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응아우루호에산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응아우루호에산은 뉴질랜드 북섬에 위치한 활화산으로, 마오리족 전승에 따르면 응아티 투화레토아 부족의 조상이 화산 불을 불러와 명명되었다. 해발 2,291m로 통가리로 국립공원에 속하며, 타우포 화산대에 속해 25,000년 전에 형성되었다. 20세기 뉴질랜드에서 가장 활발한 화산이었으며, 1977년 마지막 분화 이후 비교적 안정적인 상태를 유지하고 있다. 등반이 가능하며, 영화 《반지의 제왕》에서 '절대 산'으로 사용되어 유명해졌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뉴질랜드의 성층 화산 - 루아페후산
    루아페후산은 뉴질랜드 북섬 중앙의 활화산이자 통가리로 국립공원에서 가장 큰 화산으로, 정상의 분화구 호수, 역사적인 분출과 라하르, 그리고 현재의 감시 시스템이 특징이다.
  • 뉴질랜드의 성층 화산 - 통가리로산
    통가리로산은 뉴질랜드 노스아일랜드 화산 고원 남단에 위치한 안산암으로 이루어진 성층 화산으로, 통가리로 국립공원에 포함되어 세계 유산으로 지정되었다.
  • 타우포 화산지대 - 타라웨라산
    타라웨라 산은 뉴질랜드 북섬 오카타이나 칼데라 내에 위치한 유문암질 활화산으로, 1886년 대분출로 핑크 앤드 화이트 테라스를 파괴하고 와이망구 화산을 형성했으며, 15km에 달하는 현무암질 절리와 타우포 열곡과의 연관성을 가진다.
  • 타우포 화산지대 - 타우포호
    뉴질랜드 북섬에 있는 타우포호는 약 2만 5600년 전 오루아누이 화산 폭발로 만들어진 뉴질랜드 최대의 칼데라 호수로, 현재 활화산이며 지열 활동이 활발하고 마오리족에게 중요한 문화적 의미를 지닌 관광지이다.
  • 2000미터 봉우리 - 루아페후산
    루아페후산은 뉴질랜드 북섬 중앙의 활화산이자 통가리로 국립공원에서 가장 큰 화산으로, 정상의 분화구 호수, 역사적인 분출과 라하르, 그리고 현재의 감시 시스템이 특징이다.
  • 2000미터 봉우리 - 피크 뒤 미디 드 비고르
    피크 뒤 미디 드 비고르는 프랑스 피레네 산맥의 봉우리로, 천문대가 설치되어 천문학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으며, 토성의 위성 헬레네가 발견된 곳이자 국제 밤하늘 보호구역으로 지정되었고, 케이블카로 정상까지 접근이 가능하다.
응아우루호에산 - [지명]에 관한 문서
지도
기본 정보
이름응가우루호에 산
현지 이름응아우루호에
로마자 표기Ngāuruhoe
종류기생화산(활화산)
위치뉴질랜드 북섬
산맥타우포 화산 지대
해발고도2291m
첫 등반1839년 3월 존 C. 비드윌(영국 식물학자)
지질학적 정보
화산대타우포 화산대
화산 유형성층 화산
마지막 분화1977년
이미지
통가리로 산 정상에서 바라본 응가우루호에 산과 루아페후 산
통가리로 산에서 바라본 응가우루호에 산

2. 지명 유래

현지 마오리족의 전승에 따르면, 이 화산은 지역 마오리족 이위인 응아티 투화레토아의 조상 응가토로-이-랑기가 명명했다고 한다. 응가토로-이-랑기는 고향인 하와이키에서 화산 불을 불렀고, 이것이 결국 응아우루호에에서 분출했다는 것이다.[4] 응가토로-이-랑기가 지은 이름 ''응아우루호에''에 대해서는 두 가지 해석이 있다. 하나는 불이 도착하기 전에 추위로 죽은 그의 노예를 기리기 위한 것이라는 설이고,[4] 다른 하나는 응가토로-이-랑기가 화산 불을 부를 때 땅에 그의 ''호에''(노 모양의 지팡이)를 꽂은 것(''응아 우루'')을 의미한다는 설이다.

다른 설에 따르면, '나우루호에'라는 이름은 '뜨거운 돌을 던지는 것'이라는 의미에서 유래되었다고도 여겨진다.

3. 지리 및 지질

응아우루호에산은 통가리로 국립공원에 속하며, 해발 고도는 2291m이다. 이는 공원 내에서 2797m 높이의 루아페후 산 다음으로 높은 봉우리이다. 균형 잡힌 원추형의 성층 화산으로, 통가리로 복합 화산을 구성하는 봉우리 중 하나이다. 이 산을 포함한 통가리로 일대는 1993년 루아페후 산, 통가리로 산과 함께 유네스코 세계복합유산으로 지정되었다.

