부품 (제동 시스템 – TRW 오토모티브, 가스 스프링 및 유압식 진동 감쇠기 – Stabilus), 알루미늄 코일 (Aleris International, Inc.), 피아노, 종이, 판지, 기계, 보트 및 바지선 등이 있다. 17세기부터 Königsbacher(현재 코블렌저) 양조장 (코블렌츠 역사 지구의 구 양조장, 현재는 코블렌츠-슈톨첸펠스에 공장이 있음)이 자리 잡고 있다. 또한 중요한 지역 교통 중심지이기도 하다.
독일 육군 작전 사령부의 본부는 2012년까지 이 도시에 위치해 있었다. 그 후임인 독일 육군 사령부 (독일어: Kommando Heer, Kdo H)는 브란덴부르크주 슈트라우스베르크의 폰-하르덴베르크-카제르네에 위치하고 있다.
연방군의 합동 의무 지원부대 본부는 2012년 연방군의 대규모 개편의 일환으로 설립되었다. 코블렌츠의 팔켄슈타인-카제르네와 라인-카제르네에 위치해 있으며, 독일 육군 합동 의무 지원부대의 최고 사령부이다. 본부는 또한 합동 의무 지원부대 감찰관인 울리히 바움가르트너 박사의 참모부이기도 하다.
아마존 물류 허브는 코블렌츠에서 약 15km 떨어진 아우토반크로이츠 코블렌츠에 2012년 9월 19일부터 운영되고 있다.[12]
Canyon Bicycles GmbH의 국제 본사 또한 1985년 설립된 코블렌츠에 위치하고 있다.[13]
7. 교통
코블렌츠는 여러 고속도로와 연방 도로가 교차하는 교통의 요지이다.
도시 서쪽에는 루트비히스하펜과 묀헨글라트바흐를 잇는 아우토반 A 61이 지난다. 북쪽에는 자르브뤼켄-쾰른 간 A 1과 프랑크푸르트-쾰른 간 A 3을 연결하는 동서 방향의 A 48이 있다. 또한 연방 고속도로인 B 9, B 42, B 49, B 416, B 258, B 327이 코블렌츠를 지난다. 글록켄베르크 터널은 파파펜도르프 다리와 B 42를 연결한다.
코블렌츠 중앙역(Koblenz Hbf)은 본과 마인츠 사이의 라인강 서안 철도(West Rhine Railway)에 있는 ICE(Intercity-Express) 정차역이다. 비스바덴–쾰른 구간의 라인강 동안 철도(East Rhine Railway) 열차도 운행한다. 코블렌츠는 모젤선의 시작점으로, 트리어(그리고 룩셈부르크 및 자르브뤼켄으로 연결)와 라인강변 철도(Lahntal railway)를 통해 림부르크 및 기센으로 연결된다.
7. 1. 도로
도시 서쪽에는 루트비히스하펜과 묀헨글라트바흐를 잇는 아우토반 A 61이 있으며, 북쪽에는 자르브뤼켄-쾰른의 A 1과 프랑크푸르트-쾰른의 A 3을 잇는 동서 방향의 A 48이 있다. 이 도시는 또한 연방 고속도로인 B 9, B 42, B 49, B 416, B 258, B 327에 위치해 있다. 글록켄베르크 터널은 파파펜도르프 다리와 B 42를 연결한다.코블렌츠를 통과하는 다리는 다음과 같다.
강 | 다리 이름 |
---|---|
라인강 | 벤도르프 아우토반 다리, 파파펜도르프 다리, 호르하임 철도 다리, 남쪽 다리 |
모젤강 | 발두인 다리, 모젤 철도 다리, 유럽 다리, 코블렌츠 수문, 쿠르트-슈마허 다리, 굴스 철도 다리 |
7. 2. 철도
코블렌츠 중앙역(Koblenz Hbf)은 본과 마인츠 사이의 라인강 서안 철도(West Rhine Railway)에 있는 ICE(Intercity-Express) 정차역이며, 비스바덴–쾰른 구간의 라인강 동안 철도(East Rhine Railway) 열차도 운행한다. 코블렌츠는 모젤선의 시작점으로, 트리어(그리고 룩셈부르크 및 자르브뤼켄으로 연결)과 라인강변 철도(Lahntal railway)를 통해 림부르크 및 기센으로 연결된다. 코블렌츠의 다른 역으로는 코블렌츠-에렌브라이트슈타인역, 코블렌츠-굴스역, 코블렌츠-뤼첼역, 코블렌츠-모젤바이스역, 2011년 4월 14일에 개장한 코블렌츠 시티 중앙역이 있다.8. 교육
코블렌츠 대학교 캠퍼스가 도시에 있다. 코블렌츠 응용과학대학교( Hochschule Koblenz|코블렌츠 응용과학대학교de) 또한 도시에 있다.
9. 자매 도시
코블렌츠는 다음 도시들과 자매결연을 맺고 있다.[14]
도시 | 국가 | 연도 |
---|---|---|
느베르 | 프랑스 | 1963년 |
해링이 자치구 | 영국 | 1969년 |
노리치 | 영국 | 1978년 |
마스트리흐트 | 네덜란드 | 1981년 |
노바라 | 이탈리아 | 1991년 |
오스틴 | 미국 | 1992년 |
페타티크바 | 이스라엘 | 2000년 |
바라주딘 | 크로아티아 | 2007년 |
10. 저명한 출신 인물
- 토마스 안데르스(1963년생): 가수, 모던 토킹의 리드 보컬이었다.
