응우옌푹미엔투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응우옌푹미엔투는 베트남 응우옌 왕조의 황족으로, 자롱 18년(1819년)에 태어나 뜨득 12년(1859년)에 사망했다. 민망 21년(1840년)에 함순군공에 봉해졌으며, 뜨득 황제로부터 돈공의 시호를 받았다. 바오다이 19년(1944년)에는 함순공으로 추증되고 공숙으로 시호가 개정되었다. 그는 27명의 아들과 35명의 딸을 두었으며, 후손들은 혈(頁) 자부를 사용하여 이름을 지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859년 사망 - 페터 구스타프 르죈 디리클레
19세기 독일 수학자 페터 구스타프 르죈 디리클레는 해석학과 정수론에 공헌했으며, 디리클레 등차수열 정리 증명, 푸리에 급수 수렴성 증명, 페르마의 마지막 정리 증명 등으로 유명하고 그의 이름을 딴 다양한 수학적 개념과 정리들이 존재한다. - 1859년 사망 - 빌헬름 그림
독일의 언어학자이자 문헌학자, 동화 작가인 빌헬름 그림은 형 야곱 그림과 함께 그림 동화를 편집하여 세계적인 명성을 얻었으며, 카셀 도서관 사서, 괴팅겐 대학교 명예교수를 역임하고 독일어 사전 편찬 작업에 참여하는 등 활발한 연구 활동을 펼치며 독일 문화와 정체성 형성에 큰 영향을 미쳤다. - 1819년 출생 - 조슈아 에이브러햄 노턴
조슈아 에이브러햄 노턴은 1859년 "미합중국 황제 노턴 1세"를 자칭하고 샌프란시스코 시민들의 존경과 사랑을 받으며 21년간 "통치"한 샌프란시스코의 유명인이었다. - 1819년 출생 - 레옹 푸코
레옹 푸코는 푸코 진자를 이용한 지구 자전 증명, 회전 거울을 사용한 빛의 속도 측정, 와전류 발견, 푸코 테스트 고안 등 광학과 역학 분야에 공헌한 프랑스의 물리학자이다.
| 응우옌푹미엔투 | |
|---|---|
| 기본 정보 | |
| 휘 | 응우옌푹미엔투 |
| 한자 | 阮福綿守 |
| 시호 | 시푸 (是甫) |
| 생몰 정보 | |
| 출생 | 명명 12년 1월 26일 (1831년 3월 9일) |
| 사망 | 뜨득 22년 8월 15일 (1869년 9월 20일) |
| 가족 관계 | |
| 아버지 | 민망 황제 |
| 어머니 | 궁인 쩐티번 (宮人陳氏雲) |
| 형제자매 | 응우옌푹미엔쭝 등 78명의 형제자매 |
| 자녀 | 3명의 아들과 3명의 딸 |
| 관직 및 작위 | |
| 봉작 | 락화군공 (樂化郡公) |
| 관직 | 공부우참지 (工部右參知) |
| 기타 | |
| 묘지 | 트어티엔후에 흐엉투이현 즈엉쑤언사 ( Dương Xuân社) |
2. 생애
자롱 18년 2월 초십일(1819년 3월 5일), 후에 황성에서 태어났다. 어려서 사람됨이 겸손하고 예의가 있었다.[2]
민망 21년(1840년) 정월, '''함순군공'''(함순군공/Hàm Thuận Quận Côngvi)에 봉해졌다.[2]
뜨득 12년 8월 28일(1859년 9월 24일), 사망하니 향년 41세였다. 시호를 '''돈공'''(敦恭)이라 하였고, 승천부(承天府) 향수현(香水縣) 야리총야리상사(野犁總野犁上社)에 장사지냈다.[1] 향차현(香茶縣) 부춘총춘안읍(富春總春安邑)에 사당을 세우고 제사를 지냈다.
바오다이 19년(1944년), 바오다이 황제가 그에게 '''함순공'''(함순공/Hàm Thuận Côngvi)을 추증[1]하였고, 시호를 고쳐 '''공숙'''(恭肅)이라고 하였다.
2. 1. 출생과 초기 생애
응우옌푹미엔투는 자롱 18년 2월 초십일(1819년 3월 5일) 후에 황성에서 태어났다. 어려서 사람됨이 겸손하고 예의가 있었다.[2]2. 2. 작위
민망 21년(1840년) 정월, 함순군공(咸順郡公)에 봉해졌다.[2] 바오다이 19년(1944년), 바오다이 황제에 의해 함순공(咸順公)으로 추증[1]되었고, 시호는 공숙(恭肅)으로 고쳐졌다.[1]2. 3. 사망
뜨득 12년 8월 28일(1859년 9월 24일), 41세의 나이로 사망하였다. 시호는 돈공(敦恭)이며, 승천부(承天府) 향수현(香水縣) 야리총야리상사(野犁總野犁上社)에 장사지냈다.[1] 향차현(香茶縣) 부춘총춘안읍(富春總春安邑)에 사당을 세우고 제사를 지냈다.3. 가족 관계
응우옌푹미엔투는 아들 27명과 딸 35명을 두었다. 후예들은 혈(頁) 자부(字部)를 하사받아 이름을 지었다. 응우옌푹미엔투의 여섯째 아들 응우옌푹홍히엔(阮福洪顯)은 기외후(畿外侯)를 습봉하였으나, 이후 범죄를 저질러 작위를 삭탈당했다. 응우옌푹홍히엔의 손자 응우옌푹응데(阮福膺題)는 봉국경(奉國卿)을 습봉하였다.
3. 1. 자녀
응우옌푹미엔투는 아들 27명과 딸 35명을 두었다. 후예들은 혈(頁) 자부(字部)를 하사받아 이름을 지었다.응우옌푹미엔투의 여섯째 아들 응우옌푹홍히엔(阮福洪顯)은 기외후(畿外侯)를 습봉하였으나, 이후 범죄를 저질러 작위를 삭탈당했다. 응우옌푹홍히엔의 손자 응우옌푹응데(阮福膺題)는 봉국경(奉國卿)을 습봉하였다.
3. 1. 1. 아들
응우옌푹미엔투의 여섯째 아들 응우옌푹홍히엔(阮福洪顯)은 기외후(畿外侯)를 습봉하였으나, 이후 범죄를 저질러 작위를 삭탈당했다. 응우옌푹홍히엔의 손자 응우옌푹응데(阮福膺題)는 봉국경(奉國卿)을 습봉하였다.참조
[1]
서적
阮福族世譜
順化出版社
1995
[2]
간행물
《大南實錄》正編第二紀 卷二百零九 明命二十一年正月 冊封皇子條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