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이하라 제타 함수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이하라 제타 함수는 그래프의 닫힌 소 측지선을 사용하여 정의되는 무한 곱의 해석적 연속이다. 이 함수는 그래프 이론적 정의를 가지며, 정규 그래프의 경우 유리 함수임을 보여주는 이하라의 공식을 따른다. 이하라 제타 함수는 자유군, 스펙트럼 그래프 이론, 동역학계 및 기호 동역학 연구에 응용되며, 루엘 제타 함수의 예시로도 사용된다. 한국 수학계에서도 이 함수와 관련된 다양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대수적 그래프 이론 - 중심성
    중심성은 그래프 이론에서 네트워크 내 노드의 중요성을 평가하기 위한 지표로, 차수 중심성, 근접 중심성 등 다양한 종류가 있으며 네트워크 흐름, 워크 구조 등 다양한 특징에 따라 분류된다.
  • 대수적 그래프 이론 - 거리 정규 그래프
    거리 정규 그래프는 지름이 d일 때 특정 조건을 만족하며 교차 배열로 특징지어지는 그래프로, 완전 그래프, 순환 그래프, 홀수 그래프 등이 그 예시이다.
  • 제타 함수와 L-함수 - 리만 제타 함수
    리만 제타 함수는 복소수 s의 함수로, 실수부가 1보다 큰 영역에서 무한급수로 정의되고 s ≠ 1인 모든 복소수에서 유리형 함수로 해석적 연속이 가능하며 함수 방정식과 오일러 곱 공식을 만족하고, 영점 분포는 소수 분포와 관련이 있으며, 비자명 영점이 임계선 상에 있다는 리만 가설은 중요한 미해결 문제이다.
  • 제타 함수와 L-함수 - 디리클레 L-함수
    디리클레 L-함수는 디리클레 지표로 정의되는 복소함수로, 등차수열에 대한 디리클레 정리를 증명하기 위해 도입되었으며, 리만 제타 함수의 일반화이자 오일러 곱, 함수 방정식 등의 성질을 가지며, 모듈러 형식, 타원 곡선과 관련되어 수론적 L-함수 연구의 핵심이고 암호론, 컴퓨터 과학 등에 응용된다.
이하라 제타 함수

2. 정의

이하라 제타 함수는 다음 무한 곱의 해석적 연속으로 정의된다.

:\zeta_{G}\left(u\right)=\prod_{p}\frac{1}{1-u^{\mathrm{L}(p)}}

이 곱은 그래프 G = (V, E)의 모든 닫힌 소 측지선 p에 대한 곱이다. 여기서 순환 회전에 의해 다른 측지선은 동일한 것으로 본다. G의 닫힌 측지선(그래프 이론에서 순환이라는 이름으로 알려짐) p는 다음 조건이 성립하는 꼭짓점들로 이뤄진 유한 열 p = (v_0, \ldots, v_{k-1})이다.

: (v_i, v_{(i+1)\bmod k}) \in E,

: v_i \neq v_{(i+2) \bmod k}.

정수 kp의 ''길이'' L(p)이다. 닫힌 측지선을 m번(m > 1) 반복하여 얻을 수 없는 닫힌 측지선 p를 ''소 측지선''이라고 한다.

이 그래프 이론적 정의는 스나다가 하였다.[5]

3. 이하라의 공식

이하라(및 그래프 이론적 정의의 스나다)는 정규 그래프의 경우 제타 함수가 유리 함수임을 보여주었다. 만약 Gq+1-인접 행렬 A를 가지는 정규 그래프이면,[9]

:\zeta_G(u) = \frac{1}{(1-u^2)^{r(G)-1}\det(I - Au + qu^2I)} \

여기서 r(G)G의 회로 랭크이다. G가 연결되어 있고 n개의 꼭지점을 가지면, r(G)-1=(q-1)n/2이다.

이하라 제타 함수는 항상 그래프 다항식의 역수이다:

:\zeta_G(u) = \frac{1}{\det (I-Tu)}~,

여기서 T는 하시모토 키이치로의 모서리 인접 연산자이다. 하이먼 배스는 인접 연산자와 관련된 결정 공식을 제공했다.

4. 응용

이하라 제타 함수는 자유군, 스펙트럼 그래프 이론, 동적 계 이론, 특히 기호 동적 계 연구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이하라 제타 함수는 루엘 제타 함수의 예이다.[10]

5. 한국의 이하라 제타 함수 연구

이하라 제타 함수는 자유군, 스펙트럼 그래프 이론, 동적 계 이론, 특히 기호 동적 계 연구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여기서 이하라 제타 함수는 루엘 제타 함수의 예이다.[10]

참조

[1] 서적 Terras (1999)
[2] 서적 Terras (1999)
[3] 서적 Terras (2010)
[4] 서적 Terras (1999)
[5] 서적 Terras (2010)
[6] 서적 Terras (1999)
[7] 서적 Terras (2010)
[8] 서적 Terras (1999)
[9] 서적 Terras (1999)
[10] 서적 Terras (201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