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이라크의 대통령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이라크의 대통령은 이라크의 국가 원수이다. 1958년 이라크 공화국 수립 이후, 여러 차례의 정치적 변화를 거치며 대통령직이 운영되었다. 초기에는 무함마드 나지브 아르 루바이가 주권 평의회를 이끌었고, 압드 알 살람 아리프가 대통령 직함을 처음으로 사용했다. 바트당 집권기에는 아흐마드 하산 알 바크르와 사담 후세인이 대통령을 역임했으며, 이라크 전쟁 이후에는 연합군의 통치를 받았다. 2004년 이후에는 가지 아질 알야와르, 잘랄 탈라바니, 푸아드 마숨, 바르함 살리흐, 압둘 라티프 라시드가 대통령을 지냈다. 이라크 대통령은 헌법에 따라 권한을 행사하며, 자격 요건을 갖춘 후보가 선출된다. 대통령궁은 시대에 따라 여러 곳이 사용되었으며, 현재는 평화 궁전이 대통령의 거처로 사용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이라크 정부 - 잘랄 탈라바니
    잘랄 탈라바니는 이라크의 쿠르드족 정치인이자 대통령으로, 쿠르드 민족 운동에 참여하고 쿠르디스탄 애국 동맹을 창설했으며, 2005년부터 2014년까지 이라크 대통령으로 재임하며 이라크의 정치적 안정과 쿠르드족의 권리 옹호를 위해 활동했다.
  • 이라크 정부 - 이라크 안보군
    이라크 안보군은 이라크 국방부와 내무부 산하의 기관 및 부서로 구성되어 이라크의 치안 유지와 국내 안보를 담당하며, 특히 이라크 경찰은 전국적인 법 집행 기관으로서 중요한 역할을 수행한다.
  • 이라크의 대통령 - 압둘 살람 아리프
    압둘 살람 아리프는 이라크의 군인이자 정치인으로, 1958년 혁명에 참여하여 하시미트 왕조를 무너뜨리고 대통령에 취임하여 이집트와의 통합을 추진했으나 헬리콥터 사고로 사망했다.
  • 이라크의 대통령 - 사담 후세인
    사담 후세인은 1979년부터 2003년까지 이라크의 대통령으로 장기간 독재 체제를 구축했으며, 반대파 숙청, 전쟁, 국제 사회의 비난을 받다가 2006년 사형당했다.
이라크의 대통령
개요
압둘 라티프 라시드 2023 (cropped)
압둘 라티프 라시드 (2023년)
직책이라크 대통령
국가이라크
유형국가 원수
스타일각하
관할이라크 공화국 연방 정부
이라크
거주지라드와니야 궁, 바그다드
임명권자의회 투표
임기4년, 1회 연임 가능
급여연간 809,700 미국 달러
웹사이트https://www.presidency.iq/EN/default.aspx
현직
현직자압둘 라티프 라시드
취임일2022년 10월 17일
부통령부통령
역사
설립일1958년 7월 14일
전신이라크 왕
초대 대통령무함마드 나지브 아르-루바이
권한 및 책임
소속이라크 공화국 연방 정부 행정부
보고 대상이라크 의회
국민
관련 정보
로마자 표기Raʼīs Jumhūrīyat al-ʻIrāq

2. 역사

1958년 7월 14일 혁명 이후, 대통령 선출을 위한 선거가 예정되었지만 실제로 열리지 않았다. 따라서 대통령 직은 유보되었고, 나지브 알 루바이가 주권 평의회를 이끌도록 임명되어 대통령으로 여겨졌다. 그리하여 압드 알살람 아레프가 이라크 공화국의 대통령이라는 직함을 처음으로 갖게 되었다.

