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응애아강 분류 체계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응애아강은 통일된 분류 체계가 확립되지 않았으며, 털진드기상목(Acariformes)과 기생진드기상목(Parasitiformes)으로 크게 나뉜다. 털진드기상목은 전기문응애목과 껍질응애목으로, 기생진드기상목은 Opilioacarida, Holothyrida, 참진드기목, 중기문(응애)목으로 분류된다. 털진드기상목의 전기문응애목은 Sphaerolichida아목과 전기문응애아목으로, 껍질응애목은 Astigmata, Endeostigmata, Oribatida의 3개 아목으로 분류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진드기아강 - 응애
    응애는 거미강에 속하는 분류군으로, 다양한 서식지에서 발견되며 분해자 역할, 기생, 알레르기 유발, 농업 해충 등 다양한 방식으로 작용한다.
응애아강 분류 체계

2. 응애아강의 분류 체계

응애아강(Acari)의 분류 체계를 명확히 정의하는 것은 쉽지 않다. 최근 응애아강 전체를 대상으로 한 대규모 분자생물학적 연구가 부족하고, 특정 하위 그룹(Astigmata, Sarcoptiformes, Desmonomata 등) 내에서도 서로 다른 분류 체계가 제시되는 등, 학계에서 완전히 통일된 체계를 찾기 어려운 실정이다. 이러한 상황 속에서도 전체적인 분류를 이해하는 것이 중요하므로, 현재까지 제시된 주요 분류 체계를 정리할 필요가 있다.

본 문서에서 제시하는 분류 체계는 주로 국제적인 동물 분류 데이터베이스인 Zootaxa에서 2011년에 발표된 'Animal Biodiversity' 리스트와 대한민국 국립생물자원관에서 2019년에 발표한 국내 종 목록을 기반으로 구성되었다. 응애류의 기본적인 정보는 위키백과 등 다른 자료를 참고하여 보충하였다.

응애아강은 크게 두 개의 상목(Superorder)으로 나뉜다.



각 상목에 속하는 하위 분류군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아래의 해당 섹션에서 다룬다.

2. 1. 기생진드기상목 (Parasitiformes)

기생진드기상목(Parasitiformes)의 분류 체계 도식


기생진드기상목(Parasitiformes)은 응애아강(Acari)에 속하는 상목(Superorder)으로, 4개의 목(Order)을 포함한다. 아래 분류는 Zootaxa (2011년 발표)의 Animal Biodiversity 리스트와 대한민국 국립생물자원관의 국내 종 목록(2019)을 참고하여 정리한 것이다. Zootaxa 기준 분류 정보와 국내 생물자원관 기준 분류 정보를 함께 표시하며, 차이가 있는 경우 별도로 명시한다.

  • '''Order Opilioacarida''' [6.1] (1상과, 1과)
  • '''Order Holothyrida''' [6.2] (1상과, 3과)
  • '''Order Ixodida''' [6.3] 참진드기목 (Zootaxa 기준 1상과 3과, 국내 생물자원관 목록 기준 2과 포함)
  • '''Order Mesostigmata''' [6.4] 중기문응애목 (Zootaxa 기준 3아목, 국내 생물자원관 목록 기준 2아목 포함)
  • * Suborder Sejida (Zootaxa 기준 2상과 5과, 국내 생물자원관 목록 기준 1상과 포함)
  • ** Superfamily Sejoidea (Zootaxa 기준 3과, 국내 생물자원관 목록 기준 1과 포함)
  • * Suborder Trigynaspida (2하목)
  • ** Infraorder Cercomegistina (1상과, 6과)
  • ** Infraorder (Cohort) Antennophorina (7상과, 21과)
  • * Suborder Monogynaspida (Zootaxa 기준 2하목, 국내 생물자원관 목록 기준 10상과 포함)
  • ** Infraorder (Cohort) Uropodina (4상과, 35과)

Superfamily Uropodoidea (Zootaxa 기준 30과, 국내 생물자원관 목록 기준 4과 포함)
Superfamily Trachyuropodoidea (국내 생물자원관 목록 기준 5과 포함, Zootaxa에서는 Uropodoidea 내의 과로 간주함)

  • ** Infraorder (Cohort) Gamasina (4소목, 11상과)

