응우옌푹미엔릭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응우옌푹미엔릭은 민망 황제의 유복자로 태어났으며, 베트남 응우옌 왕조의 황족이다. 안성군공, 성국공, 안성공, 안성군왕, 안성왕 등의 작위를 받았으며, 주이떤 황제를 보좌하는 보정친신을 역임했다. 1919년에 사망했으며, 8명의 아들과 6명의 딸을 두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841년 출생 - 에드워드 7세
에드워드 7세는 빅토리아 여왕의 장남으로 태어나 웨일스 공으로 오랜 기간 지내다가 1901년 영국의 국왕으로 즉위하여 외교에 힘쓰고 9년 동안 영국을 통치하다 사망했다. - 1841년 출생 - 귀스타브 르 봉
귀스타브 르봉은 프랑스의 다방면 저술가로, 특히 『군중 심리』를 통해 사회심리학에 지대한 영향을 미쳤으며, 인류학과 물리학 분야에서도 활동했다. - 1919년 사망 - 데라우치 마사타케
데라우치 마사타케는 메이지 시대부터 다이쇼 시대까지 활동한 일본의 군인이자 정치가로서 육군대신, 한국통감, 조선총독, 내각총리대신을 역임하며 한국 병합을 주도하고 무단통치를 실시했으며, 시베리아 출병 등 외교 정책을 펼친 일본 제국주의 핵심 인물이다. - 1919년 사망 - 칼 라르손
스웨덴 화가 칼 라르손은 수채화, 유화, 프레스코화 등 다양한 작품을 남겼으며, 가족과 집을 주제로 한 그림, 일본 미술의 영향을 받은 화풍, 그리고 《구스타프 바사의 스톡홀름 입성》과 《동지제의 희생》 등의 대표작으로 유명하다.
응우옌푹미엔릭 | |
---|---|
기본 정보 | |
![]() | |
이름 | 응우옌푹미엔릭 |
한자 | 阮福綿𡫯 |
출생 | 음력 계묘년 1월 19일 (1843년 2월 18일) |
사망 | 음력 갑술년 3월 24일 (1874년 4월 30일) |
묘소 | 트어티엔후에성 흐엉짜현 방꽌촌 |
가족 관계 | |
아버지 | 티에우찌 황제 |
어머니 | 궁인 응오티쩌우 |
형제 | 응우옌푹미엔떙 응우옌푹미엔응에 응우옌푹미엔찌에우 응우옌푹미엔꽌 응우옌푹미엔뜨 응우옌푹미엔바오 응우옌푹미엔쭝 응우옌푹미엔찐 응우옌푹미엔꼰 응우옌푹미엔닷 응우옌푹미엔쑤언 응우옌푹미엔호아인 응우옌푹미엔찌 응우옌푹미엔투언 응우옌푹미엔꾸에 응우옌푹미엔응이 응우옌푹미엔호 응우옌푹미엔디엔 응우옌푹미엔짱 응우옌푹미엔번 응우옌푹미엔또안 |
자녀 | 4남 4녀 |
관직 | |
작위 | 락화공 |
2. 생애
응우옌푹미엔릭은 티에우찌 원년(1841년)에 민망 황제의 유복자로 태어났다. 뜨득 11년(1858년) 음력 1월에 안성군공(安城郡公)으로 봉해졌으며,[1] 타인타이 5년(1893년) 음력 9월에는 성국공(城國公)으로 진봉되었다가[2] 다시 안성공(安城公)으로 진봉되었다. 주이떤 원년(1907년) 음력 8월에는 존인부 존정(尊正)의 신분으로 보정친신(輔政親臣)을 맡았다. 주이떤 2년(1908년) 음력 1월에는 안성군왕(安城郡王)으로 진봉되었으며,[3] 주이떤 5년(1911년) 음력 1월에는 안성왕(安城王)으로 진봉되었다.[4] 카이딘 4년(1919년) 11월 5일에 향년 79세로 사망하였고,[5] 트어티엔 흐엉투이현 즈엉쑤언트엉사(楊春上社, 현재의 후에 푸헙방에 속함)에 장사지냈다.