대통령 위원회는 헌법의 "과도 조항"에 따라 운영되는 기구였다. 헌법에 따르면, 대통령 위원회는 헌법 비준 후 한 번의 임기 동안 그리고 정부가 구성될 때까지 대통령의 역할을 수행했다. 대통령 위원회는 법안을 개정하기 위해 대표 의회로 되돌려 보낼 수 있는 추가적인 권한을 가졌다.[3]

2. 1. 이라크 공화국 수립 (1958년)

1958년 7월 14일 혁명 이후, 대통령을 선출하기 위한 선거가 예정되었지만 실제로 열리지 않았다. 따라서 대통령 직은 유보되었고, 나지브 알 루바이가 대통령으로 여겨지는 주권 평의회를 이끌도록 임명되었다. 그리하여 압드 알살람 아레프가 이라크 공화국의 대통령이라는 직함을 처음으로 갖게 되었다.

2. 2. 초기 공화정 (1958년 ~ 1968년)

1958년 7월 14일 혁명 이후, 대통령 선거가 예정되었으나 실제로 열리지는 않았다. 따라서 대통령 직은 유보되었고, 나지브 알 루바이가 대통령으로 여겨지는 주권 평의회를 이끌도록 임명되었다. 그리하여 압드 알 살람 아레프가 이라크 공화국의 대통령이라는 직함을 처음으로 갖게 되었다.

2. 3. 현대 이라크 (2004년 ~ 현재)

1958년 7월 14일 혁명 이후, 대통령 선출을 위한 선거가 예정되었지만 실제로 열리지는 않았다. 따라서 대통령 직은 유보되었고, 나지브 알 루바이가 주권 평의회를 이끌도록 임명되어 대통령으로 여겨졌다. 그리하여 압드 알 살람 아레프가 이라크 공화국의 대통령이라는 직함을 처음으로 갖게 되었다.[3]

대통령 위원회는 헌법의 "과도 조항"에 따라 운영되는 기구였다. 헌법에 따르면, 대통령 위원회는 헌법 비준 후 한 번의 임기 동안 그리고 정부가 구성될 때까지 대통령의 역할을 수행했다. 대통령 위원회는 법안을 개정하기 위해 대표 의회로 되돌려 보낼 수 있는 추가적인 권한을 가졌다.[3]

3. 권한

이라크 헌법 제73조에 따르면, 대통령의 권한은 다음과 같다.[3]


  • 총리의 권고에 따라 특별 사면을 발령한다. 단, 사적 권리에 관련된 사항, 국제 범죄, 테러, 재정 및 행정 부패로 유죄 판결을 받은 자는 제외한다.
  • 하원의 승인을 거쳐 국제 조약 및 협정을 비준하며, 접수일로부터 15일 후에 비준된 것으로 간주한다.
  • 국회에서 제정된 법률을 비준하고 공포하며, 접수일로부터 15일 후에 비준된 것으로 간주한다.
  • 선거 결과 비준일로부터 15일을 초과하지 않는 기간 내에 선출된 국회를 소집하며, 헌법에 규정된 기타 경우에도 소집한다.
  • 법률에 따라 총리의 권고에 따라 훈장 및 메달을 수여한다.
  • 대사를 접수한다.
  • 공화국 칙령을 발령한다.
  • 유능한 법원에서 발부된 사형 선고를 비준한다.
  • 명예 및 의례적 목적으로 군 최고 사령관의 임무를 수행한다.
  • 이 헌법에 규정된 기타 대통령 권한을 행사한다.


2006년 헌법 시행 후에는 한시적으로 대통령 위원회가 구성되어 법안 거부권을 행사하기도 했다.

4. 자격 요건

이라크 헌법 제68조에 따르면 대통령 후보자는 다음의 자격 요건을 갖춰야 한다.


  • 출생 시 이라크 국적이어야 하며, 이라크인 부모를 두어야 한다.
  • 40세 이상이어야 한다.
  • 평판이 좋고 정치적 경험이 있어야 하며, 정직함, 강직함, 정의감, 조국에 대한 헌신으로 알려져 있어야 한다.
  • 도덕적 타락과 관련된 범죄로 유죄 판결을 받은 적이 없어야 한다.

