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 후생성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일본 후생성은 1938년 설립되어 국민의 건강 증진, 질병 예방, 군인 및 유족 지원 등을 담당했던 일본의 행정 기관이다. 1947년 노동 행정 부문이 노동성으로, 1971년 환경·공해 행정 부문이 환경청으로 분리되었다. 2001년 노동성과 통합되어 후생노동성이 되었다. 후생 대신은 후생성의 장으로 사회 보장 행정을 담당했으며, 역대 대신과 사무차관이 존재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38년 설치 - 벽성군
벽성군은 황해남도에 위치하며, 과거 백제와 고구려의 영역이었고 조선 시대에는 해주군이었으나 해옥사건 이후 개칭되었으며, 분단 후 행정구역 개편을 거쳐 현재 1읍 21리로 구성, 농업, 광업, 제조업이 주요 산업이고 옹진선 철도가 지나며 수양산맥과 해주만에 인접해 있다. - 1938년 설치 - 장단면
장단면은 경기도 파주시 북서부에 위치하며 한국전쟁 후 민간인 출입이 통제되다 파주군에 편입되었고, 군사분계선과 임진강으로 둘러싸여 경의선 도라산역이 있으며 현재 대부분 지역에 거주 인구가 없는 군사 작전 지역이다. - 2001년 폐지 - 대한민국 교육부
대한민국 교육부는 교육, 사회, 문화 분야 정책을 총괄하고 인적 자원 개발, 학교 교육, 평생 교육, 학술에 관한 사무를 관장하는 대한민국의 중앙 행정 기관이다. - 2001년 폐지 - 다나시시
다나시시는 에도 시대 오메 가도의 역참 마을에서 메이지 시대 이후 세이부 신주쿠선 개통과 군수 공장 설립으로 도쿄의 베드타운으로 성장했으나, 2001년 호야시와 합병하여 니시도쿄시가 되면서 폐지된 도쿄도의 옛 시이다.
일본 후생성 | |
---|---|
개요 | |
![]() | |
종류 | 행정기관 |
설치 근거 | 후생노동성설치법 |
약칭 | 후생노동성, 후생노동성 |
영문 명칭 | Ministry of Health, Labour and Welfare |
위치 | 일본 도쿄도 지요다구 가스미가세키 1-2-2 |
우편 번호 | 100-8916 |
소관 | 내각총리대신 |
주무 대신 | 가토 가쓰노부 |
사무차관 | 미즈시마 고이치 |
주요 담당 | 국민의 건강 유지 및 증진 질병 대책 의약품 및 의료기기 안전 확보 사회복지 노동 환경 정비 고용 확보 연금 의료보험 |
직원 수 | 32,294명 (2021년) |
예산 | 32조 8,986억 엔 (2021년) |
연혁 | |
1938년 | 후생성 설치 |
2001년 | 노동성과 통합, 후생노동성으로 개편 |
조직 | |
내부 부국 | 대신관방 인사원 정책통괄관 보건국 의정국 건강국 의약·생활위생국 노동기준국 직업안정국 고용환경・균등국 사회・원호국 노인보건복지국 보험국 연금국 |
시설 등 기관 | 국립병원기구 국립정신·신경의료연구센터 국립국제의료연구센터 국립암연구센터 국립순환기병연구센터 국립성육의료연구센터 국립장수의료연구센터 노동자건강안전기구 의약품의료기기종합기구 연금자금운용관리기구 |
심의회 등 | 사회보장심의회 의료보험복지심의회 노동정책심의회 중앙최저임금심의회 의약품의료기기심의회 사회보험심사회 |
관련 항목 | |
관련 법률 | 후생노동성설치법 사회보험법 노동기준법 최저임금법 고용보험법 국민연금법 국민건강보험법 개호보험법 아동복지법 생활보호법 장애인종합지원법 |
관련 단체 | 일본의사회 일본간호협회 일본약제사회 일본치과의사회 |
외부 링크 | |
공식 웹사이트 | 후생노동성 공식 웹사이트 |
2. 연혁
- 1938년(쇼와 13년) 1월 11일: 당시 육군대신 데라우치 히사이치의 제창으로 국민 체력 향상, 결핵 등 전염병 예방, 부상 군인 및 전사자 유족 관련 행정 기관으로서 내무성에서 위생국 및 사회국을 분리하여 후생성을 설치하였다. 설치 당시에는 1관방 5국(체력국, 위생국, 예방국, 사회국, 노동국)과 외청인 보험원으로 구성되었다.[1]
- 1947년(쇼와 22년) 9월 1일: 노동 행정 부문(노정국, 노동기준국, 직업안정국)이 노동성으로 분리되었다.
- 1947년(쇼와 22년) 10월 15일: 복원청 폐지 후 제1복원국(구 육군성)을 후생성에 흡수하였다.
- 1948년(쇼와 23년) 1월 1일: 제2복원국(구 해군성)을 후생성 소관으로 이관하였다.
- 1948년(쇼와 23년) 5월 31일: 외청에 인양원호청을 설치하였다.
- 1962년(쇼와 37년) 7월 1일: 외청에 사회보험청을 설치하였다.
- 1971년(쇼와 46년) 7월 1일: 환경·공해 행정 부문(대신관방 국립공원부, 환경위생국 공해부)이 환경청으로 분리되었다.
- 2001년(헤이세이 13년) 1월 5일: 중앙 성청 재편에 따라 노동성과 재통합하여 후생노동성이 되었다.
3. 조직
일본 후생성은 중앙 성청 개편으로 인해 현재는 후생노동성으로 통합되어 운영되고 있다. 후생성의 조직은 다음과 같이 구성되어 있었다.
내부 부국 |
---|
지방 지분 부국 |
---|
외청 |
---|
3. 1. 내부 부국
- 대신관방
- 통계정보부
- 장애보건복지부
- 의무국 → 건강정책국으로 재편[5]
- 건강정책국 → 의정국으로 재편[5]
- 보건의료국
- 국립병원부
- 생활위생국 → 일부는 건강국, 일부는 의약국으로 재편[4]
- 수도환경부
- 의약안전국 → 생활위생국과 함께 의약국으로 재편[4]
- 의약국 → 이후 의약식품국, 의약·생활위생국으로 재편[5]
- 사회·원호국
- 노인보건복지국
- 아동가정국
- 보험국
- 연금국
3. 2. 지방 지분 부국
지역 마약 단속관 사무소3. 3. 외청
사회보험청4. 역대 대신
1938년 5월 26일까지 문부대신 겸임
내무대신 겸임
내무대신 겸임
내각총리대신의 임시 대리
내각총리대신의 임시 대리
내각총리대신의 임시 대리
부총리 겸임
행정관리청 장관 겸임
노동대신 겸임
내각총리대신의 임시 대리
1958년 12월 31일부터 문부대신 임시대리
제1차 사토 제2차 개조 내각
제2차 다나카 가쿠에이 제1차 개조 내각
내각총리대신이 임시대리
제2차 하시모토 개조 내각
오부치 제1차 개조 내각
노동대신 겸임