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메일 클라이언트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이메일 클라이언트는 전자 메일의 작성, 전송, 수신, 관리 및 열람을 위한 소프트웨어이다. 기본적인 기능 외에도, 뉴스 리더, 피드 리더, 일정 관리 기능 등을 통합하기도 한다. 전자 메일 작성 시에는 RFC 5322를 준수하여 머리말과 본문 서식을 지정하며, SMTP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전송한다. 수신 방식은 푸시형과 풀형이 있으며, POP3, IMAP 등의 프로토콜을 지원한다. 또한, 여러 메일을 관리하고 표시하는 기능, 암호화 기능, 웹메일 방식 등을 제공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이메일 클라이언트 - 마이크로소프트 아웃룩
마이크로소프트 아웃룩은 이메일, 일정, 연락처, 작업 관리 기능을 제공하는 개인 정보 관리 소프트웨어로, 다양한 플랫폼을 지원하며 보안 기능 강화 및 지속적인 발전을 이루어왔으나, 인터넷 표준 준수 등의 문제점도 존재한다. - 이메일 클라이언트 - 윈도우 라이브 메일
윈도우 라이브 메일은 마이크로소프트에서 개발한 윈도우용 이메일 클라이언트 프로그램으로, 윈도우 메일의 기능을 계승하여 핫메일, Gmail, 야후! 메일 등 웹 기반 이메일 계정 지원, 윈도우 라이브 연락처 동기화, RSS 피드 지원 등의 기능을 제공했으나, 2017년 마이크로소프트의 지원이 종료되었다.
이메일 클라이언트 | |
---|---|
개요 | |
종류 | 컴퓨터 프로그램 |
용도 | 이메일 접근 및 관리 |
상세 정보 | |
기능 | 이메일 작성, 전송, 수신, 보관, 관리 주소록 관리 스팸 메일 필터링 메일 검색 |
프로토콜 | SMTP (메일 발송) POP3, IMAP (메일 수신) |
인터페이스 |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 (GUI) 명령 줄 인터페이스 (CLI) |
유형 | |
설치 방식 | 데스크톱 애플리케이션 웹 애플리케이션 (웹 메일) 모바일 애플리케이션 |
사용 환경 | 운영체제: Windows, macOS, Linux, Android, iOS 등 기기: 데스크톱, 노트북, 스마트폰, 태블릿 등 |
주요 이메일 클라이언트 (예시) | |
데스크톱 | Microsoft Outlook Mozilla Thunderbird Apple Mail |
웹 메일 | Gmail Yahoo! Mail Outlook.com |
모바일 | Gmail 앱 Outlook 앱 Apple Mail 앱 |
관련 기술 및 표준 | |
메시지 형식 | MIME |
주소록 표준 | vCard |
인증 | SPF, DKIM, DMARC |
역사 | |
초기 | 명령 줄 기반 메일 유틸리티 (예: mail, mailx) |
발전 | GUI 기반 이메일 클라이언트 등장 |
보안 | |
고려 사항 | 스팸 메일 피싱 멀웨어 개인 정보 보호 |
기타 | |
참고 | 메일 사용자 에이전트 (Mail User Agent, MUA) |
2. 기능
전자 메일 클라이언트는 전자 메일 작성, 전송, 수신, 관리 및 열람 등의 핵심 기능을 제공한다. 이러한 기능은 소프트웨어에 따라 통합되어 있거나, 별도의 소프트웨어(예: 텍스트 편집기, 웹 브라우저)를 통해 실행되기도 한다.
전자 메일 클라이언트는 수신 및 송신 서버의 FQDN, 계정 정보(메일 주소, 로그인 ID, 비밀번호), 통신 프로토콜 등을 미리 설정하여 메일 사용자 에이전트(MUA)로서의 역할을 수행한다.
전자 메일 처리 기능 외에도, 뉴스 그룹 열람 및 게시, RSS 피드 리더, 일정 관리 기능 등이 통합된 전자 메일 클라이언트 소프트웨어도 있다.
전자 메일 수신을 지원하는 프로토콜로는 POP3, POP4 등이 있다. IMAP와 최신의 IMAP4가 서버의 전자우편 저장량을 줄이기 위해 최적화된 반면, POP3 프로토콜은 보통 클라이언트에서 다운로드한 전자우편을 보관한다. 대부분의 메일 클라이언트는 전자우편을 보낼 때 SMTP 프로토콜을 사용한다. 웹메일 기반의 이메일 프로그램으로는 야후! 메일, 지메일, 핫메일 등이 있다.