"응아우루호에"라는 이름에 대해서는 여러 설이 있으며, '뜨거운 돌을 던지는 것'에서 유래되었다고 여겨진다.

지질학적으로 응아우루호에산은 활화산이 많은 타우포 화산대에 속한다. 약 25,000년 전에 형성된 것으로 추정되며, 타우포 화산대에서는 가장 나중에 형성된 산으로 여겨진다. 남부 타우포 지구대 지역에 위치하며, 제3기 회색사암 기저부 위에 자리 잡고 있다. 이 기저부는 수십에서 수백 미터 두께이며 해발 수백 미터 위에 있다.[5] 마그마 저장소는 약 5km 깊이에 위치하는 것으로 추정된다.[6]

응아우루호에산은 20세기에 45회 분화했으며, 마지막 분화는 1977년에 있었다. 이후로는 안정된 상태를 유지하고 있다.

영화 반지의 제왕 시리즈 촬영 당시, 운명의 산의 주된 모델로 사용되기도 했다.

서남서쪽에서 본 통가리로 복합 화산의 전체 모습.
왼쪽이 통가리로 산. 오른쪽이 응아우루호에산.

3. 1. 최근 화산 활동

응아우루호에산 분화구의 항공 사진.


응아우루호에는 45번의 분화로 20세기 뉴질랜드에서 가장 활발한 화산이었으며, 가장 최근 분화는 1977년에 있었다.[1][3] 1977년 이후 분화하지 않고 안정된 상태를 보이고 있다. 내부 분화구 안과 동쪽 바깥 분화구의 가장자리에 푸마롤이 존재한다. 천식을 앓는 등반가들은 분화구에서 뿜어져 나오는 강한 유황 가스의 영향을 받을 수 있다.

2006년 5월 지진 활동이 크게 증가하여 화산 경보 레벨이 0단계(일반적인 배경 활동, 심각한 불안정 징후 없음)에서 1단계(화산 불안정 징후)로 상향 조정되었다. 그 후 2년 동안 GeoNet은 응아우루호에산 근처에서 하루 평균 5~30회의 지진을 기록했지만, 하루 최대 지진 횟수는 80회에 달했다.

2008년 중반 이후 응아우루호에산 근처의 화산 지진 횟수는 배경 수준으로 감소했다. 정상 가스 배출구의 화산 가스 농도 및 온도를 정기적으로 측정한 결과, 그 후 2년 반 동안 유의미한 변화가 기록되지 않았다.[7] 이에 따라 GNS Science는 2008년 12월 2일에 응아우루호에산의 경보 레벨을 0단계로 낮췄다. GNS Science 화산 부서 매니저 길 졸리는 “지진 활동 감소는 가까운 미래에 더 이상의 지진이나 다른 변화가 없이는 분화가 일어날 가능성이 낮다는 것을 의미하며, 따라서 적절한 경보 레벨은 0단계”라고 말했다.

2015년 3월 지진 활동 증가로 경보 레벨이 1단계로 상향 조정되었다.[8] 이 비정상적인 활동은 3주 후에 진정된 것으로 간주되어 경보 레벨이 다시 0단계로 낮아졌다.[9]

이러한 잠재적인 지표에도 불구하고, 일부 지질학자들은 현재의 휴면기가 화산의 비교적 짧은 역사에서 훨씬 더 길고, 최근 모화산인 통가리로 화산군으로부터의 분화가 모두 더 북쪽에서 발생했기 때문에 활동이 산에서 영구적으로 멀어졌을 수 있다고 추측한다.

4. 등반

통가리로 남쪽 분화구 건너편에서 바라본 응아우루호에산. 산으로 올라가는 일반적인 경로는 오른쪽에 보인다.


이 산은 보통 서쪽의 망가테포포 트랙에서 오르는 것이 일반적이다. 여름에는 발밑에서 쉽게 무너지는 헐거운 테프라 때문에 등반이 어렵다. 실제로 2010년 여름에는 한 등반가가 낙석으로 인해 심각한 부상을 입기도 했다. 겨울에는 눈이 테프라를 덮어 다소 안정적이지만, 비가 온 후에는 눈이 얼음으로 변해 위험할 수 있다. 특히 한겨울 등반 시에는 아이스 액스, 크램폰, 로프와 같은 전문 장비 사용이 권장된다. 또한 3월에서 10월 사이에는 갑작스럽고 격렬한 강풍과 눈보라가 발생하여 기온이 영하로 급격히 떨어지는 경우가 많아 주의가 필요하다.