Hyporder (Subcohort) Epicriiae (3상과)
* Superfamily Zerconoidea (Zootaxa 기준 2과, 국내 생물자원관 목록 기준 1과 포함)
Hyporder (Subcohort) Arctacariae (1상과)
Hyporder (Subcohort) Parasitiae (1상과)
* Superfamily Parasitoidea (Zootaxa 기준 1과, 국내 생물자원관 목록 기준 1과 포함)
Hyporder (Subcohort) Dermanyssiae (6상과)
* Superfamily Veigaioidea (Zootaxa 기준 1과, 국내 생물자원관 목록 기준 1과 포함)
* Superfamily Rhodacaroidea (Zootaxa 기준 6과, 국내 생물자원관 목록 기준 2과 포함)
* Superfamily Eviphidoidea (Zootaxa 기준 5과, 국내 생물자원관 목록 기준 4과 포함)
* Superfamily Ascoidea (Zootaxa 기준 3과, 국내 생물자원관 목록 기준 7과 포함)
* Superfamily Phytoseioidea (Zootaxa 기준 4과, 국내 생물자원관 목록 기준 3과 포함)
* Superfamily Dermanyssoidea (Zootaxa 기준 17과, 국내 생물자원관 목록 기준 3과 포함)

2. 2. 털진드기상목 (Acariformes)

털진드기상목(Acariformes)의 분류 체계


털진드기상목은 3개의 목으로 구성된다.

  • Order Trombidiformes [7.1] (2아목)
  • Suborder Sphaerolichida (2상과, 2과)
  • Suborder (Order) Prostigmata 전기문응애목 (39과, 4하목, 40상과)
  • Infraorder Labidostommatina (1상과, 1과)
  • Infraorder Eupodina (5상과, 20과)
  • Infraorder Anystina (2소목)
  • Hyporder Anystae (5상과, 7과)
  • Hyporder Parasitengona (17상과, 77과)
  • Infraorder Eleutherengona (Eleutherengonides와 동일명칭) (13상과)
  • Hyporder Raphignathina (5상과, 23과)
  • Hyporder Heterostigmata (7상과, 16과)
  • Superfamily Pygmephoroidea (1과 또는 4과) - ''(참고8: 생물자원관 종 목록(2019)에서 둥지먼지진드기과(Family Pygmephoridae)는 무기문응애목(Astigmata)에 포함되었으나, 다수 자료에서는 전기문응애목(Prostigmata)의 하위 분류군인 Eleutherengona에 속하는 것으로 본다.)''
  • Hyporder incertae sedis (분류학적 위치 불확실) (1상과)
  • Superfamily Cloacaroidea (2과)

  • Order Sarcoptiformes [7.2] (약 266과) ''(참고9: 과거에는 무기문응애목(Order Astigmata) (12과) 로 분류되기도 했다. Sarcoptiformes는 과거 Oribatida와 Astigmatina 아목으로 나뉘었으나, Oribatida가 목으로 승격되면서 Astigmatina의 분류학적 위치가 불확실해졌다. 국내 분류체계에서는 여전히 "Order Astigmata 무기문응애목"으로 표기하기도 한다. The Taxonomicon에서는 소목(hyporder)으로, Zootaxa (2011)에서는 Suborder Oribatida > Infraorder Desmonomata > Parvorder Astigmata로 간주하는 등 다양한 견해가 존재하며, 과 배치나 상과명에서도 차이가 있어 분류 위치는 아직 확정적이지 않다.)''
  • (Hyporder Astigmatina) (약 76과) (Zootaxa (2011)의 Astigmata와 유사)
  • Parvorder Acaridia (7상과, 27과)
  • Parvorder Psoroptidia (5상과, 53과)
  • Suborder Endeostigmata (4하목, 5상과) ''(참고10: Arribas et al. (2020, MBE) 연구에 따르면 측계통군일 가능성이 제기되었다.)''
  • Infraorder Bimichaliida (1상과, 3과)
  • Infraorder Nematalycina (1상과, 3과)
  • Infraorder Terpnacarida (2상과, 3과)
  • Infraorder Alicorhagiida (1상과, 1과)

  • Order (Suborder) Oribatida 날개응애목 (83과, 6아목) (Zootaxa (2011)에서는 5하목으로 분류) ''(참고11: 흔히 Order Sarcoptiformes의 아목으로 간주된다.)''
  • Suborder (Infraorder) Palaeosomata (2상과, 2과; Zootaxa (2011): 3상과, 6과)
  • Suborder (Infraorder) Enarthronota (5상과, 13과; Zootaxa (2011): 5상과, 18과)
  • Suborder (Infraorder) Parhyposomata (1상과, 3과; Zootaxa (2011): 1상과, 3과)
  • Suborder (Infraorder) Mixonomata (2하목, 8상과; Zootaxa (2011): 7상과, 9과)
  • Infraorder Dichosomata (5상과, 6과)
  • Infraorder Euptyctima (3상과, 6과)
  • Suborder Holosomata (3상과, 7과; Zootaxa (2011)의 Nothrina와 유사)
  • Suborder Brachypylina (2하목, 32상과; Zootaxa (2011)의 Brachypylina와 유사)
  • Infraorder Pycnonoticae (22상과, 87과)
  • Infraorder Poronoticae (10상과, 45과)