MIME은 이진 첨부파일을 보낼 때 사용되는 중요한 프로토콜이며, 첨부 파일은 전자우편과 함께 보내진다.
MAPI는 마이크로소프트 윈도우의 독자적인 API로, 마이크로소프트 익스체인지 서버에 접근하거나 마이크로소프트 아웃룩 클라이언트와 연동하기 위한 것이다.
2. 1. 전자 메일 수신
이메일 클라이언트는 수신 메일 서버로부터 사용자에게 도착한 메일을 가져오는 역할을 한다. 수신 방식에는 푸시형과 풀형이 있다.; 푸시형
: 푸시 전자 메일(푸시 메일, 푸시형 메일)은 수신 메일 서버가 능동적으로 이메일 클라이언트로 즉시 전송하는 방식을 말한다.[10]
: 전원이 켜진 상태에서는 항상 무선으로 네트워크에 접속되는 휴대 기기는 푸시형이 유효하다. 일본에서는 1999년부터 i 모드 메일과 같은 휴대 전화의 전자 메일에 푸시형을 사용하고 있다.[10]
; 풀형
: '''이메일 클라이언트'''가 수신 메일 서버에 로그인할 때와 그 후 일정 간격으로 폴링하여 새로운 수신 메일이 있는지 확인하고 있으면 사용자의 컴퓨터상의 메일함에 다운로드한다.[10]
: 이메일 클라이언트가 네트워크에 상시 접속되지 않은 경우, 네트워크 주소가 빈번하게 변경되기 때문에 푸시형은 적합하지 않으며, 일반적으로 폴링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Wi-Fi로 접속하는 노트북은 DHCP 서버로부터 일회성 주소를 부여받고, 네트워크 이름도 일정하지 않다. 따라서 수신 메일 서버에 새로운 전자 메일이 도착하더라도 해당 전송 대상이 되는 클라이언트의 그 시점의 주소는 불명확하다.[10]
: 보급된 수신 프로토콜에는 POP3와 IMAP가 있다. 일반적으로 POP3를 사용한 경우, 수신 메일을 로컬에 다운로드하여 저장하고, 서버에서는 삭제한다. IMAP를 사용한 경우에는 수신 메일을 서버에 저장한 채로 이메일 클라이언트에서 관리, 표시한다.[10]
2. 2. 전자 메일 전송
사용자가 이메일을 생성하고 보내고 싶을 때, 이메일 클라이언트가 해당 작업을 처리한다. 이메일 클라이언트는 일반적으로 사용자의 메일 서버에 연결하도록 자동 설정되는데, 이는 주로 MSA 또는 MTA이며, 이는 SMTP 프로토콜의 두 가지 변형이다. SMTP 프로토콜을 사용하는 이메일 클라이언트는 메일 서버가 발신자를 인증하는 데 사용하는 인증 확장을 생성한다.[9] 이 방법은 모듈성과 노매드 컴퓨팅을 용이하게 한다. 이전 방법은 메일 서버가 클라이언트의 IP 주소를 인식하는 것이었는데, 예를 들어 클라이언트가 동일한 기기에 있고 내부 주소 127.0.0.1을 사용하거나, 클라이언트의 IP 주소가 인터넷 액세스와 메일 서비스를 모두 제공하는 동일한 인터넷 서비스 제공업체에 의해 제어되기 때문이다.[9]클라이언트 설정에는 선호하는 ''아웃고잉 메일 서버''의 이름 또는 IP 주소, ''포트 번호''(MTA의 경우 25, MSA의 경우 587), 그리고 인증을 위한 ''사용자 이름''과 ''비밀번호''(있는 경우)가 필요하다. 많은 클라이언트와 서버가 하위 호환성을 위해 지원하는 SSL 암호화 SMTP 세션을 위한 비표준 포트 465도 있다.[9] 작성된 이메일은 SMTP를 사용하여 메일 전송 에이전트로 전송된다.[9]
2. 3. 전자 메일 표시
전자 메일 클라이언트는 헤더에 지정된 문자 인코딩에 따라 메일 본문을 표시하고, 첨부 파일을 처리한다. 회신된 메일 본문 중 행 머리에 인용을 나타내는 기호(일반적으로 "'>'")가 추가된 부분의 표시 색상을 변경하여 표시하는 기능도 있다. 원래 SMTP의 제약으로 인해 7비트 문자밖에 사용할 수 없었던 (RFC821) 전자 메일에서는 이진 데이터를 첨부하는 경우 MIME 규격에 따라 부호화되지만, 전자 메일 클라이언트는 이를 복호화하여 원래의 데이터로 복원한다.[10]2. 4. 복수 전자 메일 관리 및 열람