5. 역대 대통령 목록

#이름이미지생몰년도취임퇴임정당
이라크 공화국 (1958-2003)
1무하마드 나지브 아르루바이
1904년 - 1983년1958년 7월 14일1963년 2월 8일 (축출)군인
2압둘 살람 아리프
1921년 - 1966년1963년 2월 8일1966년 4월 13일 (재임 중 사망)군인 / 아랍 사회주의 동맹
-압드 알아르라만 알바자즈 (권한 대행)
1913년 - 1973년1966년 4월 13일1966년 4월 16일군인 / 아랍 사회주의 동맹
3압둘 라만 아리프
1916년 - 2007년1966년 4월 16일1968년 7월 17일 (축출)군인 / 아랍 사회주의 동맹
4아메드 하산 알바크르
1914년 - 1982년1968년 7월 17일1979년 7월 16일 (사임)군인 / 바트당
5사담 후세인
1937년 - 2006년1979년 7월 16일2003년 4월 9일바트당
2003년 이라크 침공 (2003-2004)
-연합 과도 행정처
-2003년 4월 21일2004년 6월 28일-
1제이 가너
1938년 -2003년 4월 21일2003년 5월 12일-
2폴 브레머
1941년 -2003년 5월 12일2004년 6월 28일-
이라크 공화국 (2004-현재)
-가지 아질 알야와르 (권한 대행)
1958년 -2004년 6월 28일2005년 4월 7일이라크인
6잘랄 탈라바니
1933년 - 2017년2005년 4월 7일2014년 7월 24일쿠르디스탄 애국 동맹
7푸아드 마아숨
1938년 -2014년 7월 24일2018년 10월 2일쿠르디스탄 애국 동맹
8바르함 살리흐
1960년 -2018년 10월 2일2022년 10월 17일쿠르디스탄 애국 동맹
9압둘 라티프 라시드
1944년 -2022년 10월 17일현재쿠르디스탄 애국 동맹



1958년 7월 14일 혁명 이후, 대통령을 선출하기 위한 선거가 예정되었지만 실제로 열리지 않았다. 무하마드 나지브 아르루바이는 주권 평의회를 이끌도록 임명되었고, 압둘 살람 아리프가 이라크 공화국의 대통령 직함을 처음으로 갖게 되었다.

6. 대통령궁

1958년 이라크 공화국 초기에는 주권 평의회 의장인 무함마드 나지브 알 루바이와 총리인 압둘 카림 카심 모두 어떤 궁전도 국가의 공식 공화국 궁전으로 삼지 않았다. 알 루바이는 개인 집에 머물렀고, 카심은 국방부 사무실을 총리 자격으로 공식 사무실로 사용했다.[1]

1963년 압드 알 살람이 권력을 잡으면서 파이살 2세 국왕 시대에 건설된 궁전을 공화국 궁전으로 사용하기 시작했다. 이 궁전은 1965년에 완공되었으며, 이라크 최초의 공화국 궁전이었다.[1]

이 궁전은 2003년 미국이 이라크를 점령하기 전까지 공화국 궁전으로 사용되었다. 미국군은 점령 초기에 이곳을 사령부로 사용했고, 2009년 1월 1일까지 미국 대사관으로 사용하다가 이라크 정부가 이를 인수하여 정부 궁전으로 이름을 변경했다. 2012년에는 아랍 정상 회담이 이 궁전에서 열렸다.[1]

현재 이라크 대통령이 거주하는 대통령 궁은 사담 후세인 시대에 건설된 평화 궁전이다. 사담 후세인 통치 기간 동안 대통령 궁으로 사용된 또 다른 단지는 라드와니야 대통령 궁 단지였다. 또한 바그다드에는 수주드 궁전과 알 파우 궁전, 그리고 모술, 바스라, 티크리트, 바빌론에 대통령 궁이 있다.[1]

참조

[1] 웹사이트 Iraq's Surprise: The Persistence of Democracy https://www.wsj.com/[...] 2017-11-17
[2] 뉴스 Iraqi parliament elects Abdul Latif Rashid as new president https://www.aljazeer[...] Al Jazeera 2022-10-13
[3] 문서 Constitution of Iraq
[4] 문서 Constitution of Iraq
[5] 웹사이트 5 Highest Paid Asian Political Leaders http://www.malaysian[...] 2023-08-1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