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중지진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이중지진은 짧은 시간 간격으로 두 번의 지진이 연이어 발생하는 현상이다. 단층의 불규칙한 부분인 애스패리티가 본진의 파열을 일시적으로 막아 발생하며, 첫 번째 지진으로 응력의 일부만 방출되어 짧은 시간 안에 두 번째 지진을 유발한다. 이로 인해 지진의 진동 시간이 길어지고 피해 지역이 넓어지며, 구조물 붕괴 및 재해 복구에 어려움을 겪게 된다. 지진파 연구를 통해 규모가 큰 지진 중 상당수가 이중지진으로 밝혀지고 있으며, 지진 재해 대비를 위한 고유지진 모델에 영향을 미친다. 다중 세그먼트 파열 모델과 같은 새로운 지진 분석 기법이 이 문제를 해결하는 데 사용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이중지진 - 2022년 후쿠시마현 해역 지진
2022년 후쿠시마현 해역 지진은 2022년 3월 16일 후쿠시마현 해역에서 발생한 모멘트 규모 7.3의 지진으로, 미야기현과 후쿠시마현에 최대 진도 6강이 관측되었고 쓰나미 주의보가 발령되었으며 2011년 도호쿠 지방 태평양 해역 지진의 여진으로 추정된다. - 이중지진 - 2023년 튀르키예-시리아 지진
2023년 2월 6일 튀르키예 가지안테프 인근에서 발생한 규모 7.8의 강진은 동아나톨리아 단층대에서 발생하여 튀르키예와 시리아에 막대한 인명 및 재산 피해를 초래했으며 강력한 여진과 쓰나미까지 발생했다. - 지진의 종류 - 해구형 지진
해구형 지진은 섭입대에서 판 경계면의 충상단층에서 발생하는 거대한 규모의 지진으로, 강력한 쓰나미를 동반하고 긴 시간 동안 강한 진동을 일으키며, 태평양과 인도양의 섭입대에서 주로 발생한다. - 지진의 종류 - 심발지진
심발지진은 진원의 깊이가 200km를 초과하는 지진으로, 표면파는 거의 발생하지 않으나 실체파는 크게 느껴지며, 섭입하는 해양판의 움직임 등 여러 원인으로 판의 경계 지역에서 주로 발생하고 넓은 지역에 영향을 줄 수 있어 지속적인 연구가 필요한 지진이다.
이중지진 | |
---|---|
개요 | |
정의 | 거의 동일한 파형을 가진 여러 지진이 같은 위치에서 발생하는 현상 |
특징 | 크기가 거의 같은 지진이 짧은 시간 간격으로 발생 일반적인 본진-여진 시퀀스와 구별됨 |
발생 원인 | 단층면의 복잡성, 응력 전달 등 다양한 요인이 제시됨 |
종류 | |
발생 메커니즘 | |
연구 동향 | |
2. 원인
이중지진은 단층이나 습곡대에 있는 애스패리티와 같이 불규칙한 모양의 파열대 돌기가 본진의 단층 파열을 일시적으로 막아서 발생하는 것으로 추정된다. 탄성발발론에 따르면, 일반적인 지진은 암반의 응력이 축적되어 발생하고 다음 지진까지 수십 년 이상이 걸릴 수 있지만, 이중지진에서는 애스패리티가 파열되면서 응력의 일부만 방출되어 오히려 응력이 늘어나 짧은 시간 안에 또 다른 지진을 유발한다.[28] 1997년 하르나이 지진의 경우, 모멘트 규모 Mw7.0의 본진 발생 19초 후 Mw6.8의 지진이 발생했다.[29] 이처럼 강력한 지진이 짧은 간격을 두고 연속적으로 발생하면 실질적으로 체감하는 지진의 진동 시간이 길어지고, 강한 흔들림의 영향을 받는 지역이 늘어나는 결과를 낳는다.[30] 또한, 이후의 강한 충격은 이미 이전 지진으로 약화된 구조물을 붕괴시키거나 심각한 피해를 입혀 구조 및 재해 복구에 큰 어려움을 초래한다.[31]
이중지진은 실질적으로 지진의 진동 시간을 길게 하고, 강한 흔들림의 영향을 받는 지역을 넓혀 피해를 증가시킨다. 특히, 이전 지진으로 약화된 구조물을 붕괴시키거나 심각한 피해를 주어 구조 및 재해 복구 작업을 어렵게 만든다.[37][38]
이중지진과 같이 여러 지진이 한꺼번에 몰려오는 현상은 지진 재해 대비를 위한 고유지진 모델에 큰 영향을 준다.[37][38] 고유지진 모델에서는 단층대를 '세그먼트'로 나누어 각 세그먼트의 길이에 따라 단층 파열 정도 및 최대 지진 규모가 제한되어 있다고 가정한다.[39] 대부분의 경우 이중지진과 같은 현상은 거의 일어나지 않기 때문에 자연스럽게 이중지진의 가능성을 배제한다.[40] UCERF3과 같은 새로운 지진 분석 기법에서는 서로 다른 규모의 지진이 동시다발적으로 일어나는 다중 세그먼트 파열 모델을 통해 이 문제를 해결하고자 한다.[41]
[1]
논문
3. 영향
지진파 연구가 심화되면서 규모가 큰 지진 중 상당수가 이중지진으로 밝혀지고 있다. 일부 연구에서는 규모 M7.5 이상의 지진 중 20% 가까이가 이중지진이며,[34] 경우에 따라 최대 75%에 달하기도 한다.[35] 솔로몬 제도에서 발생한 지진을 분석한 결과, 규모 M6 이상 지진의 약 10%, 규모 M7.0 이상 지진의 약 25%가 이중지진으로 분석되었다.
이중지진과 같이 다중지진이 여러 번 몰려오는 사건은 지진 재해 대비를 위한 고유지진 모델에 심각한 영향을 준다.[39] 고유지진 모델에서는 단층대를 '세그먼트'로 분할하여 세그먼트의 길이에 따라 단층 파열 정도 및 최대 지진 규모가 제한되어 있다고 가정하는데, 대부분의 경우 이중지진 가능성을 배제한다.[40] UCERF3과 같은 새로운 지진 분석 기법에서는 서로 다른 규모의 지진이 동시다발적으로 일어나는 다중 세그먼트 파열 모델을 통해 이 문제를 해결한다.[41]
4. 지진 재해 대비에 미치는 영향
참조
[2]
논문
[3]
논문
[4]
문서
Omori's law, and Gutenberg–Richter law
[5]
논문
[6]
논문
[7]
논문
[8]
논문
[9]
논문
[10]
논문
[11]
논문
[12]
논문
[13]
논문
[14]
논문
[15]
논문
[16]
문서
Kurile Islands
[17]
논문
[18]
논문
[19]
간행물
UCERF3 Fact Sheet
[20]
논문
[21]
뉴스
지구 내핵 생각보다 물렁…회전 속도 불규칙
https://www.sciencet[...]
Science Times
2013-05-28
[22]
논문
[23]
논문
[24]
논문
[25]
논문
[26]
논문
[27]
논문
[28]
논문
[29]
논문
[30]
논문
[31]
논문
[32]
논문
[33]
논문
[34]
논문
[35]
논문
[36]
서적
[37]
서적
[38]
서적
[39]
서적
[40]
웹인용
Doublet Earthquakes And Earthquake Dynamics
http://www.scientifi[...]
scientificblogging.com
2008-01-30
[41]
서적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