- 카티нка 부흐비저(1789–1828): 오페라 소프라노이자 배우였다.
- 크리스티안 콜로바(1972년생): 이탈리아 랠리 드라이버이다.
- 밀로 에밀 할브히어(1910–1978): 예술가였다.
- 발레리 지스카르 데스탱(1926–2020): 프랑스의 대통령을 1974년부터 1981년까지 역임했다.
- 오토 그리블링(1896–1972): 링링 브라더스와 함께 공연한 서커스 광대였다.
- 베티 홀(1921–2018): 미국 정치인이다.
- 칼 하니엘(1877–1944): 공무원이자 기업가였다.
- 오틸리에 폰 한제만(1840–1919): 여성 권리 운동가였다.
- 보도 일그너(1967년생): 축구 선수이다.
- 필립 크라우트크레머(1844-1922): 미국 농부이자 정치인[17]
- 막스 폰 라우에(1879–1960): 물리학자, 1914년 노벨 물리학상을 수상했다.
- 토비아스 뤼트케(1981년생): 억만장자 기업가, 쇼피파이 창립자이자 CEO[18]
- 존 A. 메이스(1888–1961): 레이싱 드라이버였다.
- 클레멘스 폰 메테르니히(1773–1859): 오스트리아 외교관, 총리이자 외무장관이었으며, 빈 회의의 설계자였다.[19]
- 요하네스 페터 뮐러(1801–1858): 생리학자, 비교 해부학자, 어류학자, 파충류학자였다.[20]
- 클레멘스 브렌타노: 문학가·소설가·시인이었다.
- 안톤 디플링: 배우였다.
참조
[1]
웹사이트
Wahl der Oberbürgermeister der kreisfreien Städte
https://www.wahlen.r[...]
2021-07-30
[2]
백과사전
Coblenz
[3]
웹사이트
Statistisches Landesamt Rheinland Pfalz
http://www.statistik[...]
[4]
서적
The Great French Revolution, 1789–1793
http://www.revoltlib[...]
New York: Vanguard Printings
[5]
서적
The Great French Revolution, 1789–1793
http://www.revoltlib[...]
New York: Vanguard Printings
[6]
서적
The Great French Revolution, 1789–1793
http://www.revoltlib[...]
New York: Vanguard Printings
[7]
서적
The Great French Revolution, 1789–1793
http://www.revoltlib[...]
New York: Vanguard Printings
[8]
서적
The Great French Revolution, 1789–1793
http://www.revoltlib[...]
New York: Vanguard Printings
[9]
서적
Imperial Culture in Germany, 1871–1918
Palgrave
[10]
웹사이트
Bendorf Climate Normals 1991–2020
https://www.nodc.noa[...]
National Oceanic and Atmospheric Administration
2023-09-15
[11]
뉴스
Bei Amazon in Koblenz arbeiten bald 3000 Leute
http://www.rhein-zei[...]
Rhein-Zeitung
[12]
웹사이트
How Canyon Began
https://www.canyon.c[...]
2023-10-13
[13]
웹사이트
Partnerstädte der Stadt Koblenz
https://www.koblenz.[...]
Koblenz
2021-02-16
[14]
웹사이트
Untitled Document
http://www.nationaly[...]
2010-01-17
[15]
서적
Les Bords du Rhin. Manuel du voyageur
[16]
웹사이트
Krautkremer, Philip - Legislator Record - Minnesota Legislators Past & Present
https://www.lrl.mn.g[...]
[17]
뉴스
(S+) Tobi Lütke: Der Shopify-Gründer expandiert nach Deutschland
https://www.spiegel.[...]
2018-09-07
[18]
백과사전
[19]
백과사전
[20]
통계자료
인구 통계
[21]
서적
Deutschland
Karl Baedeker
[22]
서적
Duden, geographische Namen in Deutschland: Herkunft und Bedeutung der Namen von Ländern, Städten, Bergen und Gewässern
Bibliographisches Institut
[23]
서적
Lexikon des Mittelalters
Artemis & Winkler
[24]
서적
Lexikon des Mittelalters
Artemis & Winkler
[25]
서적
ヨーロッパの中世都市
岩波書店
[26]
서적
Lexikon des Mittelalters
Artemis & Winkler
[27]
서적
Der Rhein. Kunst und Kultur von der Quelle bis zur Mündung
Wissenschaftliche Buchgesellschaft
[28]
서적
Mythos Rhein. Zur Kulturgeschichte eines Stromes
Wissenschaftliche Buchgesellschaft
[29]
서적
Deutschlands schönste Seiten. 100 Stationen einer Deutschlandreise
Otus
[30]
서적
Mythos Rhein. Zur Kulturgeschichte eines Stromes
Wissenschaftliche Buchgesellschaft
[31]
서적
もっと知りたいターナー 生涯と作品
東京美術
[32]
서적
Mythos Rhein. Zur Kulturgeschichte eines Stromes
Wissenschaftliche Buchgesellschaft
[33]
서적
世界の妖怪百物語
小学館クリエイティブ
[34]
웹사이트
Statistisches Landesamt Rheinland Pfalz
http://www.statistik[...]
[36]
웹인용
Archived copy
https://web.archive.[...]
2010-01-17
[37]
서적
Les Bords du Rhin. Manuel du voyageur.
Koblenz
186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