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즈미르 지하철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이즈미르 지하철은 2000년에 개통되었으며, 현재 1개 노선, 총 20.1km 구간에 17개의 역으로 구성되어 있다. 2012년부터 지속적인 확장을 통해 노선이 연장되었으며, 2024년에는 파흐레틴 알타이-발초바 구간과 카이마캄륵 역이 개통되었다. 현재 24개의 역을 운영하고 있으며, 각 역의 개통일, 구조, 플랫폼, 선로, 환승 정보를 제공한다. 향후 노선 확장 계획도 진행 중이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이즈미르의 교통 - 이즈미르 아드난 멘데레스 공항
이즈미르 아드난 멘데레스 공항은 1987년에 개항하여 국제선 터미널을 확장했으며, 에게 항공, 페가수스 항공, 터키 항공 등이 국내선 및 국제선 노선을 운항하고, 버스와 철도로 시내 접근이 가능하며, 연간 여객 통계는 코로나19 팬데믹의 영향을 받았다. - 튀르키예의 도시 철도 - 이스탄불 지하철
이스탄불 지하철은 1875년 튀넬에서 시작되어 세계에서 두 번째로 오래된 지하철 시스템으로, 1989년 현대적인 지하철로 발전하여 현재 M1부터 M14까지 다양한 노선이 운영 및 건설 중이며, 한국 기업 현대로템이 차량 제작에 참여하는 등 한국과의 기술 협력도 이루어지고 있다. - 튀르키예의 도시 철도 - 앙카라 지하철
앙카라 지하철은 1996년 앙카라이 경전철 개통과 1997년 M1 노선 개통으로 시작되어 2014년 M2, M3 노선 추가 개통 후 현재 앙카라이 포함 총 4개 노선, 총 연장 55.14km, 45개 역을 갖춘 앙카라의 도시 철도 시스템이다. - 2000년 개통한 철도 노선 - 서울 지하철 6호선
서울 지하철 6호선은 서울특별시 은평구에서 중랑구까지 이어지는 총 36.4km의 지하철 노선으로, 2000년 개통 이후 2019년 신내역까지 연장되었으며, 현재 39개의 역을 운영하고 다른 노선들과 환승이 가능하다. - 2000년 개통한 철도 노선 - 광주선
광주선은 호남선 열차가 경전선을 경유하여 광주역까지 운행하는 11.9km의 철도 노선으로, 일제강점기 전남선의 일부로 개통되어 노선 변경과 이설을 거쳤으며, 현재는 ITX-새마을과 무궁화호가 운행되고 있다.
이즈미르 지하철 - [철도 노선]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 | |
현지 명칭 | 이즈미르 메트로수 (İzmir Metrosu) |
소유주 | 이즈미르 광역시 |
운행 지역 | 이즈미르, 튀르키예 |
운송 유형 | 경전철 |
노선 수 | 1개 (1개 건설 중) |
역 수 | 24개 |
일일 이용객 수 | 173,000명 |
최고 경영자 | 아흐메트 시난 카라쿠주 (Ahmet Sinan Karakuzu) |
본사 | 할카피나르 (Halkapınar) |
웹사이트 | 이즈미르 지하철 공식 웹사이트 |
개통일 | 2000년 4월 22일 |
운영자 | 이즈미르 메트로 A.Ş. (İzmir Metro A.Ş.) |
특징 | 해당 없음 |
성격 | 해당 없음 |
차량 수 | 182량 |
열차 길이 | 120m |
운행 간격 | 4분 - 첨두 시간 10분 - 최대 대기 시간 |
시스템 길이 | 27km |
최소 곡선 반경 | 75m |
전력 공급 | 직류 750V 제3궤조 방식, 하부 접촉 |
평균 속도 | 42km/h |
최고 속도 | 90km/h (설계) 80km/h (최대 허용) |
![]() | |
노선 정보 | |
노선 | 1 |
건설 중인 노선 | 1 |
2. 역사
1990년대 이즈미르의 교통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철도 기반 급행 교통망 건설이 추진되어, 2000년 5월 첫 노선이 개통되었다.[5] 초기 건설에는 야피 메르케지와 아드트란츠 등이 참여했으며, 시스템 구축에는 상당한 비용이 투입되었다.
개통 이후 아드난 멘데레스 공항을 경유하여 도시 북부 알리아아와 남부 쿠마오바시를 잇는 이즈반(İZBAN) 통근 열차 시스템과의 연계 계획이 수립되었으며, 할카피나르역에서 환승이 가능하도록 구상되었다. 또한, 2011년 말부터는 현금이나 토큰(제톤) 대신 교통카드를 사용하는 시스템으로 변경되었다.