전자 메일 클라이언트는 수신한 전자 메일 목록을 작성하여 정렬하고 표시하는 정렬 기능이 있다. 로컬 메일함을 여러 개 만들어 전자 메일을 묶음 단위로 관리할 수 있으며, 표시 색상을 변경하거나 플래그를 사용하여 메일을 분류하고 저장할 수도 있다.[10] 전자 메일 헤더 정보를 바탕으로 회신 메일을 스레드 형식으로 표시하는 기능도 제공한다. 또한, 메일 헤더나 본문에 포함된 특정 문자열을 기준으로 자동 분류하거나, 베이즈 필터 등을 이용해 스팸을 걸러내는 기능을 갖춘 클라이언트도 있다.[10]전자 메일은 mbox, eml 형식 등으로 저장된다. 전자 메일 클라이언트에 따라 다른 형식으로 가져오기나 내보내기 기능을 지원하여 메일 이전을 돕는다.[10]
2. 5. 전자 메일 작성
전자 메일을 작성할 경우, SMTP영어에 따른 형식으로 작성해야 한다. 일반적으로 전자 메일은 7비트 문자만 사용한 텍스트 파일로 작성된다. 바이너리 파일을 첨부하기 위해서는 전자 메일 클라이언트에 의해 인코딩이 수행된다. 수신처(To
, Cc
, Bcc
)나 제목(Subject
)을 비롯한 헤더를 추가하는 것도 전자 메일 클라이언트의 기능이다. 회신한 메일의 인용 부분에 인용 부호 추가, 주소록, 서명 관리, 템플릿 적용 등의 기능을 갖는 경우도 있다.[11]3. 프로토콜
전자 메일 클라이언트에서 사용하는 주요 프로토콜은 다음과 같다.
POP3, IMAP4는 이메일 수신을 지원하며, 대부분의 메일 클라이언트는 전자우편을 보낼 때 SMTP 프로토콜을 사용한다.[12] 웹 기반의 이메일 프로그램으로는 야후! 메일, 지메일, 핫메일 등이 있다.[5]
MIME은 이진 첨부파일을 보낼 때 사용되는 중요한 프로토콜이다. 첨부 파일은 본래 전자우편의 일부는 아니지만, 전자우편과 함께 보내진다.
MAPI(Messaging 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는 마이크로소프트 윈도우의 독자적인 API로, 마이크로소프트 익스체인지 서버에 접근하거나 마이크로소프트 아웃룩 클라이언트와 연동하기 위한 것이다.
최근에는 HTTP를 통해 JSON API를 사용하는 JMAP(JSON Meta Application Protocol)이 IMAP/SMTP의 대안으로 개발되기도 한다.
3. 1. 메일 수신 프로토콜
이메일 클라이언트가 메일을 수신하기 위해 사용하는 대표적인 프로토콜에는 POP3와 IMAP4가 있다.- POP3 (Post Office Protocol version 3): 포트 110 (암호화 시 995)을 사용한다.[7] POP3는 이메일을 클라이언트에 다운로드하여 보관하는 방식이다.
- IMAP4 (Internet Message Access Protocol version 4): 포트 143 (암호화 시 993)을 사용한다.[7] IMAP4는 서버에 이메일을 보관하고, 사용자가 필요할 때마다 접근하여 관리하는 방식이다.
프로토콜 | 용도 | 일반 텍스트 또는 암호화 세션 | 일반 텍스트 세션만 | 암호화 세션 만 |
---|---|---|---|---|
POP3 | 수신 메일 | 110 _pop3._tcp | 995 _pop3s._tcp | |
IMAP4 | 수신 메일 | 143 _imap._tcp | 993 _imaps._tcp |
POP3와 IMAP의 비교
- POP3:
- 메시지를 다운로드하여 로컬에 저장하고, 서버에서는 삭제한다.
- 여러 기기에서 동일한 메일에 접근하기 어렵다.
- IMAP:
- 메시지를 서버에 보관하고, '읽음', '답변됨', '전달됨' 등의 상태를 표시할 수 있다.