  • Zootaxa (2011) 분류 체계 (Desmonomata)
  • ''(참고: Zootaxa (2011)에서는 Sarcoptiformes 내에 다음과 같은 Desmonomata 하목을 설정하기도 한다.)''
  • Infraorder Desmonomata (3소목)
  • Hyporder Nothrina (1상과, 6과; Holosomata와 유사)
  • Hyporder Brachypylina (25상과, 134과; Brachypylina와 유사)
  • Hyporder Astigmata (10상과, 77과; Astigmatina와 유사)

3. 추가 정보



응애아강(Acari)의 분류 체계를 명확히 정리하는 것은 쉽지 않다. 최근 응애아강 전체를 대상으로 한 대규모 분자생물학적 연구가 부족하며, 무기문아목(Astigmata), 좀진드기목(Sarcoptiformes), Desmonomata 등 여러 분류군에서 서로 다른 분류 체계가 제시되고 있어 통일된 체계를 만들기 어렵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전체적인 정리가 필요해 보이므로, 현재까지 알려진 정보를 바탕으로 분류 체계를 정리하였다. 응애류의 기본적인 내용은 위키백과 등의 자료를 참고하였으며, 붉은색 표기는 국립생물자원관의 국내 종 목록(2019)에 따른 것이고(한글명이 없는 경우도 다수 존재), 파란색 명칭은 Zootaxa (ZT)에서 2011년 발표된 Animal Biodiversity 목록을 따른 것이다.

아래는 분류 체계에 대한 추가적인 설명이다.

# 응애아강(Acari)은 전통적으로 아강(subclass) 수준의 분류군으로 여겨져 왔으나, 내부의 주요 두 그룹인 진드기형상목(Acariformes)과 기생형상목(Parasitiformes)이 자매군 관계를 형성하는지에 대한 증거가 부족하여, 최근에는 단일한 계통군(monophyletic group)으로 취급되지 않는 경향이 있다.

# 분류 목록 옆의 [6.1], [6.2] 등은 Zootaxa에 2011년 출판된 절지동물 목록에 표기된 목(order) 번호로, 참고용이다.

# 무기문아목(Astigmata)과 전기문아목(Prostigmata)이 각각 '무기문응애목'과 '전기문응애목'으로 명명된 것과 달리, 유사한 목/아목 수준의 분류군인 중기문목(Mesostigmata)은 '중기문응애목'이 아닌 '중기문목'으로 명명된 이유는 명확하지 않다.

# 일부 분류 체계, 예를 들어 The Taxonomicon 웹사이트에서는 하목(infraorder)과 소목(parvorder) 사이의 분류 계급으로 (Cohort)이라는 표기를 사용하기도 한다.

# Trachyuropodoidea는 일부 분류 체계(예: 생물자원관 목록)에서는 상과(superfamily)로 분류되지만, Zootaxa에서는 상과로 보지 않고 Uropodoidea 상과에 속하는 하나의 과(family)로 간주한다.

# Parasitoidea 상과는 때때로 Microgyniina 군(Cohort)에 배치되기도 한다.

# Eleutherengona는 Eleutherengonides와 같은 분류군을 가리킨다.

# 국립생물자원관 종 목록(2019)에서는 둥지먼지진드기과(Family Pygmephoridae)를 무기문아목(Astigmata)에 포함시키고 있으나, 위키백과 등 여러 자료에서는 이 과를 전기문아목(Prostigmata) 내의 Eleutherengona 하목(Infraorder)에 속하는 것으로 분류하고 있다. 이는 국내외 분류 체계 간의 차이를 보여주는 사례이다.

# 좀진드기목(Sarcoptiformes)은 과거에 날개응애아목(Oribatida)과 무기문아목(Astigmatina)이라는 두 아목으로 나뉘었으나, Oribatida가 목(order)으로 승격되면서 남은 Astigmatina는 분류학적 지위가 불분명한 계통군(clade)이 되었다. Astigmatina는 아목 이하로 보는 경향이 있지만, 그보다 높은 분류 계급으로 보기도 했다. 국내 분류 체계에서는 이를 따라 '무기문응애목(Order Astigmata)'으로 표기하기도 한다. The Taxonomicon에서는 하목 아래 소목(hyporder)으로 간주하는 반면, Zootaxa의 Animal Biodiversity 목록에서는 Oribatida 아목 > Desmonomata 하목 > Astigmata 소목(Parvorder)으로 분류하고 있다. 과(family)의 배치나 상과(superfamily) 명칭에서도 차이가 있어 단순히 명칭만의 문제는 아니며, Astigmata의 계통분류학적 위치는 아직 확정적이지 않다.

# Arribas 등의 2020년 연구(Molecular Biology and Evolution)에 따르면, Endeostigmata 아목은 아마도 측계통군(paraphyletic group)일 것으로 추정된다.

# 날개응애목(Oribatida)은 흔히 좀진드기목(Sarcoptiformes)의 아목(suborder)으로 간주되기도 한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