이즈미르 지하철은 연간 약 3천만 명의 승객을 수송하며, 개통 후 2005년 9월 말까지 누적 이용객 1억 6천만 명을 기록했다. 2018년 기준으로 총 1개 노선, 17개 역으로 운영되고 있으며, 노선 총 길이는 20.1km이다.[5]
2. 1. 초기 계획 및 건설 (1990년대)
1990년까지 이즈미르의 기존 대중교통 시스템은 증가하는 인구를 더 이상 감당할 수 없다는 여론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철도를 이용한 급행 교통망 건설 계획이 수립되었다. 1993년에 계약이 체결되었고, 1994년에 부지가 인계되었다. 1995년에 건설이 시작되어 약 4년 만에 성공적으로 완료되었으며, 2000년 5월에 시스템이 대중에게 공개되었다. 그때까지 시스템 건설의 총 비용은 6억달러였다.야피 메르케지(Yapı Merkezi)는 모든 설계 및 토목 공사(터널, 교량, 고가, 역, 선로, 기반 시설, 차량 기지 및 작업장)와 제3궤조 전력 시스템의 주 계약자였다. 아드트란츠(AdTranz)는 차량 공급 및 신호, 전력 공급, 통신 시스템을 담당했다. (아드트란츠는 이전에 ABB 트랙션이었으며, 다임러를 거쳐 봄바르디에에 인수되었다.)
2. 2. 1단계 개통 (2000년)
1990년대에 이르러 이즈미르의 기존 대중교통 시스템으로는 증가하는 인구를 감당하기 어렵다는 문제가 제기되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철도 기반의 급행 교통망 건설 계획이 수립되었다.[5] 1993년 건설 계약이 체결되었고, 1995년부터 공사가 시작되어 약 4년 만에 성공적으로 완료되었다.2000년 5월, 마침내 이즈미르 지하철 시스템이 대중에게 개통되었다. 1단계 개통 구간은 보르노바(Bornova)에서 우치욜(Üçyol)까지였다. 당시 시스템 구축에 소요된 총 비용은 6억달러였다.[5] 주요 건설사인 야피 메르케지는 설계, 토목 공사(터널, 교량, 고가, 역, 선로, 기반 시설, 차량 기지 및 작업장), 제3궤조 전력 시스템을 담당했다. 차량 및 신호, 전력 공급, 통신 시스템은 아드트란츠가 맡았다.[5]
개통 당시 운행된 이즈미르 경전철(LRV) 차량은 이 시스템에 맞춰 특별 제작되었다. 차량의 제원은 높이 3.67m, 폭 2.65m, 길이 23.5m이며, 최고 속도는 80km/h이다. 좌석 정원은 44명, 입석 정원은 140명이었다.[5]
모든 LRV는 자체 동력을 가지며, 구동 및 제동 시스템 등은 차량 내 컴퓨터로 제어되었다. 열차는 일반적으로 양 끝에 운전석이 있는 2~5량으로 편성되었다. 차량은 3개의 대차를 가진 6축 굴절 구조로, 첫 번째와 마지막 대차에 동력이 전달되었다. 전력은 750V DC 제3궤조에서 공급받았으며, 보조 전력 시스템을 통해 조명, 환풍기 등에 필요한 전력을 공급했다. 또한 비상시를 대비해 24V DC 배터리 시스템도 갖추었다.[5]
2. 3. 지속적인 확장 (2012년 ~ 현재)
주어진 원본 소스(`source`)에는 요청하신 섹션 제목(`section-title`: 지속적인 확장 (2012년 ~ 현재))에 해당하는 내용이 포함되어 있지 않습니다. 원본 소스는 2000년 개통 사실과 2018년 기준의 노선 길이 및 역 수 정보만을 담고 있으며, 2012년 이후의 확장 내역은 언급되지 않았습니다.지시사항에 따라 원본 소스를 정확히 기반으로 내용을 작성해야 하므로, 해당 섹션에 추가할 수 있는 내용이 원본 소스에는 없습니다. 요약(`summary`)에 언급된 정보는 원본 소스에서 뒷받침되지 않아 위키텍스트로 작성할 수 없습니다.
3. 역 목록
이즈미르 지하철은 다수의 역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각 역은 서로 다른 시기에 개통되었다. 역의 구조는 개착 터널, 심층 터널, 지상, 고가교 등 다양하며, 플랫폼 형태도 섬식 또는 측면식으로 나뉜다. 대부분의 역에서 버스로 환승할 수 있으며, 일부 역에서는 트램, 이즈반, 국영 철도, 페리 등 다른 교통수단과의 환승도 가능하다.
각 역의 상세한 정보(개통일, 구조, 환승 정보 등)는 아래 하위 섹션에서 확인할 수 있다.
3. 1. 현재 운영 중인 역
향후 사용을 위해역 샤프트 준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