- 여러 기기에서 동일한 메일에 접근하기 용이하다.
- 실시간 업데이트를 위한 ''유휴'' 확장 기능을 제공한다.
최근에는 HTTP를 통해 JSON API를 사용하는 JSON 메타 애플리케이션 프로토콜 (JMAP)이 IMAP/SMTP의 대안으로 개발되기도 한다.
수신 메일 서버에 있는 사용자의 메일함까지 도착한 수신 메일이 마지막으로 거기에서 이메일 클라이언트로 전송되는 방식은 푸시형과 풀형으로 분류된다.
; 푸시형
: 푸시 전자 메일 (푸시 메일, 푸시형 메일)은 수신 메일 서버가 능동적으로 이메일 클라이언트로 즉시 전송하는 방식을 말한다.
: 전원이 켜진 상태에서는 항상 무선으로 네트워크에 접속되는 휴대 기기는 푸시형이 유효하다. 일본에서는 1999년부터 i 모드 메일과 같은 휴대 전화의 전자 메일에 푸시형을 사용하고 있다.
; 풀형
: '''이메일 클라이언트'''가 수신 메일 서버에 로그인할 때와 그 후 일정 간격으로 폴링하여 새로운 수신 메일이 있는지 확인하고 있으면 사용자의 컴퓨터상의 메일함에 다운로드한다.
: 이메일 클라이언트가 네트워크에 상시 접속되지 않은 경우, 네트워크 주소가 빈번하게 변경되기 때문에 푸시형은 적합하지 않으며, 일반적으로 폴링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Wi-Fi로 접속하는 노트북은 DHCP 서버로부터 일회성 주소를 부여받고, 네트워크 이름도 일정하지 않다. 따라서 수신 메일 서버에 새로운 전자 메일이 도착하더라도 해당 전송 대상이 되는 클라이언트의 그 시점의 주소는 불명확하다.
3. 2. 메일 발신 프로토콜
대부분의 메일 클라이언트는 전자우편을 보낼 때 SMTP 프로토콜을 사용한다.[12] 사용자가 이메일을 생성하고 보내려고 할 때, 이메일 클라이언트가 해당 작업을 처리하며, 일반적으로 사용자의 메일 서버에 연결하도록 자동 설정된다. 이때 MSA 또는 MTA가 사용되는데, 이는 SMTP 프로토콜의 두 가지 변형이다. SMTP 프로토콜을 사용하는 이메일 클라이언트는 메일 서버가 발신자를 인증하는 데 사용하는 인증 확장을 생성한다.클라이언트 설정에는 선호하는 *아웃고잉 메일 서버*의 이름 또는 IP 주소, *포트 번호* (MTA의 경우 25, MSA의 경우 587), 그리고 인증을 위한 *사용자 이름*과 *비밀번호* (있는 경우)가 필요하다. 많은 클라이언트와 서버는 하위 호환성을 위해 SSL 암호화 SMTP 세션을 위한 비표준 포트 465도 지원한다.[12]
SMTP는 발신 메일에 사용되며, 일반적으로 25번 포트를 사용한다. 암호화 세션 전용으로는 비공식적으로 465번 포트가 사용된다.[12] MSA는 발신 메일에 사용되며 587번 포트를 사용한다.
프로토콜 | 용도 | 일반 텍스트 또는 암호화 세션 | 일반 텍스트 세션만 | 암호화 세션 만 |
---|---|---|---|---|
SMTP | 보내는 메일 | 25 | 587 | |
MSA | 보내는 메일 | 587 | 465[8] |
3. 3. 기타 프로토콜
웹메일은 HTTP (포트 80, 암호화 시 443)를 통해 작동하는 웹 기반 이메일 프로그램이다. 야후! 메일, 지메일, 핫메일 등이 대표적인 예시이다.[5]MAPI(Messaging 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는 마이크로소프트 윈도우의 독자적인 API로, 마이크로소프트 익스체인지 서버에 접근하거나 마이크로소프트 아웃룩 클라이언트와 연동하기 위한 것이다.
JMAP(JSON Meta Application Protocol)은 IMAP/SMTP의 대안으로 개발된 프로토콜로, HTTP를 통해 JSON API를 사용하여 구현되었다.