2. 1. 출생과 초기 생애
1841년, 민망 황제의 유복자로 태어났다.1858년 음력 1월, '''안성군공'''(安城郡公)으로 봉해졌다.[1]
1893년 음력 9월, '''성국공'''(城國公)으로 진봉되었다가,[2] 이후 다시 '''안성공'''(安城公)으로 진봉되었다.
1907년 음력 8월, 존인부 존정(尊正)의 신분으로 보정친신(輔政親臣)을 맡았다.
1908년 음력 1월, '''안성군왕'''(安城郡王)으로 진봉되었다.[3]
1911년 음력 1월, '''안성왕'''(安城王)으로 진봉되었다.[4]
1919년 11월 5일, 향년 79세로 사망하였다.[5] 트어티엔부 흐엉투이현 즈엉쑤언트엉사(楊春上社, 현재의 후에 푸헙방에 속함)에 장사지냈다.
2. 2. 작위
뜨득 11년(1858년) 음력 1월, '''안성군공'''(Yên Thành Quận Công|안타인 군공vie)으로 봉해졌다.[1]타인타이 5년(1893년) 음력 9월, '''성국공'''(Thành Quốc Công|타인 꾸옥꽁vie)으로 진봉되었다가,[2] 다시 '''안성공'''(Yên Thành Công|안타인꽁vie)으로 진봉되었다.
주이떤 2년(1908년) 음력 1월, '''안성군왕'''(Yên Thành Quận Vương|안타인 군브엉vie)으로 진봉되었다.[3]
주이떤 5년(1911년) 음력 1월, '''안성왕'''(Yên Thành Vương|안타인브엉vie)으로 진봉되었다.[4]
2. 3. 관직
뜨득 11년(1858년) 음력 1월, '''안성군공'''(Yên Thành Quận Công|안타인 군공vi)으로 봉해졌다.[1]타인타이 5년(1893년) 음력 9월, '''성국공'''(Thành Quốc Công|타인 꾸옥꽁vi)으로 진봉되었다가,[2] 이후 다시 '''안성공'''(Yên Thành Công|안타인꽁vi)으로 진봉되었다.
주이떤 원년(1907년) 음력 8월, 존인부 존정(尊正)의 신분으로 보정친신(輔政親臣)을 맡았다.
주이떤 2년(1908년) 음력 1월, '''안성군왕'''(Yên Thành Quận Vương|안타인 군브엉vi)으로 진봉되었다.[3]
주이떤 5년(1911년) 음력 1월, '''안성왕'''(Yên Thành Vương|안타인브엉vi)으로 진봉되었다.[4]
2. 4. 사망
Khải Định|카이딘vi 4년 음력 9월 13일(1919년 11월 5일)에 사망하였으며, 향년 79세였다.[5] 트어티엔 흐엉투이현 즈엉쑤언트엉사(楊春上社, 현재의 후에 푸헙방에 속함)에 안장되었다.3. 자녀
응우옌푹미엔릭은 아들 8명과 딸 6명을 두었다. 이름의 둘째 글자는 티에우찌 황제가 하사한 금(金) 자부(字部)를 따라 지었다.
3. 1. 아들
응우옌푹미엔릭은 아들 8명과 딸 6명을 두었다. 이름의 둘째 글자는 티에우찌 황제가 하사한 금(金) 자부(字部)를 따라 지었다.참조
[1]
서적
대남식록 정편(正編) 제4기(第四紀) 권18(卷十八) 嗣德十一年正月 封皇親皇弟四人為郡公
[2]
서적
대남식록 정편(正編) 제6기(第六紀) 부편(附編) 成泰五年九月 晉封安城郡公為城國公條
[3]
서적
대남식록 정편(正編) 제6기(第六紀) 부편(附編) 維新二年正月 晉封安城公為安城郡王條
[4]
서적
대남식록 정편(正編) 제6기(第六紀) 부편(附編) 維新五年正月 晉封安城郡王為安城王條
[5]
서적
완복족세보(阮福族世譜)
順化出版社
199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