응아우루호에산을 오르는 등반가들.


망가테포포 헛에서 출발하여 망가테포포 계곡의 용암류를 가로질러 북쪽에서 올라가는 경로도 있다. 이 경로는 평탄한 구간이 거의 없어 서쪽 경로보다 훨씬 길고 힘들다. 정상에 도착한 등반가들은 분화구를 한 바퀴 둘러본 후 일반적인 동쪽 경로로 하산할 수 있다.

한때 통가리로 산 중앙부의 당일 코스가 화산 활동으로 인해 폐쇄되면서 응아우루호에산 등반이 대안으로 인기를 끌었다. 그러나 2013년 부활절에는 등반객이 몰리면서 네 명의 등반가가 별도의 사고로 부상을 입는 일이 발생했다. 이 중 두 건의 사고는 등반객이 많은 동쪽 경로에서 한 등반가가 떨어뜨린 낙석이 아래에 있던 다른 등반가를 덮치면서 발생했다. 부상자들은 모두 헬리콥터로 구조되었다.[10]

뉴질랜드 보존부는 응아우루호에산이 마오리족에게 타푸(신성)한 장소임을 존중하여 등산객들에게 이 산을 오르지 말 것을 요청하고 있다.[11]

유럽인으로서 이 산을 최초로 등반한 기록은 1839년 3월 J. C. 비드윌에 의해 세워졌다. 그는 북서쪽 경로를 통해 정상에 올랐으며, "분화구는 내가 본 적 있거나 상상했던 어떤 심연보다도 끔찍했다… 끊임없이 뿜어져 나오는 증기 때문에 약 9.14m 이상을 볼 수 없었다"고 당시 상황을 기록했다.

통가리로 산에서 바라본 응아우루호에 산과 주변 풍경 파노라마, 배경에 루아페후 산이 보인다.

5. 문화적 중요성 및 영화 촬영

1974년, 챔피언 스키 선수 장클로드 킬리는 스폰서인 모엣 & 샹동의 홍보 활동 일환으로 응아우루호에산 동쪽 경사면에서 스키를 타는 모습을 촬영했다. 이전까지는 아무도 스키를 타지 않았던 곳이었다. 산의 평균 경사도는 35도에 달했으며, 킬리는 시속 100mph 이상의 속도로 활강하는 모습이 레이더에 포착되었다. 그는 첫 시도에서 넘어졌기 때문에 총 두 번을 내려왔다. 촬영 당시 마지막 분화가 바로 전날 있었고, 마지막 활강을 마쳤을 때 또다시 분화가 발생했으며, 그는 헬리콥터를 이용해 산 정상에 접근했다.[12]

피터 잭슨 감독의 영화 ''반지의 제왕'' 삼부작에서 가상의 절대 산 촬영지로 사용되면서 응아우루호에산은 세계적으로 널리 알려지게 되었다.[13][14]

6. 갤러리

참조

[1] 간행물 Tongariro 2018-04-06
[2] 백과사전 BIDWILL, John Carne http://www.teara.gov[...] Ministry for Culture and Heritage / Te Manatū Taonga 2014-02-19
[3] 서적 Volcano and Geothermal Tourism: Sustainable Geo-Resources for Leisure and Recreation https://books.google[...] Earthscan
[4] 학술지 Some New Zealand Volcanoes https://zenodo.org/r[...] 1912-07
[5] 학술지 Ruapehu and Tongariro stratovolcanoes: a review of current understanding 2021-05-02
[6] 학술지 Variable magma reservoir depths for Tongariro Volcanic Complex eruptive deposits from 10,000 years to present
[7] 웹사이트 GNS Alert Bulletin http://www.geonet.or[...] GeoNet 2013-12-24
[8] 웹사이트 Volcanic Alert Bulletin NGA-2015/01 – Ngauruhoe Volcano http://info.geonet.o[...] GeoNet
[9] 웹사이트 Volcanic Alert Bulletin NGA-2015/03 – Ngauruhoe Volcano http://info.geonet.o[...] GeoNet
[10] 뉴스 Waikato Times 2013-04-01
[11] 웹사이트 Trampers told not to climb Tongariro Crossing's Mount Doom https://www.stuff.co[...] 2017-10-16
[12] 웹사이트 Outskiing a Volcano https://skitheworld.[...] Skitheworld.com 2010-11-26
[13] 서적 The Making of the Movie Trilogy The Lord of the Rings Houghton Mifflin
[14] 뉴스 Ngauruhoe http://www.gns.cri.n[...] 2015-03-25
[15] 문서 『理科年表 平成20年』の表記は「ナラホイ(ナルホエ)」。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