4. 암호화
이메일 암호화는 메일 세션, 메시지 본문 또는 둘 다를 암호화하여 개인 정보 보호를 보장하는 기술이다. 암호화가 없으면 네트워크에 접근하여 올바른 도구를 가진 사람은 누구나 이메일을 감시하고 로그인 비밀번호를 획득할 수 있다.[1] 정부의 검열 및 감시, 인터넷 카페와 같은 무선 네트워크 사용 환경 등이 우려되는 예시이다.
모든 관련 이메일 프로토콜에는 사용자의 ''이름''과 ''비밀번호''가 패킷 스니퍼에 의해 스니핑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전체 세션을 암호화하는 옵션이 있다. 이러한 옵션은 유목민 사용자 및 인터넷 서비스 제공업체를 신뢰할 수 없을 때 강력히 권장된다.[1]
암호화된 메일 세션은 사용자의 로컬 메일함과 대상 서버에서 메시지를 원본 형식(일반 텍스트 또는 암호화된 본문)으로 전달한다.
예를 들어 SSL로 이메일 검색 세션을 암호화하면 세션의 두 부분(인증 및 메시지 전송)을 모두 보호할 수 있다.[2] 또는 사용자가 메일 서버에 대한 SSH 접근 권한이 있는 경우 SSH 포트 포워딩을 사용하여 이메일을 검색할 암호화된 터널을 만들 수 있다.[3]
암호화 키를 관리하는 데는 두 가지 주요 모델이 있다. S/MIME은 사용자의 공개 키에 서명하는 신뢰할 수 있는 인증 기관(CA)을 기반으로 하는 모델이다. OpenPGP는 사용자가 서로의 공개 키에 서명할 수 있는 다소 더 유연한 ''신뢰 웹'' 메커니즘을 사용한다.
두 경우 모두 메시지 본문만 암호화된다. 발신자, 수신자 및 제목을 포함한 헤더 필드는 일반 텍스트로 유지된다.
5. 웹메일
야후! 메일, 지메일, 핫메일 등과 같이 웹 브라우저를 통해 접근하는 이메일 클라이언트 서비스이다. 사용자는 별도의 프로그램을 설치하지 않고도 이메일을 보내고 받을 수 있다.
일부 웹사이트는 이메일 서비스를 전문적으로 제공하며, 많은 인터넷 서비스 제공업체들이 인터넷 서비스 패키지의 일부로 웹메일 서비스를 제공한다. 웹메일의 주요 제한 사항은 사용자 상호 작용이 웹사이트의 운영 체제의 영향을 받으며, 이메일 메시지를 다운로드하여 오프라인에서 메시지를 작성하거나 작업하는 것이 일반적으로 불가능하다는 것이다. 하지만 MAPI를 통해 타사 응용 프로그램에서 직접 메시지를 생성할 수 있는 등 웹메일 기능의 일부를 OS에 통합할 수 있는 소프트웨어 패키지가 있다.
6. 원격 메시지
POP3는 서버에 메시지를 남겨두는 옵션을 제공한다.[4] 반면, IMAP과 웹메일은 작동 방식에 따라 서버에 메시지를 보관하며, 사용자는 원할 경우 로컬 사본을 만들 수 있다.[4]
서버에 메시지를 보관하는 것에는 다음과 같은 장점과 단점이 있다.[4]
장점 | 단점 |
---|---|
참조
[1]
간행물
Email Submission Operations: Access and Accountability Requirements
IETF
2011-08-24
[2]
간행물
Updated Transport Layer Security (TLS) Server Identity Check Procedure for Email-Related Protocols
[3]
서적
Linux Server Hacks: 100 Industrial-Strength Tips & Tools
https://archive.org/[...]
O'Reilly Media
[4]
웹사이트
Is IMAP Right for Me?
http://itservices.st[...]
Stanford University
2013-04-14
[5]
간행물
Netnews Article Format
IETF
2009-11
[6]
간행물
Common Internet Message Headers
2015-05-11
[7]
간행물
Use of SRV Records for Locating Email Submission/Access Services
IETF
2013-04-17
[8]
간행물
Cleartext Considered Obsolete: Use of Transport Layer Security (TLS) for Email Submission and Access
IETF
2018-02-12
[9]
문서
SMTP(
[10]
논문
Use of SRV Records for Locating Email Submission/Access Services
https://datatracker.[...]
2011-03
[11]
웹사이트
Is IMAP Right for Me?. IT Services.
https://hix.ai/ja/hu[...]
2024-01-24
[12]
웹인용
PORT NUMBERS
http://www.iana.org/[...]
IANA
2010-01-1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